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고대왕권과빈례(賓禮)

        정진아(Jung Jin ah)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7 일본연구 Vol.27 No.-

        본 연구에서는 고려 및 일본의 조하 의식과 연회를중심으로 각각의 의례가 가지는 특이성에 대하여 고찰해보았다. 먼저일본과 달리 팔관회에 외국인을 위한 조하 의식이 별도로 규정되었는데, 이는 조공을 바치러 온 상인들을철저하게 외부인자로 파악하려는 의도라 볼 수 있으며, 고려왕과 외신 관계를 맺지 않은 점도 이를뒷받침한다고 하겠다. 일본의 경우도 외국사절들은내신과 구분되는 존재였으나 고려와 달리 일본의 귀족들과 함께 조하 의식에 참가하며 천황과의 외신 관계를염두에 둔 일련의 의식 절차가 행해졌다. 고려와 일본의 연회의 특징을 정리하면, 팔관회의 경우 참석 자격이 9품의 문무관에 이르기까지 대상 범위가 넓은 연회 의장이며, 왕이 하사하는 하방형(↓) 의례와 군신(君臣) 간의 헌상⇔하사의 쌍방형 의례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실제적인 상호 간의 행위성이 중요하게 작동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왕을 중심으로 한 군신 질서의 재확인과 유대감의 극대화야말로 팔관회를 관통하는 중심 이념이었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일본 의원 일체 회는 위계라는 것이의식의 흐름을 관통하는 황금률로 작동하고 있었다. 오 위 이상의 문관에게만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는 점과, 위계에 바탕을 둔 상하질서에 따라 입장하며, 천황에게 술을 하사받은 것도 대표자에게 한정되었던 것처럼, 팔관회와 달리어 왕과 군신 간의 상호성이배제된 수직 하방형의 구조라고 할 수 있겠다. 민족 고유의 성격이 강한 팔관회에 외국인 조하 의식이제정된 것은, 11세기 초 귀 주대첩으로 거란과의 전쟁이종결된 후 고려의 국제적 위상이 크게 상승하면서 나타난 대외적인 정치력의 표출로 이해되기도 한다. 즉 실질적인 외교관계에 바탕으로 둔 국가적인 위상과 자의식에 연동되어 외국인 조하 의식의 설정과 같이의식 규정에도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외 질서의 역학계에 따라 참석자가유동적일 수밖에 없는 팔관회의 조하 의례에서, 외국인과 같은 외부인자들과 외신을 맺는 대신, 의식과 연회에서 고려왕의 덕화를 흠모하여 조공을 바치는고려적인 천하 관내에서 구성 분자로서의 역하라 규정으로 충분하였던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 반면, 일본의 의례를 관통하는 중심축은바로 천황과 군신과의 인격적인 결합으로 상질되는 관료제 질서의 틀 속에서의 일체성을 강하게 내포한다. 엄격한 위계제 질서를 바탕으로 실제적인 행위성이배제된 상징적인 군신 쌍방향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반복 확인하는 구조였다. 특히 율령제 국가의 확립과 함께‘동이의 소지에 국’이라는 폐쇄적인 화이논리를 설정하여 신라와 발해를 번국으로 설정하게 된다. 고려의 유동적인 대외환경과 달랐던 고대 일본의 대외 구도는 신라와 발해로 고정될 수밖에 없었으며 발해와 신라는 영구적인 번국으로 자리매김되었다. 따라서 외국사절들에게 상징적인 위계 하사를 통한 영구적인 외신의 설정과 함께, 연회에서도 번 객들의 참석을염두에 둔 본국 악의 연주라는 상징적인 복속 의례규정을마련하였다. 나아가조서를통한상대국왕과의커뮤니케이션 구도를 통하여 실재를 넘어선 천황 중심의 과잉이이데올로기를 대외 영역에까지 확대재생산하려고 했던 것이다. 고려와 일본 모두 외부인자들은양국의 화이 질서의 당위성을 입증하는 구성 분자로서의 역할을수행하였다. 하지만 고대 일본에서는 물리적인 영역의 확장성과 반비례하며 의식에서 권력이 표상하는 상징성은농후하게 표출되었다고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pecificity of each rite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Joha rituals and banquets in Goryeo and Japan. In both countries, foreign agents such as foreign envoys and merchants were used as devices to strengthen internal governance, but the differences were confirmed. Unlike Japan, the Joha ceremony for foreign merchants was separately defined in the Palgwanhoe. This can be seen as an intention to hold the merchants who came to the tribute to be thoroughly outsiders, and it is also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y did not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king of Goryeo. In the case of Japan, the foreign envoys were distinguished from the latter, but unlike Goryeo, they participated in the Joha ceremony with the Japanese nobles, and a series of rituals were conducted with the emperor in mind. The characteristics of Goryeo and Japan banque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case of Palgwanhoe, the scope of the banquet is broad, ranging to officials of the 9th rank and military courtiers, and as downward direction type royal rituals (↓) and the two?way rituals of the servants are combined, practical mutual behavior was regarded as important. Above all, reaffirming the military order and centering on the king, and maximizing the bondage, could be said to be the central idea that penetrated Palgwanhoe.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one-sided society is a vertical downward structure in which the hierarchy functions as a golden rule that penetrates the flow of consciousness and excludes the reciprocity between the king and the military. Goryeo changed the consciousness regulations such as the setting of the foreigner Joha ceremony linked to the national status and self-consciousness based on actual diplomatic relations. I think that the Joha ritual, a participant in a floating relationship with the dynamics of the external order, was sufficient as a constituent molecule in a considerable underworld, instead of establishing external factors such as merchants.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axis penetrating Japanese ritual strongly implies the unity in the framework of the bureaucratic order, which is symbolized by the personal combination of the Emperor and the military. In particular, the external composition of ancient Japa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flexible external environment of Goryeo, had to be fixed by Silla and Balhae, and Balhae and Silla became permanent tributary states. Therefore, through the symbolic hierarchical setting of the foreign envoy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king through the letter of the Emperor (Imperial message), the emperor- centered excess ideology beyond reality would be expanded to the outside world.

      • KCI등재

        일본근대검정교과서의 고대 한반도관련기술 분석: ‘소학교역사교과서’를 중심으로

        송완범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Current Japanese history textbooks present insufficient historical description and exclude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Korean comfort women drafted into the Japanese forces and the Nanjing Massacre. With an emphasis on the concept of a Divine Land (神國) and the resulting confusion with historical facts created by stressing mythology, Japan avoids its war responsibilities and its modern textbooks comprise an emperor-centered ideology, including the full text of the Imperial Rescript on Education (敎育勅語). In general, such descriptions support a Japanese emperor-centered view of history, an imperialistic view of history, historical view of opinionated cultural supremacy, and hero elitism, namely an androcentric view of history. Modern Japan, as part of the Meiji Era modernization, declared the School System Decree (學制令) in August 1872, under which a school system was established to provide all citizens a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 integral component of Japan's nation build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changes in and contexts surrounding modern Japanese textbook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 System Decree. Although studies have examined the textbooks in terms of institutional history, few analyses of the actual textbooks were found. For that reason, this study attempts to directly analyze the contents of the authorized textbooks from modern Japan's initial textbook system. As a result, it demonstrates that the origin of the problems with Japanese history textbooks can be identified through an actual analysis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from the Meiji Era (1868~1912). 현재의 일본역사교과서에 대해서 일본군위안부, 남경대학살 등의 언급이 없는 ‘결실(缺失)된 역사’ 서술이며, 신화의 강조에 의해 사실과 혼동되는 ‘신국(神國)’을 강조하여 전쟁책임론을 회피하고 교육칙어 전문을 싣는 ‘천황중심’ 서술이라는 지적이 있다. 이를 바꾸어 천황중심사관이며 침략주의사관이고 독선적 문화우월주의사관이며 영웅엘리트주의 즉 남성중심주의사관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의 연원에는 무엇이 있었을까. 메이지 이후의 근대일본은 1872년 8월에 ‘학제령(學制令)’을 선포하여 전 국민에게 초등교육을 받도록 하는 학교제도를 만들어 본격적인 ‘국민 만들기’에 나선다. 그런 점에서 메이지 초기 학제령 이후의 근대교과서 변천과 그 실태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종래의 연구에서는 교과서 변천과 그 의미에 대한 제도사적인 연구는 존재하지만 실제 교과서의 분석은 드물었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근대 일본의 초기 교고서 제도를 넘어 검정제 교과서 내용 그 자체의 분석을 시도했다. 그 결과 현재의 일본역사교과서문제는 근대초기 메이지 시대의 일본역사교과서의 실제적 분석과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외지’ 고등교육기관 학생들의 식민지 표상 연구: 일본어잡지 『청량(清涼)』과 『상풍(翔風)』을 중심으로

        김욱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8 일본연구 Vol.2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colonial representation based on Seiryo and Shohu, which were Japanese language magazines published by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olonial Korea and Taiwan. Imperial Japan, which succeeded in being the first East Asian nation to modernize through the Meiji restoration, perceived Chosun (Korea) and Taiwan as uncivilized regions. Japan took control of Taiwan as a result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Treaty of Shimonoseki and forcibly annexed Korea after the Japan–Korea Protectorate Treaty. Early Imperial Japan segregated colonial Korea and Taiwan from Japan based on cultural superiority, but after a dispute over mainland extension policy, it attempted to unify the three countries’ cultures and languages. One way to do this was to establish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 the two colonies for the purpose of giving the people living there the opportunity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t least superficially. However, entrance to these institutions was intensely competitive for colonials because their admission policies discriminated in favor of Japanese colonial residents. Students of these institutions engaged in literature activities through official Japanese-language magazines. Most Japanese students contributing to these magazines regarded the cultures of colonial Korea and Taiwan as negative representations of uncivilized regions which needed to be modernized. On the other hand, some colonial students did not hesitate to reveal their identities when contributing to Japanese magazines, especially Yu, Jin-Oh and Huang, De-Shi. Yu translated shi-ga, Korean traditional poetry, into Japanese in order to introduce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o Japanese students. Huang also wrote a poem written in Chinese which described contemporary colonial Taiwan, even though it was published in a Japanese magazine. It would appear from these examples that some colonial students not only tried to represent their culture positively, but also did not lose their identities 본고는 식민지 고등교육기관에 해당하는 조선의 경성제국대학 예과와 대만의 대북고등학교의 일본어 잡지 『청량』과 『상풍』을 중심으로 식민지 표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최초로 근대화에 성공한 제국 일본은 타지(他地)인 조선과 대만을 미개지로 인식하였다. 이후 청일전쟁을 통해 대만을 중국으로부터 할양받고, 러일전쟁 승리 이후 5년 만에 조선을 합병하였다. 제국 일본은 스스로가 우월하다는 문화관을 바탕으로 식민지인 조선과 대만을 ‘외지’로 구분하면서도 ‘내지연장주의’에 의거하여 문화적, 언어적 통일을 꾀하였으며, 그 방법의 하나로써 식민지에 고등교육기관을 세웠다. 이로서 표면적으로 식민지인은 일본인과 동등하게 일본어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입학 정원수에 차별을 두어 식민지인이 제국대학 예과 혹은 고등학교에 진학하기엔 매우 치열한 경쟁이 필요했고, 그 수도 일본인에 비해 매우 적었다. 더구나 조선에는 대만과 다르게 고등학교가 없이 제국대학 및 그 예과만 존재하였기에 대학 진학에 크게 불리하였다. 그들은 학교에서 공인된 일본어 잡지를 통해 문예활동을 벌였는데, 일본인 학생들의 식민지문화관과 조선인, 대만인 학생들의 자기문화관은 매우 달랐다. 대부분의 일본 학생들은 조선과 대만을 문화적으로 개척해야 할 대상 혹은 전근대적인 표상으로서 식민지 문화를 바라보았다. 하지만 식민지인 학생들 중에는 자기 정체성을 일본어 잡지 안에서 드러내는 것을 서슴지 않았다. 특히 유진오는 한국의 전통시인 시가(詩歌)를 일역하여 조선인의 고전문학을 일본인 학생들에게 소개하였고, 황더시는 일본어 잡지에서 한시(漢詩)가 아닌 중국어로 된 시를 창작하여 식민지 대만의 현실을 그려냈다. 이는 식민지 지식인이 스스로의 문화를 긍정적으로 표상하려는 시도였으며, 제국 일본의 제도권 안에 속한 소수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잃지 않았다는 반증이기도 하였다.

      • 일본 중세 군키(軍記)에 드러난 지역의식의 표상화에 대한 고찰 관서무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진현 ( Park Jin-hyu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0

        일본의 역사를 논할 때에 무(武)를 제외하고 논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일 것이다. 특히나 문(文)의 역사가 중심이 되어 진행된 헤이안(平安) 시대의 말기부터 근세 에도(江戸) 막부가 설립되는 그 순간까지 몇 백 년에 걸친 역사는 무의 사상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선행 연구자들에 의해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무사 계급이 출현한 초기 시기의 일본 무사들에 대해서 연구한 연구는 아직 충분하지 않다고 파악하였다. 그렇기에 본고에서는 군키 모노가타리를 대표하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 『헤이케 모노가타리(平家物語)』를 중심에 두고, 여러 작품을 살펴봄으로서 작품 내에서 관서(関西) 지방의 무사들이 어떠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그들 관서 지방의 무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명예에 대한 인식과 사생관에 대한 표상을 고찰해보았다. 군키 모노가타리에서 그려진 이들 초기 일본 무사들의 표상들을 보면, 크게 두 가지 특징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중 하나는, 그들이 조정을 중심에 두고 황실에 대한 봉공을 통해 무사로서의 ‘이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관서 지방의 무사들은 관동 무사들과 다르게 무사로서의 무공만을 칭송하기보다, 조정과 황실을 가장 중요한 존재로서 인식했다. 반면 관동 무사들의 경우에는 조정에 대한 절대적인 충성심보다는 스스로의 무력과 개인적 역량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렇기에 때로는 이들 관동 무사들의 경우 조정의 위명보다는 스스로의 무명에 더욱 자부심을 가지는 것으로 작품 내에 표상화되었던 것이다. 두 번째 특성은 당시의 관서 무사들이 활동하고 있었던 지역에 넓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던 불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죽음 방식이다. 불교의 가르침에 깊게 영향을 받은 관서 무사들은 죽기 전에 수계를 받거나, 머리를 깎고 법명을 받는 행위를 통해 사후의 벌을 가볍게 하려고 했다. 거기에 더해서 그들은 죽음의 순간에 염불을 외우고 구원을 받으려 하거나, 죽을 때에 스스로 물에 뛰어드는 행위를 통해 입수왕생을 이루려고 했다. 반면 관동 무사들의 경우에는 그들 고유의 무사로서의 명예를 지키는 것을 더 중요하게 여겼다. 즉, 적에게 사로잡혀 수치를 당하는 것보다는 스스로 목숨을 끊거나, 전쟁터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더욱 무사다운 죽음이라고 여겼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에 이러한 그들에게는 종교적인 어떠한 표상은 존재하지 않았고, 관동 무사들이 공유했던 가치관만이 가타리테(語り手)에 의해 드러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상기 언급한 관서 지방 무사들의 특징으로 표상화된 두 가지 성향의 발생 원인은 각 지역의 무사들이 처해 있었던 환경의 차이가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적 차이점으로 인해 파생된 두 지방의 무사들의 양상이, 당대의 인물인 가타리테에 의해 작품 내에서 표상화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이는 결국 각 지역의 무사들이 보이는 양상을 반영한 것으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으로서 사람들에게 인식되고 있었던 지역에 따른 무사들의 차이점이 분명히 존재했음을 증명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When discussing the history of Japan, it would be extremely difficult to not mention the military.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in the history spanning several hundred years from the end of the Heian period, which type of literature was at the center of the history to the moment when the Edo Bakufu was established. Therefore, although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t is not enough to study the Japanese Bushi in the early period when the Bushi class emerged. In this article, I look at various works with a focus on Heike Monogatari, which is a representative work of Gunki Monogatari, to see how the Bushi in the Kansai area are depicted. In particular, I examine the recognition of honor and the view of life and death. The images of these early Japanese Bushi described in Gunki Monogatari show that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ne is that they think that they can achieve “honor” as a Bushi through service to the imperial family centered on the court. Unlike the Kanto Bushi, the Bushi in the Kansai region recognized the court and imperial family as most important, rather than just praising their exploits as Bushi. On the other hand, the Kanto Bushi tended to emphasize their own power and personal ability rather than absolute loyalty to the throne. Therefore, the Kanto Bushi are sometimes portrayed in works as having more pride in their own exploits than in the prestige of serving royalty.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e appearance of death, which i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a religion widely impacting the area where the Kansai Bushi were. Impressed by the teachings of Buddhism, the Kansai Bushi tried to reduce their posthumous punishment by receiving the commandments of Buddhism, cutting their hair, and receiving ordinations before they died. In addition, they tried to chant a Buddhist prayer at the moment of death or try to be saved through the act of jumping into the water when they di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anto Bushi, it was more important to keep their own honor as a warrior.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was a more unfortunate death that ended the life on the battlefield than to be seized by the enemy. Therefore, there is no religious representation of these people, and only the values shared by the Kanto Bushi can be seen as being revealed by the Katarite. As a resul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ause of the two tendencies represen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mentioned local Bushi is that the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Bushi in each area resided was most influential. It can also be assumed that the patterns of the Bushi of the two provinces derived from these environmental differences are represented in the works of the person at the time, the Katarite. This finding reflects the appearance of the Bushi in each area, an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Bushi according to the area where they were from.

      • 일본의 대지진과 재일조선인 일본사회를 대상화하는 주체적인 목소리

        김계자 ( Kim Gae-ja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9 일본연구 Vol.32 No.0

        본 논문은 근대일본에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 일본사회를 대상화하여 재일조선인의 주체적인 의사표명과 비평이 나타난 재난시를 통시적으로 살펴본 것이다. 먼저, 1923년 간토대지진때 일어난 조선인 대학살을 비판하며 한일 프롤레타리아문학 연대를 이야기한 백철과, 학살된 사람들의 영혼의 목소리를 전후의 시점에서 불러내어 억압된 기억을 깨우려 한 윤민철의 시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재일조선인이 대지진의 피해를 많이 입은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때 간토대지진 당시처럼 조선인 학살도 일어나지 않았고 유언비어도 줄어든 달라진 일본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나 아직 일본인과 재일조선인 사이에 가로놓인 경계를 안타까워하는 노진용의 시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최근에 일어난 2011년 동일본대 지진이 일어난 때부터 쓴 시를 모아 7년이 지난 시점에서 시집으로 펴낸 김시종의 시를 통해, 희미해져 가는 재난의 기억을 다시 불러내어 공동체적 연대를 모색하고자 한 의미를 생각해보았다. 일본에서 일어나는 재난은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이 같이 겪어내야 하기 때문에 재난의 피해와 극복을 둘러싸고 일본인과 재일조선인을 구별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비대칭적인 권력관계 속에서 수난과 차별의 역사를 지내온 재일조선인의 재난에 대한 기억의 회로는 일본인과는 다른 문제가 얽혀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동일본대지진의 희생자를 애도하는 김시종의 시에 재일조선인의 집단적 죽음에 대한 기억이 기저에서 반향하고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일본사회에서 마이너리티로 살아가는 재일조선인에게 대지진 같은 재난은 이중의 고난을 가져온다. 그렇기 때문에 ‘재난공동체’라는 말이 갖는 현실적 무게도 더할 수밖에 없다. 억압되고 봉인된 재난의 기억을 풀어내고, 공동체적 연대를 통해 상생의 길을 모색하고자 한 재일조선인의 주체적인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할 때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great earthquakes of modern Japan, focusing on the independent voices of Zainichi Koreans, which reveal critical viewpoints toward Japanese society and appeals to the solidarity of the “Disaster Community.” First, there was the massacre of Koreans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in 1923. Baek Chul criticized it and at the same, proposed proletarian literary solidarity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In the postwar years, Yun Min-chul addressed this Korean massacre. He gave voice to the massacred people and intended to awaken repressed memories. Secondly, the Great Hanshin-Awaji Earthquake occurred in 1995, where many Zainichi Koreans died. Fortunately, there was no Korean massacre at this time. Instead, there appeared to be cooperation to overcome the disaster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However, as the urgent situation became calm, there reappeared a divide between the two groups. Ro Jin-yong represented his memories of it in his poems. La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occurred in 2011, whose restoration is currently underway. Kim Shi-jong published his collection of poems in 2018, which was after seven years after the earthquake. He is reminded of the memory of disaster and ponders what to do for the solidarity of community. It is said to be the very calling of his poetry. In Japanese society, Zainichi Koreans struggle to endure the double hardship of disaster and be in the position of the minority. It is time to listen carefully to the voices of Zainichi Koreans to take off their repressed and sealed memories of disaster and seek coexistence between the Japanese and Koreans.

      • KCI등재

        일본 벤처산업 현황 및 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이형오(Lee, Hyung-oh),오태현(Oh, Tae-heo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5 일본연구 Vol.2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 벤처산업의 현황 및 정책을 혁신생태계를 중심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과거 세 차례의 벤처 붐이 있었고 오늘날 아베노믹스의 영향으로 네 번째 벤처 붐이 형성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 한국은 최근 제2차 벤처 붐의 형성을 통해서 산업의 신진대사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일본 벤처산업에 관한 기존연구를 고찰하고, 본 연구의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일본 벤처산업의 개요를 산업의 발전과정, 정책 방향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대학, 공적연구기관, 대기업 그리고 관련 정부정책이 벤처 창업에 어떠한 역할을 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본 연구는 한국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지속적인 벤처산업 지원 강화정책의 필요성, 벤처기업 중요성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대학발 벤처에 대한 구체적 정책 수립의 필요성, 벤처산업 활성화에 있어서의 공적연구기관 활용의 필요성, 대기업과 벤처기업 연계 강화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본 연구를 요약하고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article are to review the current situation and government policies of the Japanese venture industry focusing on the innovation ecosystem and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While there have already been three venture booms in Japan—with a fourth about to emerge—Korean society needs to revitalize its industry structure by establishing a possible second venture boom. This article at first reviewed existing researches on the Japanese venture industry and suggested an analytical framework. Then, it provided an overview of the Japanese venture industry, mainly focusing on the industry’s evolution process and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In addition, it reviewed how universities, public research institutes, large firms, and related government policies ha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ventures in Japan. Through these reviews, this article derived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such as the need for continuing to strengthen policies supporting the venture industry, the need to educate about the importance of ventures, the need to formulate detailed policies for university-based ventures, the need to utilize public research institutions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 venture industry, and the need to strengthen the network between large firms and ventures. In the final section, a summary of this article and future research topics were mentioned.

      • 任那日本府에 대한 고찰 『日本書紀』 任那日本府 관련 인물을 중심으로

        홍성화 ( Hong Sung-hwa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3 No.0

        본고는 『日本書紀』에 나오는 임나일본부 관련 인물의 분석을 통해 6세기 임나일본부에 대한 실상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임나일본부에 대해서는 가야를 중심으로 하여 가야와 왜의 관계로 해석해온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任那日本府는 소위 임나일본부 관인의 출신계통을 통해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임나일본부가 백제의 통제를 받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그 실상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즉, 任那日本府와 관련 있는 인물의 분석을 통해 이들이 원래는 백제인을 조상으로 하는 인물이면서 백제에 의해 주도된 倭系百濟官僚였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다. 『日本書紀』 欽明紀의 전체 기사를 통해 보면 日本府 관인들에게 왜왕이 직접 명령을 하지 못하고 백제를 통하여 의사를 전달하고 있으며 日本府 관인들이 백제의 통제를 받고 있는 것도 이들이 百濟官僚라는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즉, 日本府에 속한 인물들이 백제 왕권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따라서 임나일본부는 백제가 고구려와 대항하기 위해 백제와 가야, 신라 및 왜와 공동전선을 구축하는 완충의 역할로서 동시에 가야 지역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고 신라를 견제하는 정책에서 나타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6th-century history of Imna-ilbonbu, a region in the south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characters described in Ilbonseogi. Imna-ilbonbu has been previously analyz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Yamato Wa, focusing primarily on Gaya. However, in examining the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Imna-ilbonbu, this paper shows that their original ancestors were Baekje’s people. Analysis of Ilbonseogi also demonstrates that Wa’s king did not directly rule Imna-ilbonbu and that he communicated his intentions through Baekje, and that Imna-ilbonbu was in fact under the control of Baekje. Ultimately, the historical figures related to Imna-ilbonbu were also directly related to the Kingdom of Baekje.

      • 일본 강소기업의 경쟁원천에 관한 연구

        오태헌 ( Oh Tae-heo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0 일본연구 Vol.33 No.0

        본 논문의 목적은 일본 강소기업의 경쟁원천을 규명하는 것이다. 작고 강한 일본의 기업은 어떻게 진화하며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기업이 위기를 맞았을 때 제품과 기술을 어떻게 진화시키는지를 제시한 분석틀을 제시하고, 5개 기업사례 분석으로 진화의 방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일본의 작고 강한 기업은 보유한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기존에 생산하던 제품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제품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지만, 결코 어려운 시기를 맞이하더라도 이를 극복하기 위해 경험하지 못한 제품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진화하지는 않는다. 시장이 축소하거나 경쟁이 심화되는 경영환경의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 이들 기업이 선택하는 길은 만들던 제품을 어떻게 하면 더 잘 만들 것인가를 고민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의 강소기업이 이러한 진화의 과정을 보이는 이유는 고다와리와 노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업을 지키며 성장하는 경영이 나타나는 것은 기업은 영속적이어야 한다는 오랜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일본 고유의 기업문화와 함께 자사 고유의 고집스러운 까다로움이 어우러져서 가능해진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source of competitive advantage of Japanese ‘Hidden Champions’ in business. More specifically, it is to examine the way strong small companies in Japan evolve, and to identify the reasons behind their successful growth. To this end,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outlines how products and technologies are developed when a company is in crisis is proposed. In addition, using this framework, the cases of five companies are analyzed to verify their trajector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strong small companies in Japan have been able to evolve by improving their existing products, achieved by optimizing their use of technology. In some instances, new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to improve existing products, but even during the most difficult times, companies have not ultimately developed types of new product that they were not already familiar with. To overcome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a shrinking market or increasing competition, the chosen path for these companies has been to consider how to improve the products that they are already making. Moreover, the process of evolution identified in the study is reflective of GODAWARI (拘り) and NOREN (暖簾). Japan’s unique corporate culture, which holds in high regard a business’s longevity and a company’s stubborn attention to detail, makes it possible for these Hidden Champions to grow while simultaneously maintaining a focus on their main product or business.

      • KCI등재

        한국의재해문화와안전교육에관한 대학의역할 일본3·11 후쿠시마의교훈

        김영근(Kim, Young-geun)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16 일본연구 Vol.26 No.-

        본 논문의 목적(문제의식)은 세계 각국의 재해 및 안전 이슈를 점검하고, 나아가 재해문화와 안전에 관한 대학 혹은 교육의 역할을 고찰하는데 있다. 특히, 사회 안전 구축을 위한 대학의 역할에 주목함으로써 최근 융복합적이고 거대화하는 재해의 프로세스 및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의식과 분석 방법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논하고자 한다. 제1장에서는 3 11 동일본대지진 및 후쿠시마 재해현장의 대응사례를 중심으로 일본의안전문화에 관해서 고찰하고, 현장(체험) 중심의 재난안전 교육체계가 구축되어야 하는 현상황을 해부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에 안전문화란 존재하며, 과연 중요한 요소인가, 또한재해발생시이와관련해서는무엇이문제인가에관해분석한다. ‘한국의 잃어버린 재해 거버넌스 20년이 초래한 한일간의 위기관리를 둘러싼 재해문화에 관한 격차를 규명하고자 한다. 나아가안전 사회구축을 위한 대학의 역할에 주목하여, 새로 대안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미래교육이라는 관점 하에 글로벌 시대의 재난과 안전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세 가지 제언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의고등학교 및 대학(교)에재난및안전을다루는학과의개설이시급하다. 둘째, 미래형 기초 교양과정으로 〈미래사회의 안전〉 아젠더가 매우중요하며, 이를 위한 대학의 교육 플랫폼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포스‘5 31 교육개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새로운 ‘4 16교육체제’구축을서둘러야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disaster and safety issues among multiple states, and to evaluate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safety education and in the formation of disaster culture. By focusing on the university’s role in building safety society, a scrutinization of the processes and mechanisms of enormously complicated disasters remains a significant task. Chapter I scrutinizes the Japanese disaster (safety) culture as it concentrates on response cases from Fukushima, the 3・11 East Japan Earthquake. It highlights the current need of field-experience-based safety education for disasters. Chapter II analyzes the significance and problems of disaster (safety) culture in Korea. This thesis attempts to investigate the existing gap in disaster culture between Korea and Japan since the Korea’s lost two decades in disaster governance has originated this issue. By focusing on the role of the university in building a safe society, this thesis also suggests an alternative approach. Therefore, three proposals are given in Chapter Conclusion to construct a disaster and safety governance in the globalized world under the perspective of future education. First, the need to establish a disaster or safety-related major in higher education facilities, such as high schools or universities. Second, the safety of future society is a significant agenda and the education platform must be provided in the university. Third, the establishment of the “4・16 Education System” must be hastened.

      • KCI등재

        三島文學における自己改造と女性像『美德のよろめき』論

        이가현 ( Lee Ka-hyun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구 고려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7 일본연구 Vol.28 No.-

        本論文は、『美德のよろめき』を自己改造に着目して、節子の愛し方による精神改造と性交涉や中絶による肉體改造を通して表れる節子の自己形成過程を分析し、三島がいかに女性人物を通して自主的な人間を描いているのかについての檢討をおこなう。 1950年前後、自由な戀愛の定着にともなって文學界においては女性向けを中心とする中間小說が流行していた。こうした中間小說という作品群は男女の戀愛を主なテ一マとしており、文芸誌に發表された作品とは違って學問的な關心が向けられることがほとんどなかった。にもかかわらず、誰よりも熱心に『婦人公論』、『マドモアゼル』、『婦人朝日』など多くの女性誌に作品を發表した作家が三島由紀夫である。 1952年、三島は世界一周を契機に「自己改造」を試み、その一環として1955年から本格的な肉體鍛?、ボディビルをはじめる。三島が「自己改造」を揭げて肉體の改造に着目したのは、自分に欠如した肉體と過剩である精神のバランスを取るためであって、三島は肉體改造を通して精神と肉體の照應を目的とした自己を形成していく。本論文で注目したいのは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特に肉體改造が、彼の文學世界における登場人物の自己形成の過程と類似していることである。現實の三島が肉體改造の過程において得た「生きている人間」という感覺が、作品において登場人物が自己を探し求めていく過程で感じる人間としての主體性と重なるのである。 こうした三島の自己改造の過程にあったのが當時の社會的論点であるボディビルと中絶であり、三島は『美德のよろめき』においてそれらを用いて個人の自己形成過程を顯著に示し、作品の核として女性像を描いている。この觀点から分析をおこなうことで、節子の自己改造が、作家三島が描いている主體的な人間像とどのような關係にあるのかを明確にする。 This paper investigates Mishima Yukio’s novel Bitoku no Yoromeki (Misstepping of Virtue, 1957) focusing on the female protagonist Setsuko and her self-transformation. By analyzing how she transforms spiritually through love and physically through sexual intercourse and abortion, we examine how important female characters were to Mishima in his depictions of strong, independent people. Around 1950, with open acknowledgement of free love and extramarital and pre-marital affairs, Middlebrow Novel centering on women became prevalent in literary circles. These Middlebrow Novel mainly focused on romances between men and women, and, unlike works published in literary magazines, making it a hitherto largely unexplored. Nevertheless, Mishima Yukio enthusiastically published works in many women's magazines. In 1952, Mishima attempted “self-transformation,” triggered by the round of the world, and, as part of it, tried full-scale physical exercise and bodybuilding from 1955. Mishima focused on the remodeling of the body with “self-transformation” to balance the missing body and excessive spirit. Mishima started to set out to create a new self for mental and physical anaphora by transforming himself physical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direct attention to the self-transformation of Mishima, especially physical remodeling, which is similar to the process of self-formation of characters in his literary world. The feeling of becoming "a living human being" in reality Mishima obtained through the process of physical remodeling, and this physical reality overlapped with the subjectivity of the human being who the character feels he is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himself in his work. Bodybuilding and abortion, two hotly debated social issues at the time, were key in this process of self-transformation. In Bitoku no Yoromeki, too, Mishima makes remarkable use of these two concepts to present the transformation of an individual. Moreover, it is the woman who occupies a central position in this work. By approaching the novel from this angle, we can clarify how Setsuko’s self-transformation is related to Mishima’s depictions of independent human be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