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Fogarty의 10가지 교육과정 통합 모형이 초등학교 교육과정 통합에 주는 시사점

        박 일 수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5 敎育論叢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tegrating by using Fogarty’s models such as segmental, connected, concentric circle, sequenced, sharing, spider-webbed, linear, integrated, immersed and networked model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y was to briefly review and outline Fogarty’s model. And, this study was designed for practices of curriculum integration in the fourth grade by applying Fogarty’s model.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ly, the Fogarty’s model was expected to improve recognition and efficacy of curriculum integrating design by curriculum designers. Secondly, Fogarty’s model was expected to provide guidance for designing a curriculum by curriculum designers. Thirdly, Fogaty’s model wa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increase repertory of teachers for integrated curriculum design. This study wa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curriculum integration. 이 연구는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이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 통합에 주는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을 간략하게 살펴보고, 각각의 모형의 개요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에 따른 교육과정 통합의 절차 및 유의점을 제시하고, Fogarty의 10가지 교육과정 통합 모형을 적용하여 초등학교 4학년의 교과 및 창의적 체험활동의 교육과정 통합을 예시로 설계하였다. Fogarty의 10가지 교육과정 통합 모형이 초등학교 교육과정 통합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은 통합교육과정 설계자에게 교육과정 통합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은 통합교육과정 설계자에게 각 교과의 특성,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에 기초하여 10가지 교육과정 통합 모형 중에서 특정 모형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Fogaty의 10가지 교육과정 통합 모형은 통합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교사의 래퍼토리를 확장시키는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Fogarty의 교육과정 통합 모형 및 예시가 초등 교사들의 교육과정통합에 대한 래퍼토리를 확장하고, 단위 학교에서 교육과정 통합을 실현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직무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

        한 만 규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1

        이 연구는 스포츠 강사의 교직선택동기와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2011년도 G 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수원에서 보수교육을 받은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 172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의 교직선택동기는 ‘능동적 동기’를 가장 높게 선택하였고, 가장 낮은 교직선택동기는 ‘수동적 동기’ 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성별, 출신학교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교 스포츠 강사들의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에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낸 것은 ‘보상체계’ 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성별, 출신학교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초등체육교육 내실화를 위한 예비교사선발 방안에 대한 연구

        김명수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체육수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현실에서 초등체육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 초등예비교사 선발방식에 대해 제안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전국교육대학교에서 체육관련 수시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하는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사례의 분석을 통해 체육과 수시 전형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먼저, 전국의 교육대학교 중 2개의 대학에서 체육관련 수시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하고 있었다. 수시 전형 사례의 특징은 첫째, 고등학교에서의 체육교과 이수 정도를 입시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교과인재 전형으로, 운동능력 평가를 통해 체육교과에 특출함을 보이는 학생을 선발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초등예비교사 선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체육중점학교나 체육특수목적고의 체육교과 이수 정도를 입시에 반영하는 방안이다. 둘째, 운동능력 평가를 통해 체육교과 학습에 적합한 학생을 선발하는 방안이다. 끝으로 체육영역의 수시 전형은 다른 영역의 수시 전형과 같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최저학력기준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초등 도덕과 교육내용 및 주요 가치⋅덕목 분석 :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11 개정 교육과정 비교

        윤현진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덕 교과서는 2007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거 편찬된 국정 도서이다. 제7차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이 2007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가장 큰 변화는 ‘교육내용’이다. 그리고 최근 발표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2011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역시 약간의 내용상의 변화를 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두 차례에 걸쳐 개정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에 초점을 두고, 두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어떠한 변화를 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교육과정에 나타난 도덕과 교육내용을 ‘개정 중점 및 내용 체계’, ‘내용 선정 및 조직’, ‘지도 요소와 내용 제시 방식’, ‘영역별 내용의 특성’이라는 네 가지 틀에 입각하여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2007 개정과 2011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내용의 핵심 지도요소에 해당하는 가치․덕목이 내용영역의 구분과 학년 구분에 따라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2007 개정과 2011 개정 초등 도덕과의 교육내용이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2011 개정 초등 도덕과의 교과용 도서가 어떤 방향으로 연구되고 집필되어야 하는가’라는 향후 연구에 도움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필리핀의 교사양성 및 자격부여 제도의 시사점

        강영하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5 敎育論叢 Vol.52 No.2

        The purpose was to review Philippine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license examination and searching for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e history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recent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teacher license examination system were surveyed. The Filipino teacher education was started from Spanish period but the systematic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started from American era. The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are divided into theory and concept courses, methods and strategies courses, field courses, special topics courses and content courses. All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tudent have to complete 174 unit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nd professional courses. To be a licensed teacher in Philippines, a graduate teacher education courses have to pass the licensure examination for teacher. It was suggested that professional education courses, especially methods and strategies courses units were strentherned and elevated the units per courses, field study courses were linked with theory/concept courses and method/strategies, and administered the examination for teacher licensure. 이 논문의 목적은 필리핀의 교사양성 제도를 직전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자격부여 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필리핀의 교사교육 역사와 교사교육 프로그램과 자격부여 제도를 살펴보았다. 필리핀 교사교육의 역사는 스페인 식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나 본격적인 출발은 미군 점령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초등교사 교육은 1929년에 초급대학 수준으로 그리고 필리핀이 독립되면서 1948년에 대학수준에서 실시되었고, 중등교사 교육은 2년제 초급대학 수준에서 독립된 필리핀의 교사교육은 4년제로 발전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필리핀의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개념 강좌, 방법/전략 강좌, 교육실습, 특별주제 및 심화/내용 강좌로 구성되어 있으며 졸업을 위해서는 174학점을 이수하도록 되어 있다. 초등교육 학사나 중등교육 학사를 받는 사람을 대상으로 자격시험을 실시하고 일정한 수준에 도달한 합격자에게만 교사자격을 부여한다. 필리핀의 교사교육과 자격부여 제도는 우리나라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전문 과정 중 교직과정을 방법/전략 강좌를 강화하고 강좌별 학점을 3학점으로 상향할 필요, 교육실습을 체계화하고 전문 과정 강좌와 연계시켜 체계화할 필요, 그리고 교사자격 부여를 위한 자격시험 제도의 도입을 신중하게 검토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초등교사교육의 과제

        조문현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국제환경의 변화가 교육 전반에 영향을 주는 시대가 도래하였다. 세계화와 국제교류의 증대, 정보․ 통신 분야의 획기적인 발전 등이 교육 분야에 전에 없던 새로운 교육적 수요를 불러온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수요는 곧 초등 교사교육 분야에도 변화를 요구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초등교사교육의 과제를 추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 밀접히 관련된 국제 환경의 변화 양상을 짚어보고, 그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수요를 확인하였으며, 이에 터하여 교사교육의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국제환경의 변화로는 ① 세계화 ② 국제 교류의 증대 ③ 개방적 민족주의 등의 중심요소들을 고찰하였고, 변화에 따른 새로운 교육적 수요로는 ① 세계인으로서의 소양증진 필요 ② 다문화적 교육의 필요 ③ 귀국학생 교육의 필요 ④ 해외 한국인 교육의 필요 ⑤ 북한이탈 학생 교육의 필요 ⑥ 학력 및 자격의 표준화 필요 등을 논의하였다. 이들 논의에 기초하여 초등 교사교육의 과제로 ① 세계인으로서의 소양-글로벌마인드 배양 ② 새로운 교육적 수요에 부응하는 교사교육 ③ 국제화된 교사교육 제도 ④ 개방적 민족주의를 위한 교사교육 등을 제시하였다.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교육과정기별 변천 양상 연구

        박태호, 강동훈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4 敎育論叢 Vol.51 No.1

        이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기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기까지의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변천 양상을 개발 주체, 교과서 외․내적 체제, 입문기 문자 지도, 기타 특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교과서 개발 주체를 살펴보면, 1차~7차까지의 국정 지정제에서는 문교부,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각각 주체가 되어 교과서를 개발하였고, 2007 개정 이후 국정 공모제에서는 한국교원대학교와 서울교육대학교가 주체가 되어 교과서를 개발하였다. 교과서 분책 방식은 1~4차는 통권 체제를, 5차~2007 개정은 분권 체제를 취하다가, 2009 개정부터는 다시 통권 체제를 취하였다. 판형은 지금까지 주로 국판 또는 4×6배판을 사용하다가 현재는 변형 국배판(210×274mm)을 사용하고 있다. 단원 체제의 경우 1~3차는 학년에 따라 소단원과 대단원 체제를 혼용하다가, 4~6차는 소단원 체제를, 7차는 대단원 체제를, 2007개정은 중단원 체제를 취하다가 2009 개정부터 다시 소단원 체제를 취하였다. 단원 구성 방식은 1~3차는 주제와 문종 중심을 혼용하다가, 4차는 문종 중심을, 5차부터 목표 중심의 단원을 구성하였으며 6차부터 단원 편찬도를 제시하여 '도입 학습→이해 학습→적용 학습→정리 학습’으로 진행되는 현행 단원 구성 방식의 토대를 세웠다. 입문기 문자 지도 방식은 1차~3차는 의미 중심의 접근법을 취하다가 4차~2009 개정까지는 절충식 접근법(의미+발음)을 취하고 있다. 그 외에도 실험용 교과서는 3차부터 개발하여 적용했음을 알 수 있었고, 2009 개정에서 학년군제가 도입되었고, <국어>와 <국어 활동> 교과서를 개발하였다.

      • 수학 교과에서 초등과 중등의 연계성에 관한 고찰

        강흥규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2 敎育論叢 Vol.49 No.2

        초등 수학교육과 중등 수학교육 사이에는 연계성이 있어야 한다는 말은 지극히 당연한 주장이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 초등과 중등 사이의 관계는 ‘연계’라는 단어보다는 ‘단절’이라는 단어가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초등교사는 중등 수학교육에 대해서, 중등교사는 초등 수학교육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한다. 이 글에서는 초등 수학교육과 중등 수학교육 사이의 연계성에 대하여 대표적인 수학교육이론 두 가지를 통하여 고찰하였다. 하나는 브루너의 구조주의이고 다른 하나는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이론이다. 초등과 중등 사이의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각자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면서도 연계성을 강화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제작해야만 할 것이며, 다음으로, 교사의 양성과 재교육 과정에서 상대편의 강좌를 교차로 포함시킴으로써 상호 이해를 증진시켜야만 한다.

      • 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체육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 분석

        조준명, 이광무, 오병돈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2

        이 연구는 교육대학교 구성원들의 체육시설 이용에 따른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으로서, 2012년 G교육대학교 구성원 중 70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육대학교 성별 및 구성원에 따른 체육시설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교 구성원의 체육시설 만족도는 운동빈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운동강도 및 운동목적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교육에서 ‘전통’의 의의

        한승희 공주교육대학교초등교육연구원 2013 敎育論叢 Vol.50 No.1

        전통은 단순히 지나간 과거가 아니라 우리의 삶과 따로 떼어서 생각할 수 없는 삶의 실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의 성격을 면밀하게 분석한 후에 거기에 기초하여 교육에서 전통이 가지는 위치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전통은 암묵적인 측면이 강하며, 그러한 성격의 전통은 교사와 학생의 긴밀한 유대관계, 곧 교육적 관계를 통하여 전수될 수밖에 없다. 다른 한편으로 전통은 그것이 전통이기 때문에 교육을 통하여 전수하고자 하였던 것이 아니라 오히려 교육을 통하여, 즉 ‘교육’이라는 전통을 통하여 가치 있게 여기고 의식적으로 전수하고자 노력해 왔기 때문에 그것이 비로소 우리에게 전통으로 와 닿은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