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융합시대 국어교육학의 정체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근대의 제도로서 국어교육이 시작된 것은 1895년부터이지만 하나의 분과학문으로서의 국어교육학의 정체성이 본격적으로 논의된 것은 1980년대 후반의 일이다. 그 논의는 주로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국어교육학의 본령(本領)으로 간주하여 연구 영역의 구성과 그 구성의 관점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으나 암묵적인 절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이 인간의 향상과 사회의 유지와 발전의 본질적 요소의 하나임을 입증하는 데에서 정체성을 구축하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국어교육학의 연구 대상이 다른 분과학문들의 연구대상이기도 한 점에서 국어교육학은 기본적으로 학제적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국어교육이 인간의 생물학적 진화로 획득한 언어 자질을 계발하고 인간의 사회·문화적 진화로 형성한 여러 층위의 소통체계에 적응하고 나아가 창의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을 기르므로 국어교육학은 인문학·사회과학과 같은 성격의 학문에 속한다. 아울러 기능적·사회적·문화적 국어활동에서 정보들을 회통(會通)하고 창조해내는 능력을 기른다는 점에서 국어교육은 초·중등교육과 대학교육의 기초교육으로서의 성격을 가지며, 이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은 학문 세계에서의 기초학문의 성격을 갖는다. 이런 인식을 기반으로 향후 융합의 관점에서 학문 체제가 개편되고, 아울러 대학의 연구·교육 조직이 재편된다고 할 때 국어교육학은 다른 분과학문이나 융합학문과 생산적 관계를 유지하면서 독자적으로 존재할 수 있어야 한다.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began in 1895, it did not begin to be recognized as a discipline until the late 1980s. In the discipline formation process, the main issue in KLE has been whether the constituent research areas should be constructed exclusively or comprehensively. However, this issue is out of focus. The assumed research areas are common area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meaning that KLE as an academic discipline (KLEA) is interdisciplinary. Furthermore, KLEA must acknowledge that KLE is integral to the eleva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to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No disciplines thus far have clung exclusively to certain research fields. Indeed, interdisciplinary studies represent a general trend, and academic reorganization in keeping with that trend has been recommended. These academic situations pose serious challenges to KLEA, specifically demanding an identity change, as the current structure is incongruent with the current times. Such a change entails reflection on the role of language and education in human life.

      • KCI등재후보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수준별 콘텐츠 내용 개발 연구 (2) - 중학교 1학년용을 중심으로

        송지언,오현아,김효정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09 국어교육연구 Vol.23 No.-

        Cyber Home Learning system currently available at the homepages of municipal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is to be renovated, beginning with the contents for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vised 7th National Curriculum from 2010. For this,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in charge of content development of Korean subject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of 2009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contents development, the current research first examined the direction of 2007 Korean curriculum revision. The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actual discourses most, and calls for a language education in the context of discourse. As a result, acceptance and production of actual discourses in the control of contexts constitutes accomplishment criteria of the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he revised curriculum expands media relate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changes of language in use and its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above, the current research confirmed accomplishment criteria and content elements of Korean subject and established development direction of contents for Korean subject accordingly, planning Cyber Home Learning System with storytelling method and narrative. This approach is based on the emphasis on context in the revised curriculum and its general language educational viewpoint. Through this, learners will be able to discover and inquire problems in the everyday language of theirs. In additio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ill be implemented so as to aim at integration among each area while focusing on unique learning contents of six subordinate areas of Korean subject. From the coming year, authorized textbooks in stead of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s will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revised Korean curriculum. Currently, 23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have passed authorization.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btained five among them and analyzed their learning goals by chapter and content el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curriculum. The five textbooks all distinguished in terms of format, material, area, accomplishment criteria and the order of contents. Learners and teachers are likely to bear more burdens of confusion from various contents of Korean subject and increase in purchase of reference books. Accordingly, Cyber Home Learning System of Korean subject will function as supplementing side effects of appearance of various textbooks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authorized textbooks and abstracting essential contents on the basis of accomplishment criteria of the revised curriculum. 현재 전국 시․도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서비스 중인 사이버가정학습이 2010년부터는 7차 개정 교육과정에 맞게, 중학교 1학년용 콘텐츠부터 새로운 내용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는 2009년 사이버가정학습 국어과 중학교 1학년용 콘텐츠 내용 개발을 담당한다. 콘텐츠 내용 개발을 위해 우선 2007년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개정 교육과정은 실제적인 담화를 중시하며, 이와 관련하여 담화의 맥락 속에서의 언어교육을 요청하고 있다. 그 결과 맥락의 제어를 받는 실제적인 담화의 수용과 생산 활동이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이루고 있다. 한편 언어 사용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개정 교육과정은 매체 관련 내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및 내용 요소를 확인하여 이에 따라 국어과 콘텐츠 내용 개발의 방향을 수립하였다. 즉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실제 언어 사용의 맥락 강조와 이것이 터하고 있는 총체적 언어교육관에 근거하여 스토리텔링 기법과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 방법을 구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스스로 현실의 언어생활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이버 가정학습 콘텐츠는 국어과의 6개의 하위 영역들의 고유한 학습 내용을 부각시키면서도, 각 영역 간 통합 학습을 지향하도록 구현될 것이다. 내년부터는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국정 교과서가 아닌 검인정 교과서가 교육현장에 투입된다. 그런데 현재 중학교 1학년 교과서는 총 23정이 검인정을 통과한 상태이다.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는 이 가운데 5종을 수합하여 단원별 학습목표와 개정교육과정 내용요소를 분석하였다. 5종의 교과서는 교과서 체재와 제재, 영역 및 성취기준 조합, 교육내용의 출현 순서 면에서 모두 달랐다. 이에 학습자와 일선 교사들은 다양한 국어과 학습내용에서 오는 혼란과 참고서 구입비용의 상승과 같은 부담을 안게 되었다. 이에 국어과 사이버가정학습 콘텐츠는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토대로 검인정 교과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의 핵심이 되는 내용을 추출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교과서의 출현이 가져오는 부작용을 보완하는 중요한 교재의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방향

        이관규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Abusive languages of youth people bring warning to all people, that is, school, society and nation. especially, MEST AND MCST. MEST is responsible for Korean Education Policy, and MCST is in charge of Korean Policy. Policies about Korean Language are different in MEST and MCST, in many points, for example, spacing words,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poly-culture family children in school. So there must be coordinating attitude in same fields. For example, under official approval system of school textbooks, school grammar book can be published in MCST, not MEST. It is why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NIKL) is under MCST. Under 21C, we must see KP and KEP in international views. We can take worldwide thought, seeing other country’s policy about language and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it is needy for us to do something for about 7 million overseas korean people. Also, project of developing S-N common korean dictionary is needed for unification of S-N Korea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is instrument of communication for Korean people. So far as Korea exists, KP and KEP must be by itself, without the outside interference. 청소년의 욕설 만연 현상은 학교는 물론이겠지만 가정·사회·국가 모두에 반성을 촉구한다. 국어 교육 정책을 책임지는 교육부 당국이나 각종 국어 생활을 책임지는 문광부 당국이나 청소년들의 국어 생활을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정책을 펼쳐야 할 시점이다. 국어 정책 및 국어 교육 정책을 펼칠 때 각 기관에서 띄어쓰기 원칙을 달리 정하고 있다거나 다문화가정 자녀들에 대한 국어 교육에 서로 내 영역이라고 하거나 혹은 네 영역이라고 하거나 할 것이 아니라 서로 협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검정 교과서 체제로 바뀐 현금 문법 교과서가 여러 종이 나올 텐데, 교과서 아닌 학교 문법서를 문광부 차원에서 내는 것도 좋은 협력 사례가 될 것이다. 이미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국어 정책이나 국어 교육 정책이나 국제적 관점에서 살필 필요가 있다.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면서, 언어 정책에서 상호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을 것이며, 특히 700여 만 명에 달하는 국외 한민족에게 우리말 우리글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직·간접적 정책이 요구된다. 남북 공동 국어사전을 개발한다든가 하면서 남북이 하나 되는 그날을 지속적으로 준비해야 할 것이다. 국어가 한국인의 의사소통 매개체라는 기본 전제 하에서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은 외부 영향을 받지 않고 수립되고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

        한국 초·중등학교와 대학의 국어교육의 동질성과 차별성

        김종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3 국어교육연구 Vol.32 No.-

        To as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we need to consider following particulars. 1. Purpose of language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needs to be recognized again. Both aim at educating men of culture, but the latter is different from the former in that it uses Korean academically. 2. Native language education should aim to develope language ability required to well-educated class. Concerning developing language ability for academic research, college education should undertake the role. 3. Assignment division is necessary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and college. Level of language ability to be attained in each should be agreed to avoid duplication in instruction and achieve excellence in education quality. 4. Overburdened contents in national curriculum for should be controlled. College education needs to apparently concentrate on specific fields such as essay writing and discussion speech. 5. To ensure continuity of native language education, relevant policies should be examined critically and modified properly. 지난 60여년 간 한국의 초․중등학교의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의 연계와 그 구체적 실천에 대한 본격적 논의가 없었던 결과 각 단계의 교육이 그 본래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지 못한 채 파행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의 국어교육이 동질성과 차별성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 사항들이 실천되어야 한다. 1.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목적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하다. 두 교육 모두 교양인의 형성을 지향하되, 대학의 경우 한국어를 학문의 언어로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2.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반복과 심화의 과정을 통해 교양인의 국어능력을 기르며, 학문 활동과 관련한 국어 능력을 대학에서 확장․심화한다. 3.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은 역할 분담을 해야 하며, 중등학교에서 달성해야 할 국어능력과 대학 교육이 추구해야 할 국어 능력에 대해 상호 합의하여 중복 교육을 피하고 질적 수월성을 달성해야 한다. 4. 초․중등 국어교육은 실현할 수 없는 과도한 교육 내용을 교육 과정에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정하게 조절해야 한다. 대학의 국어교육은 국어교육의 영역들 중에서 명시적으로 선택과 집중 교육을 하되, 다른 영역들은 잠재적인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배려해야 한다. 예컨대 논술 중심의 작문 교육과 토론 중심의 화법 교육을 명시적으로 하되 듣기 교육, 읽기 교육 등은 대학 교육 전반에서 행해지도록 해야 한다. 5. 초․중등 국어교육과 대학 국어교육의 연계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어교육에 대한 정책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재수립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 정립에 관한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남지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9 국어교육연구 Vol.43 No.-

        This study’s purpose is to establis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linguistic typology. First, the contents of current textbooks were analyzed to clarify the problem’s consciousness . This demonstrated the ambiguity surrounding both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choosing textbooks’ contents. To ameliorate these problems, we explored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light of linguistic typology . Through these efforts, we pres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which focus on 1) language universals 2) implicative universals; and 3) educational views aiming to interpret the essence of language. Based on the ‘self-similarity’ between the general knowledge of Korean language and the explicit education about it, it was discuss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ble to guarantee a total grammar experience by itself. And we specified the potential for grammar-related educational experiences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어의 특성’ 개념과 교육 내용 선정 기준이 모호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유형론적 관점 특히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탐색한 결과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함축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해석을 지향하는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총체적 앎과 ‘국어의 특성’에 대한 앎의 ‘자기 유사성’을 기반으로 명시적 교육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성’ 교육은 명제적 지식 교육이 아니라 그 자체가 국어의 특성을 이해하는 총체적 문법경험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함을 논하였다. 이러한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하게 될 문법교육적 경험의 가능태를 구체화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 국어를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 형성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앞으로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조선어독본』과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을 중심으로

        천매화 ( Qian Meihua ),정이붕 ( Zheng Yipeng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 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 學校學徒用國語讀本』(1911) 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1923),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or the sake of assimilation through education, and were taught at regular schools and public schools. As everyone knows, even though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語讀本』 were language textbooks for Koreans, there were a lot of contents which talked about China. In particular, the desires of Japanese for the resources and territory of China, and the Open Door Policy are completely described. In terms of the time of compilation, it took ten years from the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until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 If we take the time into consideration, we may think, as time went on, the ideas of Japanese about Great Japanese Imperial and the ambitions of establishing Greater East Asia Sphere may be more directly expressed, so there may be more expressions which denounced China in later compiled version of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However, if we examine the contents of the two textbooks, it is quite the opposite. In this cas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follow aspects, to examine the Chinese Images of Japanese in 『訂正普通學校學 徒用國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and to find out the changing trend which the two textbooks experienced and the reasons why these changes occurred. Although the two textbooks were for the Koreans, the reason why I pay attention to them is because two textbooks expressed the desire and ambition of Japanese for China and I would like to help understanding the dreams Japanese of invading China from the early stage. On the basis of the above arguments,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Chinese images in 『訂正普通學校學徒用國 語讀本』and Basic Reader of Joseon Language, which were compi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 대상 기초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현황과 전망 - 국립국어원 언어 소외 계층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이유원 ( You Won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국립국어원은 국어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체계적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그 역할 중 하나로 1992년부터 ‘국어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교육 연수 기능을 수행하 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교육 연수 기능과 관련하여 ‘국어문화학교’를 소개하고, 언어 소외 계층인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사업 부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현황과 진행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더불어 현 단계에서의 한계점을 검토해 보고 앞으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수립과 발전 방향에 대한 당위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어 교육은 대부분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규 교육 과정을 따라가기에는 기초 국어 능력 차원에서 부족한 경우도 많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글자 깨치기’ 차원의 문해 문제가 아니라, 언어를 통한 사고력과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차원의 문제로 올바른 국어 사용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사회 문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어휘, 기초 문법, 글쓰기 관련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전국의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을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부터 시작된 본 교육 지원 사업은 앞으로도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들과 즐겁게 공부하며 기초 국어 능력을 갖추는 데 함께 할 아동 대상 국어 강사 양성과 다양한 기초 국어 교육 교재 개발에 힘써, 전국의 저소득층 아동들이 본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골고루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확장해 나갈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민의 관심과 학습 욕구도 커져 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나 현재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의 교육 내용은 대부분 어문규정 해설을 하고, 그와 관련된 문법 지식을 전달하는 위주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국어문화 학교의 교육 과정은 단순 어문 규정 지식의 전달이 아닌 의사소통을 위한 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이 분명하다. 이를 위하여 특히 언어 소외 계층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학력과 부의 대물림 현상에서 소외된 저소득층 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국어교육 지원은 국가적 책무이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국어 능력 향상이 가정과 학교만의 책임이 아니며, 국가가 함께 나서야 할 국민의 권리란 인식으로 이에 대한 예산 확보 노력을 통해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 improving the language-life of the people and administering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founded in 1992, operates to help people succeed in the correct and educated language-life and spreading of correct linguistic rule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introduce the mission of the academy; second, we will have a look at the status and prospects of primary Korean education o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Last but not least, we will also review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the current system. When it comes to “Korean education,” most of the times it refers to the education within the regular school system.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urrent curriculum to cover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and this could bring about uneven level of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develops primary education contents on vocabulary, basic grammar and writing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o provide a quality Korean education. The program is currently run by every regional child-care centers, 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strives to train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along with research on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Even though the improvement on Korean language skills is considered as a matter of national importance, researches from eithe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have so far focused mainly on grammar and vocabular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skills as means of communication, a state-level support on education for the underprevileged children is undoubtedly essentia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ill therefore promote the program as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a single household, but a duty of a government.

      • KCI등재

        국어교과서 정책의 과제

        이성영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1 국어교육연구 Vol.28 No.-

        교육과정의 개정 및 교과서 편찬 제도의 변화, 국어교육학의 발전, 그리고 무엇보다 국어교과서 중심의 국어 수업 등으로 인해 국어교과서에 대한 관심이 커졌을 뿐 아니라, 국어교과서 정책 또한 긍정적으로 변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편찬된 국어교과서는 여전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다양하고 질 높은 국어교과서가 편찬되지 못하고 있는 까닭은 국어교과서 정책에 국어교육의 특성이 반영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은 경험과 텍스트를 중심으로 교육 활동이 일어난다는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살려서 구성과 제재 측면에서 다양성을 지닐 수 있도록 국어교과서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의 특성이 국어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한 까닭은 열린 교과서관이 제도화되어 있지 못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어교과서를 다양하게 편찬할 수 있고, 국어교사가 교과서를 재구성하거나 외부 자료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도가 개선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의 특성을 살리는 열린 국어교과서 정책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 거버넌스는 네트워크를 통한 수평적인 협치가 그 핵심 개념으로서, 민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정책 결정 방식이다. Because of curriculum revision, changes of textbook compilation policies,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centered Korean language classwork, concerns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s are growing and policies of Korean language textbook have changed affirmatively. However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compiled recently are not satisfying at all. The reason why we can't compile various and good Korean language textbooks is that specific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reflected to policies.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ccomplished around language experiences and texts, policies should support variety of compiling system and text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reason why specificiti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reflected to policies is that an open viewpoint on textbook is not established as regulations. Therefore, we have to improve systems in order to compile various textbooks and to use trade books freely. In order to accomplish open policies on textbook, we have to construct a good governance system. A good governance system is cooperative policy formation system through network and it pursuits democracy and efficiency.

      • 일제강점기 교과서에 나타난 중국 형상 고찰

        천매화,정이붕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고는 식민지 동화교육이라는 특수성을 띤 교육하에 총독부의 목적과 취지에 맞는, 기본과정인 현재의 초등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보통학교와 공 학교에서 학습한 당시 국어교과서 즉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편찬한 초등학생용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1911)과 '조선어독본'(1923)을 기초자료로 일제강점기 일본이 중국에 대한 형상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조선인을 상대로 가르치는 국어교과서임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내용이 많이 언급된다. 특히 일본이 중국 자원이나 영토, 문호 개방에 대한 욕망은 아주 적나라하게 표현되어 있다. 또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은 편찬연도로 볼 때, 10년이란 차이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시기를 고려해보면, 일본은 뒤로 갈수록 대일본제국 사상, 대동아권의 수립야망이 더욱 노골적으로 표현되어 뒤늦게 편찬된 '조선어독본'에 중국에 대한 질타표현이 더욱 심화되었으리라 생각될 것이다. 하지만 두 교과서의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이와 정반대이다. 따라서 본고는 이 두 자료를 바탕으로,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에 표현된 일본이 중국 이미지에 대한 양상을 살펴보고 두 교과서는 어떠한 변화 추세를 겪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를 가져온 원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필자가 조선인을 대상으로 가르치는 국어독본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 주목하는 이유는 두 독본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욕망과 야망이 주·측면으로 표현되어 일본이 초기 단계에서부터 중국에 희망을 품고 침략을 꿈꾸는 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조선인 초등학생을 상대로 편찬한 일본어 교과서인 󰡔정정보통학교학도용국어독본󰡕과 󰡔조선어독본󰡕을 기초자료로, 그간 이루어지지 않은 중국에 관한 논의를 펼쳐 일본이 중국에 대한 이미지 변화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21세기 한국에서의 국어교육

        이남호 ( Nam Ho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오늘날 한국에서 국어교육이 처한 환경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 갓처럼 보인다. 사회 환경도 급변하고 있지만, 국어교육과정이나 국어교과서도 비교육적이리만치 자주 바뀌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특히 국어교육의 이념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요구된다. 국어교육이 무엇인지, 또 국어교육을 왜 해야 하는 것인지를 살펴보기 위해서, 본고는 지금까지의 국어교육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국어교육을 왜 해 왔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20세기 전반기까지의 국어교육은 근대 민족국가의 형성과 관련하여 중요 하게 인식되었다. 즉 국어가 국민들을 계몽시키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 서구의 근대문물을 받아들이는 기본적인 도구로서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였고, 국어교육은 민족의식을 고취하고 애국심을 기르기 위한 만족운동의 주요한 일부로 안식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지금까지 교육과정은 9차례에 걸쳐 개정되었다. 국어교육이 민족의 삶과 번영에서 기시적인 의미와 가치를 지닌다고 본다는 점에서 3차까지의 교육과정은 20세기 전반의 국어교육 의 이념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4차교육과정부터는 국아과의 특성이 보다 구체화되고 영 역 구분이 강화되며, 국어교육의 민족 (문화)적 가치가 원경으로 밀려나는 특성을 보이게 된다. 특히 5차교육과정은 국아과를 기능중심 의 교과로 변화시키고 국어 교육에 서 영 역 의 세분화와 공고화를 강화시키는 분수령이 되었다. 이는 국어교육이 더 이상 정신형성의 교과가 되지 못하고 단순히 언아사용기능을 훈련시키는 교과가 되어 간다는 갓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왜냐하면 언어기능교육에 치중한 국어교육 은 국어 문화 창조 등의 국어교육의 보다 근원적인 의의를 외면하기 때문이다. 국어교육이 시작된 지 100여 년이 지냔 오늘날, 국어교육은 전혀 다른 환경 속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특히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 주목할 수 있다. 첫째, 한국은 세계에서 가장 교육열이 높고 문맹률이 낮은 나라에 속한다. 이러한 환경은 중학교와 고둥학교에서의 국어교육이 학생 들에게 무엇을 가르치는 교육이 되어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오늘날 우리는 전자문화가 지배하는 세상에 살고 있으며, 국어생활도 전자문화의 영향력 속에서 이루어 진다. 전자문화가 지배적인 환경에서 국어교육이 전자매체와 전자문화를 어떤 식으로 수용하고 또 어떤 면에서 대항할 것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셋째, 오늘날 세계는 빠른 속도로 지구촌이 되어가고, 영어는 세계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영어가 실질적으로 세계공용어가 되고 보편어의 지위를 갖게 되는 상황을 국어교육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생각해야 한다. 본고는 국어교육이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서 정립되어야 한다고 보며 이를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하였다. 먼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성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으로써 국어교육의 목표와 성격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어가 인문적 교양과 지적 사고력을 지닌 인간을 형상하는 종합적 의의를 지닌 과목이 되려면,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은 편의적인 것이 되고 실제 교육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대 마지막으로 전자문화의 번성 속에서 전자시대일수록 국어교육이 강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며 전자문화의 대척점에서 정체성을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전자시대에 국어교육이 홀로 문자문화적 성격을 강조하여 전자문화의 약점을 보강한다면 국어교육의 의의가 더 커질 수 있는 것이다. Why We Teach Korean Language? Different perspectives and approaches to mother tongue education are needed in a different period. Now in 2l century, Korean society should ask ourselves a question, "What is Korean language eduction and how we teach Korean language?" to seek for more effective ways of teaching our mother tongu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ast in the 19th century, Korea tried to defend itself against invasions from other countries and develop into a modem state, at that time. Korean language was educated as a tool to enlighten Korean citizen and to accept new cultures and knowledge from other developed countries. Korean language was considered the essence of Korean culture and patriotism. After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s colonial rule in 1945, Korean government has endeavored to educate Koran language in more systemic ways. Establishing a national curriculum was the most important and fast way to change and reform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was established in 1955 and it has been revised 7 times to meet diverse needs that change with time. From the first to the third national curriculum, the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mainly to teach basic literacy skills, to improve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to heighten the pride of Korean culture. In the fourth national curriculum created in 1981,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language skills, grammar, and literatur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 the fifth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focused more on improving students literacy skills rather than learning grammar and declarative knowledge related to literature criticism. Emphasizing language skills is sometimes criticized by some Korean language educators in that it does not foster students` thinking ability and make mother tongue instruction similar to foreign language instruction. New environ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re are three new environ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 should consider, First, we should think low illiteracy rate of Korean students and their parents` high zeal for children`s education The second trends is dramatic development of technology, we should reconceptualize the notion of mother tongue education in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digital age. Finally, we should accommodate globalization into our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fostering bilingual curriculum and developing effective instruction for teach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