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시대 군정신교육에 관한 연구

        박재필(Park Jae-Phil)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Vol.0 No.48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부터 시작한 한국의 인터넷 시대가 웹 1.0 시대를 넘어 2000년대 중반부터 웹 2.0시대를 맞으면서 SNS가 국가안보 및 국방정책, 군사 현안문제에 대한 국민의 담론 및 여론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실에 주목하여 ‘SNS시대의 군 정신교육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에 바탕을 둔 SNS (Social Network Service)시대는 국가안보와 국방정책 및 군사 현안문제가 더 이상 군의 전유물이 아니며 군과 국민간의 소통의 활성화와 안보 정책에 대한 공감대 형성에 큰 역할을 하지만, 그 반면에 SNS상의 왜곡된 정보에 의한 무책임한 주의 · 주장과 오도된 여론은 국방정책 추진의 시간과 비용의 증가뿐만 아니라 군 구성원의 정신전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군 당국은 SNS 시대가 갖는 소통의 활성화라는 빛과 왜곡된 정보와 무책임한 주의․주장이 넘치는 그림자의 양면성에 늘 주목해야 한다. 특히 SNS상의 국방정책과 군사 현안문제에 대한 여론이 군의 사기를 고양할 수 있도록 정책 접근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과정에서 왜곡된 정보는 최단시간 내에 바로 잡아 군의 사기에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 되도록 하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NS시대의 군 정신교육 발전방향’으로 국가안보 및 국방정책에 대한 군 구성원 소통 강화와 군구성원 자존감 제고에 초점을 두고 정신교육 강화 방안에을 제시하였다. 그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안보 및 국방정책에 대한 군 구성원 소통 강화로서 무엇보다 정신교육의 일관성과 지속성이 중요하다. 세부적인 방법으로서 ① 시사 안보 교육 강화, ② 군 자체 홍보매체 활용 강화, ③ 국민적 관심이 증폭된 군사 현안에 대한 전략홍보 및 군구성원 교육 강화가 요구된다. 둘째, 군 장병 자존감 제고 정신교육 강화 방안으로서 ① 국가안보정책 및 호국정신 교육 강화, ② 국가보훈정책 및 보훈의식 교육 강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research a development plan of military information and education in the age of SNS (Social Network Service), in which SNS imposes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opinion and trend on national security, defense policy and current military issues with the fast growing internet power through web 1.0 and web 2.0 era. In this SNS era based on interactive communication, national defense, defense policy and military issues are no longer to the military. Misguided public opinion by distorted information on SNS could cost us not only time and expense in implementing defense policies but also spiritual combat power of the service members. It is necessary to design PR strategies interacting with the public to minimize adverse effects of SNS on the military performance of the tasks specifi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military service code of defending national security and the territory and protecting the people and property.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military information and education measure to strengthen the morale and the combat readiness of service members. This study focused two topics of: 1) PR strategies to minimize adverse effect of misguided public opinion misguided by distorted information on SNS, and 2) reinforceme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military in national security and defense policy while also strengthening the morale. First, it is important to keep the consistency and persistence of military information education for the service members to strengthen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people and service members. As detailed methods, I suggested 1) strengthening the current security and defense issue education, 2) strengthening the use of media channels within the military, and 3) strategic communication of military issues that receive wide public interest and strengthening internal education for service members. Second, as a way to boost the morale of the service members, I suggested 1) strengthening the training on the national security policy and patriotism, and 2) strengthening national veterans policy and awareness education.

      • KCI등재

        프랑스 병역제도와 정신전력 발전사 연구

        김무일(Kim Moo-il) 국방정신전력원 2017 정신전력연구 Vol.0 No.49

        한나라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 가운데서 그 나라 국민들의 정신자세 내지 가치관보다 더 결정적인 힘을 가진 것은 없다. 국가에 대한 애국심을 가지고 위국헌신을 최대의 가치관으로 삼아 국가위기시에 목숨을 바쳐 싸우면 반드시 승리한다는 것을 역사는 증명해 주고 있다. 북한의 핵위협이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성실하게 병역의 의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국민전체의 애국심 고취와 강력한 군의 정신전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것은 국가의 안보대비태세 면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우리의 제도개선에 교훈적인 세계역사상 최초로 징병제를 도입한 프랑스의 병역제도와 정신전력 발전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프랑스 혁명당시 발미Valmy)지역에서 프러시아 · 오스트리아 왕조 동맹군과의 전투에서 프랑스 시민혁명군의 전승요인으로부터 시민혁명을 성공적으로 완성한 후에 그 승리의 정신을 계승해 나오면서 UN 안보상임이사국, 핵보유국, 외교 및 군사강대국이 되도록 한 신 · 구 병역제도와 국민전체의 애국심 고취와 군의 가치관 확립 및 정신교육체계의 발전사를 연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발미(Valmy)전투 전승요인, 구병역제도의 발전사 및 주요내용, 신모병제도, 국민전체의 애국심 고취방안, 군의 가치관, 지휘통솔과 정신전력 관계 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범위는 발미(Valmy)전투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신 · 구병역제도, 애국심 및 정신전력체계 발전까지로 하였다. 본 연구방법은 2006년도 국방부 정책연구보고서 〈프랑스 국방개혁 2015분석〉연구자료 수집을 하기 위해 프랑스를 방문하고 국방부본부, 행정총본부, 국방부공보보도국 등의 실무자를 방문면담하고 수집한 관련 자료들을 중점적으로 활용하였으며, 추가적인 자료들은 최근에 발행된 2008, 2013년도 국방 및 안보백서와 인터넷 자료들을 연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핵무기실험과 잠수함발사미사일(SLBM) 발사실험을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는 등 북한의 도발위협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전 국민의 국가에 대한 애국심 고취 및 전 장병들의 정신전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세계에서 유일무이하게 현존하는 적과 대치상태에 있는 우리 안보를 위한 대비태세 강화에 값진 의미를 줄 것이다. There are some factors which influenced over one nation`s vicissitude, but the spirit state of the people and the conception of value were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 The history verifies that if the people of a nation fight against an enemy upholding patriotism as the greatest value of serving their nation in crisis, they win without fail. In South Korea where threat of north korean nuclear arms still exists, the continual cultivation and establishment of people`s devotion to their nation through military service and the military value system are very important to national security. Therefore, the country will benefit from studying the development of french military that adopted conscription system first in history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ir moral strengt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take good lessons by analyzing: the victory factors of the french revolutionary force at the Valmy battle against the coalition force of Prussia and Austria; the old and new french military system that inherited the spirit of valor from the french revolution which made France as a standing member of UN security council, a nuclear power, and a country with great diplomatic and military power;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spiring people`s patriotism, establishment of military value system, and their moral strength.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the victory factors of the Valmy battle, the development history and the important contents of old military service system, the new recruitment system, the plan to inspire people"s patriotism, the value system of military, and the 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moral strength. The scope of this research is from the time of the Valmy battle to the old-new military service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patriotism and moral strength up to this day. This study used「The Reform of French Military in 2015」 published in 2006 as the reference material, which was collected by the interviews with relevant french government officers. In addition, it used the 2008, 2013 Defense White Paper and other reference materials on the Web. This study will provide a significant lesson to South Korea where threat of provocation still exists, if not increasing, by North Korea`s tests of firing of SLBMs and its nuclear weapons, in a sense that development and the preparation of national defense by strengthening the patriotism of the people and the moral strength of soldiers are the keys to national security.

      • KCI등재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정신전력 발전방안 - 정신전력교육용 챗봇 개발 중심 -

        임상욱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8

        Artificial intelligence is one of the core technologi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used in various fields, and the defense field is no exception.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set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key area of future warfare and are continuing research related to it. The Korean military is also making great efforts to develop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and develop related fields that can keep pace with these changes and actively respond to future war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is desire for change corresponds to tangible power, and there is little effort to apply it to the field of spiritual force related to the will of soldiers to fight. Everyone knows that the military's power can be applied properly only when development is made simultaneously with the sum of tangible and intangible integrated military power, but this is not the case in reality. This is not only due to the application asp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but also to the failure to establish a position as power. For spiritual force recognized as a part of power, reasonable and scientific evaluation data must present, but spiritual force based on huma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factors is limited from presenting such quantitative data. Therefore, this study approached the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spiritual force as an opportunity for an inflection point to provide quantified data as well as future power generation aspects.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technology suitable for spiritual force in the qualitative domain because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atistical evaluation methods and can interpret and infer quantitative or qualitative data.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field of mental power, efforts to collect high-quality and up-to-date data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can learn must be preceded. An appropriate method for this is to use a ‘Chatbot’. Chatbots accumulate data as they communicate with users, so based on this, they can analyze users' intentions in various ways and use th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In addition, since it can communicate with humans through similar conversations, it can use for education-related to spiritual force. For developing chatbot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design process suitable for the spiritual force field and select a method to implement. Developing them directly in a programming language or purchasing professional solutions requires high technology, lots of time, and budget. The wa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is to use the “Chatbot Builder,” a standardized platform.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field of mental power was confirmed through ‘Dialogflow’, Google's chatbot builder. In particular, for the ‘MZ generation’ familiar with smart device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eans such as chatbots can be an effective way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piritual force and increase its effectiveness. 인공지능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되고 있으며, 국방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세계 각국이 미래전의 핵심영역으로 인공지능을 설정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우리 군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고 미래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공지능기술 개발과 관련 분야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의 바람은 어디까지나 유형전력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장병들의 싸우는 의지와 관련된 정신전력 분야에는 적용 노력이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군의 전력이 유․무형 통합전력의 합으로 동시에 발전이 이루어져야 제대로 적용이 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못한 것이다. 이는 인공지능의 적용 측면 뿐만 아니라 전력으로서의 위치를 정립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하는 측면도 있다. 정신전력이 전력의 일부로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평가 자료를 제시해야 하는데 인간의 심리적․생리적 요소에 기반을 두고 있는 정신전력은 이러한 정량적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신전력 분야의 인공지능 적용을 미래전의 발전 측면 뿐만 아니라 정량화 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변곡점의 기회로 보고 접근을 하였다. 인공지능은 기존의 통계학적 평가 방법의 제한사항을 극복하고 정량적 이거나 정성적인 데이터를 해석·추론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정성적 영역의 정신전력에 적합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정신전력 분야에 인공지능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이 학습을 할 수 있는 양질의 최신화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노력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적합한 방법이 ‘챗봇(Chatbot)’을 활용하는 것이다. 챗봇은 사용자와 대화를 할수록 데이터가 누적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의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분석하고 인공지능 학습에 활용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인간과 유사한 대화를 통해 소통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전력과 관련된 교육에도 활용할 수 있다. 챗봇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정신전력 분야에 적합한 설계 프로세스를 디자인 하고 이를 구현할 방법을 선택해야 하는데 프로그래밍 언어로 직접 개발하거나 전문 솔루션을 구입하는 방법은 고도의 기술과 많은 시간, 예산 등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사항을 극복하는 방법이 정형화된 플랫폼인 ‘챗봇빌더(Chatbot Builder)’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글의 챗봇빌더인 ‘Dialogflow’를 통해 정신전력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특히, 스마트 기기에 익숙한 MZ세대에 있어 챗봇 같은 인공지능 수단의 활용은 정신전력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고 효과를 높일 수있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전투사례를 활용한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교수방법 연구 - 만주벌 호랑이 김좌진 장군과 청산리대첩을 중심으로-

        이정구(Lee Chunggu)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1

        본 연구는 백야(白冶) 김좌진(金佐鎭) 장군의 생애와 청산리대첩(靑山里大捷)의 전승 사례에서 나타난 ‘군인정신’은 무엇이며, 어떻게 발현(發顯)된 것인지를 심층 분석하여 이를 교육현장에서 구체적ㆍ실천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장병 정신전력 강화 및 국방목표달성에 기여하기 위함이다. 연구결과 김좌진 장군의 삶의 궤적(軌跡), 즉 국내에서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호명학교 등을 설립하는 등의 애국개몽운동과 대한광복회에서의 활동, 이후 만주로 망명하여 적극적인 무장투쟁 활동을 전개한 것은 그의 삶 자체가 군인정신으로 충만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920년 청산리대첩이라는 위업을 달성한 것은 김좌진이라는 한 사람의 능력과 노력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사전에 독립군을 양성하고 무기를 입수하는 등의 철저한 준비와 한만동포들의 절대적인 지원, 그리고 지형을 이용한 김좌진 장군과 이범석 장군의 전략ㆍ전술 등이 일구어 낸 결과물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승전의 핵심 요인은 바로 김좌진 장군을 비롯한 북로군정서 독립군의 개개인의 마음 속에 간직한 ‘애국애족의 정신’과 군인에게 최고의 명예인 전장에서 싸우다 죽겠다는 ‘명예’, 그리고 오지의 만주벌판에서 모든 어려움과 고난을 이겨내며 오직 조국 독립을 위해 극기하면서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 일본 정규군을 상대로 매우 열세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이기고야 말겠다는 ‘필승의 신념’, 전장에서 죽기를 각오하고 끝까지 물러서지 않는 ‘임전무퇴의 기상’이 바로 청산리대첩을 가능하게 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김좌진 장군과 청산리대첩의 사례를 군 장병 정신전력 강화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정신전력 교육의 특성과 전사(戰史)ㆍ전례(戰例)라는 과목의 특성, 그리고 교육대상자가 신세대 장병이라는 특성 등을 고려하여 ‘비주얼 스토리텔링(Visual-Storytelling) 및 발문ㆍ질문법(發問ㆍ質問法)의 실천적 교수방법을 적용한다면 장병들의 관심과 흥미 유발 및 이해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슴속에 표상(表象)으로 자리매김하여 유사시 그 정신이 무형전력으로 승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일찍이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선생께서 갈파한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교훈을 되새기며, 앞으로 보다 다양한 전사ㆍ전례 연구를 통하여 장병 정신전력 교육에 접목시켜 군 장병 모두가 명견만리(明見萬里)의 관찰력과 판단력, 통찰력을 갖추어 궁극적으로는 적과 싸워 이길 수 있는 강한 전투원을 육성해야 한다. This study analyzes in-depth what ‘military spirit’ is and how it is expressed in the life of General Kim Jwa-jin and the tradition of ‘Great Victory of Cheongsan-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achieving defense goals and to strengthen military spiritual combat power of soldiers by suggesting specific teaching methods that can be applied practic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General Kim Jwa-jin"s track of life, namely the establishment of Homyung School to raise national consciousness in Korea, activities in the Patriots" Dream and the Korea Liberation Association, and Absolute support of Koreans in Manchuria One indicated that his life was full of military spiritual combat power. The achievement of ‘Great Victory of Cheongsan-ri’ in 1920 was not achieved by the ability and effort of a single person named Kim Jwa-jin. But rather by the strategic tactics of General Kim Jwa-jin and Lee Bum-seok using topography. However, the key factors in the great victory were as follows: ‘the spirit of patriotism’, which was kept in the minds of individual soldiers, including General Kim Jwa-jin, a "honor" to die fighting on the battlefield, the highest honor for the soldiers, a "courage" to overcome all difficulties and hardships in the remote Manchurian plains, to be self-denial for the sake of independence, and not to fear death, ‘the belief of victory’ that will surely win despite its the very poor power against Japanese regular soldiers, ‘the belief of victory’, and ‘the spirit of knowing no retreat at the battlefield’, which does not retreat to the end of the battlefield. In order to apply the case of General Kim Jwa-jin and Great Victory of Cheongsan-ri,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for spiritual combat power, the subjects of the history and liturgical educ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soldiers should be considered and apply them to the practical teaching methods of "Visual-Storytelling" and "Questioning method".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s of soldiers, the spirit can be sublimated into intangible forces in case of emergency by establishing itself as a symbol in their hearts. Recalling the lesson of Shin Chae-ho, “There is no future for a nation that has forgotten history”, the military should develop a strong combatant who can ultimately fight and defeat the enemy by combining the mental power education of soldiers with obsercation, judgemnt, and insight of ‘Myeong-Gyeon Man-ri’

      • KCI등재

        정신전력교육 효과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집단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배희정,정상근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Korean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collective efficacy affect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confir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relative influence between each variable. Above all, it is meaningful to analyze quantitatively whether collective efficac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ropose policy alternatives. To confirm the above study issue, the data from the Defense Agency for Spiritual and Mental Force Enhancement's 2019 ‘Survey on Soldier’s Behavior and Values' a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Recognition of the effectiveness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llective efficacy also has a positive (+) impact on the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dditionall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collective efficacy can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Military Spirit Education percep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Spirit Education, collective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confirmed that Military Spirit Education and collective efficacy are significant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oldi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ignificance, pract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n particular, it is very meaningful that it presented the Military Spirit Education development direction in terms of organizational value that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군의 정신전력교육과 집단효능감이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핵심적으로는 집단효능감이 정신전력교육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계량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근거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군 정신전력교육은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군 정신전력교육은 장병 집단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3. 집단효능감은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4. 군 정신전력교육과 조직몰입 관계에서 집단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위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9년 국방정신전력원에서 실시한 ‘장병 행동 및 가치관 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군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효과 인식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집단효능감 또한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보였다. 아울러 집단효능감은 정신전력교육 효과 인식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정신전력교육과집단효능감,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정신전력교육과 집단효능감이 장병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유의미한 변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함의, 그리고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특히, 조직몰입에 기여할 수 있는 조직가치 차원에서의 정신전력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 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정신전력’분야 연구경향 분석을 통한 정신전력 교육 활성화 방안

        서호준(Seo Ho-joon)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최근의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정신전력의 중요성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신전력 분야에 대한 연구경향 분석이 이루어지 않고 있어 후속 연구과제 도출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인식하에 빅데이터 기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신전력 분야 연구경향 분석을 수행하였다. 준거기준에 따른 분석결과, 2012년부터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였으며, 교육학적 학문적 배경이 많았다. 또한, 서술적 연구의 비중이 높았으며, 자료분석방법으로는 단일변량분석이 많았고, 자료수집방법으로는 문헌조사가 가장 많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38개 핵심키워드를 도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연결정도 중심성 분석에서 상위 키워드로 나타난 것은 군 / 장병 / 정신교육 / 교육 / 영향 / 강화 / 변화 / 군인 / 전쟁 / 정신전력교육 / 개신교 / 전투력 등이었다. 38개 키워드를 전략 · 거시그룹과 조직 · 미시그룹, 종교활동 그룹, 기타 그룹의 4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정신교육 분야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한 점,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정신교육 분야 의제설정이 필요한 점, 경험적 · 양적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한 점, 정신교육 분야에 대한 집중지원과 함께 정신전력 분야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정책지원이 필요한 점, 국방정신전력원의 기능과 위상이 강화되어야 하는 점, 해외 우수사례에 대한 벤치마킹이 필요한 점,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정신교육 수단을 발굴할 필요가 있는 점, 민간과의 협력적 네트워크가 필요한 점 등을 정신전력교육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Considering the recent security environment,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mental force, research trend analysis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has not been performed, which has hindered the subsequent derivation of research subjec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 of research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using text network analysis of big datab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mpliance standards, related research began to increase significantly from 2012, and there was a lot of educational background.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descriptive studies was high, and there were many single-variable analyzes in the data analysis metho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iterature survey was the most common method for data collection. Through the text network analysis, 38 keywords were derived, and the top keywords in degree centrality analysis with the frequency analysis were shown as follows : military / officers and men / mental education / education / impact / enhancement / change / soldier / war / mental force education / Protestant / combat power. The 38 keywords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trategy-macro group, organization-micro group, religious group, and other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as a way to activate mental forc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research in the field of mental education, set the agenda in the field of mental education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revitalize empirical and quantitative research, require intensive support in the mental education field and policy support that enables various academic access in the field of mental force, strengthen the function and status of the defense agency for spiritual & mental force enhancement, to benchmark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discover various mental education methods using technologie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make a cooperative network with the private sector.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 정신전력 향상 방안 - 미군 다문화주의 사례 중심으로-

        서원희(Seo WonHee) 국방정신전력원 2020 정신전력연구 Vol.0 No.61

        대한민국이 짧은 시간 급격하게 다문화 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한국 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이행함에 따라 국군의 구성도 다국적, 다인종 출신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방부 통계에 의하면 2019년 기준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 3,000명이 군복무 중이며 2025~2031년 사이 매년 8,518명이 입대 예정이다. 인구감소와 현역장병 숫자 감소에 따라 다인종, 다문화 가정 출신 장병이 국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그동안 국가와 민족에 대한 충성심이 정신전력의 근간이였다면 미래에는 민족에 대한 충성심이 정신전력 근간으로서의 입지는 좁아질 것이다. 다양한 인종, 민족 출신이더라도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인종과 민족에 상관없이 전장에서 하나된 정신전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 주요한 과제가 된 것이다. 정신전력이란, 군인정신ㆍ군기ㆍ사기ㆍ단결로 이루어진 무형의 전력을 말한다. 다문화란 다양한 문화와 개성을 특징으로 하고 정신전력은 국가안보를 위한 하나된 무형전력 창출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일견 갈등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현시점에서 다문화주의가 국군 정신전력과 상충하지 않고 조화롭게 융화시키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군의 다문화군 창출 과정에 관한 역사적 경험과 사례를 통해 국군 다문화주의의 정책 방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과 미국은 역사, 문화, 다인종 구성 등 제반 여건이 상이하기에 미군 다문화 정책을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지만, 최고의 전투력을 보유한 미군이 다문화주의를 군내 정착하는 과정과 사례는 국군에 주요한 교훈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미군도 제2차 세계대전 중 인종차별로 인해 군내 불미스러운 사건(뱀버 브릿지 전투)이 발생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도 군내 차별과 분리정책이 존재하는 등 미군이 다양한 민족과 인종들로 구성됨으로 인한 갈등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미군은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에서 다양한 인종과 국적 출신 장병이 명예로운 전공을 세웠고, 이는 미군은 하나이며, 인종과 출신은 전투현장에서 중요하지 않다는 경험을 군인과 미국민 뇌리에 새기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기회균등 훈령 제정과 국방 기회균등 관리연구소 창설이 뒷받침됨으로써, 군내 다문화주의가 공고화되었고 미국 건국이념인 “Out of many, one”을 구현하게 되었다. 향후 국군은 군내 다문화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개인과 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병영문화 조성, 국가 정체성 중심의 정신전력 중심이동 등의 과제를 이행하게 될 것이다.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의 정신전력 창출은 제대 후 자부심 고양과 국민 정신전력 강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정책 지점이다. 미군과 한국군의 직면한 다문화주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등한 근무여건을 제공하고 평등하게 대우하라는 것은 동일한 명제이며, 향후 정신전력 근간은 인종이나, 배경이 아닌 대한민국 군인이라는 정신적 일체감이 될 것이다. Korea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In 2019, 3,000 soldi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 the military. As Korea changes from a single-race nation to a multi-racial country, the policy and training method of Korea military spiritual force should be changed. In other words, if the Korean military spiritual force has been based on a single race and lineage, it should be transformed into a multi-racial and multi-culture in the future. The Korean military should prepare for multiculturalism. Even if they come from various races and ethnic groups, it is a major challenge for Koreans to demonstrate their unified spiritual force on the battlefield regardless of race or ethnicity. Spiritual force refers to military spirit, military disciplines, morale and unite. It is intangible but powerful in battle. The United States was founded by immigrants and has long accepted immigrants for economic and political proposal for a long time. However, until the World WarⅡ and Korean War, multiculturalism of American military was not solid. Multiculturalism has been settled down by war heroes from multi races, policy, and regulation. The Constitution and culture of the United States have been constantly changing by the perception of the public and the military. Korea has a unique background of historical, cultural, and racial proportions, and thus has a multiculturalism different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accepting American multiculturalism as it is. However, it is essential to preview the multiculturalism process in the U.S., and we have to find out how to achieve multiculturalism in the Korean military. Despite the multiculturalism differences faced by the U.S.military and Korean military, providing equal working conditions and treating them equally is the same proposition, and in the future, the bases of spiritual force will be the spiritual unity of the Korean soldiers, not race or background.

      • KCI등재

        장병 「민주시민교육」으로 국군 정신전력교육체계 개선

        박정이 국방정신전력원 2023 정신전력연구 Vol.- No.73

        The development of mental power, which is the core of the intangible power of the ROK military, is relatively sluggish. As the National Defense Psychiatric Institute was dismantled in 1998, the study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mental power 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as virtually halted after the Mental Power Guidance Guide published in 1997. Therefore, the mental power of the ROK military is not a new war sit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generation of soldier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soldiers in the military, and the expansion of female workforce are demanding many improvements i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mental energ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fundamental changes in the mental power education system including ideological education, military ethics, and morality cultivation education. Moreover, the contents and direction of mental education are changed every time the regime is changed, and the concept and aspect of war are changing,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of mental power education is getting more and more emphas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the constitutional mental power education system for the new soldiers' mental power education. The German Federal Army strengthens constitutional education as a field of mental power education to minimize internal conflicts that may arise in individuals and armies and to believe in the constitutional national values that must be maintained as democratic citizens.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re values of the ROK armed forces should be set as a free democratic guardian group by converting the ROK armed forces mental power education, which is being carried out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firm national view, security and military spirit, into a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for soldiers, and education should be centered on constitutional and legal education, political education, personality education, leadership education, and current affairs security education. 한국군의 무형전력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정신전력에 대한 발전은 상대적으로 부진하다고 볼 수 있다. 1998년 국방정신교육원이 해체되면서 1997년 발간된 『정신전력지도지침서』를 끝으로 정신전력에 대한 국방부 차원의 개념 연구와 발전은 사실상 중단되었다고 볼 수 있으므로 한국군의 정신전력은 새로운 전쟁양상과 시대상황을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신세대 장병들의 특성, 군내 다문화 장병 증가와 여성인력 확대 등은 정신전력교육내용과 방법상의 많은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이념적인 교육과 군대윤리, 도덕성 함양교육을 포함한 정신전력교육 교과체계의 근본적인 변화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욱이 정권교체시마다 정신교육 내용과 방향이 바꿔지고 전쟁의 개념과 양상이 변화하고 있어 정신전력교육 개선의 필요성이 점점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병 정신전력교육을 위해 헌법중심의 정신전력교육체계를 적극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독일연방군은 헌법교육을 정신전력교육의 핵심분야로 강화해 개인과 군대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내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군복 입은 시민으로서 지켜야할 헌법적 국가가치를 신념화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우리 군도 장병의 확고한 국가관﹘안보관 확립과 군인정신 함양을 목표로 실시되고 있는 국군정신전력교육을 ‘장병 「민주시민교육」 체계’로 전환하여 국군의 핵심가치를 ‘자유민주 수호군’으로 설정하고, 헌법 및 법과 규정 교육, 정치사회교육, 인성교육, 리더십교육, 시사안보교육 등을 중심으로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밴 플리트(James A. Van Fleet) 장군의 군인정신에 관한 고찰 - 6·25전쟁 중 발현된 군인정신(개인 차원의 가치)을 중심으로 -

        이정구 국방정신전력원 2022 정신전력연구 Vol.- No.6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life of James A. Van Fleet(1892-1992), ‘Father of the Korean Army', ‘Korea’s eternal companion’, who was appointed as the commander of the US 8th Army in April 1951 during the Korean War, and who blocked the 5th Chinese offensive, defended Seoul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oday’s Armed Forces. And another purpose is to find how his soldier spirit(value at the individual level) showed during the war was expressed, with a military approach focusing on the soldier spirit, such as the philanthropic devotion and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belief in victory investigated. In addi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an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oldi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military,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data for strengthening spiritual & mental force by discovering exemplary cases of soldier spirit in foreign soldiers. From the moment Van Fleet was appointed as the commander of the U.S. 8th Army, Van Fleet had a firm will to withdraw U.N. troops as long as the enemy situation allowed, and instead, allow the South Korean military to fill the position. He devoted himself to establishing the White Field Battle Command of the Korean Army, re-establishing the 2nd Corps, expanding 20 divisions of the Korean Army, establishing various military schools in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4-year Military Academy, and strengthening the leadership and capabilities of officers, which are vulnerable to the Korean military. He is also a savior of the Republic of Korea, who devoted himself to developing Korean security and economy even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military. His cross-border military spirit teaches many lessons to us living today. First, as a soldier, he shows what cross-border dedication and sacrifice are for protecting liberal democracy in person. Second, he reminds us of the belief(will) of victory that we must win on the battlefield even in an emergency and unfavorable situation for the protection of liberal democracy, the spirit of invincibility, and the attitude of a true soldier and combat commander with true courage. Third, he regards Korea as his second country and shows humanity and a commitment attitude across borders with endless interest and passion for reinforcing the Korean military, laying the cornerstone of national defense, and modernization. Fourth, even after taking off his military uniform, he was a truly great soldier that could never be forgotten by the Korean military and many people, considering the Republic of Korea as a ‘second homeland’ with love and dedication based on friendship and trust. Considering the future role of the Korean military, changes in the military paradigm, and globalization, this study of General Van Fleet's soldier spirit will be very useful data for strengthening the military spiritual & mental force. 본 연구의 목적은 6·25전쟁 중인 1951년 4월 미 제8군사령관에 보직되어 중공군의 제5차 공세를 저지하고 서울을 지키고 오늘의 국군 초석을 다진 ‘한국군의 아버지’, ‘대한민국의 영원한 동반자’ 밴 플리트(James A. Van Fleet, 1892~1992)의 생애와 전쟁 수행 중 그가 보여 준 군인정신(개인 차원의 가치)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그리고 대한민국 육군을 증강시켜 오늘의 국군이 있게 한 그의 인류애적 헌신과 책임의식 등에 대해 군사학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고찰하고, 국방환경의 변화와 군내 다문화가정 출신 장병의 증가에 따라 외국군의 모범적인 군인정신 사례발굴을 통해 군 정신전력 강화를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6·25전쟁 중 밴 플리트가 미 제8군 사령관 겸 유엔지상군사령관 임무를 수행하면서 그가 보여 준 헌신적 책임완수, 직업적 명예심으로 필승의 신념(의지)과 진정한 용기, 임전무퇴의 정신, 자유민주주의를 수호하기 위해 국경을 초월한 애국애민의 정신 등과 같은 군인정신이어떻게 발현되었는지에 대하여 군인정신의 관점에서 밴 플리트를 조망하였다. 밴 플리트의 국경을 초월한 군인정신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많은 교훈을 준다. 첫째, 그는 플리트는 군인으로서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국경을 초월한 헌신과 희생이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 준다. 둘째, 그는 자유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위급하고 불리한 상황에서도 전장에서 이기고야 말겠다는 필승의 신념과 임전무퇴의 정신, 진정한 용기를 지닌 진정한 군인이자 전투지휘관으로서의 자세가 무엇인지를 일깨워 준다. 셋째, 그는 한국을 제2의 조국으로 여기고 한국군의 증강과 국방 초석 다지기, 현대화를 위해 끝없는 관심과 열정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인류애적 사랑과 국경을 초월한 헌신적 자세를 보여 준다. 넷째, 그는 은퇴 이후에도 우정과 신뢰, 사랑과 헌신으로 코리아소사이어티의 발족과 민간사절단 및 특사로서 민간투자 유치활동을 통해 국군의 발전과 대한민국의 산업화 및 경제 성장에 기여한 대한민국 군과 많은 국민에게 결코 잊을 수 없는 진정으로 위대한 군인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 군의 향후 역할과 군 패러다임의 변화, 세계화, 군내 다문화주의 확대 등을 고려한다면 밴 플리트의 군인정신 연구는 군 정신전력 강화를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그가 6·25전쟁에서 보여 준 군인정신과 전역 후 군사원조 및 다양한 민간투자유치 활동에서 보여 준 것은 군인이 지녀야 할 참된 군인정신(개인차원의 가치)이 무엇인지를 일깨워 준다.

      • KCI등재

        체험 및 참여형 군인정신교육 발전방안

        김현배(Kim Hyun-bae) 국방정신전력원 2018 정신전력연구 Vol.0 No.55

        우리나라는 IT강국으로 정신교육에도 IPTV와 각종 동영상 기법을 활용하여 정신교육을 추진 중에 있으나 사회에서의 변화속도를 따라가기에는 예산과 장비보급 등 제한사항이 존재한다. 최근 정신교육의 화두로 신세대 장병의 특성을 이해하면서 체험 및 참여형 군인정신교육 등과 같은 다양한 교육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장병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이론적인 교육과 영상시청 만으로는 제한된다. 4차산업 혁명 시대를 맞아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는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정신교육에 접목하여 행동의 변화를 유도하는 방안과 인터넷 방송의 발전에 따라 각 부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신교육 콘텐츠를 IPTV나 모바일을 통해 보여주는 방법을 구상하였다. 가상현실을 접목한 사례는 이미 국내외에서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의료 치료, 관광, 어린이 교육 프로그램, 군사훈련, 게임 등에 가상현실이 접목된 사례는 이미 스마트폰과 더불어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고 IT 업계는 미래의 트렌드로 가상현실을 여러 차례 발표하였다. 가상현실 시장은 2016년도 4조원 규모에서 2020년에는 150조원 규모로까지의 성장이 예측된다. 군도 VR을 신사업으로 선정하고 각종 가상현실 전투체험을 통한 전투력 발전을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다. 가상현실은 현재 가볼 수 없고 이동하기 제한되는 안보견학지를 직접 가보지 않고 체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을 활용한다면 인지적 변화와 함께 정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인 행동변화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전장상황 체험은 실제 전장상황에서 군인정신을 발휘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우리 군은 비전투 파병이나 국지도발만을 경험해봤기 때문에 실전 상황발생시 대응을 위해 전장체험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방법 중 하나가 가상현실을 활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안중근 장군 의거일을 맞아 가상현실 기기를 통해 직접 하얼빈 역에서 히로부미를 저격하는 안중근 장군의 모습을 바로 곁에서 보거나, NLL인근에서 연평해전의 ‘참수리호’를 타고 전투를 경험하거나 관람함으로써 현장을 체험하는 것이다. 또한 현장학습 간에도 스마트기기를 활용, 교육을 진행하여 흥미와 집중을 높이는 방법과 각 부대에서 젊은 감각에 맞게 제작한 영상 콘텐츠나 재미와 설득기법을 보유한 장병들을 정신교육의 강사로 등장시켜 부대별로 정신전력교육시 선택의 자유를 주는 방안 등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첨단 미디어를 활용한 군인정신교육은 국방부, 교육기관, 야전부대에서의 본격적인 연구와 IT기업을 포함한 협업체계 구축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모바일 IT시대 변화에 맞게 정신교육을 발전시킨다면 장병들의 국가관 및 안보관 확립과 대국민 안보관 확립, 더불어 우리 군의 홍보라는 결과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