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T분야 기술을 위한 기술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오선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4

        최근 IT분야 기술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혁신 기술에 대한 거래와 기 술 사업화를 위한 활동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면서 혁신 IT 기술의 이전이나 거래를 위한 체계적인 기술가치평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왜냐하면 혁신 기술이 그 효용성을 제대로 인정받고 기술 이전이나 거래가 원활하게 이 루어지려면 그 기술에 대한 정확한 가치평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거래 및 사업화를 위한 현재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기술 가치평가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특별히 기술 수명주기가 짧고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IT분야의 혁신 기술을 중심으로 한 기술거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가치평가 방법에 대해 검토한다. Recently, major activities for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e of the innovatory IT techniques are revitalized with the active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IT technologies. Nowadays, the primary concern for the systematic technology valuation gets the great attention in order to transfer or trade innovatory IT techniques easily. It is because the accurate appraisal for the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step to get its proper utility value in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e of the techniques. In this paper, we survey the general technology valuation methods for the transfer and commercialize of the techniques and also examine the special technology appraisal method for the innovatory IT techniques, which have relatively short technical life cycle and can create high added values, in order to transfer innovative IT techniques satisfactorily.

      • KCI등재

        빅데이터 기법을 통한 기업 문화마케팅을 위한 문화소비자의 가치 요소 연구

        오세종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기업 문화마케팅은 기업의 문화적 이미지를 제고하거나 문화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마케팅 수단이 다. 문화소비자 가치 분석은 개인의 소비 행동에 담긴 삶의 가치 및 추구를 확인하고, 문화소비자의 선택 행동을 설 명하는데 중요한 예측 데이터이며, 의사결정의 기준이 된다. 연구 방법은 빅데이터의 텍스트 마이닝과 오피니언 마이 닝 기법으로 연관어, 긍정어, 부정어, 중립어를 추출했다. 분석 대상은 국내 소비자 대상인 현대카드 ‘슈퍼콘서트’와 해외 소비자 대상인 CJ ENM ‘KCON’에서 콘서트를 참여하는 문화소비자들이다. 기업 문화마케팅의 문화소비자 가 치 요소에서 ‘가치 일치성’은 기본 조건이며, ‘공감대 소통(감수성 표현)’, ‘참여성 공유(VIP 소속감)’, ‘사회적 변화 이 슈’, ‘서비스의 차별화’, ‘가격 할인 혜택’, ‘장소의 품격’으로 도출되었다. 앞으로 예술경영 기획, 문화 투자, 문화 유통, 복합문화공간 운영, 기업문화, CSR, Kpop 마케팅, 체험마케팅 등의 소비자 참여 분야에서 기업의 이익 추구와 브랜 드 가치 제고를 할 수 있는 ‘문화기술마케터’ 양성과 실무적인 적용 방법이 필요하겠다. Corporate Culture Marketing is a marketing tool that enhances a company's cultural image or conveys its image through culture. Culture Consumer value analysis is important predictive data in identifying the value and pursuit of life in individual consumption behavior, explaining the choice behavior of culture consumers, and serves as the basis for decision making. The research method was linked to the text mining and opinion mining techniques of big data, and extracted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words. The analysis targets culture consumers participating in concerts at Hyundai Card’s ‘Super Concert’, which is subject to domestic consumers, and CJ ENM’s ‘KCON’, which is subject to foreign consumers. The culture consumer value elements of corporate culture marketing are the basic conditions, and they were derived as ‘Consensus Communication (Expression of Sensibility)’, ‘Participation Sharing(VIP Belonging)’, ‘Social Change Issue’, ‘Differentiating Services’, ‘Price Discount Benefit’ and ‘Location Quality’. In the future, we will need to foster ‘Culture Technology Marketers’ and apply them in areas such as arts management planning, cultural investment, cultural distribution, cultural space, Corporate Culture, CSR and K-pop marketing to enhance corporate interests and brand value and enhance brand value.

      • KCI등재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 재활 설계 요소 개발 :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김영준,한승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을 위한 실천적 지원체제에 있어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평생 교육과 발달장애재활 간 문화융합을 위한 설계 요소를 개발하는 데 목적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2개의 팀을 구성하여 FGI를 실시한 절차가 적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할 요소들이 크게 세 가지의 상위 범주(보편적 문화융합 요소,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상위 범주별로 하위 범주가 구체적으로 구 성되었다. 먼저, 보편적 문화융합 요소로는 원리적 차원에서 “개방적 창의융합”이 제시되었고, 이는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을 탐구 및 실천하는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두 번째 로,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재활과학-특수교육 분야 간 공동 실천 모델 개발, 교과교육 지식 및 기술, 교수․학 습방법, 학습 진로 로드맵 구축, 취업․직무경력 개발 로드맵 구축, 독립생활 개발 이력 인증체계 형성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로,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지역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적 통합 구성체계 형성, 코디네이터형-전문교사 형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 구축, 학교 유형-센터 유형 간 조직적 체계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독 립생활 지원은 성인기의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문화융합을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기반 발달장애재활의 전문적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design elements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a key area in th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procedure for conducting FGI by forming two teams for professor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was formed. The research was presented in three upper categories (universal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field-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and policy-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that should be designed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subcategories were specifically composed for each upper category. First, as a universal cultural element, open creative convergence was presented in principle, which can be explained as a principle of exploring and practic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related fields for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field-centered cultural factors included development of joint practice model between fields of rehabilitation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knowledge and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career roadmaps, employment and job career development roadmaps, an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life development history certification system. Third, as policy-centered cultural elements, the formation of a curriculum integration composition system between local related institutions, the establishment of a qualification development path for coordinator-professional teacher-type personnel,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atization between school-center types were presented. The study concluded that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only be guaranteed for the entire life of adulthood, but also a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 KCI등재

        글로벌기업의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혁영,김택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of global compani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in the relationship among facilitator, mentor,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using partial mediation and completed mediation model.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Conceptual research model is designed with three constructs such as clan culture, woemn leader's characteristics, and market culture. Based on five hundred cases with leadership style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global companies, this study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n culture and market culture using structured equation modeling. Results : Facilita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women leader's carrier while they are not correlated with mentor leadership and women leader's position.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director leadership while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not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rocucer leadership. Also facilitator and mentor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on producer and director leadership. Conclusions : By controlling for the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ve improved the academic contributions as well as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study of clan culture that affect market culture in the filds of leadership style and organizational. In addition, this study means that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variables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were examined. 본 연구는 글로벌 기업의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촉진자, 선도자, 생산자, 지시자 리더십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이 매개효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념적 연구모형은 집단형 문화, 여성리더 특성, 합리형 문화의 3개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글로벌기업을 대상으로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와 관련된 500개의 조사대상표본에 기초해서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집단형 문화와 합리형 문화 간의 관계에서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촉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선도자 리더십은 여성리더의 경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에, 여성리더의 직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생산자 리더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여성 리더의 직위와 경력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촉진자 리더십은 생산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선도자 리더십은 지시자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성리더 특성의 매개효과를 통제한 상태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형 문화가 합리형 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연구를 통해서 검증함으로서 학술적 기여도를 높였으며, 또한 정책적, 혹은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문화 연구 분야에서 여성리더의 직위와 경력 변수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연구이다.

      • KCI등재

        중소기업의전략적지향성이정보기술역량과기업성과에미치는영향

        양희종,장길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 종사하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전략적 지향성이 정보기술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모형에서는 전략적 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정보기술역량이 매개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중소 제조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3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7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수집 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 시 장지향성, 그리고 기술지향성은 정보기술역량의 정보기술지식과 정보기술운영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보기 술역량의 정보기술기반에 대해서는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과 기술지향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둘째, 전략적 지향성의 고객지향성과 기술지향성이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시 장지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기술역량의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 술기반 모두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략적 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정보기술역량 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보기술역량의 하위요인인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술기반 모두는 전 략적 지향성의 하위요인인 고객지향성 및 기술지향성과 기업성과 간에 부분매개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 한 연구결과는 오늘날의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서 대기업과 공급체인 상에 있는 중소기업들의 경쟁우위 및 성과 향상 을 위하여 고객지향 및 기술지향 경영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정보기술지식, 정보기술운영, 그리고 정보기술기반 등의 정보기술역량을 강화하여야 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 of strategic orientation on information technology(IT) competency and corporate performance for organizational members engaged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strategic orientation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and IT competency is used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is proces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rganizational member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ers loca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77 copi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24.0.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stomer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both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of IT competency. And it was found that both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only affects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ompet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but market orientation had no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ompetency had a positive (+) effect on corporate performanc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technology competency between strategic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of IT capability were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technology orientation of strategic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These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in today'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ustomer-oriented and technology-oriented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the competitive advantage and performance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in the supply chain with large enterprises, and at the same time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such as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oper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풍토와 다문화실천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효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 재교육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서울 지역에 있는 8개의 다문화 가정지원센터와 건강가정다문화가 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180명의 다문화 실천가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포하여, 이중 응답이 부실한 5개의 설문지 를 제외하고 175개의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해 다변량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되었으며 SPSS 20.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직무 재교육은 조직풍토와 다문화역량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며, 조직풍토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직무 재교육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조직풍토를 완전매개하여 직무만족도에 유의미 한 영향을 주었다. 다문화역량은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으로써 재교육과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 효과가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라 직무만족도 증가를 위한 실천적 개입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 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areer-education on job satisfaction in the multicultural family service cent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on 180 multicultural practitionser in Seoul and Kyunggi Do. A total of 175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with ones insincerely made were excluded. Collected date underwent Multivariat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1.0 and frequency, descriptive, and corelation analysis were made using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career-education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limate and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and organizational climate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Career education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but organizational climate had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dditionally multicultural practice competence didn't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mediating effect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 results, intervention strategi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practitioners and future stud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예술대학의 『교육과정의 국제 통용성 확보』를 위한 실제

        김혜진,장청옥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5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 No.4

        문화는 소통이다. 전 세계가 온라인을 통하여 동시대적으로 소통하는 가운데 교육의 국제적 통용성이 대두 되고 있다. 특히 유튜브를 비롯한 소셜미디어는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온라인 강좌의 시대를 열었고, 이것은 예 술대학을 비롯한 교육과정이 국제 통용성 시대에 발맞춰야 함을 부각시켰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확보하 고 있는 국내외 전문인 프로그램을 포함하였다. 미디어·예술 교육과정의 국제화를 통해 관련 국제 산업체의 기술진 보를 학습자의 요구에 맞추어 교육하는 맞춤형 전문적 교육기관으로 예술대학의 위상을 제고하였다. 동시에 전임교원 이 시대의 흐름에 맞는 국제적 전문성을 확보 프로그램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제언하면서 소셜 미디어를 통한 교육 산업의 패러다임의 변화가 교육 과정의 국제 통용성 확보의 이유가 될 수 있다고 예견한다. Cultures mean communication. With the whole world communicating online simultaneously, international availability has also been required in education. Especially the social media including the YouTube has opened a new age of e-learning, if not intending to do so, and the curriculum of a college or a university has kept up with the needs of our time. This study contains domestic and international professional programs equipped with internalization of a curriculum. It has suggested a role of college of arts as a customized and specialized institution which offers students advanced skills of related international industries through an internationalization of a curriculum of media and arts. It also suggests that full-time faculties need to develop a program to secure an international expertise. It can be concluded that a shift of paradigm towards education industry through social media contributes to needs to secure an international availability of a curriculum.

      • KCI등재

        문화와 삶의 위험한 거리

        김천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7 No.1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문화와 삶의 위험한 거리의 문제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와 삶의 각자의 거리와 닫힌 거리를 통해 문화와 삶의 위험성의 경로와 메커니즘을 파악한다. 발견된 내용은 닫힌 문화와 닫힌 삶의 구조가 문화와 삶의 거리를 위험하게 만들고 위험한 문화와 삶을 만드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문화와 삶의 각자의 거리가 닫힌 거리로 나아가는 과정에 각자성이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울러 문화와 삶의 서로의 거리가 가능성을 가져야 위험한 거리의 문제가 해소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정한 서로의 거리는 문화 와 삶이 동시적으로 열린 조건충족성을 가질 수 있어야 되나 실제에 있어 그것이 오히려 위험한 거리를 야기하는 경로와 메커니 즘이 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단층위험성’이 아니라 ‘다층위험성’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또한 문화와 삶에 작용하는 위험성의 해소를 위해서는 ‘인식의 위험성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인식의 위험성’이 ‘현상의 위험 성’을 낳는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건강한 문화와 삶을 위해 본래적 인식이 요청된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각자의 거리를 넘어서 서로의 거리로 나아가는 열린 인식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We identified the path and mechanism of importance of culture and life through the concept of respective distance and closed distance. We found that the structure of closed culture and closed life makes the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dangerous, which is operated as the factor of making dangerous culture and life. This fact shows that respectiveness operates in the process of converting respective distance to closed distance.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solving dangerous distance can be established in the condition that mutual distance of culture and life can have the possibility of accomplishment. But We found the fact that the distance which is regarded as the true mutual distance having the consistence of the open condition-accomplishment in culture and life is actually operated by making the dangerous path and mechanism. In this point, We suggested the concept of ‘The Multi-tier Dangerousness,’ not ‘The Single-tier Dangerousness.’ We also found the importance of dangerousness of perception with a view to resolving dangerousness operating in culture and life. The fact that ‘dangerousness of perception’ produced ‘dangerousness of phenomenon’ was identified. Further more, We suggested that intrinsic perception is needed so as to healthy culture and life. And Open perception was emphasized to go to mutual distance beyond respective distance.

      • KCI등재후보

        대중문화 흐름 속의 청소년문화

        김천영,Kim, Cheon-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3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대중문화흐름 속의 청소년문화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중문화의 흐름속에서 청소년문화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문화의 의미와 실천과제가 확인되었는데, 그것의 주요내용은 청소년문화가 가능성을 갖는 문화적 의미를 갖는다는 사실이다. 수동적인 문화나 수신자 문화, 소비자의 문화가 아니라 능동적인 문화와 발신자의 문화, 생산자의 문화적 성격을 갖는 문화라는 점이다. 아울러 대중문화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갖는 문화로서의 청소년문화의 실천과제는 인식적 실천과제와 제도적 실천과제 속에서 접근되어야 함이 발견되었다. 청소년문화의 인식적 실천의 중요성은 대중문화의 접근시각의 중요성으로 드러난다. 청소년문화가 배제적 관점 속에서 접근되는 것은 닫힌 청소년문화의 한계성을 가져오는 반면, 수렴적 관점 속에서 접근될 수 있어야 열린 청소년문화의 가능성이 수반될 수 있다. 따라서 청소년문화의 열린 가능성은 열린 관점에 의한 열린 문화의 개념 속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그것은 작은 협의의 문화개념이 아닌 큰 광의의 문화개념 속에서 열려진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Youth Culture in the Stream of Popular Culture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the relations between the two were reviewed, through which the meaning and practical actions were identified as main finding of the fact that youth culture has cultural meaning with possibility. Namely, youth culture is not the culture of passive culture, addressee culture and consumer culture but the culture of active culture, addresser culture and producer culture. Further more, the practical actions as the culture of having new possibility in the stream of popular culture were found to be approached by epistemological and institutional practical actions. The importance of epistemological practice of youth culture is revealed as the importance of perspective. As far as youth culture is approached in the view of exclusive standpoint, there will be accompanied of limitation of closed youth culture. Thus, the possibility of open youth culture could be obtained by taking of the inclusive standpoint. Accordingly, the open possibility of youth culture will have the new possibility in the concept of open culture with open standpoint. That will be realized by the grand broad culture concept, not by the small narrow culture concept.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

        김천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8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4 No.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by 'The Relation-Approach'. For this, I established conceptual framework of cultural contents, and suggested the General Model of Cultural Sentence Contents Planning: Concept Planning Model(CPM), Signifier Development & Choice Planning Model(SDCPM), Signifier Arrangement Planning Model(SAPM). The importance of culture is found in the importance of perceiving culture derived from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life. As culture is represented way of life constituted in the order of life, perceiving culture is regarded as perception of life in the view of that of cultural contents. Thus, cultural contents planning has not only its necessity and importance but also the meaning of existence in the aspect of being situated at the healthy order of life. Accordingly, A Study on the Cultural Contents Planning Model has usefulness in theory and practice, further more the possibility of attempting for the legitimacy and value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this realm will be accomplished. 본 연구는 관계적 접근으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을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문화콘텐츠의 개념적 접근틀을 설정하고, 문화콘텐츠 분석 및 기획을 통합적으로 할 수 있는 센텐스문화콘텐츠기획의 일반모형을 제시한다. 그것의 내용은 컨셉기획모형, 기표개발․선택기획모형, 기표배열․배치기획모형이다. 문화의 중요성은 문화인식의 중요성에서 찾아진다. 그것은 삶의 중요성 인식이기에 그러하다. 문화가 삶의 질서 속에서 구성되는 삶의 방식으로 드러나는 만큼, 문화인식은 문화콘텐츠 인식으로서의 삶의 인식으로 간주된다. 문화콘텐츠기획은 바로 이러한 건강한 삶의 질서를 구성하는 지점에 자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것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가지며 올바른 문화콘텐츠기획의 존재의미를 부여받는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콘텐츠기획 모형 연구는 이론과 실천면에서 유용성을 가지며 연구의 정당성과 가치공헌을 꾀할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