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등학교 국정역사교과서『중외역사강요』의 역사관과 서술의 특징 -『중외역사강요 上』의 3단원을 중심으로-

        권용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2 No.-

        본고는 중국의 고등학교 국정역사교과서 <중외역사강요 上>의 10~14 세기 중국 역사에 대한 설명을 분석한 글이다. 국가가 역사 서술에 개입 하여 정치적인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 만든 것이 국정역사교과서이기 때문에 <중외역사강요>에는 당연히 중국 공산당 당국이 우선시하는 가치관이 들어가 있다. 이러한 가치관과 이념을 정리한 <역사과정표준>의 지침에 따라 만들어진 교과서에서 다룬 10~14세기 중국 역사에 대한 서술에서도 국가가 원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중외역사강요 上>의 3단원이 지향하는 바는 표면적으로 요(거란), 송(한), 하(탕구트), 금(여진), 원(몽골)의 존재가 다민족 통일국가의 기초를 놓았음을 밝히는 것이고, 각 민족 사이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연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交融’의 추세가 강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그래야 현재 중국이 내세우는 중화민족 다원일체가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이어져 왔던 현상이었다고 주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교과서의 실제 내용과 구성은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부실하다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로 제시하는 자료나 서술의 양이 너무 제한적이다. 한국과 일본의 세계사 교과서 서술과 자료보다도 질이 낮다고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가 없는 상황이다. 교과서의 내용 자체가 부실하다보니 여러 민족의 交融은 당연히 드러날 수가 없다. 서술의 비중도 송에 비교적 치우쳐 있다는 점이 눈에 띄고, 특히 거란, 탕구트, 여진이 세운 국가의 성격과 통치 체제 등에 대해서는 언급이 전혀 없기 때문에 중화민족 다원일체가 역사적으로 확인될 것이라는 교과서의 목표는 달성되지도 않았다. 그저 티베트의 사꺄 빤디타와 몽골의 쿠텐 사이에 이루어진 회담을 언급하면서 티베트가 중국의 판도에 들어오게 된 발단이 된 것이라고 억지스러운 주장을 하면서 중화민족 다원일체론을 보여주려고 한 것이 그나마 교과서의 목적 달성을 위한 장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교과서로 중국사를 배우게 될 중국의 고등학생들은 당연히 중국 공산당이 설정한 이념만을 알게 될 것이다. 그러면서 중국 중심주의적 경향성이 더욱 짙어질 것인데, 필자가 생각하는 <중외역사강요>의 또 다른 문제점은 서술 내용 자체가 부실하다는 점이다. 이는 중국사를 다룬 <중외역사강요 上>은 물론이고, 세계사를 다룬 <중외역사강요 下>에서도 보이는 특징이다. 역사 교육을 국가가 주도해서 실시하겠다면서 이렇게 부실하고 편협한 내용으로 된 교과서가 국가 주도로 발행되었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게다가 중국학계의 수많은 연구 성과들을 고려하면, 세계사 분야는 차치하고 중국사 서술이 이렇게 부실하다는 것에는 큰 문제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현재 중국의 영토에 있었던 모든 국가의 역사를 중국사로 간주하는 것은 이제 기본적인 전제가 되어 버렸고, 이에 더해 국정교과서의 목적과 내용 모두가 총체적인 ‘난국’이라고도 할 수 있는 상황인데 앞으로도 중국의 역사 교과서 혹은 역사 교재의 내용을 꾸준히 주목하면서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has analyzed the description of Chinese history from the 10th to the 14th centuries in the Chinese national history textbook Zhongwalishigangyao Shang, which covers Chinese history. As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was created by the state to fulfill its political intentions by intervening in the narrative of history, Zhongwailishigangyao naturally contains the values prioritiz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uthorities. We found that the narratives of 10th~14th century Chinese history in the textbook, which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that summarized these values and ideologies, also contained the content tha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ants. The aim of the Chapter 3 of Zhongwalishigangyao Shang is to show that the existence of the Liao(Khitan), Song(Han), Xia(Tangut), Jin(Jurchen), Yuan(Mongol) ostensibly laid the foundation for a multi-ethnic unified state, and to emphasize tha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links between the different ethnic groups were stable and the trend of ‘interaction’ was strong. Only then can it be argued that the ethnic pluralism that China now emphasizes was a long-standing historical phenomenon. However, the actual content and organization of the textbook are too limited in terms of the amount of material and narrative. The quality of the narrative and material in the textbook is even lower than that of Korean and Japanese world history textbooks. High school students in China who learn Chinese history from this textbook will naturally only know the ideology set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another problem of the textbook is that it is poorly written. It is absurd that such a poor and narrow-minded textbook would be published by the state, which is supposed to take the lead in history education. Moreover, considering the numerous research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it is a big problem that the narrative of Chinese history in textbook is so poor. It will be interesting to see if there will be further improvements, developments, and deepening.

      • KCI등재

        지중해 지역문명 간 교류 연구의 정책적 활용

        김정하 ( Kim Jungha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1 No.-

        지중해를 닫힌 바다로 인식할 것인지 아니면 `열린 바다` 또는 `열린통로`로 정의할 것인가의 문제는 유럽지역의 역사연구전통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자는 연구의 지리적 경계를 지중해와 그 주변지역으로 제한한다(유럽과 아프리카 사이에 위치한 지중해). 반면 후자는 지역문명간 교류의 관점에 따른 해석의 결과이다. 역사연구에 있어 지리적인 경계와 문화적 경계는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두 관점의 역사해석은 전혀 다른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현대 유럽지역이 직면하고 있는 일련의 문제들(아프리카 난민의 유럽 유입, 그렉시트(Grexit)와 브렉시트(Brexit) 등 유럽연합의 내적 위기)이 지중해의 고·중세사에 대한 역사해석과 관련이 있다고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문제들의 많은 부분이 유럽 중심의 세계사 해석에서 기인한다는 것이다. `열린 통로`의 관점은 문명 간 교류의 관점이며 또한 경쟁적 협력의 관점이다. 이에 근거할 때, 지중해의 고·중세사는 문명과 야만의 경계나 고대 그리스 도시 문명의 바다가 아니라, 아프리카-유라시아의 수많은 지역문명들이 상보적(相補的) 교류와 접변의 과정을 통해 성립된 관계균형의 역사였다. 이것은 지중해-유럽지역의 역사연구에 대한 제고를 의미한다. 첫째, 역사연구에서 드러나는 차이의 의미는 `차별`이 아니라 `다양성`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둘째, 지중해의 역사를 문명과 야만의 이분법적 구도로 해석하는 것은 역사왜곡에 해당한다. 셋째, 지중해 역사에 대한 해석은 경쟁적 협력의 구도에 근거해야 한다. 넷째, 지중해의 고·중세에서 알렉산드로스 제국, 로마제국 그리고 프리드리히 2세 시칠리아 왕국은 공존의 다문화 실현을 위한 실험이었다. 역사의 발전에는 전쟁과 같은 폭력적인 수단도 동원되었지만 그 이면에서는 활발한 교류도 병행되었다. 역사왜곡은 역사의 양면을 함께 고려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 충돌의 역사적 의미를 진화(또는 발전으)로 오판하게 된다. 북아프리카 난민의 문제는 역사에 대한 잘못된 해석에서 기인한다. 인종 간 차별은 타자에 대한 일방적인 거부이며, 문화 간 우열의 논리는 지배-피지배의 논리를 정당화시키는 근거로 활용될 뿐이다. 해석을 달리하면 새로운 정신세계가 드러난다. 역사연구의 경우에도 관계요인들의 상보적 구도(경쟁적 협력의 구도)는 유럽지역의 문명적 위기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Whether to recognize the Mediterranean Sea as a `Closed Sea` or to define it as an `Open Sea` is closely rela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tradition in Europe. The former limits the geographical boundaries of the study to the Mediterranean Sea and its surrounding regions (the Mediterranean Sea between Europe and Africa).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is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interchange between local civilizations. In historical studies, geographical boundaries and cultural boundaries do not coincide. Therefore,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the two perspectives shows completely different results.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problems of the ancient and medieval Mediterranean in the context of the series of problems faced by modern Europe (The influx of african refugees in Europe, `Grexit` and `Brexit`). In other words, most of the problems are due to Euro-centrism. The view of open sea is a viewpoint of interchange between civilizations and also a viewpoint of competitive cooperation. Based on this, in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he Mediterranean was not the boundar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nor the sea of ancient Greek city civilization. Many local civilizations in Africa-Eurasia were the history of the balance of relationship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complementary exchange and contact. This implies an improvement in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European region. First, the meaning of difference in historical studies should be interpreted as diversity, not discrimination. Second,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the Mediterranean as a dichotomy of civilization and barbarism is a distortion of history. Third, interpretation of the Mediterranean history should be based on the composition of competitive cooperation. Fourth, in the ancient and medieval periods of the Mediterranean, the Alexander Empire, the Roman Empire and the Sicilian kingdom of Friedrich II were experiments for the realization of coexistence of the Mediterranean multi-culturalism. In the development of history, violent means such as war were mobilized, but there was active exchange in the background. History distortion occurs when both sides of history are not considered together. At this point,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conflict is misinterpreted as evolution (or development). The problem of North African refugees comes from misinterpretation of history. Inter-racial discrimination is a one-sided rejection of the other, and the logic of cross-cultural superiority is only used as a justification for the logic of domination-domination. Different interpretations reveal new history. Even in the case of historical studies, the complementary composition of the relevant factors (the framework of competitive cooperation) will be an alternative to the European civilization crisi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도입된 역사과 핵심역량 설정의 현황과 모순

        백은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What ought to be the crucial goals of teaching history? This question demands collaboration of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y. There are plenty of issues whose satisfactory solutions cannot be achieved with one-sided approach: Which historical knowledge should students acquire? W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se historical facts? How to train students to practice the methods of historical research? How to guide students to fair understanding of historical texts? How to apply these lessons from the classes to students' real life? In light of these questions, General Guideline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 of Key Competencies seems to have less common ground with the inquiries of history researchers and teachers than the needs of labor market. Moreover the Key Competencies of the history curriculum proposed by the draft of 2015 National Curriculum of History merely follows that of General Guideline without bearing the context of recent discussions and researches in historical studies and pedagogy. What ought to be taught, and why? Researchers and educators have always sought meaningful answers to these questions. What kind of abilities should middle school students obtain through the curriculum? How history teaching is helpful to students' practical life? What can be learned in the history and cannot be learned in the subjects other than history such as language arts, foreign language training or art class? Without interfacing with these endeavors, the national curriculum and its detailed classification of knowledge and abilities will constrict the content and methods of history education.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지의 문제에 관해,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에서는 역사교과서 내용에 대한 연구뿐 아니라 역사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역사교육 목적과 목표에 관한 논의, 그 가운데 특히 역사의식과 역사적 사고력에 대한 논의들을 발전시켜 왔다. 또한, 최근에는 역사 문해력이라는 개념에도 주목해 왔다. 그러나 2015년 9월에 고시될 예정인 2015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에서 등장한 역사과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에는, 앞서 말한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의 논의와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내용들이 핵심역량으로 강조되었다.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은 국가교육과정의 총론 차원에 우선적으로 도입이 시도된 개념이다. 애초에는 노동시장에 필요한 능력을 가진 인력을 양성하는 데 목적이 있는 직업교육의 맥락에서 연구되어 왔다. OECD의 DeSeCo 프로젝트를 통해 확산된 역량 중심 교육과정 경향은 교육의 내재적 가치를 소홀히 할 수 있고, 역량이 발현되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간과하며, 이론적 지식보다 실제적 지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론적 지식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교육을 직업훈련교육으로 전락시킨다는 점에서 비판을 받는다. 그간 많은 연구가 국가교육과정의 개발 과정이 총론 우위의 하향식 개발임을 지적해 왔듯, 이번 2015 국가교육과정 개발도 예외는 아니었다. 총론에 핵심역량이라는 개념을 도입하고 이에 맞춰 역사과 핵심역량을 설정하려는 시도는, 역사학계와 역사교육계가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한가’의 문제를 다뤄온 맥락과 별다른 접점을 이루지 못하였다. 게다가 핵심역량, 핵심 성취기준, 핵심개념 등이 왜 핵심적인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다.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가르치는 것이 왜 중요한가? 이에 대한 물음에 대해 의미 있는 견해들을 내놓으려 하는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이러한 기존 연구들과의 접점과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역사교사가 가르칠 내용과 방법을,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지식과 능력을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선별한다면, 이 자체는 가르칠 내용과 방법에 대한 제약으로 작용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럽과 비교를 통한 동북아의 ‘역사화해’의 가능성 : 독일-폴란드와 한국-일본을 중심으로

        송규진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5 사총 Vol.86 No.-

        After agreeing to compile a joint history textbook to resolve the issue of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Germany and France succeeded in simultaneously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6. Germany and Poland also agreed on publishing a joint history textbook in 2008. In the case of Germany and Poland, it was the result of steady and tireless efforts spanning about 80 years after the two countries started “historical dialogue” and 36 years after they reached an agreement on a range of recommendations in 1972. Given the reality of Northeast Asia, it would seem much less likely for an “historical dialogue” to be implemented, sustained, and expanded among three countries of South Korea, China, and Japan than in Europe. This is because Japan’s civic groups have strong local networks, while weak on the national level; Korean civic groups are financially weak in maintaining international exchange, and those of China are not entirely free from the control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the exchang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ivic groups seeking a shared interpretation of history and reconciliation have become much more active.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hare various opinions, discuss specific issues, and jointly publish history textbooks. The publication of a joint history textbook between Korea, Japan and China, or between Korea and Japan, though on the private level, carries significance, as the controversy over the “conflictual interpretations of history” in Northeast Asia grew intense. Given the cases of Europe, a joint history book between Korea and Japan and one among Korea, Japan, and China can be published, if the “historical dialogues” are conducted patiently and consistent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It is hoped that this forms the foundation for the “historical reconciliation” of Northeast Asia. 독일과 프랑스는 ‘역사 갈등’ 문제를 매듭짓기 위해 공동역사교과서를 편찬하기로 합의한 뒤 마침내 2006년에 양국에서 동시에 출간했다. 독일과 폴란드도 2008년에 공동 역사교과서를 발간하기로 합의했다. 독일과 폴란드의 경우 ‘역사대화’를 시도한 지 80여 년, 1972년에 권고안에 합의한 지 36년이라는 오랜 시기에 걸쳐 꾸준하게 노력한 결과였다. 한중일 3국간 ‘역사대화’의 진전은 현실을 고려할 때 실행 가능성, 지속 가능성, 확장과 심화 가능성이 유럽에 비해 매우 낮다. 일본의 시민사회단체는 지역네트워크가 강한 반면 전국네트워크는 큰 취약점이 있고 한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재정이 탄탄하지 못해 국제교류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중국의 시민사회단체는 중국공산당의 통제에서 아직은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과거와 비교해보면 ‘역사 갈등’을 해소하고 공동의 역사인식과 화해를 모색하는 한일 시민사회단체의 교류가 훨씬 활발해졌다. 대화를 통해 역사와 관련된 여러 의견을 교환하고 구체적인 사안에 대해 논의하며 역사교재를 공유하거나 공동 편찬하는 등의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동북아의 ‘역사 갈등’이 첨예화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할 때 비록 민간차원이긴 하지만 한중일 간, 한일 간 공동역사교재 개발의 의미는 적지 않다. 유럽사례를 볼 때 ‘역사대화’를 통해 인내를 가지고 장기간에 걸쳐 순차적으로 ‘역사대화’를 진행한다면 결국 동북아에서도 한일 간, 더 나가 한중일 간 공동역사교과서를 발간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기반으로 동북아의 ‘역사화해’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중화민족다원일 체론의 등장과 동북공정의 논리적 모순

        김종박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2 사총 Vol.77 No.-

        中國, 於1949年成立中華人民共和國. 同時根據社會主義民族觀宣布其是多民族國家. 倂開始苦慮證樣去統一多民族的中國倂建設成一個統一的多民族國家. 於是,他們通過憲法宣布實施重視民族問題的"民族平等權", "民族區域自治制度". 各民族之間是平等的,消除民族間的對立關系, 相互融合, 融洽努力構成一個統一的民族. 所謂的統一民族"中華民族"就此誕生. 因爲是統一的, 所以卽使實施民族自治制度也不會影響統治體系. 就是所謂的一國內以一個民族形成"民族大家庭". 但是, 通過他們的少數民族政策可以得知, 在統一的多民族國家內也無法取得獨立的自治運營權. 換言之就是不許和國家統治權分離, 必須接受國家的統治與命令. 可以看出是與社會主義民族觀是一脈相承的. 無可避免的"民族大家庭"這一槪念非常據邏輯性. 徹徹底底的輸進了中國的國家觀裏. 但是, 問題出現在"民族大家庭"是自古以來就存在的, 還是, 中華人民共和國成立之後才出現的. 也不斷地成爲了論點. 這也不得不說是一個與歷史無關的政治問題. 結果, 中國宣布以現在的中國國土領域爲標准, 在此範圍內發生過的所有曆史現象都屬於中國曆史. 從此, 中國果敢的開始了整治編造與曆史歪曲. 可以看出中國在根據社會主義民族觀建立民族大家庭倂要建設一個完美的統一的多民族國家,這就是多磨的苦心積慮的. 處處可以趙出"統一的民族國家論"在邏輯上的矛盾。不僅, 給他們自己的歷史, 而且, 給其他國家歷史也帶來需要編造, 歪曲的慘劇. 擧一個例子. 蒙古族侵略中國, 打敗宋朝, 在中國領土上建立起元朝. 因此, 蒙古族建立的元朝也可以是蒙古的歷史. 但是, 按照中國現在的邏輯來看此事發生在中國領土上, 所以就是中國歷史。提到成吉思汗, 他從來沒有踏過中國領土. 但是, 就因爲他是蒙古族的祖先, 就可以把他視爲中華民族的祖先瑪?就會有人提出成吉思汗的曆史也是中國歷史的笑話. 如此看來, 中華人民共和國成立當初爲了圓滿的統治而推出的"統一多民族國家論"這存在著諸多矛盾. 矛盾的中心就是爲社會主義民族觀的"民族平等"和"民族自治制度"。而且, 據此爲理論依據, 存在著凡是現國土範疇內發生過的歷史都是中國歷史的詭辯和所謂"民族大家庭"的詭辯. 而且, 現實就是他們以"中華民族多元一體論"爲依據支持"統一的多民族國家論"。東北工程歸根結底也就是"統一的多民族國家論"指使下的一個歷史詭辯. 純粹的歷史硏究與政治性歷史硏究有著天壤之別. 歷史與政治需要區分開來. 曆史淪落成政治的奴禮是不可取的。還有, 東北工程中所提到的"地方政權"這一用語, 在歷史當中是聞所未聞過的. 不正好是在强調, 現在所實施的中國少數民族"民族自治制度"實際上是民族統一名義下的中央集權統治當中的一環磨?難道, 過去皇權統治時期地方政權有著更大的立足之地?朝貢、冊封制度原來自國家與國家之間的外交政策. 所以, 根據朝貢設立"地方政權"只能說明是邏輯上有錯誤.

      • KCI등재

        1960-70년대 파독 인력송출의 미시사: 동원인가, 선택인가?

        윤용선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14 사총 Vol.81 No.-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is a model for the countries of the Third World. But she is not a legend, whose main role some heroes, so political leader and big enterprises  played, but a story of the victims and strains of the people. On the contrary, there is also the claim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 is a national mobilization in the context of the Cold War. Nevertheless, almost all perspectives of the topic, from the emphasis on the political leadership to development dictatorship thesis, are history from above. The subject of economic development is the people, politics and business playing olny a supporting role. This is the reason why the story of economic growth needs to be viewed from below. What is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from below? Isn’t it an another legend in which occur this time little heroes to replace the existing great heroes? The mass would be neither willing to modernize the fatherland, it was nor forcibly mobilized by the state. During the development period, she was interested in getting committed to maintaining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economically. That was their main interests, to which all everything was subordinate. This work is based on this hypothesis and concludes that Korean Guestworkers in Germany in the 1960s and 1970s, ie during the development dictatorship, almost always put their own interests in the priority, not the state. This paper attempts to validate this claim with many facts. 1960-70년대 한국의 경제성장은 세계가 인정하는 성공의 역사이다. 한국의 경제개발은 저발전 국가의 모델이며, 한국에게는 자랑스러운 기억이다. 그동안 한국의 경제개발의 역사는 정치적 리더십과 기업의 역할을 주로 강조하는 위로부터의 역사로 인식되어 왔다. 또한 냉전의 패러다임에 기초해 동맹국의 원조와 역할이 강조됨으로써 경제개발을 국제정치적 프리즘으로 관찰하기도 한다. 그런가 하면 이와 대척을 이루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하는데, 경제개발이란 냉전시대의 체제경쟁 상황에서 국가에 의해 기획되고 동원된 ‘개발독재’였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이러한 주장들은 모두 사실에 근거하며 나름의 논리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초점이나 입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위로부터 내려다본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하며, 그러한 의미에서 경제개발의 역사를 절반만 말해준다. 경제개발은 탁월한 리더십이나 기업의 공로를 증명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 아니며, 냉전이 후진국의 경제성장에 효율적인 국제정치 질서였다는 인상을 주기 위한 것도 아니며, 개발은 필연적으로 폭력과 희생을 수반한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것도 아니었다. 경제개발은 국민 대중의 물질적 생활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그래서 밑으로부터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은 ‘한강의 기적’같은 신화에 어울리는 영웅도, 조국의 근대화라는 고귀한 사명을 위해 어떠한 희생이나 고통도 무릅쓸 각오가 되어 있는 애국자도 아니었다. 그들은 가난한 나라에서 자신과 가족의 생존을 위해, 그리고 불확실한 미래로 인해 고뇌하며 하루하루를 살아야했던 실존적 존재들이었다. 밑으로부터의 역사란 이러한 존재들에 대한 기억이다. 그들이 주목했던 것은 조국의 근대화나 승공(勝共)처럼 추상적이고 모호한 구호가 아니라, 당장의 취업과 다가올 미래에 대한 대비였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파독 노동자의 외화가 경제성장에 요긴하게 쓰였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파독 인력송출은 단순히 경제개발이란 틀로만 정의하기 어려운 다양한 층위가 존재하는 복합적인 역사적 대상이며, 그 다양한 층위는 아래로부터의 역사에 의해서 드러난다. 국가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외화벌이를 위해 노동자를 파독(동원)했지만, 개인은 생존과 미래를 위해 독일 취업을 주체적으로 선택했다. 개발시대의 역사는 인식의 지평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역사교육에서의 다원적 관점 이론

        이병련 ( Byung Lyun Yi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5 사총 Vol.84 No.-

        이 논문은 독일의 역사교육에서 이미 하나의 중요한 역사교육 이론으로 자리 잡고 있는 다원적 관점’의 이론에 관하여 소개한 것이다. 다원적 관점의 이론은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가라는 문제와 관련되어 있다. 독일의 학교에서 역사가 확고한 교과과목으로 자리잡았던 19세기 이래 1970년대까지 계속되었던 ‘전통적인 역사수업’ 에서 학생들은 소위 ‘역사적 개괄지식’을 배워야만 했었는데, 그 역사적 개괄지식이란 실제로는 국가권력을 장악한 지배 엘리트의 이익을 반영하는 단지 하나만의 ‘관점(perspektive)’을 배우는 것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부터의 ‘새로운 역사교육’은 학생들 모든 개개인들이 스스로 역사를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학생들의 ‘역사적 능력(historical competence)’이란 학생개인이 현재와 미래의 삶을 살아가는 데에서 맞닥뜨리는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향(Orientation)을 잡을 수 있기 위해, 과거를 기억할 수 있는 능력 또는 ‘역사적 의미형성(Sinnbildung)’을 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 능력은 전통적인 수업에서처럼 ‘단일한 관점’만이 학생들에게 강요되는 수업방식으로는 길러지지 않고, 학생들이 역사수업에서 다원적 관점들을 접할 수 있는 기회와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됨으로써만이 가능하다. 학생들은 역사수업에서 서로 다르고 또는 대립되거나 모순이 되는 관점들이 ‘사료’나 전문 역사가들의 역사서술에 들어가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됨으로써, 사료나 전문적 역사서술이 과거의 진실 그 자체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비판적 의식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수업시간에 자유로운 토론을 통하여 학생동료들 간에도 서로 다른 다양한 관점과 시각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자신의 관점을 성찰(Reflection)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다원적 관점의 역사수업은 민주주의의 기초가 되는 비판의식과 자기 자신의 관점을 성찰하고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This article seeks to introduce the theory of ``multiperspectivity`` which has been established as an important theory for history education in Germany. This theory is primarily linked to the question of what students should be learning in a history class. From the 19th century-when history consolidated its position as a curriculum subject in German schools - to the 1970s, the ``traditional history class`` compelled students to learn the so-called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But this general knowledge of history was in fact nothing more than learning a single perspective which reflected the interests of the ruling elite that dominated all powers of the state. But after the 1970s the ``new history education`` aimed to allow the individual student to develop skills that allowed him to think about and to pass judgement on history for himself. ``Historical competence`` is defined as the ability to remember the events of the past or to construct a meaning for the past (Sinnbildung) in order to ``orient`` oneself towards solving the problems of everyday life in the present and in the future. This ability cannot be developed by forcing a ``single perspective`` on the student as it was the case in traditional history classes. It can only be developed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student to encounter ``multiperspectives`` and to discuss his views freely in class. By learning in class that different, opposing or contradicting perspectives permeate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s`` or the writings of professional historians, the student will learn that reference materials or historical writings are not hard historical truths. This will allow him to attain critical consciousness. By discussing his views freely in class, the student will realize that his classmates all have divergent points of view. This will give him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his own perspective. Therefore, history classes based on ``multiperspectivity`` provide opportunities to develop critical consciousness - the basis of democracy - as well as to reflect upon and to construct one``s own perspective.

      • KCI등재

        중세 시칠리아의 문명교류 유형 분석 -9~13세기를 중심으로-

        김정하 ( Kim Jung Ha ),강지훈 ( Kang Ji Hoon ),김수정 ( Kim Su J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2 사총 Vol.105 No.-

        일반적으로, 문명교류의 흐름은 그 유형에 대한 정의에서 시대를 초월하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는다. 시칠리아도 예외는 아니었다. 다만 차별성이 있다면 첫째는 문명교류가 한 시기의 변화를 제외할 경우, 고대부터 현대까지 하나의 일관된 유형으로 정의된다는 것이다. 둘째는 그 예외적인 교류유형이 이를 전후한 시대의 그것과 상반의 관계변화를 보인다는 것이다. 시칠리아의 역사는 다양한 유형의 문명교류를 위한 실험실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고대부터 ‘중첩’과 ‘편해(片害)’의 교류유형으로 점철된 시칠리아의 역사에서 ‘접변’의 유형으로 정의될 수 있는 9~13세기 중반의 예외적인 역사를 분석하였다. 이 기간은 시칠리아 역사의 역동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기였다. 더 나아가 시대를 초월한 ‘지중해문명의 다인종 글로벌 정체성’을 이해하는 노력과 맞닿아 있었다. 중세 시칠리아의 역사에서 9~13세기는 이를 전후한 두 시기에 공통적인 중첩의 의미와는 다른 형태의 문명교류로 정의될 수 있다. 무슬림 시칠리아의 역사는 이베리아와 시칠리아 그리고 예루살렘을 관통하는 ‘열린 경계’의 형성과 시기적으로 일치한다. 이 기간에 시칠리아는 지중해-중동-인도양을 연결하는 방대한 무슬림 문명권에 편입되었고,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의 영역에서 시칠리아의 문명 유동성은 큰 변화를 기록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무슬림 시칠리아의 시대는 무슬림과 시칠리아 주민모두에게 상리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노르만 시칠리아 시대는 무슬림 시칠리아의 역사를 배경으로 성립되었다. 노르만은 북유럽 출신으로 유럽기독교문명권과 중동-아프리카 문명권 사이에서 독자적인 왕국을 건설하였다. 이 시기에 피지배세력의 행정, 제도, 문화 그리고 경제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이유로 노르만 통치 세력에게 왕국의 건설은 곧 기존의 여러 문명요인을 상호간 이해의 원리를 바탕으로 유지, 발전시키는 것을 의미했다. 독일 가문에 의한 시칠리아 통치는, 프리드리히 2세의 보편제국 지향성을 통해서도 잘 드러난다. 그는 신성로마제국의 황제였지만, 시칠리아 왕국에 대한 큰 애착을 가지고 있었다. 프리드리히 2세의 보편제국 이념은 시칠리아 왕국의 다인종 글로벌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종교적으로나 인종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그의 보편제국은 시칠리아에 현존하는 다양한 문화요인 간의 균형을 지향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추구하는 가치의 핵심은 중세 시칠리아의 다인종 글로벌 사회에서 찾을 수 있다. 시칠리아 글로벌성(Globality)의 요인은 이미 고대부터 형성되어 있었다. 다만 발전의 정도와 단계만이 중세와 달랐을 뿐이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글로벌 공존 패러다임의 해결책은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이는 시칠리아 문명교류의 역사가 우리 시대의 필요성에 소환되는 이유이며 명분이다. Generally, the flow of civilization exchange does not show consistency across time in the definition of its type. In this regard, Sicily was no exception. However,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first is that, if the one period is excluded, it is defined as one consistent type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day. The second is that the exceptional type of exchange shows a change in relationship opposite to that of the times before and after it. The Sicilian history has been a laboratory for cultural exchanges of various types.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y from the 9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which can be defined as a type of 'Interaction', in the history of Sicily, which has already been dominated by the exchange types of 'Overlapping' and ' relationship in which only one side continues to lose' since ancient times. This period was a time to confirm the dynamism of Sicily's history, and furthermore, it was in line with the effort to understand the timeless 'multi-racial, multicultural global identity of the Mediterranean civilization'. The period from the 9th to the 13th century in the Sicilian Medieval history, the two different periods before and after this, can be defined as a form of Civilization Exchange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mmon meaning of ‘Overlapping’. The history of Muslim Sicily coincides with the formation of an ‘Open Area’ that runs through Andalusia, Sicily and Jerusalem. During this period Sicily was incorporated into a vast Muslim civilization linking the Mediterranean-Middle East-Indian Ocean and Sicily's cultural mobility recorded the greatest change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In this sense the era of Muslim Sicily can be interpreted as the meaning of ‘Mutual Beneficial Relationship’ for both Muslims and Sicilian residents. The Norman Sicily period was establishe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f Muslim Sicily. Norman was from northern Europe and built an independent kingdom between European Christian civilization and Middle East-African civilization. During this period, the administrative, institutional, cultural, and economic levels of the ruled were relatively high. For this reason, for the Norman rulers, the construction of a kingdom meant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existing elements of civilization based on their ‘reciprocal comprehension’. The rule of Sicily by the German Emperor family is also well reflected in Frederick II's orientation to a ‘Universal Empire’. Although he was the emperor of the Holy Roman Empire, his attachment to the Kingdom of Sicily was unusual. Frederick II's idea of a universal empire was closely related to the multiracial global identity of the Kingdom of Sicily. Religiously, racially and culturally, his universal empire was oriented toward a balance between the various cultural factors existing in Sicily. The core of the values pursued in this study can be found in a multiracial global society. The identity factor of globality, even in the case of the Mediterranean, has already been formed since ancient times. Only the degree and stage of development were different from now. The solution to the global coexistence paradigm we are facing can be found in history. This is the reason and justification that the history of civilization exchange in Sicily is recalled to the necessity of our time.

      • KCI등재

        북한의 역사 교육체계 확립과 민족해방운동사 인식

        김재웅 ( Kim Jae-woo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21 사총 Vol.102 No.-

        신생 국가들 대부분이 그렇듯 북한에서도 역사는 자신의 정체성을 기억하고 계승해야 할 과제와 직결된 중대 관심사였다. 북한의 정치인들은 자국의 역사적 정체성과 관련해 그들이 직접 참여한 항일투쟁의 경험에 주목했다. 그것은 그들의 새로운 전통으로 자리매김 될 수 있는 영예로운 소재였다. 따라서 어느 시기의 역사보다도 민족해방운동사를 비롯한 최근사가 중시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해방 직후 북한에서 역사 교육체계가 재건되는 과정과 민족해방운동을 둘러싼 사관이 변모해가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그 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북한 역사학이 발원하고 그 성격이 형성되는 양상을 드러낼 수 있다. 오늘날 독자적 학문 영역에 위치하기보다 정치적 목표에 봉사하는 경향이 있는 북한 역사학의 성격 형성이 언제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는지 그 시원을 추적하는 일은 현시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다. After liberation from colonial rule by Japanese Imperialism, Korean schools focused on Korean language and history education. Like Hangeul education, history education tended to be emphasized in terms of nationality recovery. Like most emerging countries, history in North Korea was a major concern, directly connected to the task of remembering and inheriting its identity. North Korean politicians paid attention to the experiences of the anti-Japanese Imperialism struggle in which they directly participated in relation to their own historical identity. It was an honorable subject that could be taken pride in as their new tradition. Therefore, the recent histories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ended to be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the histories of any perio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history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historical view surrounding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The work of tracing the process can reveal the aspect in which North Korean history originated and its characters were formed. It is a very meaningful work to trace the origin of the character formation of North Korea’s history, which tends to serve political goals rather than being positioned in its own academic field today. In shor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how the historical science and the history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were born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nd how North Korea’s historical science created a new tradition and its own identity.

      • KCI등재

        역사교육적 관점에서 본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 -홍성지역을 중심으로-

        안주홍 ( Juhong Ahn ),박현숙 ( Hyunsook Park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6 사총 Vol.88 No.-

        그 동안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초 중등교육의 측면에서 주로 다루어졌다. 따라서 학교 현장 이외의 역사교육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고 할 수 있다. 역사교육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지역의 문화재를 해설하는 문화관광해설사 역시 넓은 의미의 지역사교육의 실천자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역사교육의 측면에서 이들의 역할 인식과 ‘역사해설내용’의 형성과 해설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역사교육의 지평을 넓힌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해설내용’을 고찰하기 위해, 이들의 ‘역사해설내용’을 ‘역사내용지식’과 ‘역사현장지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들은 ‘역사내용지식’을 바탕으로 ‘역사현장지식’을 활용하고 있었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사현장지식’은 해설 과정에서 이들만이 활용하고 있는 특징적인 지식이다. 이들은 ‘역사현장지식’을 통해 스스로를 역사교사와 차별화된 존재로 인식하였고, 방문객들이 흥미를 가지고 집중하도록 해설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전문성의 부족과 해설기준안의 미비, 그리고 적합한 교육 시스템의 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의 어려움을 해결해주고 문화관광해설사 교육을 체계화하려는 노력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이들에게 부족한 ‘역사내용지식’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 이들만이 가지고 있는 ‘역사현장지식’의 기록 보존, 그리고 해설기준안과 보수교육의 마련 등이 요구된다. 역사교육적 측면에서 문화관광해설사의 전문성에 대한 접근이 이루어질 때, 이들의 역량이 극대화되고 제대로 된 역사현장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 질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문화재나 유적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역사에 대한 관심을 확장시킴으로써 학교 밖에서도 제대로 된 역사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ll the while, most researches on history education have emphasized the aspec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Therefore,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concern for the subjects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In the midst of extending the scope of history education besides school field,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who are placed at local cultural properties to explain history, can be also regarded as the subject of history education in a broad sense. Accordingly, it might be meaningful to look into their role perception, acquisi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History’ and method of interpretation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conducted interpretation targeting visitors from various backgrounds while making use of ‘Knowledge of History Contents’and ‘Knowledge of on-site History’ through ‘Knowledge of History Interpretation’ in their interpretation activity. However, there have been many hardships due to the background, such as the lack of knowledge of individual historical accounts, inappropriate education, and insufficiency in systematized interpretation guidelines, etc. Here, the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is the characteristic knowledge, which is utilized by the interpreters only, in interpretation activity. They have perceived themselves as differentiated from history teachers, and helped visitors to concentrate on their interpretation with interest. However, the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have experienced many realistic hardships. Accordingly, the effort and support to resolve their difficulties and to systematize their advantages are needed. Solutions to this may include continuous and proper education of ‘Knowledge of Interpretation Contents’ that they need, record preservation of ‘Knowledge of on-site history’ possessed by the interpreters only and interpretation guidelines, and arrangement of refresher training. When an approach to a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professionalism is made from the aspect of history education on the basis of this, not only their capabilities could be maximized as well but it will be also possible to arrange a foundation for extending the concern for history of a wide variety of visitors to cultural properties or relics, and for conducting proper history education even at the outside of school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