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내·외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역사와 관련된 치료연구에 대한 고찰

        권혜정,이제혁,이민규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연도별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운동치료를 실시한 국내학위논문을 살펴본 결과1998년부터 2004년까지 4편, 2005년부터 2009년까지 17편, 2010년부터 2014년까지 23편으로 점차 논문편수가 증가하였고 PNF패턴을 이용한 운동치료는 중추신경계환자 뿐만아니라 근골격계환자, 스포츠계 운동선수, 만성폐쇄성 폐질환환자, 건강한 성인 등에게도 효과가 확대증가됨에 따라 앞으로 다양한 영역에서도 PNF치료법은 활성화가 된 것으로 사료된다 Internationally PNF had been 65 years history, in Korea formal IPNFA education was started 30years ago. Still PNF is one of best intervention in physical therapy field at the worldwide. And the research of related PNF was increasing and developing every year. Furthermore the field of research was more widely spreading from neurologic and musculoskeletal to sports injury, cardiopulmonary, and elder. So PNF concept is one of effective approach for the patients who had various type of dysfunction in Korea

      • 지지면의 변화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 시 하지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정소담,이해지,이다희,장은지,황성수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지지면의 변화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을 할 때 하지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14명의 20대 각 남성, 여성의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근활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EM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동적인 지지면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보인 근육은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Gluteus Maximus을 보였는데 이는 상부하지의 근육이 동적인 지지면에서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하부하지에 있는 근육은 불안정한 지지면에서 가장 높은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측정 후 하지의 모든 근육별에서 서로 다른 지지면에서의 근 활성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향후 동적균형, 정적균형 능력의 증진을 필요로 할 때 하지의 근육 동원순서와 하지의 근육 활성도를 알아 균형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goal is to know the effects of muscle activation at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static, unstable, dynamic) during sit to stand(STS) movement. Method : The subjects were 14(male=7, female=7). For the measuring the muscle activation at the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 surface EMG(The Trigno Wireless EMG System, Delsys Inc., USA) was used in a 5 muscles Rectus femoris(RF), Biceps femoris(BF), Gluteus maximus(GM), Tibialis anterior(TA), Gastrocnemius(GCM).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s significant difference all of the three different support surface of all of muslces during STS movement. The order of muscle activity at the static support surface were BF, GM, TA, RF and GCM. At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were BF, GM, TA, GCM and RF. At the dynamic support surface were GM, BF, RF, TA and GCM. Conclusion : Based on this study, the upper part of the leg muscles such as RF, BF, GM were activated for the dynamic balance, the lower part of the leg muscles such as TA, GCM were activated for the unstable support surface.

      • 닫힌 사슬 운동과 PNF접근법 병행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머리 빗기 활동에 미치는 영향 : 증례보고

        윤정현,이병기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목적:본 증례보고의 목적은 닫힌사슬운동과 PNF 접근법의 혼합이 뇌졸중환자의 머리빗기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찾아내는데 있다. 방법:본 증례보고에 참여한 환자는 총 4주동안 머리빗기 활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를 제공받았고 활동제한에 대한 평가는 머리빗는 횟수를 측정하고 원인이 되는 손상의 평가는 어깨관절의 굴곡과 외회전의 능동관절가동범위와 수축한 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머리빗기활동은 증진하였고 어깨관절의 굴곡과 외회전의 능동관절범위와 수축시간도 증가하였다.결론: 우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기능개선에 PNF접근법과 닫힌사슬운동이 효과적인것을 찾을 수 있었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s and PNF approach on combing hair with a hemiparetic patient after stroke Method : The subject of this report was chronic stroke patient and received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combing hair during 4 weeks. The Test of activity limitation was number of combing hair and Test of causal impairments was AROM and contraction time of shoulder flexor and external rotator. Results : Combing hair was improved and AROM and contraction time of shoulder flexor and external rotator increased. Conclusion : we can be found that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and PNF approach was effective way to improve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with hemiparetic patient after stroke.

      • PNF 패턴을 이용한 운동이 만성 편마비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이제혁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목적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고유 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보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2014년 11월 3일부터 2014년 11월 30일까지에서 약 한 달 동안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실험 하였다. 방법 : 대상자를 실험군(N = 10)과 대조군(N = 10) 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군에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을 실시하엿다(회당 30분, 주 5회, 4주). 실험전과 실험 후 보행능력을 평가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군, 대조군 각각 실험 전 후 비교에서 속도, 보행률, 한발지지 기간, 두발지지 기간, 중력중심점이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5). 추가로, 중력중심점이동(COP)은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PNF 운동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COP가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능력에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Purpose :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20 subjects for about one month from November 3, 2014 to November 30, 2014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 of gait ability with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 chronic stroke patients Methods : Subjects were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n=10) or the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receiv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30 min per course, 5 days a week for 4 weeks). Subjects were assessed for gait ability (smart step gait tes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velocity, cadence, single limb support, double limb support and center of pressure(p<.05). In addition, only COP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PNF exercise increased center of pressure in stroke patients, These results could be helpful to gait ability in stroke patients.

      • 간접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PNF 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마비측 부하반응기에 미치는 영향:증례 보고

        이민규,권혜정,안창식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case report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oading response phase of a patient with stroke using PNF(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concept emphasized indirect approach. A 63 years old male patient participated in. The subject received physical therapy based on P.N.F concept. The change of loading response on manual muscle testing(MMT), measurement of weight bearing was evaluated at baseline and after 3 weeks. MMT change on gluteus right maximus was the same; right gluteus medius was increased from fair- to fair; Rt. hip external rotator group was increased from fair- to fair; right quadriceps were increased from fair- to fair and right tibialis anterior was the same. The ability of weight acceptance on right. lower extremity during loading response phase with mono cane support was increased from 41.16kg to 50.33kg and with no support was increased from 33.33kg to 48.33kg. Our findings suggest that PNF intervention emphasizing Indirect approach may influence on loading response phase of hemiplegic patient with stroke.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간접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 PNF 개념 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부하 반응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대상자는 63세의 남자 환자로 3주 간 치료를 받은 후 도수근력검사와 체중 부하 정도를 통해 부하 반응기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도수근력검사의 경우 오른쪽 대둔근과 전경골근은 변화가 없었고 오른쪽 중둔근과 외회전근군은 fair-에서 fair로 증가하였다. 체중 수용 능력은 외발 지팡이 지지시 41.16kg에서 50.33kg로 지지도구 없이는 33.33kg 에서 48.33k로 증가하였다. 본 사례 연구 결과를 통해 간접 접근을 중심으로 한 PNF 치료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부하 반응기를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사료 된다.

      • PNF를 이용한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의 입 열기 개선: 증례보고

        이병기,윤정현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PNF의 철학을 근거로 환자 신체의 바른 정렬을 위한 긍정적인 접근과 전인적 치료는 측두하악관절 장애 환자의 자세조절과 음식먹기와 같은 활동을 개선시킨다.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게 적용한 PNF의 기법은 측두하악관절 주변 근육의 이완과 강화를 통해 손상 증진에 도움이 되어 환자의 기능을 개선시킨다.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was to promote the temporomendibular joint disorder patients with postural control, to address the functional disability through strengthening the surrounding muscles relax and confirms that effective treatment

      •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작 시 발 위치에 따른 몸통과 하지근육의 근활성 순서 변화

        임수기,최종환,현경준,김태민,황성수 국제PNF한국학회 2014 국제PNF한국학회지 Vol.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앉은 자세에서 일서는 동작 동안 발 위치에 따른 하지와 체간의 근육 활성 순서의 변화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20명의 남자 대학생으로 3가지 발 위치(슬관절 85도, 100도, 115도) 따라 6개의 근육(척추 기립근, 대둔근, 외측광근, 슬괵근, 전경골근, 가자미근)의 활성 순서를 EMG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쪽 발이 앞으로 나온 자세와 뒤에 있는 자세간 근 활성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한 한쪽 발이 뒤에 있는 자세에서 근활성화 순서는 한쪽 발이 앞에 있거나 중립 위치에 있을 경우 보다 감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 위치에 따라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시 근활성도 순서에 변화가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 이러한 사실이 편마비 환자의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훈련 시 도움을 줄수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runk and leg part muscles activation time associated with foot position during a sit to stand movement. Twenty subjects (male=20) were measured. The activation of six muscles(Erector spinae; Gluteus maximus; Vastus lateralis; Hamstring;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was measured by sur- face EMG(The Trigno Wireless EMG System, Delsys Inc., USA) during a sit to stand movement under three different foot positions(knee flexion of 85, 100, or 115 degrees). As a result, when subjects were performed sit to stand movement with change of foot posi- tion, between one foot front position(knee flexion 85 degree) and one foot back position(knee flexion 115 degree) show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so, the order of muscle activation time in one foot back foot position was decreased than one foot front position and two foot neutral position.These findings suggest that muscle activation time during a sit to stand movement differs depending on foot position. We believe that these differences should be used when training of sit to stand movement for hemiplegia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