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왕직(王直)을 통해 본 16세기 동아시아해역

        이수열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동아시아해역에서 왜구가 창궐했던 시기는 크게 두 차례 있었다. 14-15세기에 주로 한반도 연안을 침략해 사람과 쌀을 약탈한 왜구와 16세기에 들어 다민족으로 구성된 해상세력이 중국해 전역에 걸쳐 불법 무역을 감행한 왜구가 그것이다. 왕직은 16세기 왜구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이 논문은 왕직을 통해 16세기 동아시아해역에서 전개된 일련의 역사 과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16세기 동아시아해역에서는 전례가 없을 정도로 강한 무역 욕구가 팽배해 있었다. 그 이유로는 중국 연안 지역의 제조업 발전,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아시아해역 진출, 세계적 차원의 은 순환, 내전 하 일본의 중국 상품 수요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왕직과 같은 해상세력이 등장했다. 왕직은 중국해 전역에서 밀무역 활동을 전개해 막대한 부와 권력을 쌓았다. 거래하는 상품도 민간 수요품에서 군수품, 서구식 화기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그러나 이러한 무역은 명조의 관점에서 보면 명백한 불법행위였다. 이후 명조는 해금정책을 서서히 완화해 갔고, 그 과정에서 왕직은 처형당했다. 동아시아해역의 상업 붐은 명조와 멸망과 청의 등장,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정권의 성립, 조선의 지배구조 재편 등으로 종언을 맞이하게 된다. 새롭게 들어선 한반도, 중국, 일본의 강력한 중앙정부는 다시 바다를 관리하기 시작했다. 그 결과 17세기에 들어 바다는 ‘국가의 바다’로 회귀해 갔다. There have been two major periods of Waegu/Wako's emergence in East Asian Seas. These include Waegu/Wako, which mainly invaded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4th and 15th centuries, and Waegu/Wako, where maritime forces composed of multiethnicities carried out illegal trade throughout the Chinese Seas in the 16th century. Wang Zhi was a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16th century Waegu/Wako. This paper aims to examine historical processes developed in East Asian Seas in the 16th century through Wang Zhi. In the 16th century, there was a strong desire for trade in East Asian Seas. The reasons include the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in the coastal region of southern China, the entry of Portugal and Spain into the Asian Seas, the establishment of a silver-centered economy, and the demand for Chinese goods from Japan, which was in the midst of a civil war. In this situation, maritime forces such as Wang Zhi emerged. Wang Zhi built enormous wealth and power by engaging in illegal trade across the Chinese Seas. Products traded ranged from private demand to munitions to Western firearms. However, this trade was clearly illegal from the Ming dynasty's point of view. Later, Ming gradually eased the policy of Maritime Exclusion and Tribute, and Wang Zhi was executed in the process. The commercial boom in the East Asian Seas ends with the Ming Dynasty, the collapse, the emergence of the Qing Dynasty, the establishment of the Tokugawa regime, and the reorganization of Joseon's governance structure. The new strong central governments of the Korean Peninsula, China, and Japan have begun to manage the seas again. As a result, in the 17th century, the sea returned to the "sea of nation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변시지(邊時志, 1926-2013)의 제주화 형성과정과 조형적 특징 연구 –장소성, 천지현황(天地玄黃), 풍토를 중심으로-

        변종필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변시지(邊時志, 1926-2013)는 제주 출신의 화가로, 그의 삶과 예술세계는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독특한 위치에 있다. 변시지의 73년 화업을 따라가면 장소가 독자적인 화풍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변시지는 장소를 해석하고자 했고, 그 결과 그만의 독특한 색채, 공간, 형태를 창조했다. 그리고 자신을 대변하는 색채인 천지현황(天地玄黃)을 완성했다. 변시지의 삶과 예술세계는 크게 '일본 시기', '서울 시기', '제주 시기'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도 제주 시기는 '제주화'라 불리는 독특한 예술 양식을 개발하며 예술적 업적의 절정을 이룬 시기로 돋보인다. 이 논문은 1975년 이후 변시지가 제주로 귀향한 시기에 중점을 두고 그의 ‘제주화’ 형성과정을 탐구한다. 먼저, 변시지의 귀향 결정의 배경을 알아보고 작품과 제주와의 관계를 조명한다. 둘째로는 그의 제주 시기 작품들의 조형적 특징, 특히 '색채와 선', '형태와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천지현황의 철학적 사유에서 비롯된 변시지의 '제주화'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이해한다. 더불어, 논문은 변시지의 오랜 주장인 '예술의 원천은 풍토에 있다'는 주장과 제주화 형성 사이의 관련성을 강조한다. 궁극적으로, 변시지의 '제주화'는 하늘과 공존하는 바다 위의 땅, 제주를 독창적인 조형언어로 표현한 작품세계이며, 동시에 제주의 형식을 넘어서 모든 이들에게 소통과 영감을 주는 작품으로 유의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Byun Shi-ji (1926-2013) is an artist from Jeju, and his life and artistic legacy occupy a unique position in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art. Produced over a period of 73 years, Byun's work demonstrates that location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his unique painting style. Stated to an extreme, Byun Shi-ji tried to interpret a place with his painting, and as a result, he created his own unique colors, spaces, and forms. And as his representative color, Byun Shi-ji completed Cheonjihyeonhwang(天地玄黃), which expresses the subject ‘Jeju’ in black on an ocher background. Byun’s life and artistic development are largely divided into a ‘Japanese period,’ a ‘Seoul period,’ and a ‘Jeju period.’ Among these, the Jeju period was the peak of Byun’s artistic achievement and represents his development of a unique art style called the ‘Jeju painting style.' This paper explores the formation of Byun’s ‘Jeju painting style,’ focusing on the period when he returned to Jeju starting in 1975. First, I examine the background of Byun's return home and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ks and Jeju. Second, I focus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is Jeju period works, especially ‘color and line’ and ‘form and space.’ Based on this, I situate how Byun's 'Jeju painting style,' which originated from his philosophical thoughts on Cheonjihyeonhwang (天地玄黃), was formed. In addition, this paper focuses on how Byun's long-referenced claim that 'the source of art lies to the region’s natural characteristics' is related to his Jeju painting style. Ultimately, it can be confirmed that Byun's 'Jeju painting style' is meaningfully depicts Jeju, a land on the sea that coexists with the sky, in a unique formative language, while providing communication and inspiration to everyone beyond the form of Jeju.

      • KCI등재후보

        남근 봉정과 풍요, 동해안의 풍어의례

        유형동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이 글은 동해안 지역에서 남근을 봉납물로 바치는 마을 제의의 사례를 통해서 풍요를 기원하는 원초적인 사고와 그것이 시대적・사회적 흐름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검토한 것이다. 많은 것을 우리에게 가져다 주는 바다를 여성으로 보고, 남근을 바침으로써 풍요가 돌아올 것을 기대하는 것은 어쩌면 매우 보편적인 사고이다. 그리고 이같은 인식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변화한다. 흔히 신화는 기원에 관한 이야기라고 여긴다. 하지만 거꾸로 어떤 행위를 설명하기 위해 신화가 존재하기도 한다. 검토한 망개마을, 신남리, 안인진리의 사례를 통해 신앙행위의 변화와 당신화의 변화를 살필 수 있었다. 망개마을은 무속의례로 마을 제의를 올리고 바치는 목제 남근의 수를 조정하였다. 안인진리의 경우는 더 이상 남근 봉정을 하지 않는데, 이를 당신화를 통해서 부연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신남리는 활발한 남근 봉정이 이뤄지고 있는데, 당신화의 내용과 남근 봉정 사이의 서사적 논리성은 다소 부족한 양상이 확인되기도 했다. 그렇지만 이를 지역문화콘텐츠로 개발하고 있음이 나타난다. 남근 봉정의 지속/단절이 당신화를 통해 설명되고 있음이 보인다. 현재적인 양상에서 이들 의례는 차이를 보이지만 기저에는 바다를 관장하는 여해신과 남근의 봉납으로 상상되는 모의 성행위의 결과가 엄청난 생산력으로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인식이 존재한다. 해마다 갱신되는 남근 봉정은 왕성한 생명력을 지닌 해신이 매년 풍어를 이뤄주기를 기원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처녀신에게 남근으로 결핍된 남성을 채워 줌으로써 어촌 마을에 풍어라는 생산성을 기원하는 것이다. 여신에 대한 위무 행위이자 위대한 창조적 행위를 성을 표면으로 한다고 해서 감추는 것이 아니라, 겉으로 드러내고 공적인 공간으로 끌어올림으로써 건강한 성 인식을 담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mitive thinking of wishing for abundance and the perception of sex formed by the influence of the times and social trends through the example of a village ritual offering Namgeun as a tribute in the East Coast area. It is perhaps a very common thought to see the sea that brings us a lot as a woman, and to expect the return of abundance by offering a southern root. And this perception changes with the trend of the times. Mythology is often regarded as a story of origin story. However, conversely, myths exist to explain certain actions. Through the reviewed cases of Mangae Village, Sinnam-ri, and Aninjin-ri, we were able to examine the changes in religious behavior and the changes in your paintings. Mangae Village adjusted the number of wooden male roots offered by raising the village ritual as a shamanic ritual. In the case of Aninjin-ri,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of woody phallus was no longer performed, but this was added through Mythology of Village. Sinnam-ri has an active offering woody phallus, and the narrative logic between the contents of the Mythology of Village and offering woody phallus has been confirmed to be somewhat insufficient. However, it appears that this is being developed as a local cultural content. It seems that the continuation/disruption of offering woody phallus is being explained through Mythology of Village. Although these rituals differ in the present aspect, there is a perception that the results of the simulated sexual activity imagined by the dedication of the female god of the sea and woody phallus, who govern the sea, will return to tremendous productivity. The offering woody phallus Pavilion, which is renewed every year, can be said to wish the sea god, who has a strong vitality, to achieve a good catch every year. It is to pray for the productivity of abundant fish in fishing villages by filling the maiden gods with men lacking in male roots. It contains a healthy sexual perception by revealing and elevating it to a public space, not by concealing the act of consolation and great creative behavior toward the goddess.

      • KCI등재후보

        일본 표착 조선인의 마찰과 수습을 통해서 본 조일 교린의 실태

        이훈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본 논문은 임진왜란 이후 조일 간 우호의 상징으로 일컬어지는 표류민 송환 시 발생한 사고·마찰에 대해, 송환을 담당하는 대마번의 인식 및 수습 행태를 통해 조일 교린관계의 실태를 파악해 보고자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본에 표착하는 외국인이라면 막부측의 조사를 받기 위해 반드시 거쳐가야 하는 나가사키(長崎)에서의 ‘조선인 표류민 직소(直訴) 사건’(1717년)과 조선인의 표착 다발지역인 죠슈(長州)에서의 ‘조선인 표류 선박 추방(漕捨) 사건’(1795년)의 2 사례를 검토하였다. 먼저,‘나가사키 직소’(1717년)의 경우, 일본에 표착한 경상도 및 전라도 주민 50여명이 나가사키에 체류하는 동안, 일본측이 지급해야 할 식량 부족을 대마번(對馬藩)을 통하지 않고 막부(長崎奉行所)에 직접 항의한 사건이었다. 대마번은 막부가 어떤 조치를 취하기 이전에 선제적으로「식량 부족 사실의 은폐 및 통교 절차 훼손」부각이라는 대조선 및 대막부 교섭술을 발휘한 결과, 조선인 표류민의 직소 행위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었다. 또한 조선으로부터는 표류민의 직소에 대한 사과를 예조참의의 정식 외교문서(서계)로 받아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죠슈에 표착한 함경도 주민의 표류 선박을 추방한 사건(1795년)의 경우, 조선에서 표류민이 버림받은 사실을 먼저 알고 대마번을 추궁해 오기 전에, 대마번이 먼저 왜관에 사자를 보내 동래부사를 설득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그리고 조선 표류민들의 불만을 무마시키기 위해 표류민들을 극진히 대우하는 한편, 귀국한 후 일본에서 당했던 일을 동래부의 조사에서 절대 말하지 않도록 다짐을 받았다. 조선인 표류민들은 대부분이 어민들이었기 때문에 나가사키나 대마번에서는 이들을 ‘천한 것들’(下下之者 또는 下賤之者)이라 하여 멸시의 대상으로 여기는 한편, 이들의 항의를 ‘방종한 행위’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대마번이 사실을 은폐하거나 왜곡 축소하는 교섭술을 발휘한 결과 송환 자체는 원만하게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대마번의 입장에서는 조선인 표류민의 송환이야말로 막부로부터 부여받은 대조선통교 업무를 독점할 수 있는 중요한 명분이자, 통신사외교와 더불어 조일간의 성신 교린을 실천할 수 있는 중심축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ality of the Neighboring Diplomacy between Choseon and Japan through the perception and settling situation behavior of Tsushima-han, who is in charge of repatriation, about accidents and friction that occurred during the repatriation of drifters, which is called a symbol of friendship between Choseon and Japan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Choseon in the year of Imjin(1592). Specifically, the paper examines two cases: the 'Direct Appeal Case by Choseon drifters in Nagasaki (1717), a mandatory stopover for foreigners to be investigated by the Shogunate in Japan, and the ‘Expulsion of Choseon drifting Ships' in Choshu (1795), a frequent drifting and arriving area for Choseon people. Firstly, in the case of the ‘Direct Appeal in Nagasaki' (1717), it was an incident that about 50 drifters of Gyeongsang-do and Jeolla-do who had arrived in Japan protested directly to the Shogunate (Nagasaki Bugyosho) without going through the Tsushima-han about the food shortage the Japanese side should have provided while they were staying in Nagasaki. The Tsushima-han was able to fundamentally block the direct appeal of the Choseon drifters as a result of preemptively employing a negotiation tactic against Choseon and the Shogunate, highlighting the ‘concealment of the fact of food shortage and damage to the diplomatic procedure', before the Shogunate took any action. Also, from Choseon, they were able to receive an apology for the direct appeal of the drifters through a formal diplomatic document (Seogye) from the Yejo Chameui. Next, in the case of the expulsion of the drifting ship of Hamgyong-do residents who arrived in Choshu (1795), Tsushima-han took the initiative to send an envoy to Waegwan and persuade Dongnaebusa (local Governer of Dongnaebu) before questioning Tsushima-han after knowing first that the drifters had been abandoned in Choseon. And to to appease the dissatisfaction of Choseon drifters, they treated them extremely well, and received a promise that they would never tell what they had experienced in Japan after returning home in Dongnaebu's investigation. Since most of the Korean drifters were fishermen, Nagasaki and Tsushima-han regarded them as objects of contempt as lowly person while recognizing their protests as "indulgent acts.”However, as a result of the Tsushima-han employing negotiation tactics to conceal or distort and reduce the facts, it can be said that the repatriation itself was carried out smoothly. From Tsushima's point of view, the repatriation of Choseon drifters was an important justification for monopolizing the work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Choseon granted by the Shogunate, and also a central axis for practicing sincere Neighboring Diplomacys between Choseon and Japan along with Tongshinsa Diplomacy.

      • KCI등재후보

        바다의 영혼, 바다의 치유

        김헌선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이 글은 바다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무속적 사고의 전환 단계를 점검하기 위해서 쓰여진다. 글의 핵심은 반구대 암각화에서 발견되는 형상화된 바다 동물인 고래와 뭍 동물인 호랑이와 여러 동물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상세하게 검토하였다. 원시적 심성에 무당이 등장하여 자연과 인간을 서로 교유하고 조절하는 구실을 하는 것을 원시적인 것으로 보면서 이 단계의 사고를 중시하여 해명하였다. 청동기 시대가 되면서 종래의 방식과 다른 무당 집단의 정치적 위상이 상승하면서 인간 중심의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결속과 단합을 위한 정치적 무당-왕의 등장에 의한 사람의 조상 영혼을 중심으로 하는 굿이 등장하였다. 그렇게 되자 풍요와 동물의 정령을 위한 일련의 굿은 변질되면서 인간 중심의 풍요를 기원하면서 죽은 사람의 영혼을 달래는 굿이 성행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승에서 발견되는 바다에 풍요를 비는 굿과 바다에서 죽은 이를 위한 넋굿이 크게 성행하였다. 현재의 유습에서 바다가 가지는 바다의 영혼이나 바다의 치유가 이제 긴요한 과제로 등장하게 된다. 바다의 굿에서 보이는 풍요제의와 인간 중심의 굿은 이제 원래 가지고 있었던 회복 능력이나 치유 능력을 중심으로 자연과 인간의 공존과 화해를 위한 치유 기능을 환원해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굿이 지니는 조절 능력을 회복하고 바다의 영혼을 존중하면서 바다를 지키는 수호자의 기능을 회복하는 것이 바다굿이 핵심적인 면모를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바람직한 도달점은 바다의 영혼을 위하고 바다의 치유 능력을 회복하는 것이다. 제주도의 굿 사례를 많은 것을 환기한다. 인간 본연의 중심주의를 벗어나서 이것이 지니는 일련의 자연과 화해하는 조절 능력은 우리가 기댈 만한 자연스러운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를 중심으로 우리는 굿의 본연 기능을 회복하고, 인간과 자연의 공감과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화해를 강조하면서 바다굿의 전통을 잇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한국 풍어굿 신당 봉안 신령의 존재 양상과 의미

        홍태한 국립해양박물관 2023 해양유산 Vol.5 No.1

        This article has taken a look at the existence of the spirit enshrined in the Pungeo-gut shrine of Korea and formulate its implications. The Pungeo-gut is a ceremony to pray for pungeo (great harvest from fishing) that is held by the fishery village in the applicable region and led by a shaman with the support of Suhyup, local government and so forth in the pier. In this article, the meanings have been sought around the spirits enshrined in Gochang-gutdang of Oipo-ri, Ganghwa-gun, Wondang in Hwangdo-ri, Taean-gun, Wondang in Dae-ri, Buan-gun, Youngsin-dang in Chang-ri, Seosan-si, Jeonhoeng Janggun-sadang in Oiyeon-do, Boryeong-si among the Pungeo-gut Shrine. The spirit enshrined in village altar are divided into the spirit related to actually existed persons, human spirit without the clear identity, spirit solidifying the sea as the background of Pungeo-gut, general spirit in the shamanism of Korea, and so forth. The spirit of existing persons indicates the person that is actually existed in history, and the spirit of persons not so clear of its actual presence is one that has the name to exist but is the one that would not have detailed information including actual existence, and the spirit that solidifies the sea is the spirit that personifies the attributes of waves and wind, and the ordinary spirit of shaman practice implies the ordinary spirit emerging in other guts (shaman practice), not just in the Pungeo-gut as the shaman practice of Korea. By dividing into four classes, it has formulated the attributes found in the spirit s of the Pungeo-gut, and based on such finding, the changes in the Pungeo-gut have been summarized. On the basis of characteristics for those spirits enshrined in the Pungeo-gut, three appearances of the Pungeo-gut have been formulated. One is the Pungeo-gut that has the existing persons as the spirits, second is the Pungeo-gut that enshrined the persons without having detailed information as the spirits, and third is the Pungeo-gut that enshrined the persons detailing the sea. The relativity for the above three attributes should be more clearly sought, but it is deemed that the Pungeo-gut that solidified the sea is more likely to be the innate appearance of the Pungeo-gut rather that the Pungeo-gut that solidified the existing persons. When a human is conceptualizing the spirit, it has the tendency to primarily accommodate the natural material to gradually solidify in a way of transforming the persons as the spirits. In order to develop the Pungeo-gut as a celebrating festivity, more attention should be given for the human-spir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