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학과 심화과목에서 지도와 평가 방법의 개선

        이복선, 권오종, 김도욱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23 No.

        과학과 심화과정 반 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교과인 교양, 전공 기초, 전공 심화 단 계의 과목을 살펴보니 현재는 강좌 명칭과 운영 형식(필수/선택)에 따라 과학의 4분야 중에 물리, 화학은 중복되고 생물, 지구는 소외되어 있다. 또한 교과 구분에 따라서 교수 편의에 의해서 운영되던 방식을 이제는 학생 중심으로 하여 교과목의 명칭과 운 영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과학 4분야를 동일 배분하는 형태로서 교양 과목(자연과학, 과학선택)과 전공 기초 과목(과학교육 1,2)을 통합 운영함으로 과학에 대한 소양을 균형화해야 한다. 이러한 기초에 의해 진입되는 과학 심화과정 학급은 모두 필수 단위로 운영되나 이 부분도 학생 수 40명 단위를 반분하여 20명으로 구성하고 소규모 단위로서 선택적으 로 운영함이 현대 과학교육에서 추천되는 토론식 학습,협동 학습, 역할분담 학습 与 이 가능할 것이다. 더욱이, 하습 평가에 있어서는 평가의 유형과 횟수가 2회 이상이 되어야 학점 부과 의 규정인 하위 등급 30% 이상이 됨을 2항 분포의 사례(멘델식 유전)로서 알 수 있 다. 마지막으로 현 정부의 주도하에 추진되고 있는 교사수급상의 혼란 사태로 인한 중 초교사의 편입학 제도는 문제가 많기에, 거시적인 관점으로 봐서 교육의 편제(6-3-3) 나 초등교사의 양성제(11/1-1')의 문제를 선결하는 방향으로 해결책을 모색하도록 촉 구하면서,보다 중요한 것은 교육대계는 창의성 교육임을 잊지 말고 이에 총력을 기 울일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의 개선과 행정적인 지원을 기대한다 The curricula that subjected to the class of science education were general liberal arts, major basics and specials, but science course of 4 different parts was delivered without the equal weight of credits or lecture hours, only ordered to the name of curriculum subjects and management type (obligation /choice). Direction of the curriculum reform and management should be converted from the view of lecturers to the stand point of students, and so the delivered lectures be balanced on the 4 parts of science through total cumculum. these ways of application would be helpful not only to science major class, but also to other fields-major 10 clssses. All the more,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should be reduced down to the half, now 40 students of a class to 20 students of the twice classes, that could be handled on the advanced teaching methods such as discussion, cooperation and role participation etc.. The types and number of evaluation were recommended to 2 ways/times or more to keep our internal rule of the grade C-level 30% portion among the students, analoging to the binominal distribution (Mendel’s heritable rule). Lastly, the special law of sudden mass appoint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qualified only to the secondary school teacher, should be reconsidered with the project of a long time view, such as educational grade system(6-3-3) and primary teacher's graduating/ qualifying system(11/1-1’). Near future, program developing of the creative ability will be, best of all, the most valuable in any fields and be expected the supplement of the needed administration and environment of education.

      • 과학교육계 학과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 지구과학교육과의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With Reference to Earth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김여상,박영철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사범대학 과학교육계학과의 현행 교육과정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이것을 근거로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992년도 이후에 발행된 11개 대학의 대학요람과 지구과학교육과의 교과과정표가 분석되었다. 교육과정은 사범대학의 정체성이 확보되도록 재구성되어야 하며 교과교육과목은 전공영역에 포함시키고, 일반과학과목도 계열기초에 소영역으로 구분되어 전공영역에 포함시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과학교과교육과목은 최소한 12학점을 이수하도록 하며, 일반과학과목의 학점수도 40학점으로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구과학내용교과목중에서 유사한 과목들은 통합된 형태의 교과목으로 개설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improvement plan of science teacher educational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The bulletins and earth science curricula of 11 universit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in terms of four sections: curriculum organization, subjects of earth science education, basic science subjects, and majors of earth science. The curriculum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reconstructed for the identity of college of education. Science education subjects and basic science subjects need to be involved in a major field. Science education subjects should be taken at least 12 credits. More emphasis should be given on the basic science subjects, which had better be taken upto 40 credits. Major subjects that the contents are similar to each other need to be combined into one subject.

      • 인터넷 홈페이지를 활용한 우리 나라와 일본 중학교의 과학교육 실태 비교 연구

        윤치원,김종균,박영철,김현섭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9 과학교육연구 Vol.30 No.1

        최근 인터넷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교육현장에서도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이것은 인터넷의 장점을 교육현장에 이용하면 학습지도에 필요한 정보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고 개인이나 제도교육에 관한 정보를 널리 공유할 수 있으므로 교육활동의 질적 개선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는 지리적인 제약 때문에 개인이 수입할 수 있는 정보에는 한계가 있었으나 인터넷을 활용하면 제한된 정보나 개인의 교류 범위를 넘어선 전국적, 세계적인 정보의 수집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는 우리 나라 중학교 홈페이지와 우리와 교육환경이 유사한 일본 중학교 홈페이지의 구성 내용을 비교하고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교육 실태를 비교·분석하여 인터넷을 과학교육 매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찾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학교로는 우리 나라의 경우 인터넷상에 검색이 가능한 211개 중학교 모두를, 일본의 경우는 검색 가능한 1022개 중학교 중 200개 학교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학교의 홈페이지 구성내용을 `학교 일반정보' `정보공유' `교수 학습정보' 기타정보' 등 4개 분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는데 특히, `교수 학습정보' 분야 중 과학교과 자료와 연결된 사이트 그리고 학생 탐구자료 내용을 집중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 나라 중학교의 홈페이지 개설 학교 수는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과학교육에 관련된 내용은 매우 빈약하였고, 있는 내용도 대부분 외국 자료를 연결하여 놓았기 때문에 중학교 학생들이 이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일본의 경우는 과학교육에 활용할 수 잇는 자료가 비교적 풍부하고 연결된 사이트도 대부분 자국어로 되어 있었으며, 그 내용도 학생의 관찰, 조사, 실습 등 학생의 탐구활동 내용이 소개되고 있어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교육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었으며, 이것은 우리 나라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과학과 교수 학습 활동에 유용한 과학자료를 개발하는데 좋은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In recent years, and increased number of junior high schools are attempting to `utilize the internet as an instruction aid'. The internet provides easy access to wide ranges of scientific information which facilitat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specially in the areas of shared research and general information and personal communication. Prior to the existence of the internet, people were limited by geographical locations; however, modern internet use is international and information can be shared throughout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compared the line up of Korean and Japanese junior high school homepages. This comparison is valid because the two countries educational systems are grossly similar. We proposed analysis of science education in the homepage on the internet to find the method of science education. In Korea the objective schools of this study are all 211 junior high schools of which was able to search to use internet and in the case of Japan 2000 junior highschools as samples of which 1022 junior highschools that was able to search to use internet. Four main areas of the study were examined; general school information, the supply of information, information for teaching and learning and other links. Elements of homepage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ased on these divisions. Informations from Korea and Japan contain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site was subdivided into scientific curriculum and student investigational material. These subdivisions were analyz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were as follows. Although the Korean junior high school homepages were rapidly increasing they were lacking in quality. It was also evident that many linking sites are written in foreign languages other than Korean. Without a translative program to interpret these, Korean students would be unable to take advantage of them. Japan had a greater quality of material used for science education Linking sites are written in the Japanese Languages. Japan appears to have an intensified focus on the useful development of scientific material and science education through the use of the internet. This enhances studied investigation, activities of observation, research, and investigation. The overall practice and performance of the Japanese studies is greatly enhanced through their ability to easily access the internet.

      • 열린 과학 교육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金俊泰,陸根鐵,吳相赫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 Vol.28 No.1

        열린 과학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열린 과학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지도 방법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Choi,K.H., 1994). 본 연구에서는 열린 과학 교육을 위한 연수 자료를 개발하고 전국 초, 중, 고 연수 담당자 및 과학 전문직을 대상으로 열린 과학 교육 연수를 실시하였다. 연수 후 열린 과학 교육의 문제점과 지도 방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충분한 토의와 협의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실시할 수 있는 열린 과학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연수에 참여한 모든 과학 교육 담당자는 열린 과학 교육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열린 과학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현재의 학교 환경을 고려하여 4가지 형태의 열린 과학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1은 예측, 실험 수행, 결과 토의 등의 단계를 거치는 직소형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2는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교사의 지도 방법이 달라지는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3은 탐구 단계별로 학습하는 학습 방법이다. 열린 과학 학습 형태 4는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수준에 맞는 학습 방법대로 학습하는 방법이다. Many peoples recognize the need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But identification and teaching method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are not prepared. We developed teachers' training program for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and trained science teachers' trainers and inspectors. After the training program was completed the problem and the direction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were presented. By this workshop's results we suggest the desirable plan of open science education by students' cognitive level.

      • 교사 양성을 위한 미국의 교사 자격제도 : 일리노이스주와 조지아주

        오후진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35 No.-

        미국에서는 공교육이 주의 고유사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교육학교의 교원을 양성하는 기관도 각주에 따라서 그 적정성이 공인되었다고 하는 것이 제일 조건이 된다. 교원양성기관은 거의 모든 종류의 대학이 포함된다. 입학의 조건은 대학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으나 ①인정된 고교를 졸업하여야 하는 것을 기초조건으로 하고, ②졸업시 학급성적과 순위가 참작되며, ③고교로부터의 추천서 및 ④대학입학 시험위원회에서 행하는 학력적성검사의 결과가 참작된다. 수업연한은 사범대학은 4년, 교양대학의 교육과는 4년, 종합대학과 교육대학은 4∼5년으로 되어 있다. 미합중국의 교사 교육은 규정상 4년제 대학과정에서 이루어지며, 졸업 직전 6개월간은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실습을 하게 되는데, 모두 대학에서 관장한다. 모든 교사 교육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교양교육, 전문교육 그리고 전공교육”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50개주 중에서 14개주는 석사학위(MA)를 교사 자격의 기준으로 정하고 있으며, 그 교육기간은 5년이다. 그러나 그 교육내용은 4년제와 크게 다를 바 없다. 다양성과 다원적인 개방성을 지니고 있는 미국의 교사 교육의 내용을 미국 연방의 차원에서 인지할 수 있는, 교사 교육의 기준을 중심으로, 종합하여 분석 정리하고 일리노이스주와 조지아주의 교사교육에 대하여 제시한다. Illinois has two means by which individuals may be certificated. All Persons seeking a first certificate in Illinois must complete an approved teacher education program, either in Illinois or in another state. Through the approved program process, institutions which have certification programs approved by the State Teacher Certification Board define the courses which the candidate must complete in order to certified at the grade level and subject of the candidate's interest. The institution recommends the candidate for the certificate upon the candidate's completion of the program requirements. The other means of certification in Illinois is by a transcript evaluation of credits to verify completion of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certificate. However, this route to certification for Early Childhood, Elementary, High School and Special certificates is open only to persons who are in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1) They hold an Illinois teaching certificate and have teaching experience in Illinois public or private schools. (2) They hold a valid out-of-state certificate comparable to the certificate they seek in Illinois. (3) They have completed an out-of-state approved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he area of certification sought in Illinois. Georgia offers certification in a variety of fields with specific subjects or grade levels assigned to each field. Certificates are organized by type according to the school personnel function. Certificate types include Teaching, Service, and Leadership; the type of certificate dictates in what capacity the educator may serve. Teaching fields consis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P-5), Middle Childhood(4-8), Secondary Fields(7-12) and P-12 Fields(Special Education, Art, Music, etc.) Service fields and Leadership fields allow the educator to serve at all grade levels (P-12). In addition to full certification fields, endorsements to certificates are offered in teaching, service, and leadership areas. Vocational certificates are also available at the request of Georgia employer in specific trade and technical fields. All certificates are classified in one of three categories. The Clear Renewable Certificate indicates all professional requirements for certification in the field have been met. Conditional Certificates are issued at the request of a Georgia employer when one or more conditions have to be met in order to be issued the Clear Renewable Certificate. Life Certificates were discontinued in 1974; however, Georgia educators issued life certification before 1974 may continue to use these certificates.

      • 科學高等學校의 科學英才敎育의 實態와 改善方案 硏究

        陸根鐵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5 과학교육연구 Vol.26 No.1

        과학고등학교의 과학영재 교육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과학고등학교는 본연의 설립 목적에서 이탈하여 입시 위주의 교육방식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많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과기원 반(속진반)과 일반대 반으로 분반해서 운영하고 있다고 응답했으며 학생들의 잠재력 능력을 계발시킬 수 있는 개인 또는 그룹연구, 특별실 개방, 컴퓨터 교육, 영재성 계발을 위한 탐구학습 등이 권장되지 않고 있음이 조사 되었다. 그래서 과학고등학교가 진정한 과학영재 교육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몇 가지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the science educaton for the gifted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As a results of the findings, We realized that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was turning from the natural purpose of its foundation to the preparation for the entrance examination. Many gifted students are responsed to the question that they are managed to divide into classes for the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general universities in the high school for science and they are not encouraged inquiry learning to develop the ability of giftedness, computer science, open the laboratory to the students, and the individual or group research study to develop the latent powers of gifted students. Therefore we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 교육정보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한승록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1998 과학교육연구 Vol.29 No.1

        21세기 교육정보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교육정보 전문가를 시급히 양성하여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과정이 구안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의에서는 교육정보화 환경의 특징, 교육정보화 환경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 현행의 교육정보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을 점검해 본 다음, 바람직한 교육정보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구안하였다. 본 논의를 통하여 구안된 교육정보화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은 첫째, 학교교육정보화 전담교사 양성과정과 자신의 전공교과에서 정보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교육정보 전문인력의 양성과정은 차별화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정보화 관련 각종의 현직 교원 연수 교육과정은 종래의 기술중심의 과정에서 활용방법, 정보소양, 정보윤리 교육의 측면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셋째,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이해, 선택, 창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자질을 길러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육정보화 전문인력 양성 교육과정은 정보 윤리 교육, 컴퓨터 기술 교육, 컴퓨터 활용 방법 교육, 컴퓨터 활용 교수 방법 등이 적합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The necessity of the study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educational information expert is increasing owing to the educational paradigm shift from traditional to technological. So this study investigated an alternative direction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educational information expert through examining the defini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the teacher's role in the era of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and the current curriculum of teachers college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made, First, the curriculum for educational information expert must be developed differently between teachers expertised in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and others expertised in educational information content of various subject matter. Second, the program of in-service training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must be changed from traditional computer science education to computer-using educational reform. Third, the curriculum of teachers college must be developed to the direction of students' capacity extension which enables their pupils to search, collect, understand, select, create and deliver information. Finally, in the curriculum, not only computer science but also ethics of information, computer literacy, computer-using instructional reform must be included.

      • 수준별 교육과정 체제에서 과학 교과의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한 과학•기술•사회(STS) 수업 모형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전우수, 이명제, 김경호, 김도욱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2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on the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 and the positive science-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in the curriculum as one's level. For this study, the science knowledge test and the science-related attitude test were measured for 41 students to whom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applied and another 46 students instructed traditionally as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In the science knowledge achievement test, the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the modular STS instructional mod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applied the traditional model at 0.001 level. In the science related-attitud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control group. 본 연구 결과는 모듈식 STS 수업이 전통적 수업보다 과학 지식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는데는 효과적이었으나 과학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효과 적이지 못했던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태도가 단 기간의 수업에 의해서 쉽 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보다 장기간에 걸친 후속 연구가 필요함 을 시사해 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해서 다음과 같은 직접적인 또는 간접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첫째,모듈식 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서 제 7차 과 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 교육 목표로 중요시하는 과학 • 기술 • 사회(STS)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켜 미래 사회에서의 대처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듈식 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의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결과를 효 과적으로 활용하면, 수준별 교육과정 체제에서 심화과정이나 보충과정의 과학 수업을 보다 효과적인 수업으로 이끄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셋째,과학 • 기술 • 사회(STS)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서 과학을 싫어하는 학생이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으로 태도의 변화를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브루넬 대학의 영재교육

        김경호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4 과학교육연구 Vol.26 No.-

        Through the observation on the Brunei Able Children's Education Centre implications for able students' education for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educated for able student. Secondly, degree course should be opened for making human power with both theory and practicing for school. Thirdly, Korean origin able stud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 수학과 열린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관한 실태조사 및 그의 방향모색

        강지형, 이창주, 이양희, 임문규 공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7 과학교육연구 Vol.19 No.-

        At this time when the 7th degree-levels form curriculum plan that will be carried in Korea school education from 2000 years have been completed, We studied on some ope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lated to the curriculum plan and tried to find out adapt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e researched on the executive requirements and methods for open educations what were related to the problem-solving ability emahasized in the 6th mathematics curriculum. 2. We researched on the learner’s own problem-solv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childrens’ levels and the development of self-learning ability which are core components in the 7th curriculum. 3. By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instructions executed in the classroom, we explored some executive directions and adapt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of educations which are feasible in the current educationa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