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전국 작업치료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응답이 누락된 6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 및 치매질환, 인지, 일상생활활동, 조기검진팀 검진사업, 조기검진팀 서비스 연계 5개 영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해당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에 관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작업치료사 포함에 대한 당위성, 인지와 인지평가 및 중재 전문가를 통한 인지검사 수행, 노인과 치매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 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4개 문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가가 관련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기검진팀 사업 관련 작업치료사의 역량과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사업 참여 당위성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justifi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a dementia care center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Methods : A survey of 264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20 to August 2020.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25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6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projects of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ve themselves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in five areas: the elderly and dementia,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amination project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nd connection with the early examination team’s services. Therefor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as experts with competencies in the relevant area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y got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for the four quest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gni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of cognition testing through intervention experts;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mentia and follow-up consultation;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ollow-up consultation. In this way, it determined that they think the experts for the relevant areas must carry out the relevant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arly examination project by the dementia care center.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 KCI등재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정수정(Jung, Su-Jung),고하나(Ko, Ha-N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는 임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DACUM 기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무분석 결과에 대해 2 단계의 타당도 검증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수행작업표(DACUM chart)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 DACUM 워크샵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9개의 임무와 56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중요 임무 및 작업을 도출한 결과,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인지프로그램 준비하기와 인지프로그램 운영하기(내소/출장) 작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육수요도 또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DACUM 기법을 통해 분석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인력관리 및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in Korea by defining the duties and tasks they are performing. Methods : The DACUM method was used to achieve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job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 DACUM workshop by a DACUM committee, checked for validity in two steps of survey, an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job was investigated to created a DACUM chart. Results : Through the DACUM workshop, the du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defined, and 9 duties and 56 tasks were derived through valid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of duties and task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ognitiv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 Preparing for a cognitive program and Operate cognitive programs (in-center/business trip) tasks were high.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대학생들의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지식수준 조사: 치매 국가책임제를 중심으로

        정보경(Jeong Bo-Kyeong),성윤정(Sung Yoon-Je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Objective : We examined the level of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of dementia policy among university students who are still in school. Methods : For about a week from April 24th to April 30th, 2019, an electronic questionnaire survey on awareness, attitude, and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dementia policy will be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Material University. It was conducted and 1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material. Results : Regarding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policy, the increase in national support for dementia and shelters for dementia was the highest, and the recognition for national responsibility for dementia and the response of dementia treatment facilities were the lowest. The level of knowledge about dementia policy was highest at the Dementia Relief Center, and the burden of medical expenses and the National Dementia Research and Development Committee were lo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awareness of dementia policy and the level of knowledg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elderly people living nearby and the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policy, and the level of knowledg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recommend the necessity of awareness and knowledge accommodation for dementia policy as a basic material that can examine the awareness and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for dementia policy and the level of knowledge, and education to have the level of knowledge based on it. I hope that the foundation of will be laid. 목적: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지식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4월 24일부터 4월 30일까지 약 일주일간 부산, 울산, 경남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 지식수준에 관한 전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110부 중에 106부를 회수하고 응답이 잘못된 6부를 제외한 10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는 치매 국가적 지원과 치매 보호시설의 증가가 가장 높았으며, 치매국가책임제에 대한 인식과 치매치료시설의 충족수가 가장 낮았다. 치매정책에 대한 지식수준은 치매안심센터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비 부담과 국가치매연구개발위원회가 가장 낮았다.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 및 수준, 지식수준의 상관관계는 가까이 지내는 노인의 유무와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지식수준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지식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기초자료로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과 지식수용의 필요를 권고하며, 그에 따른 지식수준을 갖기 위한 교육의 토대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초기 치매노인에 대한 가족의 부양 경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오희선(Oh, Hee-Seon),정남해(Jung, Nam-H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초기 치매노인을 부양하고 있는 가족을 대상으로 현상학적으로 초기 치매노인 부양과 관련된 경험의 의미를 파악하고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초기 치매노인을 현재 부양하고 있는 가족 6명을 대상으로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치매노인의 자녀 5명, 며느리 1명이었다. 연구자는 전화로 치매노인의 부양 경험에 대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였고, 면담 후 추가적인 내용은 전화나 문자를 이용하였다. 면담내용은 연구자가 전사한 후 여러 번 읽으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면담 내용은 3개의 범주와 13개의 주제모음, 33개의 주제로 정리하였다. 범주는 어려움, 내적동기, 대처방법이었고, 어려움 범주에는 치매노인의 갑작스러운 증상, 가족의 심리적 스트레스, 치매노인의 일상생활 돌봄에 대한 거부, 가족의 지식부족, COVID-19로 인한 고립이라는 주제모음이 있었고, 내적동기 범주에는 치매노인에 대한 애정, 돌봄 가족에 대한 애정이라는 주제모음이 있었고, 대처방법 범주에는 사고의 전환, 환경개선, 치매관련 공부, 기술향상, 정책 및 제도 활용, 주변 인적 자원 활용하기라는 주제모음이 있었다. 결론 : 추후 본 연구는 초기 치매노인의 가족 부양부담감 완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henomenologically identify and explore the meaning of experiences related to caring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families support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ethods :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6 family members currently supporting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 daughters and 1 daughter-in-law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terview on the experience of caring the the elderly with dementia over the phone. The interview was recorded, and after the interview, additional information was obtained by phone or text message. The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by reading them several times after the researcher was transcribed. Results : The interview contents were organized into 3 categories, 13 themes clusters, 33 themes. The categories were difficulties, internal motivation, and coping strategies. In the difficulties category, there were themes clusters such as sudden symptoms, psychological stress in the family, refusal to care service, lack of family knowledge, and isolation due to COVID-19. In the internal motivation category, there were thematic clusters of affec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affection for the caring family. In the category of coping strategies, there were themes clusters such as changing thinking, improving the environment, studying dementia, improving skills, using related policies and systems, and utilizing surrounding social resources. Conclusion :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a program to alleviate the burden of support for the family of the elderly with early dementia.

      • KCI등재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매관리비용 및 치매안심센터 기능변화 연구

        조승현(Cho, Seung-Hyu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는 치매관리비용과 관련된 공공데이터를 수집 및 취합하여 치매와 관련된 비용적 분석과 치매안심센터의 시설, 인력, 실적을 분석하여 치매안심센터 기능변화에 대하여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치매 관련 정책 결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치매관리비용과 치매안심센터 관련 공공데이터를 정보공개 청구 및 보건 의료빅데이터 개방시스템 등을 통해 수집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관리비용의 증가는 노인인구 증가와 치매환자 수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치매안심센터는 전국에 설치되어 치매 관리를 위한 기초 인프라로서 기능하고 있으나 인력의 다학제적 구성에서 불균형을 보인다. 치매국가책임제 이후 치매환자 등록관리는 획기적인 양적 증가세를 보였으며, 상담 관리는 질적 향상이 있었으나, 인지재활프로그램(쉼터프로그램)과 가족프로그램은 실적 기준의 변화로 정확한 비교가 어려운 연구의 한계가 있었다. 결론 : 치매관리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보건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서는 치매관리 사업의 효과적 자원 투입이 필요하다. 특히 작업치료는 비용편익이 매우 뛰어나고 효과적으로 알려진 바, 작업치료의 역할을 쉼터에만 한정하지 않고 상담, 평가, 중재 계획, 중재, 교육 및 관리 등 다양한 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ollects public data related to costs of care for dementia and analyzes costs related to dementia. Analyze the facilities, staff, and performance of t he Cent er for Dementia and present changes in the function of the Center for Dementia. It was implemented to present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on policies related to dementia. Methods : Public data related to costs of care for dementia from 2016 to 2018 were collected through information disclosure requests and health care big data hub. Results : The increase in costs of care for dementia is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The Center for Dementia is installed nationwide and functions as a basic infrastructure for dementia management, but it shows an imbalance in the multidisciplinary composition of manpower. After the dementia national responsibility plan, dementia patient registration and management showed a drastic increase in quantity. The quality of counseling management was improv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s and family programs had limitations in making accurate comparisons difficult due to changes in performance standards. Conclusion : Costs of care for Dementia are constantly rising. In order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health programs, it is necessary to properly invest dementia management project expenses. In previous studies, occupational therapy was found to have excellent net benefits.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y is not limited to cognitive rehabilitation, but various responsibilities such as counseling, evaluation, intervention planning, intervention, educa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performed.

      • KCI등재

        치매환자가족의 주관적건강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승현(Cho, Seung-Hyu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치매환자가족의 주관적건강, 스트레스, 우울증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치매환자가족의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향후 치매환자가족 대상의 작업치료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를 위하여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가족 중 치매진단을 받고, 치매환자와 함께 거주하며, 치매환자를 가족이 주로 돌보는 경우로 한정한 2,630건을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더미변수를 활용한 다중회귀분석, SPSS Process Macro Model 4와 1을 활용한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환자가족과 일반대상자간 주관적건강, 스트레스, 우울증상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치매환자가족의 주관적건강과 스트레스 모두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주관적건강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는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모두 유의하였다. 결론 : 향후 치매가족대상의 작업치료프로그램 진행에서 가족의 스트레스를 낮추도록 하는 치료의 방향을 제언한다. 이러한 방향의 치매환자가족대상의 서비스 제공은 지역사회 중심의 체계적인 치매환자관리의 초석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collects data on the subjective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of 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and analyzes their effects on the depression of 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This was implemen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compos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families of dementia patients in the future. Methods : For the study, raw data from the Community Health Survey(2019) were used. 2,630 cases were analyzed, limited to cases where family member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lived with dementia patients, and the family mainly cared for dementia patient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dummy variable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stress, and depression between the dementia patient’s family and the general subjects. Both the subjective health and stress of the dementia patient s famil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depression. Among the effects of subjective health on depression, stress was significant in bo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Conclusion : In the future, treatment to lower the stress level of dementia patient’s family is suggested in the course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s for dementia patient’s family subjects. Such service provision for dementia patient’s family will be the cornerstone of community-centered systematic dementia patient management.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 부담 요인

        최정은(Choi, Jung-Eun),이연화(Lee, Yeon-Hw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주 부양자의 특성별 맞춤형 프로그램과 지원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치매정책 사업지침 내 가족지원사업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치매환자의 주 부양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우울의 정도와 치매태도, 부양부담,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를 포함한 자가기입 돌봄부담 분석을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는 각각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와 Dementia Attitude Scale: D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로 평가하였고, 치매환자의 정신행동증상 여부는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를 통해 치매환자의 심한정도 및 보호자의 고통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의 서비스 요구도를 5가지 명목척도로 조사 하였다. 연구조사 방법은 우편 및 대면 설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에 대한 설명 및 동의를 포함한 설문지를 총 423부를 배부하여 이 중 152부를 회수하였고, 응답에 충실하지 못한 41부를 제외하여 최종 111부룰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치매환자와 주 부양자의 관계에 따른 돌봄부담을 비교한 결과 환자의 정신행동증상여부 (p<.05)에서 배우자 외 집단에서 유의하게 높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치매환자의 특성과 부양자의 돌봄 부담에 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환자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조절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환자의 연령과 부양자 간의 관계가 치매태도에 있어서 상호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 내 가족지원사업 운영 추진 시 주 부양자의 인구학적 특성 및 환자와의 관계에 따른 맞춤형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 basic data necessary to propose customized programs and support plans for each characteristic of the Caregiver s who use the Center for dement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registered at the Center for dementia at the public health cente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epression of the subjects were evaluated a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Dementia Attitude Scale: DAS, and the Caregiver’s support burden was evaluated as Short Zarit Burden Inventory: S-ZBI, and whether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Scale (Neuropsychiatric Inventory Questionnaire, NPI-Q)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degree of pain of caregiver.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rvice needs of the family support project of the Center for Dementia,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and face-to-face interviews. A total of 423 copies were distributed and 152 of them were recovered, and the final 111 copi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excluding 41 copies that were not faithful to the survey. Results :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urden of car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p<.05). In addi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are burden of dependents and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 centering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it was analyzed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patient s age. Conclusion : The Center for dementia needs to organize a progra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giver of dementia patients, an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 should be considered.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여현주(Yeo, Hyun-Joo),이윤정(Lee, Yun-Je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정도 및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19일까지 부산, 경남,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9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32명(46.4%)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정도를 묻는 “작업치료 대상자가 누군지” 및 “작업치료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다중응답으로 “신체장애 및 질환이 있는 자”가 61명(37.7%), “건강, 기능의 향상 및 회복”이 64명(39.5%)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대체로 필요하다”가 36명(52.2%), “반드시 필요하다”가 24명(34.8%)순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와 지역별, 분야별로 작업치료 관련된 시설과 작업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이 마련되어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에 대한 관련법 제정 및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In the present study, the demand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increasing, We will examine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19, 2019, 69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Busan, Kyungnam and Daejeon provinces Respectively.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questionnaires collected via internet links and direct visits 69 pa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ersion 25.0. Results : In the question of whether Do you know about occupational therapy, 28 persons(40.6%)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clients who need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Physical disability and a disease was 61 persons(37.7%). Also, purpose of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Health, Recovery and Improvement of function 64 persons(39.5%),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was positively necessary“ 24 persons(34.8%). Conclusion :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low, but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y.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cilities and rehabilitation occupation therapy in the community program and education to provide rehabilitation occupation service. In order to activate in the community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 KCI등재

        뇌영상기법과 ApoE 유전자형 분석을 통한 경도인지저하환자에서 치매 전환으로의 구조학적, 유전학적 변이 연구

        김지현(Kim, Ji-Hyun),김연하(Kim, Yeon-Ha),김희진(Kim, He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도시지역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전환된 대상자의 분석을 통해 치매 위험요소를 예비확인하고, 한국형 치매전환에 대한 교정 가능한 위험인자를 개발하여 약물 및 사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등록된 8912명 중에서 현재까지 파악된 경도인지장애군 중 치매 비전환군 93명과 전환군 21명, 치매군 438명의 사회, 심리적 지표와 내과적 지표의 후향적 분석을 통해 한국형 치매 위험지수 개발하고, 치매비전환군과 전환군을 대상으로 하여 APOE genotype과 뇌영상을 종단 분석하여, 치매로 이환된 군의 사회. 심리적 요인을 분석하고 생물학적, 유전적 소인을 확인한다. 연구결과 : 사회심리적요소로는 배우자가 없는 경우, 종교가 없는 경우, 흡연과 운동력의 유무가 위험요소였고, 생물학적으로는 연령증가가 가장 중요한 치매의 위험인자였고, ApoE ε4 allele의 경우 상대위험도는 2.4였고, 1년의 종적인 뇌구조의 변화를 관찰할 때 뇌의 위축은 ApoE ε4 allele형을 가진 치매전환군에서 왼쪽 측두엽과 양측 두정엽에서 저명하였다. 결론 : 경도인지장애군을 치매로 전환시키는 교정인자는 운동여부과 흡연력과 독거 등의 위험요소가 위험 인자였고, 생물학적인 인자는 나이와 ApoE ε4 allele와 환자가 가지고 있는 내과적 질환은 기존의 보고와는 다르게 치매 전환에 대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하여 고위험군의 색출과 함께 사회통합적인 교정인자의 조기 개입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rough the analysis of patients with dementia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groups, the risk factors for dementia are developed and the basis for drug and social intervention is to be prepared by developing modifiable risk factors for Korean-style dementia conversionMethods : Totally, 8,912 enrolled from 2008 to 2012, (93 non-converted, 21 converter groups, and 438 dementia) Social, psychological and internal indicators are analyzed to develop Korean dementia risk indexes, and APOE genotype and brain imaging analyses for non-conversion and conversion group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genetic factors of those who have been converted into dementia. Results : As a social psychological factor, the absence of a spouse, current smoker, and exercise were correlated with conversion to dementia in MCI. Old age and ApoE ε4 allele increase biologically, the relative risk for dementia. Group of ApoE ε4 allele showed brain atrophy on the lateral temporal and bilateral parietal lobe in a 1 year- longitudinal follow up MRI. compared to those with other genetic types. Conclusion : This study presented various risk factors of dementia conversion in MCI group and it is needed for early intervention of modifiable factors and arly detection of high-risk group was important for preven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