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ilkie Collins`s The Woman in White and the Polities of Borderline: the Process of Deterritorialization in the Sensation Novel

        임순희 ( Soon Hee Lim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2 근대 영미소설 Vol.9 No.1

        본 논문은 1860년대 영국의 선정소설의 시대를 연 윌키 콜린즈(Wilkie Collins)의 『하얀 옷을 입은 여인』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며, 선정소설이 영국의 계급과 성 간의 경계선이 무너지는 정치적, 문화적 격동기의 경계 위반을 형식적 잡종성으로 담은 소수 장르였음을 밝히려 한다. 본 연구의 방향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재, 윌키 콜린즈의 『하얀 옷을 입은 여인』에 나타난 선정성은 빅토리아 시대 중기의 대표적 소설 장르인 가정 리얼리즘 소설의 양식을 계승, 전복하는데서 나오고 있으며, 이러한 양식의 변화는 빅토리아 사회의 계급과 성에 대한 중산층의 감정 구조의 변화 및 정체성의 유동성과 긴밀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음을 분석한다. 둘째, 선정소설의 정치학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선정소설의 전복성의 한계와 단명(短命)의 원인을 잡종성의 한계로 보는 비평과는 달리, 본 연구는 선정소설의 잡종성은 오히려 주류 문학에 대항하는 질 들뢰르적인 소수문학의 탈영토화 개념과 관련될 수 있으며, 따라서 선정소설은 주류 중산층 소설의 내용적, 형식적 코드의 해체를 촉진하였음을 보여준다. 『하얀 옷을 입은 여인』에는 빅토리아 중기의 층위화된 사회에 가한 도전이 세가지 측면에서 나타나고 있다. 첫째, 정체성의 분열과 유동성, 둘째, 가정 이데올로기의 해체, 셋째, 성 위계질서의 붕괴 등인데, 이는 바로 영국 중산층 질서의 정점에서 그 이면에 꿈틀거리고 있는 계급적·성적 질서의 유동성에 대해 중산층의 불안을 반영하는 한편, 부상하고 있는 주변부 문화의 새로운 도전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선정소설은 계급의 시대에서 대중의 시대로, 생산의 시대에서 소비의 시대로 옮아가고 있는 빅토리아 사회의 열린 구조와 복수성을 보여주는 장르였으며, 따라서 이것은 새로운 정치학을 반영하는 진보적 글쓰기였음을 밝히고 있다.

      • KCI등재

        The Professor: Charlotte Bronte`s Utopian Imagination

        윤혜령 ( Hae Ryung Yoon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1 근대 영미소설 Vol.8 No.1

        이 논문은 샬롯트 브론테(Charlotte Bronte)의 첫 소설인 『교수』(Professor)를 재해석한 것으로, 이 소설이 브론테 소설 세계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 그리고 나아가서 영국 역사의 격동기였던 19세기 전반부에 이 작품이 끼쳤었을 정서적 영향력, 또한 현재와 미래의 독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는 주제적 가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제1부(Ⅰ)는 이 작품에 대한 작가 당대와 그 이후의 비평가들에 의한 부정적 견해를 간략하게 소개한 후에, 객관적 시각으로 이 소설의 장단점을 다시 재조명한다. 그리고 이어서 이 소설을 브론테의 유토피아적 상상력의 표현으로 읽을 것을 제안한다. 제2부(Ⅱ)는 자아와 노동의 문제가 브론테 유토피아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관한 것으로, 이 소설에 나타나 있는 브론테의 유토피아적 자아개념은 탈사회, 탈역사적이며, 고로 매우 20세기적이며, 노동의 주제는 빅토리아 초기 시대 분위기를 반영하는 듯, 자수성가의 신화(the myth of self-help)를 강조하고 있음을 다루고 있다. 이어서 제3부(Ⅲ)에서는 이 소설에서 브론테가 제시한 네 부류의 여성상이 분류, 소개되고, 이 소설 속 주인공 남녀간의 다소 인공적일 정도로 이성적이고 절제된 애정이, 브론테가 상상하는 유토피아에서 핵심적 요소임이 설명된다. 결론 부분인 제4부(Ⅳ)는 이 소설의 결말부분을 재해석하면서, 주인공 남녀가 마지막으로 정착하는 "데이지 레인(Daisy Lane)"이 샬롯트 브론테적인 이상향임을 제시한다. 이 소설이 이러한 시각으로 해석될 때, 브론테 소설 세계에서 이 소설은 독자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이 소설 속에서 작가가 전달하고 있는 강력한 생의 에너지는 이 소설의 몇몇 치명적 소설적 약점에도 불구하고, 현재와 미래의 독자들에게 계속적으로 영향력 있게 기억될 것이다.

      • KCI등재

        『근대영미소설』 연구 경향(1994~2022)과 소설론

        박종성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23 근대 영미소설 Vol.30 No.2

        The year 2023 marks the 31st anniversary of the Korean Society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BAF). On this occasion, it is time to analyze the total number of 634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British and American Fiction (1994~2022). I propose mapping the research trends, moving roughly from realism through post-structuralism to a comparative study of the literary text and its cinematic adaptation. This will give us a clear sense of what we have achieved in the last 30 years. I then go on to explain som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of the novel genre, look at how to construct a house of fiction, and highlight the positive effect of the novel. I also make some suggestions so that Korean readers can learn about the theory of the English novel, particularly the positive effect the novel can have. Finally, I discuss some of the current challenges facing scholars of the English novel genre and seek solutions. This paper will be a valuable resource for scholars specializing in the English novel genre.

      • KCI등재

        "Entirely Without Words" in Emma: The Narrative Conspiracy Against Jane Fairfax

        박형지 ( Hyung Ji Park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1 근대 영미소설 Vol.8 No.2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소설 『엠마』(Emma, 1816)는 오스틴의 중요작품 중 유일하게 소설의 제목과 주인공의 이름이 일치하는 작품이다. 『엠마』의 특징은 바로 이 주인공이 소설을 완전히 독점한다는 데 있다. 주인공 엠마 우드하우스(Woodhouse)는 그의 동네 하이버리(Highbury)의 유명 인사이며, "자유 간접 화법"(free indirect discourse)의 화자로 소설내의 환경에서 뿐 아니라 소설을 이끌어 나가는 과정에서도 주인공 역할을 하고 있다. 자유 간접 화법은 삼인칭 화자의 목소리를 이용하여 일인칭의 개인적인 의견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소설의 많은 부분은 엠마의 자유 간접 화법을 통해 전개된다. 따라서 엠마의 개인적인 시각이 소설을 독점하며, 이는 독자로 하여금 엠마의 주관적 견해와 소설 내의 객관적 환경을 구별하기 어렵게 만든다. 자아의식이 약하고 자신에 현혹되어 있는 엠마라는 화자가 내러티브를 조종함으로써 독자는 내러티브에 대한 신뢰를 상실하게 된다. 결국 독자는 마치 탐정 소설을 읽을 때처럼 소설과 거리를 두게 된다. 소설의 등장 인물 중 제인 페어팩스(Jane Fairfax)는 엠마와 대조되는 인물이다. 그녀는 소설의 플롯 진행상 밝혀지면 안 되는 비밀을 지니고 있으며, 엠마가 내러티브를 독차지하기에 아무런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 이 소설은 특히 엠마라는 미숙한 소녀가 성숙하고 책임 있는 여인이 되어 가는 과정을 묘사한다. 본 논문에서는 엠마의 자유 간접 화법 하에서 어떻게 제인 페어팩스의 목소리가 더욱 제압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며, 제인 페어팩스가 엠마의 성장과정에 미치는 역할 및 영향을 분석한다.

      • KCI등재

        외설물 읽기: 18세기 소설에 나타나는 쾌락의 미학

        최주리 ( Ju Lie Choi ) 근대영미소설학회 1999 근대 영미소설 Vol.6 No.1

        이 논문은 클레랜드(John Cleland)의 소설 The Woman of Pleasur(1749)와 멕켄지(Henry mackenzie)의 소설 The Man of Feeeling(1771)을 중심으로, 포르노그래피와 감상 소설이 공유하고 있는 쾌감(transport)에 대한 담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르노그래피와 감상 소설의 공통점은 독자에게 특정한 심리적, 육체적 쾌감을 유발하는 데 있다. 더 나아가 두 장르 모두 쾌감의 순간들을 연속적으로 유발하고자 하기 때문에 플롯 면에서는 많은 결점을 드러내고 있는 듯 하다. 그러나 플롯의 전개나 완성보다는 극적인 감정과 황홀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이 18세기 후반 영국 소설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고딕 소설 작품들 간에 존재하는 놀라운 유사성은 감상 소설 작품들 간의 유사성, 그리고 포르노그래피 소설들 사이의 유사성과도 비슷한 것이다. 18세기에는 소설을 읽는다는 것이 혼자만의 공간에서 쾌감을 즐길 수 있는 행위로 인식되면서 소설 읽기 그 자체가 외설적인 것으로 의심받게 된다. 이 논문은 이성(理性)의 시대로 불리어지는 18세기의 소설에서, 이성을 초월한 감각적 쾌락의 위치를 재조명하고 있다.

      • KCI등재

        “처벌받지 않고 처벌하기”: 「아몬틸라도 술통」과 「에밀리에게 장미를」에 나타난 복수와 공포

        박하정 ( Hajeong Park ) 한국근대영미소설학회 2019 근대 영미소설 Vol.26 No.3

        Edgar Allan Poe created a genre of the psychological horror tale advancing the British Gothic form into his art of horror. By drawing attention to Poe’s gothic sensibilities towards death and human psychology, this essay shows how his horror stories influence William Faulkner, a writer of the American South, within the gothic genre. In “The Cask of Amontillado,” Poe’s command of the revenge theme has deepened in that he portrays the perpetrator’s apparent rationality in the planning and exacting of murderous revenge “with impunity.” Montresor, the sociopathic criminal, fails to gain pleasure at the final moment of entombment when his adversary refuses to play the role of the agonized victim. Thus, Montresor’s compulsive detailed relation of his crime after fifty years demonstrates his need to reassure satisfaction in reenacting revenge. Poe’s influence is apparent in Faulkner’s gothic obsession with perversity and insanity in “A Rose for Emily.” The dark underworld of Montresor’s catacombs is transformed into Emily’s bridal room and tomb. The grotesque necrophilia implied in the final scene shows Emily’s ultimate revenge on the perverse townspeople. The parallels between the two pieces show that in themes of revenge, brutality, perversity and horror, Faulkner is indebted to Poe’s tales of terror.

      • KCI등재

        Rehabilitating Jane Eyre: A Counter to Armstrongian New Historicism

        최정선 ( Jung Sun Choi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0 근대 영미소설 Vol.7 No.2

        최근 『제인에어』에 관한 비평은 사회의 힘과 가정소설의 개념이 주요 주제가 되어 왔다. 특히 그린블랏류의 신역사주의 비평들은 이 소설을 중산계층의 지배권을 위하여 경찰의 역할을 수행하거나 독자들을 길들이기 위한 도구로 파악하고 있다. 낸시 암스트롱의 『욕망과 가정소설』(Desire and Domestic Fiction)은 이러한 신역사주의 비평의 전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인에어』에 관한 낸시 암스트롱의 비평을 고찰하며 이러한 신역사주의 비평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지적한다. 즉 그녀가 간과하고 있으며 그녀의 이론적인 틀로는 설명될 수 없으나, 해석을 요하는 작품의 중요 요소들을 제시하며 그것들은 제인 에어가 끊임없이 자아(self)를 자주적인 주체(autonomous self)라고 주장하는 것으로 파악한다. 특히 로체스터와의 사랑을 주체들 상호간의 이해와 인식에 기초를 둔 "의사소통이 가능한 상호 주체성(communicative intersubjuctivity)"을 이루려는 것으로 보고 제인 에어가 이러한 "공동체"를 만들려고 노력하는 모습에 주목한다. 특히 이러한 점에서 드러나는 주체를 형성하기 위한 제인과 로체스터의 성숙(maturation)과정을 살펴본다. 결말에서 두 주인공이 고립된 장소로 이주하는 것은 강력한 사회에 저항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보호하기 위한 샬롯 브론테의 "소설장치(novelistic device)"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암스트롱의 비평은 『제인에어』를 가정화(domestication)라는 이념을 전파시키기 위한 투명한 수사도구로 보는 데 비하여 본 논문은 소설을 충화되지 않은 다양한 담론들이 갈등하며 함께 존재하는 장으로 보고 이 소설이 저항담론을 통하여 사회비판을 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 KCI등재

        메아리 푸비와 낸시 암스트롱의 신역사주의적 소설 읽기: 19세기 소설을 중심으로

        김진옥 ( Jin Ok Kim ) 근대영미소설학회 1999 근대 영미소설 Vol.6 No.1

        Mary Poovey and Nancy Armstrong explore how representations of gender took the form of a binary opposition in Victorian culture, and how the boundary between public and private (the male and female spaces) is established and enforced not by external rule but by processes structural to the modern middle-class family. They also show how gender construction(the division of the world into domestic and social categories) influences the way class relations are represented. Armstrong and Poovey argue that public/private and domestic/politic arenas are not separate, but intersect throughout history. Although they indicate the artificiality of the existing binary systems, they differ from each other in approach. Armstrong suggests how the novel becomes feminine genre throughout history, and women are authorized in this feminized genre. She also shows how middle-class women`s subjectivity and sexuality became a model for the way in which men`s subjectivity and sexuality are constructed later on. She defines middle-class consciousness as feminine values and female subjectivity as central and dominant. Armstrong believes that the rise of the middle-class enables women to perform moral surveillance over men; with the governing power of middle-class women, conflicts in class (redefined as domestic and sexual) may be resolved.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Armstrong emphasizes middle-class women`s influence on the reconstruction of culture. However, her notion is a little limited; Armstrong does not raise some questions about social issues and never questions the traditional masculine control of women`s problems. While Armstrong does not deal seriously with the power relations of gender and with women`s oppressions, Poovey focuses on a system of differences based on the "natural" divisions of sex and articulated as a series of polar opposition that inform Victorian middle-class ideology and institutions. Poovey emphasizes the system of differences in legal, medical, and literary spheres; she points out the conflicts and the problems that women experience in these oppositional spheres Poovey examines the problems in which gender is crucially at work-debates over the use of chloroform in childbirth, the Divorce and Married women`s Property Bills; the employment of governesses, the entry of women into the labor market, and women`s sexual aggression; as well as debates over the professionalization of literary writing and the development of nursing as a profession for women Poovey exposes the artificiality of the binary oppositions that control Victorian culture and economy, defining governesses, nurses and child-birth as border cases (as result of two sets of antithetIcal factors). As the critic Newton indicates, Poovey`s construction of middle-class culture includes an earlier feminist model than Armstrong`s. While Armstrong indicates the dominance of women`s values and power throughout the history of the novel, Poovey emphasizes the oppositional role of women in society. In spite of the difference in their views, both Poovey and Armstrong see women as subjects and objects in the production of history. They broaden and enlarge the field of academic interest, by linking literature to history, culture, and politics from a gender perspective. Both Armstrong`s and Poovey`s new historicist readings of women`s issues open new discussions regarding the feminist movement.

      • KCI등재

        토마스 하디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문화와 성

        장정희 ( Jung Hee Chang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0 근대 영미소설 Vol.7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Christian culture and sexuality m Thomas Hardy`s Tess of the D`Urbervllles and Jude the Obscure, focusing on the 19th-century ideology of female sexuality. Through Tess Hardy explores the Christian view of female sexuality and attempts at a redefinition of feminity He repeatedly stresses the ways m which Tess`s sexuality is revealed and oppressed. In addition, he transforms the sign of fallen woman in Christian culture through associating female sexuality with nature and paganism. In Jude the Obscure Hardy dramatizes the complex relation between the liberation of woman and the Christian view of female sexuality through Sue`s conflict. Her conflict between the will to creative and independent life and her culture`s encoded messages about female sexuality shows the repressive effect of the Victorian/Christian view of female sexuality. By concentrating on representing Sue`s sexual nature, Hardy reveals the difficulties of living up to the ideal of new woman and the effect of the Christian cultural code of female sexuality. Hardy questions and challenges the Victorian/Christian/middle class code of female sexuality through vividly representing the conflict and the crisis of Tess and Sue. Hardy`s representation of female sexuality in two works has the potential to undermine and transform the ideological work of the major Victorian/Christian discourses on female sexuality.

      • KCI등재

        Catharine Maria Sedgwick`s Hope Leslie: The Revision of Early American Society

        노헌균 ( Heon Gyun Rho ) 근대영미소설학회 2000 근대 영미소설 Vol.7 No.1

        캐서린 마리아 쎄지윅(Catharine Maria Sedgwick)은 그녀의 소설 『호프 레즐리』(Hope Leslie)에서 초기 미국 사회를 재조명하고 있다. 대부분의 19세기 미국 여류 작가들처럼 쎄지윅은 가족을 소재로 한 소설(domestic novel)에 관심이 있었지만 자유롭고 진보주의적인 가정에서 자란 그녀는 『호프 레즐리』에서 17세기의 미국 역사와 정치를 새로운 시각으로 읽고 있다. 19세기 초 미국 사회에서 싹트기 시작한 정치적 평등주의(political egalitarianism)는 그녀의 사상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실지로 그녀는 정치에 참여하고 싶어했으나 19세기의 여성에게는 꿈도 꿀 수 없는 일이었다. 그녀는 이러한 사회적 억압이 19세기의 산물이 아니라 초기 미국 사회의 유산임을 깨닫고 이 모순에 저항한다. 그녀의 항거방식은 직접적인 사회 운동이 아니라 작가로서의 통찰력과 비판정신을 무기로 삼아 "상상의 도피"(imaginative escape) 형식을 취한다. 초기 미국 사회는, 청교도들의 이상과는 달리, 자유, 평등, 유연성, 자연미가 없는 권위, 위계질서, 독단, 억압의 세계이다. 그리고 청교도들의 역사관은 호전적이어서 서양의 이분법적 사고방식-열등과 우등 두 세계- 만이 역사에 존재하며, 그 기준은 청교도들의 독단에 의해 설정되어 우등한 민족이 그보다 못한 민족을 말살하는 것을 당연시 여긴다. 소설 『호프 레즐리』에서 작가는 이러한 전통에 의문을 제시하고 나아가 초기 미국 사회를 패러디함과 동시에 재구성한다. 그것은 이 작품의 주인공이 초기 미국 사회의 골격을 만드는 데 절대적 기여를 한 주지사 윈쓰롭(Governor Winthrop)이나 남성 원로가 아니라 미숙하지만 남성 이상의 기개와 지혜를 가진 두 여성 호프 레즐리와 마가위스카(Magawisca)인 점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 두 인물은 각각 청교도 사회와 인디안 사회에서 남성 중심의 기존 질서를 다시 한번 생각게 만든다. 19세기 초 인디안에 대한 정책이 말살과 유화의 적절한 조화에 의하여 진행되고 19세기말에 이르러서는 완전한 정복에 종지부를 찍는데 이러한 미국의 "폭력을 통한 부활"의 역사를 쎄지윅은 마가위스카의 숭고한 행동들에 의하여 다시 한번 물어본다. 이 소설의 부제 "매사추세츠주의 초기 시대"(Early Times in the Massachusetts)가 암시하는 바와 같이 이 소설은 역사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그 역사는 쎄지윅의 "상상의 도피"를 통해 재고된 역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