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윤지원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외국인 유학생 대상의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에 관한 소고 윤 지 원 연구 목적: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는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선행연구 및 대학별 홈페이지 검토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위한 정부 및 대학의 노력을 확인하고,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비교과 프로그램 현황 등을 살펴볼 것이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국내 대학을 졸업한 후의 진로 영역 중 취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정부 및 대학에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취업을 위해서 채용 박람회, 홈페이지 정보 제공 등의 지원을 하고 있으나, 그 효과는 미비하므로 외국인 유학생 취업률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결론 및 제언: 외국인 유학생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대학은 전공 및 교양에서 충족하지 못하는 영역을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통해 지원할 수 있는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해야 한다. 이때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취업 로드맵이 필요하다. 둘째, 프로그램은 체계적인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일회성 프로그램을 지양하고, 지속적이고 연속성 있는 프로그램을 지향해야 한다. 이렇게 개발된 비교과 프로그램은 한국어 및 취업 역량 기반의 프로그램이어야 한다. 핵심어: 외국인, 유학생, 진로, 취업 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Fragmentary Consideration on the Extra-curricular Program of Employment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Jiwon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and operating employment support extra-curricular 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s enrolled in domestic universiti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a review of the website of each university, we will confirm the efforts of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for the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operated by universities. This study examined employment among the career areas after international students graduated from domestic universities.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provide support for international students' employment such as job fairs and website information, but the effect is insufficient, so efforts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of international students are needed. In order to support the employment of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employment support extra-curricular programs that can support areas that cannot be met in their majors and liberal arts through various types of activities. In this case, the following should be supported. First, a customized employment road-map for international students is needed.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organized into a systematic program. Third, one-time programs should be avoided and continuous programs should be aimed at. The extra-curricular program developed in this way should be a program based on Korean language and employment competency. Key Words: Foreigners, International Students, Career, Employment Support,Extra-curricular Program □ 접수일: 2024년 1월 28일, 수정일: 2024년 2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3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3S1A5A8081078). * 이 논문은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인문사회콘텐츠학회 2023년 하계학술대회(2023.6.3.)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 창신대학교 카리스교양대학 조교수(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jwyoon@cs.ac.kr)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기업 생태계 활성화 정책 개발을 위한 국가별 비교 연구: 미국과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김병철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사회적 기업 생태계 활성화 정책 개발을 위한 국가별 비교 연구: 미국과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김 병 철 연구 목적: 본 연구문의 목적은 국가별 사회적기업 생태계 정책과 환경을 비교하여 한국의 사회적 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생태계 이론을 검토하고 미국과 이탈리아를 비교분석하였다. 사회적경제 국가라 불리는 미국, 이탈리아를 사회적기업 생태계 관점에서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연구 내용: 첫째, 사회적 기업 생태계에는 최근 소셜 네트워크가 강조하고 있는 좋은 사업 아이디어, 임팩트 펀딩, 연구개발, 거버넌스, 사회적 가치 등이 포함된다. 둘째, 원천기술의 축적과 네트워크를 통한 지속가능한 협력이 이 국가들의 발전의 원동력이다. 미국은 비영리부문을 활성화하고 있고, 이탈리아는 정부주도 국가이자 제3섹터로 발전한 사회적협동조합이 다양한 복합활동을 펼치고 있다. 결론 및 제언: 이론적, 정책적, 생태적 함의를 바탕으로 한국은 사회적기업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조성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핵심어: 사회적 기업, 사회생태계, 사회적 경제, 미국, 이탈리아 The Study on Development of Social Policy for an Ecosystem of Social Enterprise: Compared with USA and Italy Byungchul Kim*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to develop on ecosystem of social enterprise by country comparison. Analyzing USA and Ital which are called social economy n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nterprise ecosystem, they have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e social enterprise ecosystem include good business ideas, impact fun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governance and social value which was stressed by social network. Second, the accumulation of original technology and sustainable cooperation with network is the driving force of development in the countries. The U.S. is vitalizing the nonprofit sector, Italy is a government-led country and social co-operatives as third-sector have developed. In sum, Korea needs to make great effort to develop a social enterprise ecosystem systematically, based on theoretical, policy, ecological implications. Key Words: Social Enterprise, Ecosystem, Social Economy, USA, Italy □ 접수일: 2024년 3월 20일, 수정일: 2024년 4월 9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안산대학교 에이블자립학과 조교수(Assistant Professor, Ansan Univ., Email: best0410@ansan.ac.kr)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법 모색을 위한탐색적 연구

        배진형,안정선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 방법 모색을 위한탐색적 연구 배 진 형ㆍ안 정 선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지역사회에서의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방법을 지역 내 연계기관 전문가 관점에서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지역 연계기관 실무전문가 4명의 포커스 집단인터뷰와 기관장급 복지전문가 10명에게 서면 의견조사를 실시한 후, 원자료를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개발 및 지역연계 협력을 통한 교과 차원의 발전, 자발적 참여에 기반한 지역 중심 눈높이 비교과 활동 증진, 지역연계와 성장을 지향하는 가치 실천 확대의 범주가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내용, 협력사업, 정책마련, 학생지도 등에 관한 세부 실행 과제들이 도출되었다. 결론 및 제언: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해 대학은 지역사회 요구에 따른 새로운 교육내용 및 방법을 적용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사업 개발, 적극적인 기술 공유가 필요하다는 결과로 정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대학의 사회적 가치실현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핵심어: 사회적 가치, 대학, 지역사회, 대학의 역할,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for the Methods of University’s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in the Community Jinhyung Bae* & Jeongsun Ah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thods for university‘s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in the community with the perspectives of the professionals who work in the connected agencies with H university. To do so,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our social work practitioners at middle managers level was held. A written survey of opinions was carried out with ten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at heads of organization level.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analysis. The categories of the findings are first, development of curriculum via specialization and joint cooperation with community, second, improvement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d on community needs based on voluntarily participation. Lastly, expansion of actions to realize social values pursuing the linkage and growth with community. According to the results, implementation tasks like new contents of curriculum, cooperative projects, arrangement of policy, guidance of students were drawn.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values, universities need to apply new curriculum/methods, to develop link projects with community, to share technologies actively. Through this study, the vitalizing of realizing universities’ social values in the local community is expecting. Key Words: Social Values, University, Community, Roles of Universities, Exploratory Study □ 접수일: 2024년 3월 19일, 수정일: 2024년 4월 15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Korean Bible Univ., Email: jbae@bible.ac.kr)** 교신저자, 한국성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Korean Bible Univ., Email: ajs-fire@hanmail.net)

      • KCI등재후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성공적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박정민,이상호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성공적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박 정 민ㆍ이 상 호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장애인의 성공적인 노후 준비를 위하여 사회적 배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회적 배제 요인과 노후 준비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가구 재정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자료는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와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2022년 장애인고용패널조사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IBM사의 SPSS ver. 21.0으로 다중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장애인의 노후 준비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일 높은 사회적 배제의 하위요인은 고용 배제, 사회활동 배제, 건강 배제 순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장애인의 고용 배제와 노후 준비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건강 배제와 노후 준비에서 자아존중감은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가구 재정은 고용 배제와 노후 준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장애인의 성공적 노후 준비를 위하여 사회적 배제를 해소하고, 장애인의 자아존중감 회복과 경제적 어려움 해소를 위한 장애인 가구 재정의 중요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의 성공적 노후 준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성공적 노후 준비, 사회적 배제, 고용, 건강, 사회활동 Research on Social Exclusion and Successful Preparationfor Old Aged Life of the Disabled Jeongmin Park* & Sangho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eliminate social exclusion for the successful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of the disabled.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lusion factors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activity in this influence relationship. Data processing was done using IBM's SPSS ver. The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ion effect analysis,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with 21.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ub-factors of social exclusion that had the highest impact on the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of the disabled were identified in that order: employment exclusion, social activity exclusion, and health exclusion. Second, self-esteem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employment exclus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for the disabled, and self-esteem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in health exclus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Third, the household finances of the disabled were found to regulate employment exclusion and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firms the importance of household finances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by resolving social exclusion, restoring the disabled's self-esteem, and resolving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this research, basic data for successful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of the disabled were presented and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were presented. Key Words: Successful Preparation for Old Aged Life, Social Exclusion, Employment, Health, Social Activities □ 접수일: 2024년 4월 6일, 수정일: 2024년 4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주저자, 동신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shin Univ., Email: jmpark21@hanmail.net** 교신저자, 목포대학교 스마트비즈니스학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Mokpo National Univ., Email: naya245@mokpo.ac.kr

      • KCI등재후보

        미국 예외주의와 중국 예외주의의 비교: 문명의 충돌인가?공존인가?

        이지윤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미국 예외주의와 중국 예외주의의 비교: 문명의 충돌인가?공존인가? 이 지 윤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미국 예외주의와 중국의 예외주의를 문명의 관점에서 비교해보고, 이를 정치이데올로기적 측면과 경제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중국 예외주의를 구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논문은 문헌분석법을 기초로 국내를 비롯한 미국, 중국 등 해외 연구의 문헌 조사를 통해 미국 예외주의와 중국 예외주의가 형성된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내용:미국 예외주의와 중국 예외주의를 ‘문명충돌론’과 ‘문명공존론’의 관점에서 비교함으로써 오늘날 미국의 예외주의가 한계에 직면한 이유를 분석하고 중국의 예외주의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미국의 예외주의는 청교도정신과 고립주의에 기반하면서 자유주의 시장경제에 중점을 둔 반면, 새로운 중국의 예외주의는 덕에 기반한 포용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강조하고 있다. 결론 및 제언: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국의 예외주의는 대체로 문명 간의 충돌을 강조한 반면, 중국의 예외주의는 대체로 문명 간 공존을 지향하고 있다. 미·중 관계에서 문명 간의 충돌은 정치이데올로기적 측면보다 미·중무역분쟁과 같이 경제적 측면에서 더 극명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향후 예외주의 연구에 통찰력을 제공하고 장기적 지평을 확대함으로써 한국의 외교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향후 세미나 및 포럼에 활용되어 예외주의에 대한 한국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중국 예외주의, 문명충돌, 미국 예외주의, 문명공존, 청교도 정신 The Comparison of American Exceptionalismand Chinese Exceptionalism:Is It a Clash of Civilizations or a Coexistence of Civilizations? Jiyun Lee** Abstract: This research compares American Exceptionalism and Chinese Exceptionalism from a civilizational perspective, examining their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The study employs a literature analysis, includ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urces, to identify factors shaping Exceptionalism i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rough a comparison using Huntington’s ‘Clash of Civilizations’ and Müller’s ‘Coexistence of Civilizations’, the study analyzes the limitations faced by contemporary American Exceptionalism and proposes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Chinese Exceptionalism. While American Exceptionalism focuses on a liberal market economy based on Puritanism and Isolationism, China's Exceptionalism emphasizes a socialist market economy based on virtue.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 into future Exceptionalism research and expand long term horiz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seminars and forums in the future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Korea's identity for Exceptionalism. Key Words: Chinese Exceptionalism, Clash of Civilizations, American Exceptionalism, Coexistence of Civilizations, Puritanism □ 접수일: 2024년 1월 23일, 수정일: 2024년 2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8일*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7091359). ** 성균관대학교중국연구소 연구원(Researcher, Sungyun Institute of China Studies, Email: murong79@skku.edu)

      • KCI등재후보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효과: 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이유리,이창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효과:자기효능감으로 조절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이 유 리ㆍ이 창 현 연구 목적: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만 어떠한 심리적 과정을 거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는지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이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전국에 거주하는 대학생 26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를 정서조절곤란이 매개하였다. 둘째, 정서조절곤란과 학업소진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하였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가 자기효능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정서조절곤란을 경유하여 학업소진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간접효과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학업소진을 경감시키기 위한 개입에서 유연성과 확장성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어: 사회부과 완벽주의, 정서조절곤란,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upon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ifficulty Controlled by Self-efficacy DOI http://dx.doi.org/10.62783/SHSS.6.2.21 Yuri Lee* & Changhyun Lee**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whether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and to verify whether self-efficacy modulates this mediating effect. For this purpose, 263 adults were measured through self-report surveys for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and self-efficacy. Analysi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and academic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Not only did we validate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pressure perfectionism on academic burnout via emotional dysregulation, but we also confirmed that self-efficacy moderated this indirect effect.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ring flexibility and scalability to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academic burnout. Key Words: Socially Imposed Perfectionism, Difficulty Regulating Emotions,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Moderated Mediating Effect □ 접수일: 2024년 3월 10일, 수정일: 2024년 4월 11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주저자,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졸업(First Author, Master, Hanyang Univ., Email: jsmyuri@gmail.com)** 교신저자, 하나임상심리연구소 소장(Corresponding Author, Researcher, Hanaimsang Institute, Email: diapanna@gmail.com)

      • KCI등재후보

        문제해결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양소령,김현정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문제해결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양 소 령ㆍ김 현 정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문제해결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 및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G시에 위치한 U유치원 만 5세 유아 38명(실험집단 19명, 통제집단 19명)이다. 연구도구는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는 8주간 총 8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으로 독립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문제해결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제해결에 기초한 그림책 토의활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유아들이 일상생활 및 활동 환경 내에서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키고, 갈등 상황을 건설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핵심어: 문제해결, 그림책 토의활동, 유아, 정서지능, 또래 유능성 Effects of a Problem-solving-based Picture Book Discussion Activity on Toddl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Peer Competence Soryeong Yang** & Hyunjeong Kim***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problem-solving oriented picture book discussion activitie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children. This study involved 38 children aged five from kindergarten U in the city of G,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9 and a comparison group of 19. Instruments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were utilized as research tools.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eight sessions conducted over a period of eight weeks. Data were analyzed using an independent t-test with the statistical software SPS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roblem-solving oriented picture book discussions significantly enhanc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toddl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ddlers can develop social skills and improve their capacity to resolve conflicts constructively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in their daily lives and activities. Key Words: Problem-solving, Picture Book Discussion Activities,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Intelligence □ 접수일: 2024년 4월 3일, 수정일: 2024년 4월 18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0일* 이 논문은 2023학년도 남부대학교 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 이 논문은 주저자의 2023년도 남부대학교 석사학위논문을 수정・보완한 것임. ** 주저자, 우암유치원 교사(First Author, Teacher, Uam Kindergarden, Email: thfud9639@daum.net)*** 교신저자,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Nambu Univ., Email: jhmom@nambu.ac,kr)

      • KCI등재후보

        가정교육투자가 중국 초등학생 학습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질 매개효과 연구

        Yan Wang,이승진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A Study on the Effect on Education Investment in Family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ina: The Mediating Effect on Approaches to Learning Yan Wang** & Seungjin Lee***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children’s learning capa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primary school students’ parents’ financial and time investment in home education and their children’s Chinese and Mathematics performances. For this first, an analysis of age and gender differences in learning capacity was conducted targeting 181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wo public primary schools located in Xi'an, China. Second, the direct effect of parents’ financial and time home education investment on primary school children’s test performance (Chinese and Mathematics) was analyzed. And the indirect effect on children’s test performance mediated by approaches to learning were analyzed. For difference analysis on gender and age, an independen-samples t test was conducted, and path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tructure between financial and time home education investment, approaches to learning, and test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girls had higher lapproaches to learning than boys, and higher grades (4th grade) had higher approaches to learning than lower grades (1st grade). Second, approaches to learning had a direct effect on test performance (Chinese, mathematics), while financial family investment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es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ime home education investment, it not only had a direct effect on academic performance, but also had an indirect effect on test performance through approaches to learning, and the indirect effect was found to be higher than the direct effect. This study suggested to parents of primary school children in China the importance of forming approaches to learning on their children's approaches to learning, and provides basic data for planning financial and time invesments in home education decisions in forming approaches to learning. Key Words: Approaches to Learning, Investment in Family Education, Financial Investment in Family Education, Time Investment in Family Education, Primary School Studetns in China □ 접수일: 2024년 1월 22일, 수정일: 2024년 2월 14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4학년도 세한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작성된 것임. ** 주저자, 서안외사대학 교육학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Xi’an International Univ.)*** 교신저자, 세한대학교 조교수(Correponding Author, Professor, Sehan Univ., Email: seunjgincool@gmail.com) 가정교육투자가 중국 초등학생 학습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학습자질 매개효과 연구 왕 연ㆍ이 승 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 부모의 재정 및 시간적 가정교육투자와 자녀의 국어, 수학 성적 관계에 있어 자녀의 학습자질이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 중국 서안시에 위치한 두 공립초등학교 초등학생 181명을 대상으로 첫째, 학습자질에 있어 연령과 성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부모의 재정 및 시간적 가정교육투자가 초등학생 자녀의 시험성적(국어와 수학)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학습자질을 매개로 미치는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차이분석의 경우 독립표본 t 테스트를 실시하였고 재정 및 시간적 가정교육투자, 학습자질, 학습성적간 구조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첫째, 여아가 남아보다, 고학년(4학년)이 저학년(1학년)보다 학습자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학습자질은 학업업성적(국어, 수학)에 직접효과가 있는 반면 재정적 가정투자는 학업성적에 직접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적 가정교육투자의 경우 학업성적에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학습자질을 매개로 학업성적에 간접효과가 있었고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았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중국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들에게 자녀들의 학습능력에 미치는 학습자질 형성의 중요성을 시사하였고 학습자질에 형성에 있어 재정적, 시간적 가정교육투자 결정 계획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핵심어: 가정교육투자, 재정적 가정교육투자, 시간적 가정교육투자, 학습자질, 중국 초등학생

      • KCI등재후보

        온라인 수업환경에 학습자의 P-E 적합성이 테크노스트레스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은유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온라인 수업환경에 학습자의 P-E 적합성이 테크노스트레스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 은 유 연구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지하는 P-E 적합성이 테크노스트레스 및 교육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온라인 교육 전략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설문조사는 2023년 11월 20일부터 12월 5일까지 하였고, 총 176명의 유효표본을 통해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 내용: 첫째, 학습자가 인지하는 온라인 수업환경에 대한 P-E 적합성은 테크노스트레스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지하는 테크노스트레스는 교육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학습자의 P-E 적합성은 교육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를 통해,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학습자 관점에서의 P-E 적합성과 테크노트스트레스는 교육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어, 향후, P-E 적합성과 테크노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연구는 중요한 후속연구가 되리라 판단된다. 핵심어: P-E 적합성, 테크노스트레스, 교육만족, 온라인 수업, 학습자 Impact of Learners’ P-E Fit on Technostres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an Online Class Environment Eunyu Je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E fit perceived by learners on technostress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and seek the direction of online class strateg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 20 to Dec. 5, 2023, and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as tested through a valid sample of a total of 176 people. First, the P-E fit for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perceived by learn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echnostress. Second, technostress perceived by learners in the online class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ird, the learner's P-E f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duca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P-E fit and technostress from the learner’s perspective in an online class environment were identified as factors affecting educational satisfaction. Future research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E fit and technostress is important follow-up research. Key Words: P-E Fit Model, Technostress, Education Satisfaction, Online Classes, Learners □ 접수일: 2024년 1월 31일, 수정일: 2024년 2월 10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3학년도 창신대학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창신-2023-088). ** 창신대학교 카리스교양대학 교수(Professor, Changshin Univ., Email: eunyuj@cs.ac.kr)

      • KCI등재후보

        정소산류 춤의 전승현황 연구

        윤혜미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1

        정소산류 춤의 전승현황 연구 윤 혜 미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정소산류 춤의 전승현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신문자료 및 웹사이트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정소산의 춤의 성장 및 무용작품과 전승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첫째, 정소산류 춤의 성장에는 세 명의 스승 즉, 채희, 김수희, 하규일이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둘째, 정소산은 조선권번에서 기생들의 무용교육을 통해 처음으로 무용지도자로 활동하였다. 셋째, 정소산의 무용발표회는 1946년이 처음이자 마지막 발표회였으며, 1960년대부터 제자들의 공연에 안무 및 무용연출자로 활동하였다. 넷째, 정소산의 작품 중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것은 궁중무용과 의기논개, 달구벌 검무, 대구 흥춤 등이 있다. 다섯째, 정소산의 춤의 계승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은 제자 백년욱이 유일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정소산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핵심어: 정소산, 하규일, 전승, 궁중무용, 대구흥춤. A Study on the Transmission Statusof the Jeong Sosan Style Dance Hyemee Yo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ansmission status of Jeong sosan style dance.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analyzed it using newspaper data and website data. The research analyzed the growth of Jeong Sosan’s dance and his dance works, as well as the transmission of his dance.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ree teachers, Chaehee, Kim Soohee, and Ha Kyuil, played a major role in the growth of the Jeong Sosan style dance. Second, Jeong Sosan first served as a dance leader through dance education of Gisaengs in the Joseon Kwon Bun. Third, Jeong So-san’s dance presentation was in 1946 for the first and last time, and since the 1960s, he has been a choreographer and dance director for his disciples’ performances. Fourth, among Jeong Sosan’s works, there are court dance, Uijinongae, Dalgubeol Geommu, and Daegu Heung Dance. Fifth, the only disciple Baek Yeon-wook is the one who has been properly inheriting Jeong Sosan’s dance. It is hoped that the above research will lead to continuous interest in the study of Jeong sosan. Key Words: Jeong Sosan, Ha Kyuil, Transmission, Korean Court Dance, Daegu Heung Dance □ 접수일: 2024년 1월 19일, 수정일: 2024년 2월 13일, 게재확정일: 2024년 2월 20일* 진주교육대학교 시간강사(Lecturer, Chinju National Univ. of Education, Email: white8025@hanmail.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