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 분석: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교육 요구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9년 9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경상권, 중부권, 호남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작업치료 전공 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누락된 12부를 제외한 388부가 자료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하여 보통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치매안심센터로의 취업의사가 있는 학생들은 전체 학생의 80%이상이었다. 둘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중요하며, 치매조기검진 및 예방관리사업에서 작업치료사 역할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이 모두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일반적 특성 중 연령과 학년, 지역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 전반적인 기능,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작업치료사 역할의 중요도와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지역사회 작업치료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치매안심센터 기능과 치매안 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수준, 그리고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에 대한 관심 정도에 따라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한 중요도와 치매안심센터의 전반적인 기능과 치매안심센터 임상실습에 대한 교육 요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은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치매안심센터 관련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작업치료 분야의 활성화와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유용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From September 2019 to January 2020, 400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were surveyed at universities located in the Gyeongsang, Joongbu and Jeonra areas. With the exception of 12 missing responses,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rst,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had a normal level of awareness about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more than 80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willing to work at a dementia care center. Second, students recognized that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important at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was most important in early screening of dementia and preventive management project. Third, students were all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on the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ccording to age, grade and region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ifth,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 educational needs for clinical practic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there was a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Six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and educational needs about overall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clinical practice at the dementia care center, depending on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func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 job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level of interest in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Conclusion : Student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valued the role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and found that there was a high demand for education related to the dementia care center. These findings could used as a useful basis for activating the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and enhancing the efficiency of education.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한 연구
조미림(Cho, Mi-Lim)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전국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 당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20년 4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전국 작업치료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 결과, 응답이 누락된 6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과 관련하여 작업치료사의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노인 및 치매질환, 인지, 일상생활활동, 조기검진팀 검진사업, 조기검진팀 서비스 연계 5개 영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작업치료사가 해당 영역에 대한 역량을 갖춘 전문가라고 인지하고 있었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 사업 참여에 관한 당위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팀의 작업치료사 포함에 대한 당위성, 인지와 인지평가 및 중재 전문가를 통한 인지검사 수행, 노인과 치매질환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 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지식을 갖춘 전문가를 통한 치매지원서비스 연계 및 후속상담 실시의 필요성에 대한 4개 문항 모두 평균 4점 이상으로 해당 영역에 대한 전문가가 관련 서비스를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기검진팀 사업 관련 작업치료사의 역량과 당위성에 대한 인식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의 치매안심센터 조기검진사업 참여 당위성 마련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certain the justific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a dementia care center from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Methods : A survey of 264 occupational therapists nationwide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2020 to August 2020. After collecting the questionnaires, 258 copies were used as data for the final analysis, and 6 copies with missing responses were excluded.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of their own competencies in relation to the projects of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gave themselves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in five areas: the elderly and dementia, cogniti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examination project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nd connection with the early examination team’s services. Therefore,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ive themselves as experts with competencies in the relevant areas. In addition,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justification for the occupational therapists’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they got scores of 4 or more points on average for the four questions about the justification of the inclus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of the dementia care center: cognition and cognitive assessment, and performance of cognition testing through intervention experts;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 and dementia and follow-up consultation; and the necessity of connection with dementia support services through experts with knowledge about the elderly’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follow-up consultation. In this way, it determined that they think the experts for the relevant areas must carry out the relevant services. Regarding the perception of the competence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the justification in relation to the projects by the early examination tea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evidence for the justification for the particip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early examination project by the dementia care center.
DACUM 기법을 이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분석
정수정(Jung, Su-Jung),고하나(Ko, Ha-Na)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1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5 No.2
목적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치매안심센터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수행하고 있는 임무(duty)와 작업(task)을 도출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역량강화 및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DACUM 기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도출하고 직무분석 결과에 대해 2 단계의 타당도 검증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조사하여 수행작업표(DACUM chart)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 DACUM 워크샵을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정의하고 타당도 검증을 거쳐 9개의 임무와 56개의 작업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임무와 작업의 중요도, 난이도, 수행빈도를 파악하여 중요 임무 및 작업을 도출한 결과,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중요성이 가장 높았으며, 인지프로그램운영(쉼터, 인지강화교실) 임무의 인지프로그램 준비하기와 인지프로그램 운영하기(내소/출장) 작업의 중요성이 높게 나타났고 이에 대한 교육수요도 또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 : DACUM 기법을 통해 분석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는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인력관리 및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mprove the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in Korea by defining the duties and tasks they are performing. Methods : The DACUM method was used to achieve an analysis of the duties of the dementia care center occupational therapists. In order to achieve this analysis, a job analysis was executed through a DACUM workshop by a DACUM committee, checked for validity in two steps of survey, and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the job was investigated to created a DACUM chart. Results : Through the DACUM workshop, the dutie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dementia care center were defined, and 9 duties and 56 tasks were derived through valid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performance of duties and tasks,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of cognitive program was the highest, and the Preparing for a cognitive program and Operate cognitive programs (in-center/business trip) tasks were high.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 for the development of a curriculum for efficient work performance of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ementia care center.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센터의 작업치료 요구도 조사: 종사자를 대상으로
배원진(Bae, Won-Jin),정남해(Jung, Nam-H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주간보호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의 필요성과 요구도 및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 2019년 1월부터 동년 2월까지 B지역의 발달장애인 주간보호센터 종사자 7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총 20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작업치료 인식도 및 요구도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SPSS 20.0으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각 항목에 대한 응답은 빈도와 백분율 등 기술통계를 실시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식도, 요구도 및 요구하는 프로그램의 차이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 본 설문지에 응답한 대상자는 모두 사회복지사이었다. 작업치료에 관해 안다고 응답한 대상자와 작업치료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각각 63명(80.8%)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주간보호시설에서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 향상을 위해 작업치료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현재 작업치료를 제공 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공간적인 부족과 서비스 비용에 대한 부담 등이 있었다. 인식도와 요구도는 연령과 임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청소년 및 성인 발달장애인을 위한 주간보호센터에서 작업치료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관련법의 개정과 보건복지부의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realistic difficulties of social welfare in day care centers.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of 78 social workers working in daycare center in the area B from January to February 2019. Questionnaire was 20 items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wareness and needs on occupational therapy. Data was analyzed with SPSS 20.0. Results : Sixty-three (80.8%)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know occupational therapy, and 63 respondents(80.8%) occupational therapy is necessary. Social workers working in the day care centersaid the occupational therapy is the most necessary to improv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daily living skill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kills, and realistic difficulties to provideusers occupational therapy include space shortage, burden on cost and so on. Conclusion : In order to implement occupational therapies at the daycare center for adolescents and adults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revise relevant laws and support the Ministryof Health and Welfare, and establish the basis for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adolescent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최현세(Choi, Hyun-Se),장태용(Jang, Tae-Y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파킨슨씨병 환자를 대상으로 파킨슨씨병 작업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2018년 11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서울특별시 A, B병원에서 파킨슨씨병 진단을 받은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파킨슨씨병 작업치료프로토콜은 일상생활동작 훈련(보조도구 소개 및 활용 포함), 가정환경수정, 소근육 운동, 낙상예방운동, 보호자교육 등이 포함되어있고 중재는 1일 50분씩 주 2회, 총 5주 10세션 동안 실시하였고, 중재 5주 후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은 대응표본 분석과 빈도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1.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총 2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일상생활동작은 중재 전53.7±4.66에서 중재 후 59.3±3.06으로 변화하였고, 부양부담감은 중재 전 42.3±18.74에서 중재 후 37.7±16.67으로 변화, 상지기능은 중재 전 32.2±3.66에서 중재 후 37.3±3.94으로 변화 하였고, 균형기능은 중재 전 32.7±4.32에서 중재 후 33.2±4.02으로 변화 하여 중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파킨슨씨병 작업치료프로토콜의 효과를 확인하였고 임상에서 작업치료사들이 파킨슨씨병 환자 맞춤 재활치료를 적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effectiveness of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application in patients with Parkinson s disease. Methods : From November 2018 to April 2019, 25 people who were diagnosed with Parkinson s disease were tested at A and B Hospital in Seoul.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includes Activity daily of living training (including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of assistive tools), home environment modification, Fine motor training, fall prevention exercise, and Caregiver education. Intervent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50 minutes a day, for a total of 5 weeks and 10 sessions, and re-evaluated after 5 weeks of intervention. The analysis was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SPSS Version 21.0. Results : For a total of 25 participants, daily life movements changed from 553.7±4.66 before intervention to 59.3±3.06 after intervention, the burden changed from 42.3±18.74 before intervention to 37.7±16.67 after intervention, the upper limb function changed from 32.2±3.66 before intervention to 37.3±3.94 after intervention, and the balanced function changed from 32.7±4.32 before intervention to 33.2±4.02 after interven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Parkinson s disease occupational therapy protocol was confirmed, and it is meaningful that clinical occupational therapists presented evidence to apply customized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Parkinson s disease patients.
고령자 치매 환자의 인지보존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의 개입
김희진(Kim, He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Introduction : Non-pharmaceutical treatment, which has emerg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dementia, is intended to help in cogni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Here, we suggest by providing a kind of cognitive arbitration and theoretical basis. Text : Cognitive intervention can be divided into cognitive training,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gnitive stimulation. The cognitive rehabilitation strategy can be carried out largely through compensation and recovery strategies, and there is a ’alternative strategies’ using music therapy or Snozelen. Discussion : Non-pharmaceutical treatment based on neuronal plasticity should be conducted with extensive research,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new biomarkers that can objectively verify future customized treatments and outcomes taking into account personal deviations. Conclusion : Further research on cognitive intervention is needed as a non-pharmaceutical treatment for cognitive preservation for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super-aged society. 목적 : 치매에 있어서 약물적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두된 비약물적 치료로서 인지중재의 종류와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향후 환자를 위한 작업치료를 계획할 때 도움이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비약물적 치료의 인지중재는 인지 훈련 (Cognitive Training), 인지재활(Cognitive rehabilitation), 인지자극 (Cognitive stimulation) 으로 나눌 수 있고, 인지재활 전략은 크게 보상과 회복전략을 통해 진행할 수 있고, 음악요법이나 스노젤렌 등을 이용한 대안전략이 있다. 연구결과 : 신경가소성에 근거한 비약물적 치료는 추후 개인적 편차를 고려한 맞춤형 치료 및 결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새로운 생체표지자 개발과 함께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야 한다. 결론 : 초고령화 사회에 발맞추어 인지보존을 위한 비약물적 치료로서 인지중재의 새로운 요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과 치료사의 심리적 소진의 관계 및 대처방법 분석연구
이다솔(Lee Da-Sol),김시은(Kim Si-Eun),양영애(Yang Yeong-Ae)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치매환자를 일대일로 응대하는 치료사들이 어떠한 공격적 행동 양상을 경험하고 대처하는지 알아보고 공격적 행동에 따른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20년 10월 15일부터 11월 2일까지 작업치료사, 물리치료사 면허증을 소지하고 의료재활기관과 사회복지기관에서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치료사 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 빈도수가 높을수록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의 심리적소진의 점수도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에 따른 대처행동은 언어적 토론, 신체적 억제, 행동제한, 발생요인제거, 무반응, 휴식, 화학적 억제, 기분전환, 회피, 신체적 공격 순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는 공격적 행동에서 모두 언어적 토론이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각 기관에서는 치매환자의 공격적 행동에 대한 대처행동에 관한 교육 및 프로그램과 재활적 치료 접근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는 심리적 소진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aggressive behaviors the therapists who were coping with dementia patients one on one experience and cope with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with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aggressive behaviors. Methods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65 therapists who were performing the tasks of occupation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for dementia patients at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holding the licenses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and a physical therapist from October 15 through November 2, 2020. Results :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the higher the score of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became, and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behaviors for coping with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s appeared in the following order: Linguistic discussion, physical suppression, behavior restriction, the removal of the cause of occurrence, unresponsiveness, rest, chemical suppression, diversion, evasion, and physical aggression, and concretely, the linguistic discuss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ll the aggressive behaviors. Conclusion :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each institution should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 on the behavior for coping with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s and the baseline data on the rehabilitative therapeutic approach and that occupational therapists and physical therapists should appropriately manage their psychological burn-out.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회상치료를 적용한 연구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임소희(Lim, So-Hee),신중일(Shin, Joong-Il)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9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3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회상치료 중재 방법과 효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학술논문 검색서비스, SCHOLAR, Pubmed에서 제공되는 연구논문들 중 2014년부터 2019년 3월까지 발표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Dememtia’, Reminiscence Therapy’ 등의 단어를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배제기준을 적용하여 총 19개의 논문이 분석 대상으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 본 연구는 중재 방법, 효과 및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회상치료에 대한 연구는 2014년 2편, 2015년 5편, 2016년과 2017년 2편, 2018년 6편으로 계속해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사소통 중심의 회상치료, 단계별 회상 확장 활동, 시간 순서에 따른 회상활동, 생애주기별 회고 회상프로그램, 중요한 경험이나 좋았던 경험, 과거 자신의 이야기 등과 같은 개인적인 경험과 추억을 주제로 적용한 회상치료, 매체(동영상, 애니메이션, 음악, 디지털 소프트웨어 등)를 이용한 회상치료 등 다양한 중재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회상치료를 적용하였을 때, 우울감소와 인지기능 향상의 효과를 가장 많이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도구는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치매 환자에게 적용하는 회상치료 방법과 중재 효과를 알아보고 회상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는 회상치료 간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중재가 치매환자에게 더 효과가 있는지 다양한 회상치료 간의 비교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variety of reminiscence therapy methods and effects that can be applied to dementia patients. Methods : Research papers provided by earticle, SCHOLAR, and Pubmed, data from 2014 to March 2019 were collected. Key words were searched using words such as Dementia and ‘Reminiscence Therapy . A total of 19 papers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the exclusion criteria. Results : This study focuses on mediation methods, effects and evaluation tools. The research on reminiscence therap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in 2 sections in 2014, 5 sections in 2015, 2 sections in 2016 and 2017, and 6 sections in 2018. According to personal experiences and memories such as reminiscence activities, life cycle retrospective reminiscence programs, important experiences and good experiences, and stories of the past, and reminiscence using media (videos, animations, music, digital software, etc.) Various interventions such as treatment are applied. In addition, when the reminiscence treatment was applied, the effect of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was most confirmed.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was the mostcommonly used evaluation tool. Conclusion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miniscence therapy method and interventional effects of dementia patients and to suggest various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dementia.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comparative studies between various reminiscence therapy will be actively conducted to compare which interventions are more effective for patients with dementia.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여현주(Yeo, Hyun-Joo),이윤정(Lee, Yun-Jeong)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1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 정도 및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9년 11월 1일부터 11월 19일까지 부산, 경남, 대전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69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활용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작업치료에 대해 알고 있는지에 관한 문항에서 “보통이다”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32명(46.4%)으로 가장 많았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정도를 묻는 “작업치료 대상자가 누군지” 및 “작업치료의 목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문항에서는 다중응답으로 “신체장애 및 질환이 있는 자”가 61명(37.7%), “건강, 기능의 향상 및 회복”이 64명(39.5%)으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 필요성에 대한 응답으로는 “대체로 필요하다”가 36명(52.2%), “반드시 필요하다”가 24명(34.8%)순으로 가장 많았다. 결론: 지역사회 노인들의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와 필요성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와 지역별, 분야별로 작업치료 관련된 시설과 작업치료 프로그램 및 교육이 마련되어 작업치료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지역사회에서 작업치료에 대한 관련법 제정 및 활성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In the present study, the demand for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increasing, We will examine the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Methods :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19, 2019, 69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Busan, Kyungnam and Daejeon provinces Respectively.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questionnaires collected via internet links and direct visits 69 par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Version 25.0. Results : In the question of whether Do you know about occupational therapy, 28 persons(40.6%)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clients who need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Physical disability and a disease was 61 persons(37.7%). Also, purpose of occupational therapy the higher rate of Health, Recovery and Improvement of function 64 persons(39.5%),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Therapy “was positively necessary“ 24 persons(34.8%). Conclusion : Recognition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s low, but the need for occupational therapy. It is necessary to provide facilities and rehabilitation occupation therapy in the community program and education to provide rehabilitation occupation service. In order to activate in the community systematically in the future.
차수민(Cha Su-Min),이혜진(Lee Hye-Jin)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20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14 No.2
목적: 본 연구는 재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관련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디자인 개발, 지역사회 재가 치매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정책 수립에 필요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 선정기준에 따라 Google Scholar, KISS, RISS, 국립중앙도서관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된 논문을 검색하여 최종적으로 총 5편의 연구를 선정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연구가 Level Ⅳ(조사연구)에 해당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가 배우자, 자녀, 며느리 등을 포함한 치매노인의 주부양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대상 연구 5편 모두가 치매노인의 주거환경 현황 및 개선요구를 큰 주제로 하였고, 주요 세부 주제는 치매 유형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2편(40.0%), 치매증상 단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치매 관련 증상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 주거 공간별 주거환경 개선요구도가 1편(20.0%)으로 나타났다. 결론: 향후 효율적인 재가 치매노인의 맞춤형 주거환경 개선안이 도출되기 위해서는 주택개조 지원 제도 및 관련 정책의 변화, 다학제적 접근법에 대한 적용방안 마련 및 검토, 치매노인 주거환경 개선 관련 분야에서의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차원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thereby presenting the research direction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ousing environment desig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Methods : From 2000 to 2020, according to the research selection criteria,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by searching articles registered in the databases of Google Scholar, RISS, KISS,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finally selecting a total of five studie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ative level of the research, all of the researches corresponded to Level IV(research study), and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All studies conducted a survey on housewive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spouses, children, and daughter-in-law. As a result of analysis of main themes, 2 studies(40.0%) of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type of dementia,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 symptom, 1 study(20.0%) on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demands by dementia-related symptoms, 1 study(20.0%) on the demand for improvement of housing environment by housing space was found. Conclusion : In order to derive an efficient housing environment improvement plan tailor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home, changes in the housing remodeling support system and related policies, preparation and review of application plans for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and improvement of the housing environment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rengthen the competence and expertis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Multidimensional research for securing should be actively condu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