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 방향에 대한 연구 - 외국 문장부호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유상미 ( Yu Sangm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4 한국어문교육 Vol.46 No.-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문장부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효율적인 문장부호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장의 구조를 드러내고 글쓴이의 의도를 전달하는 문장부호는 한국어의 문자언어 생활에서 매우 중요함에도 한국어교육에서는 공식적인 교육내용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과 외국의 문장부호 규정을 비교 검토하면서 한국어교육에서 왜 문장부호 교육이 필요한지, 한국어교육에서 문장 부호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교육학계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던 문장부호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전개했다는 점에서 나름의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for teaching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o suggest an efficient direction for teaching punctuation. Punctuation, which reveal the structure of a sentence and convey the writer's intention, are very important in written Korean. However, it is not covered as educational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reviewed the punctuation rules in Korean and other languages and discussed why it is necessary to teach punct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how it should be taugh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has developed a discussion on teaching punctuation, to which not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4 한국어문교육 Vol.16 No.-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론>, <한국어화용론>, <한국어 문학교육론>,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 <학습 한국어 교육>, <다문화 한국어 교육과정론>, <다문화 한국어 평가론>, <다문화 한국어 교재론>, <다문화 한국어 말하기·듣기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읽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쓰기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발음 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문법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어휘교육론>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 영역: <다문화 한국어 교수·학습 실제Ⅰ: 현장실습>,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 실제Ⅱ: 반성적 고찰> 마지막으로, 교육과정의 운영에 대해서는 연계전공으로 하며 각 강의는 교과목의 성격에 부합하는 각 영역의 전공자들이 담당하는 것으로 논의하였다. 이 교육과정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학교, 다문화 교육 센터와의 연계가 요구된다. This study aimed to seek for what contents will be organized and how that curriculum will be implemented in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college of education. First, society, student and subject as source are analysed for goal setting of this curriculum. Then, content systems are clar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That is 1)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 2) A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3) teaching practice of multicultu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ubjects are developed in the three categories. Finally,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s commenced as interdisciplinary course and each lectures are taught by the majors from each field that matches the character of the subjects. This curriculum requires cooperative schools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s for effective training.

      • KCI등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한국 현대 가치문화 교육방안 연구

        이원주 ( Lee Wonj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3 한국어문교육 Vol.43 No.-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한국 현대 수필에 반영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백워드 설계에 적용하여 교육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소설처럼 허구화된 인물과 복잡한 사건이 덜 등장하며 시처럼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이 적고 일상생활을 소재로 하여 한국인의 일상과 그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가까이서 간접적으로 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필 장르를 선택하였다. 또한 한국의 현대 가치문화를 가족주의 문화(혈연 문화, 효 문화), 집단주의 문화(우리 문화, 정 문화, 흥 문화), 관계주의 문화(서열 문화, 연줄 문화, 체면 문화)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어령의 수필 「빵과 밥」에 반영된 가치문화를 분석하여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교육방안을 수립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연구가 미진했던 가치문화 연구에서 백워드 이론을 적용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 가치문화 교육과 언어 기능 교육을 연결한 교육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한국의 가치문화를 교육하기 위한 연구와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ducational pla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by applying Korean modern value culture reflected in modern Korean essays to the Backward Design. To this end, the essay genre was chosen as it may help understand the daily lives and value culture of Korean people. Unlike novels, essays feature fewer fictional characters and complicated events. Besides, unlike poetry, they have fewer implicit and symbolic expressions. In addition, this study classified Korean modern values into three main categories: familism, collectivism, and relationalism, and put subcategories below them. Based on this, the study analyzed the value culture reflected in Bread and Rice, a modern essay by Lee-Eolyeong, to establish an educational plan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first study to apply the Backward Design theory in value culture research, which has been lacking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it suggests an educational plan that connects value culture education and language skills education. With this study, it can be expected that studies in Korean value culture and studies using the Backward design may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연분홍,장휘,표인주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0 No.-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실제 교실에서 진행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구비문학 교육과 문화교육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looks at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 of Korean and Chinese oral literature, and presents directions for it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on skills, and argues the necessity for classics education.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its usefulness, this research conducted classes on oral literature to the students of Korean language major at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organized the expected effects. Learners who study Korean language nowadays have more diverse demands compared to those in the past. In the past, it was difficult to expect learners to learn Korean culture, as well as literature. However, learners now should be able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reflect this in their language lives, making progress from the conventional objective aimed at communication skills only. When these realities are consid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seek to provide a wide range of learning materials, addressing various goals that learners have. For these reasons, this research proposes putting classics education to practical use, and presents teaching-learning scenarios that can be tried in class.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more active discussions about Oral Literature and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한국의 체계기능언어학 연구와 과제

        이관규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0 No.-

        The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SFL)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1981. Since then, the theory has been adopted in many different fields and 228 related papers have been published. 48 articles (21.1%) were from the fields of translatio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KLEF), 35 (15.3%) and 22 (9.6%)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respectively. Currently, Only one introductory book regarding SFL is published in Korea. Since 2005, 27 doctoral dissertations using SFL were published. In terms of the topics discussed,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a relative large number of papers, seven (25.9%), followed by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 and KLEF with six papers (22.2%) respectively. Furthermore, regarding the content of SFL published in Korea, 29.65% of them (8 papers) deal with interpersonal meta-function, those discussing three meta function comprehensively account for 29.65% (8 papers), and 18.5% (5 papers) deal with ideological meta-function. More specifically, the papers dealing with modality, transitivity, and context(genre and register) account for 14.8% (four on each subject) respectively, and there are two papers on evaluation words, two on grammatical metaphors, and one on clause complexes or logical meta-function. 1981년에 한국에 체계기능언어학이 처음 소개된 이후 지금까지 228편의 논문이 나왔다. 초기에는 이론 소개와 함께 주로 번역학 관련 논문들이 나왔으며, 이후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이 사용되고 있다. 번역학과 국어교육학 분야가 각각 48편(21.1%)으로 가장 많다. 국어학과 한국어교육학 분야가 각각 34편(14.9%), 23편(10.1%)으로 그 뒤를 잇는다. 한국에서 발간된 체계기능언어학 관련 개론서는 2021년에 나온 것 1권밖에 없고, 단지 번역본 서너권이 있을 뿐이다. 체계기능언어학을 사용한 박사논문은 2005년에 처음 나왔고 현재까지 27편에 달한다. 분야별로 살펴보면, 국어교육학 분야가 7편(25.9%), 번역학과 한국어교육학 분야가 각 6편(22.2%)으로 상대적으로 많다. 국어학과 과학 분야가 각각 2편(8.0%)씩을 차지하고 있으며, 영어교육학, 수학, 언론학, 디자인학이 각각 1편씩 차지하고 있다. 한국에서 다루어지는 체계기능언어학의 내용을 박사논문을 통해서 보면, 대인적 대기능을 다룬 것이 8편(29.65%)으로 많고, 세 가지 대기능을 종합적으로 다룬 것도 8편(29.65%)이며, 그리고 관념적 대기능을 다룬 것이 5편(18.5%)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개별 내용을 보면, 양태, 동성, 맥락(장르, 사용역)을 다룬 것들이 각각 4편씩(14.8%씩) 있으며, 평가어와 문법적 은유를 다룬 것도 각각 2편씩이고, 절 복합체, 즉 논리적 대기능을 다룬 것이 1편 있다.

      • KCI등재

        신세기 중국 어문 과장(課程) 개혁의 가치 취향

        정국민,교우박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1 한국어문교육 Vol.10 No.-

        20이년에 중국에서 의무교육 단계의 과정(課程) 기준을 반포하고 새로운 과정 개혁과 교육 개혁을 시작했다. 10년의 실험을 통해서 경험과 교훈을 총결하여 이를 바탕으로 하여 수장된 과정 기준을 반포할 것이다. 기초 교육 과정 개혁의 중요 표현 중의 하나는 과징 가치 취향의 변화이다. 문화가 다원적이고 극변적인 현대사회에서 어문 교육이 혹독한 현실을 어떻게 당면하며 학생들을 중화문화의 기초에서 충족한 자신감과 독립성을 갖게 하여 문화 확장이나 문화 충격에서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것은 어문 과정가치를 다시 구축하는 중요한 임무이다. 아울러 이러한 어문 과정 가치 취향을 관철하고 수행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어문 교육 이념과 격렬한 부디침을 발생하기 마련이다. 近六十年來中國在中學閱讀敎學方面進行了多方面的探索. 衝敎學目標來看, 呈現出"閱讀知識本位一閱讀能力本位一閱讀素養本位"的位移;從敎學內容來看, 經歷了"閱讀知識本位一閱讀能力本位閱讀素養"轉換;從敎學來看, 則展現出"講授一訓練"模式, "示范一訓練"模式, "體驗一對話"模式的演變軌迹. 21世紀的中學閱讀敎學硏究浮回歸到科學化的道路, 著重解決三個問題: 閱讀敎學目標的操作性, 閱讀敎學內容的謔定性, 閱讀敎學方法的有效性.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 다시 돌아보기

        송재익 ( Song Jaei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이 글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어떻게 생겨났고, 이 역량 기반 교육과정이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는지 살펴본 글이다. 역량 기반 교육과정은 교과 지식 중심에서 벗어나고자 하고, 참다운 배움과 경험에 눈길을 돌려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점이 있다. 그러나 사회에서 요구하는 역량을 강조하다 보니 사회화에 기울어 있다. 또 역량을 몇 가지 목록으로 정해 놓는 것은 교육의 본질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역량을 기르는 것을 교육이 해야 할 일로 보고 있어 결과위주 교육관의 문제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역량은 교육의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다루어야 하며, 교육주체가 스스로 기꺼이 교육의 소재로 삼는 품위(品位, transtalent)의 성격으로 바꾸어야 교육의 본질과 가치를 살릴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as created and how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can help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eks to move away from the focus of subject-matter knowledge, and it can help education by turning its focus to true learning and experience. However, it is leaning toward socialization as it emphasizes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Furthermore, it has a list of competencies set, which is not desirable considering the nature of education. And since it regards developing competencies is regarded as the function of education, it has a problem that its educational perspective focuses on results. Therefore, competence should be treated as a means of education, not as an aim. The essence and value of education can be realized only when we turn competence into something of transtalent that main agents of education are willing to use as a source of education.

      • KCI등재

        일본의 학교 교육에서의 전통과 문화 -현황과 공예-

        이토나오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3 한국어문교육 Vol.14 No.-

        2006년 12월 22일 59년 만에 문부과학성에 의해 교육 기본법이 개정되었다. 그 이념으로 내세운 것은 「살아가는 힘」이고, 「확실한 학력」, 「풍부한 마음」, 「건강한 몸」 등 이 세 가지의 조화가 그 「살아가는 힘」 을 지원하는 것으로 중요시되고 공공 정신, 전통과 문화의 존중을 근거로 새롭게 「전통과 문화」에 대한 교육으로 도덕 교육, 체험 활동이 더해졌다. 「교육의 목표」로는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을 길러 온 우리나라와 향토를 사랑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를 존중하고 국제 사회의 평화와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르기 (평생 학습이념)」 가 명기되었다. 즉 일본의 학교 교육에 「전통과 문화」의 도입 필요성이 인식 된 것이다. 「전통과 문화」의 학교 교육은 『신 학습지도 요령』에 따라서, 유치원이 2009년, 초등학교는 2011년, 중학교는 2012년, 고등학교는 2013년, 특별 지원 학교는 유치원, 초·중·고등학교에 준하는 것으로 그 실시가 시작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학교 교육에서의 전통과 문화에 대해 「나라의 전통과 문화에 대한 시도」, 「초등학교의 전통과 문화 교육」, 「중학교의 전통과 문화 교육」과 항목을 마련해 현황을 보고한다. 또한 일례로, 2004년도 초부터「「일교일화 문화학습(一校一和文化學習)」을 내걸고, 교육에 임하고 있는 동히로시마의 51개교의 구체적인 활동을 동히로시마시 교육위원회의 자료를 제시하면서 취재한 내용을 언급, 전통과 문화교육이 학생에게 성과를 올리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현상 분석을 통해 전통과 문화교육 활동에 「공예」가 적은 경향이 도출 된 것으로부터 그 이유를 고찰하고 일본의 공예 역사를 개관함으로써 그 중요성과 향후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또한 그 이념에 따라, 공예에 중점을 둔 필자가 재적하고 있는 히로시마 대학 문학부의 교육 활동을 보고한다. 「전통과 문화」교육이 꾸준히 자리 잡기 시작한 현황을 보고하고, 이번 공예 분야의 도입 의 제시와 또한 이러한 새로운 교육 활동이 최종적으로 평화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기대를 말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 고찰 -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전이, 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경복 ( Ko Kyungbok ),김경열 ( Kim Gyeongyeol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1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 학습전이, 학습효능감에 대한 개념 정의와 연구 도구를 마련하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습자의 학습전이와 학습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첫째, 한국어 교육서비스 품질 요인 중 교사 신뢰도와 교수품질이 학습자들의 학습전이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들 중 교수품질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의 교육서비스 품질은 학습자의 학습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들 중 교사의 신뢰도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도구를 사용해야 하고, 학습자의 요구에 기반한 도구 선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어 교사에 대한 지속적인 재교육, 학습자의 문화권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교사로서의 신뢰도를 보일 수 있어야 학습자의 학습전이와 학습효능감을 높여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pare a 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is end, we prepared conceptual definitions and research tools for the quality of Korean education service,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Furthermore,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the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how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rvice affects learners'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and found the followings. First, among the quality factors of Korean education service, the factors that helped raise learners' learning transfer were teacher reliability and teaching quality,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quality was found to be relatively strong among them. Second,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Korean educ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earners' learning efficacy, and among them, teachers’ trust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educational tools should be used, and they should be selected based on learners’ needs. It was The learning transfer and learning efficacy of learners could increase only when teachers can show their trust as a teachers to learners by re-educating themselves and learning about learners' culture continuously.

      • KCI등재후보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의 문법 교육 연계성 연구

        이관규 ( Lee Kwanky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문교육 Vol.21 No.-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문법의 유형과 교육 방법을 검토하고 이에 따라 초중등학교와 대학에서의 문법 교육 양상을 연계성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언어 규칙과 언어 운용 규칙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문법의 유형을 나누어 보았다. 전자는 문장 문법에서 역할을 하고 후자는 담화 문법에서 역할을 한다. 문장 문법에서는 언어 표현을 통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고 담화 문법에서는 화자(필자), 청자(독자), 발화(언어 표현), 맥락을 가지고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다. 초등학교와 대학에서의 문법 교육은 주로 담화 문법 차원에서 통합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정도는 대학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한편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는 주로 문장 문법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문법 교육이 이루어지는데, 그 정도는 고등학교에서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주로`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문장 문법과 담화 문법, 독자적 방법과 통합적 방법은 정도성을 띤다. 초등학교에서는 주로 단어와 문장을 중심으로 하여 문법 교육이 학년에 따라 이루어지며, 중학교에 와서는 `음운-단어-문장-담화`의 전 문법 내용이 교육되고, 특히 어문 규범 교육이 강조된다. 높은 인지 발달 특성을 보이는 고등학교에서는 문법의 모든 내용이 체계적으로 교수 학습되며, 대학의 교양 과정에서는 대개 글쓰기의 보조 수단으로 문법 교육이 문장 및 담화를 중심으로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This study aims to divide grammar types and grammar education methods, and to investigate connection aspects of grammar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at universities. We can divide grammar types into two: sentence grammar and discourse grammar. First focuses on rules of language and second rules of language usage. We can know the meaning of a sentence through language expression itself, and the meaning of discourse through speaker (writer), listener (reader), context and language expression itself. Grammar educations in elementary schools and in universities are done largely through discourse grammar by unified method, and this tendency is stronger in university. Meanwhile, gramma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is done largely through sentence grammar by unique method, and this tendency is stronger in high school. Elementary schools mainly deal with words and sentences, whereas middle schools deal with `phoneme-word- sentence-discourse`, especially language norms.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high cognitive development learn all grammar contents systematically, whereas university students learn sentence and discourse in a unified way-as a means of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