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 내용 적정화 방향 고찰 : 현장 교사 의견을 중심으로

        김숙정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교육과정 내용과 교육 내용의 적정화는 단순히 교과 교육과정 기준이나 교과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내용 연계와 적정화가 이루어진 교육과정 기준과 교과서뿐만 아니라, 이를 구현하는 교사, 학습하는 학생, 각종 참고서 등 교단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교재에 의해서도 달라질 수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그동안 국가나 교육청의 기준 및 지침에 의거하여 운영되던 경직성을 탈피하여 교육과정의 탄력적 현장 적용을 지향하는 것이다. 그러나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실제 현장에서 자리를 잡기도 전에 이미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총론적인 차원에서 수정되었고 이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실제 수준에서 개발에 들어간 현실에서 대부분의 학교 현장 교사들이 부담해야 하는 변화의 폭과 실제 수업에서의 혼란은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반성적인 고찰을 가져오게 한다. 국가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편제상의 시간 배당기준을 살펴보면 국어과 수업시수가 타 교과에 비해 차지하는 비율은 대단히 높은 편이다. 이는 국어과가 지니고 있는 교과의 특성뿐만 아니라 국어과 교육내용에 대한 국가수준의 요구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2009 개정교육 과정 총론에 따른 2011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은 교과 특질이나 수업 배당 비율을 고려하더라도 철저한 현장 의견 수렴을 바탕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학생들을 직접 대면하는 교사들이 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개발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데 더 큰 비중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교육과정 내용 연계와 적정화는 실제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2011 국어과 교과 교육과정 개정 시 학습연구년제 교사 등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담고자 노력하는 만큼 그 결과에 기대를 걸어본다.

      • 융복합 시대의 국어교육 - 국어/언어와 교육에 대한 에세이 -

        우한용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우리는 근대를 넘어서서 탈근대 시대를 살아간다. 그럼에도 국어교육은 근 대국가의 이념에 바탕을 두고 모색되어 왔으며 방법 측면에서도 이전의 전통 적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국어 교육과 연관된 개념을 재개념화해야 한다. 국어교육에 대한 재개념화에서 언 어, 인간, 교육이라는 연관적 항목이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되어야 한다. 국어교육은 한국인으로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데 대한 교육이다. 그런데 그 언어를 운용하는 주체 문제를 소홀히 해왔다. 언어운용 주체의 정서, 의 식, 논리, 윤리와 실천 등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아울러 언어운용의 주체는 시대의 변화를 따라 변화를 겪게 마련이다. 변화속의 주체가 운용하 는 언어를 상정할 때, 국어교육은 넓은 의미의 언어교육으로 다시 규정될 수 있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국어교육의 이념은 근대 국민국가의 이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는 언어의 실용성에 주목하는 교육과정을 구성하게 하였고, 교육방법 또한 근대국가 운영에 적합한 방법이 구사되었다. 그러나 시대의 변화를 따라 이러한 이념과 정치적 상황에 대한 반성이 절실해졌다. 국어교 육에서도 이러한 상황의 변화를 적절히 수용하는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언어운용의 주체들이 구체적으로 관여하는 언어행위에서 의미는 상호주 관적으로 실현된다. 이는 객관적 의미소통을 지향하던 이전의 국어교육을 다시 검토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언어의 의미작용은 상호주관적일 뿐만 아니라, 언어수행에 부수되는 강력한 에너지가 함께 작용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는 언어의 본질국면이기 때문에 국어교육에서 고려해야 하 는 핵심사항 가운데 하나가 된다. 융-복합시대의 국어교육에 대한 논의는 국어교육을 교육과정, 교과서, 교수학습 등의 상황에 한정하는 방식을 벗어나 ‘언어교육’으로서 폭넓은 스 펙트럼을 그려야 한다. Even though we live in the age of postmodernism, in reality we practise Korean Education by the early modern educational concepts and old fashioned method. For overcoming this contradictory situation it is necessary re-conceptualize the main concepts about Korean Education. In this paper, I started my issue with some questions around Korean Education concerning language, human being, education etc. Talking about any language behaviour without considering about the subject of the language act, it is almost meaningless for the academic or practical studies. Language behaviour or language act including language use in broad concept, it is a kind of ‘praxis’ in philosophical context. Almost of all concepts about Korean Education, they are composed under the modernity projects by the nation state. According to some curriculum stage, they were changed in small span, but main concepts are not changed or refreshed under the nation state policy. Now, the socio-political condition is changed that the language user - the subject of language behaviour - must accept the changes. It means that in any dicourse on Korean Education, it is necessary including the changed subjects in new perspectives. In a word, the focus of discussion must be changed 'from text to action’ of language. In the course of our discussion on Korean Education, I stressed the nature of language that it is performed as inter-subjectively. And I noticed the fact that language is a kind of cluster of dynamism. It is an enormous force mixed the physical and mental energy. In the end of this paper, I proposed some issues. Overcoming the old-fashioned narrow perspectives on Korean Education, it is the first issue for the Korean Education of convergence age. Another issues are included in this large issue.

      •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와 과제

        이관규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9 No.-

        이 논문에서 필자는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의 실제와 과제를 살피고자 한다. 1997년 교육과정이 제7차 교육과정이었기 때문에, 2007년 교육과정은 제8차, 2011년 것은 제9차 국어과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9년간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공통 교육과정이다. 이번 제9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국어과의 '국어 인성 교과' 성격 확립, 듣기⋅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 문학의 다섯 영역 설정, '실제 ; 지식, 기능,태도'의 내용 체계 설정, 4개 학년군 설정, 성취 기준 숫자의 축소 등이다. 10~12학년에 해당하는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국어Ⅰ, 국어Ⅱ,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고전 의 여섯 개 선택 과목 설정이 무엇보다 주목된다. 국어Ⅰ, 국어Ⅱ 는 교양적 국어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고 나머지 네 과목은 전문적 국어 능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도록 수준별 위계화가 되어 있다.8차의 화법과 작문Ⅰ⋅Ⅱ, 독서와 문법Ⅰ⋅Ⅱ, 문학Ⅰ⋅Ⅱ 과목은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으로 설정되었으며, 고전과목이 추가되었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무엇보다 이름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최소 5년 이상의 주기를 갖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현장에서의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국어교육적 동인에 의한 교육과정 설정은 당연한 것이며, 태생적 한계를 지닌 2011국어과 교육과정이지만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살아있는 국어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한·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대조 분석 : 1학년 교과서의 발음 교육을 중심으로

        허지애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0 No.-

        본고는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1학년 교과서에서 발음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양국의 '발음 교육 내용'의 특징을 파악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한국 초등학교에서의 발음교육 개선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비교 연구이다. 양국의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지식 영역의 제시 방식과 구성에 있어서, 한국의 교과서는 발음과 관련된 학습 활동의 내용이 단원의 목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이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일본의 교과서는 단원의 학습 목표 하에서 학습할 내용을 짧은 글에서 노출시키고, 발음 관련 항목을 지도한 후, 긴 글에서 전시에 학습한 내용을 연습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글자와 글자의 음가를 학습하고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음운체계에서의 발음 교육에 있어서는 일본 교과서의 나선형 학습이 효과적일 것이다. 다음으로 발음 관련 항목의 내용을 보면, 기본적으로 자국의 문자의 음가를 구별하고 발음하기 위해 교육되어야 할 항목들이 한국의 교과서가 모두 다루고 있지 않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일본의 언어 체계의 차이를 염두에 두더라도 초등학교 1학년 과정이 끝나는 시점에서는 표준발음으로 교과서를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는 것을 목표로 발음 교육 항목이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 교육과정의 모형 연구

        김종남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0 No.-

        본 논문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의 실태를 분석, 개선방안을 연구하여 바람직한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문헌 연구 과정을 거쳐 교사의 전문성, 교원의 현직교육, 현직교육의 세계적 동향 등을 연구사 검토와 함께 분석하였고, 전국 6개 시 · 도 교육연수원에서 실시된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 과정을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행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의 실태와 문제점,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교과목에 나타난 특성을 반영해야 한다. 전국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편성된 교과목은 62개였으며, 7 개 이상의 교육대학원에 편성된 교과목 중 연수 과목으로 편성해야 할 교과는 국어과 교수 · 학습 방법, 국어과 평가, 독서교육, 문학교육 등이었다. 둘째, 국어교육의 성격을 감안한다. 국어과의 영역을 제대로 지도하기 위해 국어과의 성격에 맞는 영역별 과목이 편성되어야 한다. 셋째, 국어수업의 본질에 맞는 교과목의 선정이 필요하다. 구성주의 교수 · 학습의 원리 와 지식에 대한 탐구의 관점에 서 학습자의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과목 편성이 요구 된다. 넷째, 초등 국어의 성격에 맞는 교과목의 편성이 필요하다. 초등 국어교육의 특성상 개별성과 상호작용성, 통합성을 고려한 교과목의 편성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육실태 면에서는 현재의 ‘집단 따돌림’ 현상과 ‘교실붕괴’ 현상과 관련지어 인성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하다. 여섯째, 초등학교 교사는 국어과만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학급 담임을 맡아 학급경영도 해야 하고, 많은 교과를 지도해야 하기 때문에 폭 널은 교양이 요구 된다. 따라서 국어과 직무연수에서도 교양 · 교직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여 초등 교사로서 교단에서 필요한 과목을 다양하게 편성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초등 국어과 직무연수 중에서 6개 시 ? 도 교육연수원에서 실시한 직무연수 문제만을 다루었고, 직무연수 교과목 편성만 한정하였기 때문에 몇 가지 한계점을 내포하고 있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 연구

        김혜영 국어교과교육학회 2010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7 No.-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거나 혹은 대학의 외국인 입학 전형에서 요구하는 한국어능력시험에서 고급 정도의 상위 급수에 합격했다 하더라도 대학에 진학하여 다른 한국인 학습자들과 경쟁하며 공부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이것은 그들이 공부해온 일상생활의 회화가 아닌 생소한 전공 어휘와 내용이 대학수업의 주 내용인데다가 관련 배경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정착 비율을 높이고 그들이 성공적으로 유학생활을 마칠 수 있도록 기존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한국어능력시험의 개선방향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 한문교육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 연구 - 고등학교 한문교과를 중심으로 -

        정찬문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0 No.-

        과학 기술과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개인주의와 물질 만능주의가 팽배 한 현대 사회에서 공동체적 삶은 퇴색되었다. 급변하는 시대의 중심에 휘 말려 있는 청소년기는 신체적, 사회적 측면에서 많은 변화를 겪는 시기이며, 충분히 성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와 사회적 요청에 따라 어느 때보다도 학교에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청소년기는 주로 학교의 교육과정을 통하여 교육이 이루어지므로 학교의 일과 내에서 좋은 인성을 갖도록 지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입시 위주의 교육 환경으로 인해 학교교육에서의 인성교육은 한계를 가진다. 한문교과의 내용은 선인들의 삶의 지혜와 유교적 가치, 문학 등으로 구성되어 한문교과가 인성교육의 교재로서 손색이 없다. 따라서 한문교육을 통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자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학교에서의 인성교육은 특별 프로그램, 특별활동, 생활지도, 면담 등 여러 형태로 운영될 수 있지만, 학교생활의 대부분은 교과교육으로 이루어지므로 교과를 통한 인성교육이 가장 효과적이다. 특히 한문교과는 궁극적 목표를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 함양에 두고 있다. 10개 출판사의 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에서 인성 덕목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심적 발달을 위한 정서교육 덕목이 11개, 자아실현을 위한 가치교육 덕목이 56개,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교육 덕목이 28개로서 95가지의 인성교육을 위한 덕목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인성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도덕성의 내면화이다. 이를 위해 집단적 사고를 통한 가치관의 정립, 학습한 내용을 체득하게 하는 활동, 현장 체험 학습 등 실질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cientific techniques and the Internet technology the aspect of the communal life has faded away in our modern society where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are evidently prevalent. During the period of adolescence quite involved in the core of the sudden and rapid social changes it is natural that the juveniles should go through a lot of physical and social transitions and that they should also play their own roles, socially and individually, even though they are not mature enough to undertake them. Responding to such demands from the society and the changing times, it is being emphasized than ever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necessary or even inevitable in school education. Now that the adolescent students are generally or primarily educated through the curriculums in school system, it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should take place in the course of daily routines of school, which is certainly beyond its own limits under the circumstances of the entrance exam-oriented school system in Korea. In a way to make it more effective or efficient, Chinese-Writing are in no way inferior as the curriculum of personality education, given that its content includes ancestors' wisdoms of life, Confucian values, Chinese literature, and so on. Consequently, it is essential that we should study on the ways to have students develop desirable moral personalities and heathy senses of values by teaching Chinese-Writing. There are several methods of developing moral characters available at school such as special programs, special activities, practical living guidance, consultations, and so forth. Above all, however, the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Chinese-Writing curriculum should be the most effective in that most of school education stems from the forms of curriculums. Besides, it is tol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Chinese-Writing education is aimed at students' building up both the healthy senses of values and the desirable moral characters. Through the analysis on 10 High School Chinese-Writing textbooks published by different publishers a total of 95 moral principles were found in all these 10 different textbooks: 11 factors on culture of aesthetic sentiments for mental development, 56 factors on culture of values for self-realization, and 28 factors for culture of morality for communal life. The final goal of personality education lies on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School students should be given chances to perform practical behaviors on their own such as the foundation of values through group thoughts, activities of experiencing what they've learned, field trips of realization, and the like.

      • 국어과 교육과정의 현실과 지향: 다시 '통합'을 논하며

        임칠성 국어교과교육학회 2011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8 No.-

        국어과 교육과정이 2009년 개정과 2011년 개정 시기에 위기에 처하게 된 것은 그 안정성 때문에 시대적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 체계를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1980년대 들어 학습자 중심 교육, 구성주의 교육, 문제 해결력 신장 교육 등으로 교육이 대대적인 변화를 겪었다. 그러는 동안 국어과 교육과정은 각 영역 내에서는 나름대로 이런 변화를 수용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정작 국어과 교육과정은 전체 체계 속에서 그 변화를 수용하지 못했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전체 체계는 시대적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변해야 한다. 학문적 영역 구분을 버리고 학생들의 삶과 사회적 욕구를 바탕으로 통합적인 교육과정을 설계하여야 한다. 그래서 빨리 한 지붕 한 가족이 되어야 한다. 국어과 교육과정이 변하기 위해서는 그 기반 체제를 바꾸어야 한다. 현재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각 배경 학문의 지식 체계가 교육 내용의 선정과 구조에 기반을 이루는 학문 기반 체제이다. 그래서 각 영역(2011개정에서는 학년군)마다 각 영역에 해당하는 성취기준들이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또 이런 체제는 언어 중심주의로 이어져 교육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한다. 국어교육이 교육의 변화에 대응하려면 우선 국어교육의 목적을 학문적 연구 결과물을 체계적으로 이해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필요한 국어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으로 규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초중등학생들의 국어 능력 발달과 이에 상응하는 교육이론에 맞추어 수사학, 문법, 문학의 제반 이론과 사실들이 융합되어 교육되어야 한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내용 선정과 배열이 학문 기반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사회적 요구, 학습자의 요구를 기반으로 하여야 한다.

      •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양상 고찰

        김숙정 국어교과교육학회 2012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1 No.-

        교육내용은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되어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은 그동안 국가교육과정 체제하의 전국적 공통적 교육내용 획일성을 과감하게 탈피하여 학교에서 보다 질 높은 교과 교육을 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권한을 학교장 등의 학교 구성원에게 돌려줌으로써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을 할 수 있는 정책적 기틀을 마련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육과정 편제상의 수업시수 증감 문제를 국어과를 중심으로 종합 진단하고 이를 기초로 쟁점을 명료화하고,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전국 초․중학교의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2012년 현재 초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양상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라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수업시수 자율증감에 대한 필요성은 인식하고 실제 편성하고 있으나 그 근거나 기준은 대단히 추상적이라 이에 대한 후속 현장지원 정책이 병행되어야겠다. 둘째, 학교급별 여건에 맞게 수업시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의 본질을 이해시킬 수 있는 다양한 후속 지원 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자율화에 따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교원의 전문성 신장 연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한 의사소통 방안과 교육과정 자율화에 대한 교사 인식 제고 및 전문성 신장 방안을 위한 현장교사들의 요구와 바램에 대한 의견수렴을 통한 지속적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위학교 교육과정 운영 자율화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 편성 양상을 고찰해 보았다. 그동안 국가 차원에서 획일적으로 강제 제시했던 것들을 단위학교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풀어 놓았다는 것은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패러다임을 바꾸는 획기적 정책방향임은 틀림없다. 따라서 이에 따른 후속 연구와 현장 적합성 제고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들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reflected according to histor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The liber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is an innovative policy that can be independent from the uniformity of the national curriculum system. This policy can offer schools a great opportunities to be able to teach students with a higher quality of education. In this regard, we diagnosed the problem of variation of class hour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of Language Arts curriculum in the nationwid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results of the aspects of current operation examination in 2012 junior high school Language Arts curriculum organizations are as follows. First, schools are aware of necessity of variation of class hours reflect on students’ needs and requirements, however, since its standard or basis is very abstract, subsequent on-site support policies are essential. Second, a variety of follow-up support policies,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essence of the liber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are needed to be able to adjust the amount of days of class depending on each circumstances. Third, teachers need a professional development training for curriculum operation, according to the liber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Fourth, consistent complements is necessary through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organization of the Language Arts curriculum under the liberalization of education process are examined. To be able to decide the curriculum policy autonomously, the circumstances of each schools must be a greatly recognized to properly direct policy direction, in the hopes of positively changing the paradigm of our education process. Therefore, not only subsequent follow-up studies should be implemented, but also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must be planned concurrently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