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 간의 관계

        김동현(Dong-Hyun Kim),김형균(Hyung-Gyun Kim)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2 敎育論叢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를 분석하고 두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는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충청권의 3개 지역(대전, 세종, 충남)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306명을 임의로 표집하였고, 진로포부 검사와 진로성숙도 검사를 학년 및 학생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이용하였으며, 지도교수와 경력교사들의 검토 등을 거쳐 검사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통계 자료는 2020년 12월 1일부터 12월 11일까지 온라인 및 직접 배부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전량 회수하였다. 활용 불가능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6부의 설문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유효율 98.7%). 본 연구에 활용된 설문지는 SPSS 21 프로그램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t-test, F-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포부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인들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6학년 학생들이 5학년 학생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년에 따른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그 하위요인들은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섯째, 진로포부와 그 하위요소의 수준이 높은 집단이 진로성숙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초등학생의 진로포부와 진로성숙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높이는 방법으로는 진로교육에서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수준을 높여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현재 초등학생들의 진로포부 및 진로성숙도와 관련한 학습 및 체험 프로그램이 미비하므로 이와 관련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rade and gender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mong the 17 cities and provinces nationwide 3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3 regions (Daejeon, Sejong, and Chungnam) were randomly selected and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test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according to grade and student characteristics. Statistics were collected online and directly from 1 to 11 December 2020, and a total of 3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Except for unavailable questionnaires 306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effectiveness 98.7% efficiency The questionnaire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21 program with significance levels p<.05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test, F-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in p<.05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aspirations of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 seni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by gender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sixth-grade students higher than fifth-grade students. Fourth,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sub-facto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ifth, it was analyzed that groups with high levels of career aspirations and their sub-factors also have high career maturity. Sixth,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significant static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un a program that can raise the level of career aspir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as a way to improv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currently insufficient learning and experience programs related to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llow-up research is required.

      • 公州教育大學校32年 (1962〜1994)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94 公州敎大論叢 Vol.30 No.-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32년간에 변화 발전해온 파란만장한 영고성쇠의 사건 사실들 을 간추려 본다. (1) 교육대학(2년제, 4년제나) 개교 하기 전에 한 일중 특기할 사항은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활동이었다. 1년 이상에 걸쳐 연구하여 제정했다. (2) 공주교육대학교 개교 이래 입학 지원자가 모집정원에 미달하여 2차모집(1962)을 한 일이 한번 있었다. 또한 입학지원자중 합격권내의 여학생이 너무 적어 특별전형으로 여학 생수를 늘린때(1962)도 있었다. 그러나 여학생의 입학율이 남학생보다 매년 늘어나 1980 년부터는 81%로 늘더니,1994년 신입생 모집부터는 남녀의 한 성이 70%를 초과할 수 없 다는 규정을 접하게 되었으니 이것은 분명 여성 파워 시대임을 심각하게 하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3) 개교하던 첫해의 1학년 학급수는 5개학급이고, 교수는 10名으로 한 학급에 교수 2 명씩 지도교수를 임명(다음해 부터는 1명 씩 배당했지만) 했다. 또한 개교하던 1962년에는 공주사범학교 졸업반인 마지막 3학년이 있어 같은 건물을 쓰고 있었다. 그러나 대학생들 은 청소도 하지 않을 뿐더러 신을 신고 교실에 드나들고 하여 사범학교 학생들의 불만이 대단하였다. 할수 없이 지도교수들이 대학생들 교실 청소를 해 주기로 하고 몇일을 하고 있으니 대학생들이 자진하여 청소를 하게 되었다. 공주교육대학 초창기의 해프닝의 하나 다. (4) 우리나라의 초등교사 양성은 계획 양성 체제였다. 즉 초등교사의 수요에 맞추어 교 사양성을 했다. 그러므로 수요에 맞추어 공급하려니 공주교육대학의 재학생은 고무줄 같 이 줄었다 늘었다 했다. 이것으로 인한 대학의 사건 사례가 많았다. 한 사례는 학교의 연 혁사례로 삼고 싶다. 첫번째의 사건은 1960년 후반의 일이다. 1966년부터 초등교원의 부 족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나 보수교육(중등교사 자격증 소지자의 초등교사 임용을 위한 초 등교사 교육)을 하게 되더니 급기야는 단기양성소(대학졸업자,고등학교 졸업자 입학)를 설립하여 초등교사의 대량생산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반 부터는 교사 과잉상 태가 되어 임용적체 현상이 나타났다. 드디어 1976년에는 모집정원이 160명,1977년에는 120명으로 줄어 들었다. 전교생 1,040명에서 240명으로 줄어들었으니 교수들은 수업부담 기준양이 부족했다. 교수들은 자진해서 할 일을 찾아나섰다. 충청남도 교육청(당시는 교 육위원회)에 나가 일선학교의 장학지도를 하기도 하고 공주시민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대 학,주부대학 등 시민대학을 개설 운영하기도 했다. (5) 공주교육대학교의 창설 당시인 1962년은 공주시내 건물들이 일제시대의 유물인 양 녹아난 빨간색의 함석지붕의 집들이었고,도로는 모두 비포장 도로였기 때문에 간혹 버스 라도 지나가면 먼지가 날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 그러나 지금은 당시의 서울거리 못지않게 현대식 양옥 건물에 깨끗한 포장도로로 격조 높은 문화도시로 변모하였다. 이러 한 공주시의 변화와 함께 공주교육대학도 1962년(32년)의 옛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다. 1962년 개교 당시의 공주교육대학의 모습은 단 한군데 있다. 즉 승명관(講義 가棟) 하 나 뿐이다. 부속국민학교의 옛 모습도 하나도 없다. 또 하나 찾아 본다면 운동장과 교문 (校門)자리다. 옛날 교문은 지금의 체육관 앞 은행나무 있는 큰 도로변이다. 참으로 옛날 은 좋았고 역사는 흐르는가 보다.

      •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교육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황규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72 公州敎大論叢 Vol.9 No.2

        Our society has made rapid progress since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However, we can not lead a happy life with only development of science or economic rehabilitation alone. Social stability and educated people are prerequisite to the happiness of life. That is why education of the people is very important. As everyone knows, the teacher plays a leading role in the education. Among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in the key position, who are in charge of the foundation education of a nation. Viewed in this manner,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is keystone of social welfare. Thus,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le ways of improving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by comparatively studying and analyzing the present curricula for elementary teacher education among Southeast Asian nations. The materials, which are collected from Korea, Japan, Republic of China, Thailand, Khmere, and Singapore, are not enough but up-to-date. n Korea are as follows ; 1. Improvement of the system (1) Prolongation of learning year Two years is too short. Four-year or five-year college program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Scholarships and treatment A large sum of scholarships should ba awarded to the students, and salary of the teacher should beraised to secure good teachers. 2.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1) Reorganization of general education The contents should be directly related to life rather than to the system of disciplines. (2) Reorganization of professional education 1) The following subjects should be required principle of Education, History of Education. Educational Sociology, Child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Educational Research, Audio-Visual Education, and Library Science. 2) In methods of teaching, the discipline-centered approach should be emphasized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understand basic concept, structure, and principles of the method. 3. Education for Practical teacher As in case of Japan, one of three subjects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elected, or special courses for music teachers, art teachers, and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established as in case of Republic of China.

      • 체육문화 입문으로서의 초등체육교육

        이덕영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2007 公州敎大論叢 Vol.44 No.2

        Many activ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in each area of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pursued to present a direction toward which the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proceed. Setting a right direction should precede anything.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has so far been centered on the purpose of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rough acquiring physical aptitude and promotion. To put it another way, it was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However,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based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values of physical education alone is not sufficient enough to actualize the whole-man education through the right practice of body, ethics, and intelligence. Rec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ultural value of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education is gaining much power as an introduction to the physical culture. Therefore,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must also actualize the whole-person education as an initiation to the physical culture. Systematic research into the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s of the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must be actively pursued in order to guide and introduc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he physical culture in addition to promoting their physical aptitude. 지금까지 초등체육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의 각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등체육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올바른 방향 설정은 그 무엇보다도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초등체육교육은 운동기능 습득과 신장을 통한 전인교육이라는 목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다시 말해서 체육교육의 외재적, 내재적 가치에 따른 초등체육교육이었다. 그러나 체육의 외재적, 내재적 가치에 따른 초등체육교육으로는 체&#8228;덕&#8228;지의 올바른 실천을 통한 전인교육을 실현하기 어렵다. 최근에 체육의 문화적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왔고, 체육문화에로의 입문으로서의 체육이 그 힘을 얻어가고 있다. 따라서 초등체육교육 또한 체육문화에의 입문으로서의 초등체육교육을 통해 전인교육을 실현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학생들을 운동기능 신장만이 아니라 체육문화로 안내하여 체육문화에 입문할 수 있도록 초등체육교육의 내용과 방법, 평가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우리나라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원천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 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피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교육 목표, 지도 내용 영역, 주요 지도 요소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 후,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 시하고자 했다. 도덕과 교육목표는 개조식에서 서술식으로 총괄목표에서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도덕과 지 도 내용 영역은 생활영역 확대법에 의해, 개인 생활, 가정?이웃 생활, 사회 생활, 국가?민족 생활이라는 4개 영역을 제7차 교육 과정기에 이르기까지 고수해 왔으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러 가치관계 확대법에 근거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나 라 ? 민족 ? 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등 4개 영역을 새롭게 설정했다. 주요 지도 요소는 대체로 그 수 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지도 요소의 내용은 시기별로 변화를 겪어 오고 있다. 분석 결과를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로 통합적 접근을 유지하되 도덕과 교육의 목표가 보다 통합적으로 서술되어야 한 다. 둘째로 통합적 인격의 요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로 주요 지도 요소의 수가 학년별로 한 개 정도만 제시될 정도로 대폭 감소되어야 한다. 넷째로 가치관계 확대법에 의한 지도영역의 설정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4차 산업 기반 초등학교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

        조붕환(Cho, Bung Hwa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이 연구는 초등학생을 위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4차 산업 기반 진로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초등학생 대상의 진로교육과 진로지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영역과 목표,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에 적합한 4차 산업 기반의 진로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4차 산업과 자기이해’, ‘4차 산업과 직업세계 탐색’, ‘4차 산업과 진로정보 탐색’, ‘4차 산업과 직업관 형성’, ‘4차 산업과 진로계획’의 5개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특성과 현장 초등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초등학교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및 지도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awareness and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examined. And the references and the previous program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e results, the domains, the goal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made up, and the 4th industry-bas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developed. The program consisted of 5 domains-‘the 4th industry & self-understanding’, ‘the 4th industry & job world exploration’, ‘the 4th industry & career information search’, ‘the 4th industry & occupational view building’and ‘the 4th industry & career plan’. This program reflected the career developmental trai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teachers’needs, so provided the useful materials for the elementary school career education and instruction.

      • 初等教員 資格制度論

        崔鶴柱 공주교육대학교 초등연구원 1988 公州敎大論叢 Vol.24 No.-

        이 硏究는 教員 資格制度의 意義 • 位相 • 機能과 性格 • 檢定方法 둥의 理論的 고찰을 통하여 교원 자격제도의 原理를 탐구하고, 우리 나라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變遷과 現況을 概括하고 分析 함으로써 교원 자격제도의 원리에 비추어 본 問題點을 진단하고 그 改善方向을 声索한 것이다. 硏究의 편의상 初等教員 중에서도 學級 教師에 限定하였고, 주로 新規 資格制度만을 다루었다. 硏究方法으로는 순수한 文獻硏究 方法을 사용하였다. 教員 資格制度란 교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資質을 法的 (또는 行政的 ) 으로 認定하는 制度이며, 교원 자격을 行政的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資格檢定制度라고 한다. 現代 國家들의 대부분은 교원 임용에서의 資格法定主義 또는 資格任用主義를 채택하고 있는 바, 이는 1) 被教育者의 이익을 보장하고, 2) 국가•사회의 安全性을 보장하며, 3) 教師 자 신의 地位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으로 認識되立 있다. 교원의 資格檢定 체제는 教育人事行政의 諸 過程 혹은 要素에서도 대 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데, 이는 良質의 교원을 확보하고 공급하는 最後의 保壘的 성격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資格檢定體制는 교육인사행 정의 다른 體制들보다도 훨씬 相互連鎖的 關聯性을 많이 띠고 있는데, 교원의 養成體制•學校에서의 교원 組織體制•任用體制와의 相互連鎖的 관련성이 깊다. 그러기 때문에 , 教員資格制度의 論議에서는 자격제도가 갖는 相互連鎖的 位相을.고려하여야 하며, 政策 的•行政的 계획이나 시행에서도 마찬가지로 배려되어야 한다. 교원 자격제도에 관한 理論的 考察을 통하여 정리된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들은 다음과 같다. (1) 교원 자격 제 도는 教員으로서의 資質을 檢定하는 제 도이 다. (2) 교원 자격제도에서의 教師 資質은 교사에게 요구되는 最低 水準을 가리킨다. (3) 교원 자격제도는 專門職으로서의 社會的 公信力을 가져야 하고, 또 높일 수 있게 運 用되어야 한다. (4) 교원 자격제도는 교원의 養成 • 組織 構造 • 任用과의 相互連鎖的 開聯에서 계획 • 운용 되어야한다. (5) 교원 자격은 任用의 要件이며,나아가서는 교원의 能力發展과 士氣에도 관제된다. (6) 교원 자격제 도는 合法性에 기초를 두고 있다. (7) 교원 자격제도는 궁극적으로 학생의 教育權에 강조를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의 初等教員 資格制度의 변천과정은 養成制度의 변천과정과 直結된다. 그것은 ^ 성과정을 마치기만 하면 서류심사만의 無試験檢定으로 資格證을 주어 任用해왔기 때문이다. 解 放後 1962年까지는 高等學校 수준의 師範學校에서,1962 년 이후에는 專門大學 수준의 2年制 教育大學에서,그리고 1981年 (1981 —1984) 부터는 4年制 教育大學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해 왔 으나,急増하는 교원 수요에 충당하기 위하여 正規 양성기관 수준에 못미치는 學歷 所有者를 대 상으로히는 臨時初等教員養成所를 설치•운영하기도 하였다. 1940年代 후반이나,50年代에 비 하면 오늘날의 初等教員의 資質은 현저하게 向上되었고, 상대적으로 초등교원 자격증의 社會的 公信力노 많이 높아졌지만, 資格制度 그 자체의 改善은 별로 進展되지 못하였기에, 오늘와 時點 에서 그리고 未來 發展的 관점에서 보면 改善해야 할 문제점들이 많이 있다. 教員 資格制度의 原理, 先進諸國의 제도와 世界的 趨勢 등에 비추어 본 우리나라'初等教員 資 格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초등교원의 자격기준이 多元化되어있고 그 體系性이 不足한 바, 2級 正教師의 경우 「4年制 教育大學 卒業』으로 一元化시키고,2年制 教大- 졸업 생의 배출 개시연도인 1964年 이후 자격취득자의 學歷을 學士학위로 끌아올리도록 적극적인 시책을 강구한다. 그러기 위하여 는,현재 教育大學에 設置 • 運營되고 있는 夜間制 및 季節制 編入學을 적극 유도하고, 이 課程 을 마친 현직교원들에게는 小福으로나마 身分上의 혜택을 주도록 배려한다. 따라서 新規 자격으 로서의 准教師 직급은 폐 지되어 야 한다. 2 級正教師 자격 기 준 중 여 타의 항목들은 4年制 教大 졸업 수준에 상응하도록 整備되어야 한다. (2) 현행의 교원자격체계는 2正一 1 正一校監一校長으로 이어져 있어 教師로서의 專門性 심화를 유도하지 못하고, 昇進 욕구도 채워주기 어렵게 되어있는 바,이는 教員 組織 構造를 分 化시켜 職級을 分化시키는 方向으로 改善되어야 한다. 教援活動職列과 經營 • 管理職列을 二元化 하여 1 正 資格 以上의 上位 資格을 두 단계쯤 新設하는 것이다. 아울러 水平的으로도 教科담당자격제도나 學年水準의 담당 자격제도도 검토 • 도입되어야 한다. (3) 현행 자격제도로는 質的 統制가 未洽한 바, 現行의 養成에 의한 자격 인정 체제를 푯간 으로 하되, 어학 및 교육기본과목에 한하여 全國 水準의 시험제•도를 첨가하여 補完하도로 한다. 이 때의 시험 관리는 文教部가 아닌 自律的 전문기꾸, 예컨대 대학교육협의회의 산하기辛에서 맡도록 할 것을 提案한다. (4) 質的 統制 장치 의 하나로 修習教師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5) 教育改革審議會가 提案하고 있는 師道獎學金제도案 중에서 자격검정 방법의 차별안은 바람직하지 않다. (6) 교원 자격증의 有效期間이 終身制로 되어있는 바, 이는 部分的으로 修正되어야 한다. 자격증 효력의 계속적인 認定은 教職에 奉職하고 있는 限에서만 認定하고 離職했을 경우에는 교직 空白期間 계속 5年 경과후에 實效되도록 한다. (7) 현행의 상급자격 취득 요건으로서의 法定 자격기준과 實際와의 틈을 좁히기 위하여는 3年 이상의 교육경력을 5년 이상쯤으로 늘리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이상으로 要約해보았으나, 초등교원 자격제도의 改善은 어디까지나 교원 자격제도가 갖는 本 質的인 意義 • 機能。原理에 바탕을 두고 우리의 教育 與件을 고려하면서 점진적인 구조 변경을 摸索해야 할 것이다. 資格體制와 相互連鎖性을 띠는 다른 體制들과의 調和, 中等教員 자격체제 와의 衡平,그리고 教育專門職列들의 자격체제와의 .均衡 등이 동시에 고려되는 政策 開發이 았 어야 할 것으로 본다. 끝으로,어떤 資格制度라도 그것이 궁극적으로는 學生의 教育權을 伸張시키는데 긍정적인 기 여를 할 수 있지 않으면 안된다는 命題에 부합되는 것이라야 한다. 이 硏究는 엄밀히 말하여. 초등교원 資格制度의 合理的 改善을 위한 基礎硏究의 性格이 강하다. 보다 具體化되고 深化된 硏究가 後續되기를 期待한다.

      • 초등 대안학교에 나타난 초등수학교육 이론과 실제에 관한 조사 연구

        조영미(Cho, Young Mi)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敎育論叢 Vol.55 No.2

        우리나라 대안학교에 관한 연구가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그에 반해 초등대안학교의 수학교육 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이에 초등대안학교 5 곳을 선정하여 초등수학교육에서 추구하는 이론적 성격과 그 실제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삶 또는 생활과 연계하여 수학을 지도하려 는 ‘경험 중심’의 경향성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각 대안학교에서 추구하는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선정된 수학교육의 내용은, 양적인 측면에서 볼 때, 공교육보다 적은 편이었 다. 셋째, 공교육의 교육과정과 새로운 수학교육이론을 참조하려는 노력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생활과 연결시킬 수 있는 수, 계산, 측정과 더불어 예술적 활동이 가능한 ‘꼴’, 즉 도형을 지 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었다. There were few researches on mathematics education in elementary alternatve schools. I selected five schools and surveyed on those mathematics educations. Finally I extracted four characteristics. First, alternative schools’ mathematics education has tendency to be experience-oriented. Second, in terms of quantity, the content of math education chosen to achieve the goals of their respective alternative schools was smaller than that of public education. Third, it showed efforts to refer to the public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new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Fourth, it was focused on figure with the number, calculation, and measurement to be associated with daily life, as well as artistic activities.

      • 교육대학 초등체육교육전공 심화과정 교육과정 비교

        이광무(Lee, Kwang-Moo)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敎育論叢 Vol.58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체육 비정상 운영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으며, 그 원인을 탐구하고자 초등 체육교사들이 공통적으로 경험한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교육과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문제점을 진단하여 교육대학교 전공 체육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전국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방안을 논의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과 제언을 얻었다. 첫째,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이수 학점과 시간 수는 18~21학점, 18~25시간으로 나타났다. 현재 이수 학점이 점점 줄여들고 있다. 둘째, 광주교대와 청주교대는 필수로만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경인교대, 공주교대, 대구교대, 부산교대, 서울교대, 전주교대, 진주교대, 춘천교대는 필수와 선택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셋째,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교육과정은 이론강좌보다 실기강좌를 훨씬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고 있다. 넷째,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이수 학점이 줄여들며 따라 개설 강좌 수도 많이 줄여서 운영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전국 교육대학교 체육교육과 심화과정 교육과정의 운영 방법은 유사하였으나, 이수 학점은 점차적으로 줄여들고 있다. 또한 심화과정 교육과정은 이론강좌보다 실기강좌 위주로 개설 운영되고 있으나 이수 학점의 감소에 따라 강좌 수가 점차 줄여들고 있다. 따라서 향후 제기될 문제점으로써는 초등 현장 체육수업의 부실이 염려된다. 아울러 이에 관한 대책방안으로는 심화과정 이수 학점을 원상복구하여 강좌 수를 늘려서 심화과정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운영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comparison of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major course curricula in education universities. A total of 10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major course curricula in education universit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for their subject characteristics and weakn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course credits were 18~21, and were getting decreased. Second, Merely, Gwang-Ju and Chung-Ju educatio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the intensive major course as required subjects. The 8 educatio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them as either required or selective subjects. These discrepancies were found due to its own characteristics and self-regulation of each education university. Third, all of curricula in education universities were composed of theoretical subjects and practical subjects. However, they were operating more practical subjects than theoretical subjects. Fourth, Most of education universities were confronted to decreasing courses according to less intensive course credit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all of education universities had the similar intensive major course curricula, but the courses were getting decreased. Also, they were operating more practical subjects than theoretical subjects. However, the credits of the intensive courses were decreased as the number of the courses were decreased. In future, all of education universities should operate the physical education intensive major course curricula with increasing intensive course credits.

      • 교육과정 문서를 통해 본 초등수학과 평가의 進化

        조영미(Cho Young-mi)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4

        이 논문에서는 1945년 해방 후 교수요목기부터 2015년 개정 교육과정기까지 초등학교 수학과 평가가 어떻게 변천해 왔는지를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교육평가는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등장하지만, 초등수학과에 한정하여 평가가 수학과 교육과정에 들어온 것은 제4차 교육과정기부터였다. 이후 제6차 교육과정기부터 수학과에 특화된 평가 내용이 제시되었으며, 그 틀은 현재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총론 차원에서 교육평가의 역할이 점점 확대되는 동안 초등 수학과 평가는 제6차 교육과정의 틀에서 크게 변화가 없는 편이었다. 그러다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과정 중심 평가’가 부각되었고 그 결과의 하나로 초등수학과 평가는 좀 더 정교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d how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evaluation has changed from the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lthough educational evaluation appeared from the 1st curriculum, it was only from the 4th curriculum that the evaluation came into elementary mathematics. Since then, the evaluation contents specialized in mathematics have been presented since the 6th curriculum, and the framework seems to be valid to date. While the role of educational evaluation was gradually expanded at the general level, elementary mathematics and evaluation remained unchanged in the framework of the sixth curriculum. Then, as the process-based evaluation emerg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mathematics and evaluation were found to be more sophist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