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안보" 이론의 한국적 적용: 도입, 채택, 발전

        김병조 ( Byeong Jo Kim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1 국방연구 Vol.54 No.1

        이 글은 탈냉전 시기에 유럽에서 개발된 사회안보 이론이 한국의 안보이론에 어떻게 도입되고 채택되었는지 기술하고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냉전체제가 붕괴되는 와중에, 일부 한국 안보학자들이 변화하는 안보환경에 직면하며 포괄적 안보개념을 도입할 것을 주장하였다. 하지만, 포괄적 안보개념을 활용해서 현실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원리나 논리를 충분히 만들어내지는 못하였다. 이때, 코펜하겐 학파가 발전시킨 안보부문, 안보의 준거대상, 사회안보 등의 개념이 한국에서 채택한 포괄적 안보개념을 이론화하는데 결정적인 돌파구 역할을 하였다. 또한 사회안보 이론을 활용하면서 국가안보이론 자체가 크게 발전하였다. 국가와 더불어 시민사회가 안보주체로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 것이나 안보문제가 사전에 정해져있다기보다는 안보문제화 과정을 통해 안보문제로 등장한다는 안보문제의 상대화 등은 사회안보 이론을 활용하면서 획득한 이론적 성과이다. 그러나 유럽을 배경으로 개발된 코펜하겐 학파의 사회안보 이론 역시 몇 가지 결함을 갖고 있으며, 한국의 안보상황을 분석하는 데 적합한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질 필요가 있어 보인다. 이에 사회안보 이론의 발전방안을 2가지 제안하였다. 첫째, 사회안보의 준거대상으로는 제시된 ‘집단 정체성’은 ‘사회응집력’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 둘째, 코펜하겐 학파 이론에 내재된 ‘사회안보 딜레마’는 새로운 정체성에 기초한 ‘공동사회’를 창출함으로써 극복해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how the societal security theory, which is developed in the European background, is introduced and adapted in the Korean security thinking after post-Cold War era. In the wave of collapsing Cold War system, some Korean scholars argued to adapt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facing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s. However they couldn``t create the rationale and logic of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enough to analyze the reality. At that time, the concepts such as security sector, referent objects and societal security developed by Copenhagen school offered a breakthrough to the Korean comprehensive security concept.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societal security theory enabled some progress in Korean security theory. The perception that not only the state but also civil society are important agents in the national security affairs is firmly established. And the idea of securitization contributes to understand the relativity of security problem. That is, there isn``t a priori security problem, but only after the securitization process security problem emerges. Nevertheless, the societal security theory of Copenhagen school has some deficiencies and needs to be elaborated to be a relevant analytical tool of Korean security situations. I have suggested two points. First, as a referent objects of societal security, ``collective identity`` is to be replaced with ``social cohesion``. And second, to overcome societal security dilemma inherent in Copenhagen school theory, the ``common society`` concept have to be developed.

      • KCI등재후보

        국제안보 패러다임의 변화와 동북아 안보체제

        이수형 ( Soo Hyung Lee ),전재성 ( Chae Sung Chu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5 국방연구 Vol.48 No.2

        본 논문은 하프틴도른(H. Haftendorn)이 제시한 국가안보, 국제안보, 그리고 지구안보 패러다임의 내용을 기초로 하여 국제체제의 변천이 안보 패러다임의 상대적 적실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과거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여전히 전통적 안보환경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동북아에 있어서 다자주의적 행위양식에 기초하면서 안보의 상대적 가치 및 협력을 강조하는 국제안보 패러다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동북아는 국제/지구 안보패러다임이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국가안보패러다임이 주된 힘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21세기에 들어 동북아는 세계적인 미국의 패권체제 하에서 동북아 국가들간의 세력균형체제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으며, 경제적 성장은 군사적, 정치적, 외교적 성장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이에 대해 미국은 일본과의 동맹강화를 통하여 중국을 견제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동북아는 아무런 다자적인 안보제도 없이 적나라한 세력균형의 와중에 접어들 가능성이 농후하다. 결국국제/지구 안보패러다임의 가능성보다 국가안보 패러다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큰 것이다. This article studies three paradigms of international security, that is, national security, international security, global security, based on Haftendorn`s conceptualization, and trie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pplying them to Northeast Asian security. The most explicit feature of Northeast Asian security is the dominance of national security paradigm. Based on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regional politics, Northeast Asia is still motivated by the logic of balance of power.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beginning of the 21th century, the possiblity of transforming the national security paradigm to international or global paradigm is dim, when the power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China and Japan is rising. Korea, in the middle of this competition, should try to make the most of the situation for survival and prosperity.

      • KCI등재

        안보위협의 진화와 우리 군의 임무: 다재성을 갖춘 적응군 건설을 위한 시론적 논의

        부형욱 ( Hyeong Wook Boo ),이강규 ( Kang Kyu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2 국방연구 Vol.55 No.1

        새롭게 제기되는 안보위협과 기존에 존재하던 안보위협의 변이는 우리 군에게 도전적인 안보환경을 만들어 내고 있다. 현재 우리 군은 위협의 성격이 새로워진 전통적 안보위협에 대처하면서, 글로벌화된 비전통 안보위협에도 대응해야 하는 다중적 역할·임무상황에 놓여있다. 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한국군의 기존역량의 확충은 물론이고,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효과적 대응도 동시에 요구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안보환경의 진화상황에 대응하는 우리 군의 임무를 제시하는데 있어 다재성과 적응군 개념의 도입 필요성을 주장했다. 전통적 안보위협의 변이에 대한 대처에는 범용성을 갖는 군사능력의 확보를 의미하는 다재성 측면이 강조되어야 하고, 갈수록 심화되는 비전통적 안보위협에 대한 대응에는 적응능력의 함양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군의 관료화가 문제시되고, 경제위기로 검약이 요구되는 시대에 다재성을 갖춘 적응군 논의는 한국군의 임무를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ROK Armed Forces has been witnessed challenging security environments that are characterized by emergence of new security threats and variation of existing security threats. In other words, the roles and missions of ROK Armed Forces are multi-dimensional. ROK Armed Forces should respond to continuously renewing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while dealing with globalized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Considering these, the author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the concepts of versatility and adaptive military as a way of answering the call for responding to the evolution of security environment. In dealing with the variation of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the authors argue that versatility concept should be emphasized since the concept has to do with building military forces that can be applied to varying situations. Meanwhile, responses to deepening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need the development of adaptive capacit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austerity due to global economic crisis and we have observed heated debates about bureaucratization of the armed forces. That being said, discussions on the establishment of adaptive military having versatility should be regarded seriously.

      • KCI등재

        대규모 감염병 발생 시 국방의 역할: COVID19 사태를 중심으로

        박민형 ( Park¸ Min-hyoung ),김혜원 ( Kim¸ Tae-hyun ),김태현 ( Kim¸ Hye-w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2

        본 연구는 비전통안보 위협이 증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대규모 재난 발생 시 국방의 역할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2020년 한국을 강타한 COVID19에 초점을 맞추어 대규모 감염병 발생 시 군의 역할에 연구 중점을 맞추고자 한다. 비전통안보 위협 중 보건안보의 위협은 2000년대를 들어 세계화와 도시화, 환경오염에 기인하여 사스, 조류 인플루엔자, 에볼라, 메르스 유행 등 점점 심각한 파급력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점차 파급력이 높아가고 있는 대규모 감염병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단순히 복구 차원에서 국방의 역할뿐만 아니라 예방, 대비, 대응을 포함한 위기관리체계 전반에 있어 국방의 역할이 무엇일까를 고민하였다. 따라서 미래 대규모 감염병 발생을 포함하여 비전통적 안보 위협의 증대에 따른 국방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기여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이라 할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비전통안보의 개념을 설명하고 비전통안보 확대에 따른 국방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우선적으로 정립하였다. 이후 최근 발생한 COVID19에 대한 정밀분석을 실시함에 있어 COVID19 사태의 개요를 알아보고 대처 과정이 국방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대규모 질병 발생 시 국방은 과연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The core goal of security is to protect the people, territory and sovereignty from threats. Since the nation's threats include both traditional and non-traditional threats, the military should also ensure the security of the nation and its people from these diversified threats. Thus, the task of protecting the people from national disasters, such as the outbreak of massive infectious diseases, which is one of the non-traditional threats,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main roles of the military considering the concept of changed security and threats. Therefore, the military should pursue an adaptive military equipped with so-called "versatility" to respond to traditional security threats but also to non-traditional security threats. Disaster management systems, such as large infectious diseases, have five characteristics: boundary, uncertainty, specificity, interactivity and complexity. In response to disasters with these characteristics, the military should seek roles that can be played in the following three dimensions: performance of preventive measures before a disaster occurs, role as an initial response agency in case of a disaster, and restoration and reconstruction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disaster process, and support missions.

      • KCI등재

        한국형 평화담론에 대한 비판과 성찰

        이정철 ( Lee Jung-chul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0 국방연구 Vol.63 No.3

        문재인 정부의 평화 및 생명공동체론은 남북협력을 공동체 구성의 목표로 하고, 지역 협력을 또 다른 안보 공동체로 접근하는 이원론에 가깝다. 따라서 문재인 정부는 동북아 안보공동체라는 지역안보협력의 과제를 진행함과 동시에, 남북 간 평화 및 생명공동체라는 특수한 공동체 형성과정을 추진하겠다는 이중 구상을 실행 중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은 분석을 듣기 전에는 생명공동체, 평화공동체라는 개념이 안보공동체로 가는 전 단계인지 아니면 이원론에 근거한 새로운 프로세스인가인지에 대한 초보적 답변도 얻기 어렵다. 불친절한 창조적 접근이 이론으로 보완되지 않을 때 발생하는 혼란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문재인 정부의 평화 기획이 갖는 문제점이다. 본 연구는 이같은 문제 의식 하에 문재인 정부의 평화담론과 그 한계를 평화학과 안보연구의 두 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문대통령의 신한반도체제와 평화경제론 연설이 오슬로 연설을 거처 비전통안보 나아가 인간안보론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형 평화 담론의 세가지 특징을 찰스 쿱찬의 이론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그것은 탈기능주의 접근법, 반혐오주의와 개방형 평화담론 그리고 평화와 정치적 기획의 선제성과 우선성이다. 이 세가지 전략이 제대로 구현될 때 현 정부가 구상하는 한반도 평화공동체와 동북아평화협력플랫폼이 완성될 것이다. The “Peace Community” pursued by the Moon Jae In administration is a kind of dual approach, putting Inter-Korean unification as a separate basis for a peace community, while seeking security community as another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body. Therefore, it could be said that the Moon administration is pursuing the formation of a special community body for Inter-Korean cooperation, while simultaneously developing the regional security community of Northeast Asia or East Asia. The problem of the Moon administration’s design for peace building in Korean Peninsula is that the conceptual genealogy of the term “peace community” is not quite clear in terms of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Concepts such as a ‘South-North Korea Life Community’ and a ‘South-North Korea Peace community’ do not have sufficient theoretical basis compared to the diverse discourses which are being used by the security studies community. This study analyzes the Moon Jae In administration’s discourse about peace building, and its limitations based on the two pillars of peaceology, including conflict management studies and security studies. The study analyzes the entire process of the evolution of President Moon’s speech, from his ‘New Korean Peninsula Regime’ and ‘Peace Economy’, to non-traditional and human-security discourse. In sum, the author characterizes the three features of peace discourse for Korean Peninsula: non-functionalist approach, anti-hatism and openness in the process of peace building, as well as the primacy of unilateral accommodation as onset phases towards peace building. Only when these three strategies are properly realized, will the “Peace Community” strategy that the current Korean government is suggesting as a platform, be complete.

      • 국민 안보의식 실태와 제고방안

        허정옥 國防大學校 安保問題硏究所 2001 정신전력학술논집 Vol.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하여 제주도민의 안보의식 실태를 기술하고,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실태를 근거로 안보의식 제고를 위한 정책적인 시사점을 도출하며,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가 매년 실시하는 전 국민 안보의식 여론조사의 모집단에서 제외된 제주도민의 안보의식 실태를 보충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기존연구의 검토를 통하여 안보의식이 중요요소를 선별한 다음 그것을 토대로 제주도민의 안보의식을 실증연구방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제주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18세 이상의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382명에 대하여 설문지 조사법을 사용하여 안보의식을 보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5월 10일부터 5월 30일 사이에 걸쳐 이루어졌다.

      • KCI등재

        1990년대 전환기 안보환경과 국방정책 연구 -노태우·김영삼 정부를 중심으로-

        이미숙 ( Lee¸ Mi Soo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4

        본 연구는 1990년대 안보환경의 전환기였던 노태우·김영삼 정부의 국방정책을 당시 안보환경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정부별 안보환경이 어떻게 국방정책으로 반영되었는지, 또는 정부가 당시 처한 안보환경에 어떠한 국방정책으로 대응하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안보환경의 맥락에서 ‘국방비전과 과제’, ‘불특정 위협’, ‘북한위협’ 이라는 세 가지 쟁점을 검토했다. 세 가지는 국방정책이 안보환경의 변화로부터 받는 위협에 최우선적으로 대응한다고 볼 때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기준으로, 노태우 정부와 김영삼 정부가 보인 위협대상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그 중요성은 분명하게 드러났다. 연구결과 1990년대 국방정책은 전환기 안보환경의 이중성으로 인한 유동성, 불안전성,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대비’에 방점을 두고 ‘화해’와 ‘대비’ 지향 정책을 병행 추진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노태우 정부는 자주적인 대비 지향 국방정책으로 전환기의 안보상황에 대응했고, 김영삼 정부는 포괄적인 대비 지향 국방정책으로 전환기의 안보상황에 대응했다. 그 결과 1990년대 전환기 국방정책은 자주적이고 포괄적이며 미래지향적인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안보상황에서 한국의 국방정책을 수립하는데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national defense policy of the Roh Tae-woo and Kim Young-sam governments, which were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security environment in the 1990s, in connection with the security environment at the time. Through research, it was attempted to find out how the security environment for each government was reflected as a national defense policy or what kind of national defense policy the government responded to the security environment faced at the time. To this end, three issues were reviewed: "National Defense Vision and Task," "Unspecified Threats," and "North Korea Threats" in the context of the security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1990s, national defense policies focused on "preparation" to overcome liquidity, instability, and uncertainty due to the duality of the security environment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while simultaneously promoting "reconciliation" and "preparation" oriented policies. The Roh Tae-woo administration responded to the security situation of the transition period with an independent preparation-oriented national defense policy, and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responded to the security situation of the transition period with a comprehensive preparation-oriented national defense policy. As a result, the national defense policy in the 1990s transition period showed independent, comprehensive, and future-oriented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Korea's national defense policy in a security situation where uncertainty intensifies.

      • KCI등재

        한국문제에서 유엔사의 지위와 역할

        노동영 ( Noh Dong You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7 국방연구 Vol.60 No.4

        1947년 9월 17일 미국이 한국문제를 UN총회 의제로 상정시키면서 UN에서 한국문제를 처리해 왔던 바와 같이 하나의 한국(one Korea)을 위한 한국문제 또는 통일문제를 UN과 분리하고는 생각할 수 없다. 남과 북 상호간 전개되어 온 모든 관계는 바로 한국문제와 관련된다. 한국문제는 UN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집단안전보장제도를 구현하게 한 계기였다. 특히 한국문제에 있어 유엔군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전쟁 기간 동안 파병되어 지금까지 주둔하고 있는 유엔사는 과거와 현재에서 한반도의 전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한국문제가 통일로 연결되는 장차에서도 한반도의 평화를 구축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본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문제 또는 통일과정에서 유엔사의 지위와 역할(임무)을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전쟁 기간 동안 한반도에 투입된 유엔군의 법적 성격을 UN헌장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한국군의 유엔사로의 작전지휘권 이양을 검토함으로써 유엔사의 지위를 논한다. 다음으로, 국제법질서에서 UN의 기능을 분석한 후 유엔사의 해체 주장과 관련하여 유엔사의 UN의 기관성 및 한반도의 평화를 구축하거나 통일과정에서 기여할 유엔사의 임무 내지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United States brought the problem in Korea before the General Assembly of the United Nations (UN) on September 17, 1947 and the UN has dealt with issues in Korea since then. Thus, the UN cannot be ignored in discussions on issues related to One Korea or unification. All the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continued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re related to Korean Question. Korean Question served as a trigger for the UN to establish a system for collective security underlying the organization. In particular, the UN forces play a pivotal role in the Korean Question. The United Nations Command(UNC) in Korea first arrived at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Korean War and it is still operating in Korea with its roles to deter wars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UNC will play a critical role in securing peace in Korea after the unification.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hed new light on the position and roles(duties) of the UNC in the Korean Question or course of its unif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rticle reviewed the legal aspects of the UN forces dispatched to Korea during the Korean War based on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examined the assignment of the command authority to the UNC and discussed the position of the UNC. Then, the article analyzed functions of the UN within the context of the international legal order and put an emphasis o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UNC, and its potential duties or roles in the course of achieving peace in Korea or its unification.

      • KCI등재

        21세기와 한국의 안보: 국제환경변화에 따른 한국의 안보 위협들

        전웅 ( Woong Chu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5 국방연구 Vol.48 No.2

        이 글은 21세기의 국제안보환경을 조망하고 그것이 한반도의 안보에 미치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이에 따라 21세기 국제사회의 안보환경에 중요한 변화를 야기하는 핵심적인 요인들로써 미국 주도의 패권적 질서, 세계화, 정보화, 국제테러리즘 등 4가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요인들이 한국의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그러한 분석에 바탕을 두고 향후 한국이 취해야 할 안보정책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21세기 한국의 안보전략은 정보화, 세계화의 거대한 흐름을 수용하면서 동시에 미국의 패권적 질서에 따른 전통적 군사안보 개념을 반영하여 보다 총체적이고 포괄적인 안보 개념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전통적인 동맹과 세력균형에 바탕을 둔 군사안보와 더불어 국가 간 상호 이해와 신뢰에 중점을 두는 협력안보를 병행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군사적 위협에 대해서는 군사안보적 개념에 바탕을 둔 군사력의 확충, 동맹체제 강화 등의 정책을 추구하고, 비군사적 위협에 대해서는 협력안보 개념에 바탕을 둔 정책을 추진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ing global security environments in the 21st century and their implications to South Korea`s security policy.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U.S. hegemony, globalization, information revolution, and international terrorism as the key factors to affect on the global security environments. In turn, these four factors will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Korea`s security environment in the future. According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ecurity threats and challenges South Korea will face in the 21st century, posed by changes in the global security environments, and to suggest some policy recommendation for overcoming those challenges. In a complicated security environment in the 21st century, which policy direction is most beneficial to the South Korea now or in the future? South Korea will consider the traditional security policy, such as building up her military power, keeping balance of power in the region, and strengthening ROK-US alliance, as a useful means to maintain the peace and stability in the Korean peninsula. But in the long run, a cooperative security strategy will be a better solution for South Korea to overcome her security challenges. South Korea`s security problems, particularly nontraditional ones, should be resolved through cooperation. Any traditional military alliance and balance of power cannot effectively handle issues such as terrorism, drug traffick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others.

      •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대한 담론

        이옥연 ( Ok Yeon Yi Hong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04 국방연구 Vol.47 No.2

        지난 십여 년 동안 한반도 내부 및 주변 정세가 급변하면서 국가안보의 개념이 재해석되고 또한 그 적용 범위도 확대되고 있으나, 국가안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인식차이를 둘러싸고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더구나 오랜 기간동안 안보에 관한 한 여성은 무관심하거나 무지하다는 통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결과, 성별 차에 근거한 안보의식의 격차를 단순하게 생물학적 차이나 경험부족에 기인한다고 상정함으로써 안보의식 성별 차에 관한 토론 자체가 불필요하다고 결론짓는다. 그러나`국가안보 (national security)`라는 개념 자체가 오랜 기간 동안군사주의 및 남성성 (masculinity)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던 점에 주목한다면, 안보의식의 성별 차는 안보와 관련된 정책과정에서 여성의 참여가 배제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된 국민 안보의식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대한 검토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우선 안보의식의 성별 차에 관한 이론적 설명을 정리한 후, 전반적인 안보상황 및 안보 위협요인에 관해 남성과 여성 간 관점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피고, 안보와 관련된 문항에서 구체적으로 안보의식의 성별 차가 추상적 개념에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연관된 개별적 정책에서 보다 명백하게 나타나는지 검토한다. 본 논문은 안보의식에 관련된 설문 조사 결과에 근거해 표준치와 성별 차간의 격차를 제시함으로써 안보의식의 차이가 남성과 여성 간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 정리한다. 이러한 작업은 후에 안보와 관련된 사안에 대해 성별 차가 연령, 직업, 교육수준, 경제력, 거주지 등 다른 변수들과 구별되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지, 혹은 안보와 관련된 정책결정과정에서 여성 참여의 확대가 필요한지, 나아가 여성주의적 관점을 독려함으로써 탈냉전기 시대가 요구하는 안보정책이 가능 한지 등에 대한 논의로 발전하는데 필수적이다. Since the 1990s, demands have arisen to expand, if not modify, the definition of security in accordance with multi-faceted changes both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nd to incorporate the subsequent shifts in the public opinion on security needs into corresponding policies. In the absence of surveys conducted specifically among women who are in the position of influencing security policies, and then compared between elites and general public, however, it is rather premature to determine the nature of linkage between the perceptual gap across gender and its policy implication. This paper analyzes survey results on gender gap in the security perception from 1999 through 2002 among general public, thus it does not substantiate any claim regarding women`s enlarged participation in the policy-making policy. Yet by providing general insights into the significance of gender gap in the security perception, it illuminates how the perceptual gap manifests across gender and whether such a gender-based gap is limited to abstract ideas or applicable to specific policy questions regarding security issues. Based on these findings, I will contemplate how gender gap in the perception, if there exists any, may be reflected in policies, although my speculation is in no way specific to any definit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der-based perception gap on the one hand, and formatio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policies on the other hand. Nevertheless, this paper is a meager but meaningful effort to contributes to the study of gender gap by identifying exactly how men and women display different patterns of perception regarding security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