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탐구

        김윤지,김정섭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敎育問題硏究 Vol.3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여 대학생들이 일상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변화와 그것의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이상의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구성주의적 근거이론의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은 ‘일상문제 마주하기: 대학생이 인식하는 일상문제의 의미’, ‘문제해결과정 수행하기: 문제해결자로서의 변화 주도’, ‘문제 상황 종료하기: 변화 체감 및 성장 확인’ 의 총 3개 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일상 경험을 그들의 목소리로 담아내어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대학생의 인식 및 태도 변화에 따른 일상문제해결 과정의 다양한 종결 형태를 제시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일상문제해결 과정을 통해 문제 상황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문제해결자로서 긍정적 변화를 통해 성장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상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 개발을 통한 교육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their changes and mean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4 students in second grade or higher who attending universities in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structive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Th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was derived a total of 3 categories and 10 subcategories: 'perception of everyday problem', 'performing of problem-solving process', and 'termination of a problem sit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ed to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because the study included their voices from the real experiences of everyday. Also, It suggested that various forms of termination of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according to changes i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s that university students not only eliminate problem situations through the everyday problem solving process, but also experience growth through positive changes as problem solvers. Through thi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university students' everyday problem solving skills and lay the groundwork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hrough related policy development.

      • KCI등재

        예비교사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수석교사의 의견을 중심으로

        이남주,백성혜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예비교사(사범대학생)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117명의 수석교사들이 퍼실리테이션 기법을 활용한 토의활동을 통해 사범대학생 선발 기준 개선,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선, 교육실습생 체계개선, 임용고사 체제개선이라는 4개의 ‘핵심문제’와 이에 따른 15개의 ‘토의문제’를 도출하고, 문제해결 방안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연구에 참여한 수석교사 중 21명을 선발하여 온라인 설문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추가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음의 4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 학생을 선발할 때 교직적성이 잘 반영되고 창의적 사고와 융합적 사고능력을 갖춘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미래 사회 변화에 잘 대비할 수 있으며, 현장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로서의 인성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사범대학의 교육과정이 개선되어야 한다. 셋째, 우수 교원 중심의 교사 협의체 속에서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형태로 교육실습체계가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 선발 과정에서 인턴제도 경력과 학교 도우미 활동 참여 여부 등에 따른 가산점을 부여하여 실질적인 학생 지도 역량을 갖춘 교사를 선발해야 한다. 이러한 예비교사교육의 개선 방안을 반영한다면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교육현장과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업, 생활지도, 교직실습 등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looked into problems in pre-service teacher(teachers’colleges students) education. To improve them, 117 advanced skills teachers drew four(4) ‘essential issues’and related 15 ‘discussion items’through discussion using facilitation skill _ Four essential issues are improvement of selection standards for teachers’colleges students, improve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improvement of system for student teachers, and improvement of system for employment examination. Finally, they tried to find solutions for the issues. And additional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lphi method with on-line questionnaire. To this end, 21 teachers among advanced skills teachers who attended this research were selected. As the study results, 4(four) conclusion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When teachers’colleges select students, they should prepare standards to select qualified students with creative and fusion based thinking. And the standards should reflect aptitude needed in a teacher. Second,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should be improved towards direction to cultivate personality as a teacher who can address social change in the future and can adapt to various environment at the educational field. Third, Teaching practicum system should be improved in the form where student teachers can grow in the midst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mainly composed of excellent teachers together. Fourth, In the selecting process of teachers, teachers with capacity to instruct student well should be selected, providing extra points for career of intern, school helper activity etc.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ould contribute to solving the problem that educational curriculum in teachers’colleges has gap with educational site. And this could bring cultivation of professional teachers in classroom lecture, school life guidance, teaching practicum etc.

      • KCI등재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한 학부교육 선도대학 정책분석

        강미영(Kang Mi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대학 재정지원정책과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차원 분석모형을 적용하여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이하 ACE사업)에 대한 정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ACE사업은 대학의 책무성을 바탕으로 자율성과 효율성을 추구한 교육역량강화사업의 가치를 계승하며, 각 대학마다의 특성화된 모델과 발전계획을 통해 다양성과 효과성을 추구해왔고, 정책 성숙기인 현재 창의성 추구를 통한 고등교육 혁신을 추진 중이다. 둘째, ACE사업은 정부 재정지원 사업정책으로서 대학구조개혁 정책과정에서 대학 교육역량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수단으로서 의미를 가지며, 학부교육 선도모델 창출의 목표가 핵심이라는 점에서 대학구조개혁과 연계되면서도 구분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ACE사업은 학부교육 선진화를 위한 효율적인 정책으로 평가되지만, 비선정대학들은 재정지원 사업이 심화시킨 교육 양극화의 그늘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하며 진보된 성과확산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ACE사업은 재정실적 면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환경개선에 집중 지원되어 대학 교육역량 강화의 성과를 정책 의도에 부합되게 달성하였고, 특히 비교과 교육의 전문성과 효율성이 강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ACE사업의 과제는 첫째, ACE사업의 미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준비하는 의미가 포함되어야 하며, 고등교육의 역할과 기능을 보다 창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과 교육환경 혁신에 초점이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ACE사업의 결실인 대학 비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정부 행정 관료나 대학 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향후에는 선택과 집중의 원칙을 유지하되 평등성의 가치도 보다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problems related to university financial support policy, this study applied policy analysis of ACE project by applying multidimensional analysis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CE project inherits the value of the educational capacity building project that pursues autonomy and efficiency based on the university s accountability. It has pursued diversity and effectiveness through specialized models and development plans for each university. Currently, we are pursuing innovation in higher education through pursuing creativity. Second, the ACE project has a meaning as a policy tool to raise the quality level of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in the university reform policy process as the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project polic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m. Third, although the ACE program is evaluated as an effective policy for the advancement of undergraduate education, the non-selected universities are facing various difficulties in the shadow of the educational polarization that has deepened financial support projects and demand progressive achievement. Fourth, the ACE project has been focused on improving the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terms of financial performance, so that the accomplishment of the university education capacity has been achieved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intention. Especially, the expertise and efficiency of non-curriculum education are strengthened.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be as follows: First, the future of the ACE project should include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education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novation that can more creatively carry out roles and functions of higher educ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administrative bureaucrats and university members on the non-curriculum education that is fruitful of the ACE business. Third, in the future,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concentration should be maintained, but the value of equality should also be considered.

      • KCI등재

        한국 교육문제의 역사적ㆍ인식론적 탐구: 교과지식의 특성과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박의수(Park, Eui-S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9 敎育問題硏究 Vol.0 No.3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교육문제를 역사적․인식론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우리 교육이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들의 근원과 본질이 무엇인가를 밝히는데 있다. 인식론적 관점이란 인간형성의 핵심을 이루는 교육의 내용 즉, 어떤 지식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느냐, 그리고 그것이 삶과 어떻게 연관되느냐 하는 것을 중심 과제로 삼자는 것이다. 교과를 구성하는 지식의 성격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지식의 유형과 현대의 개념들 즉, 권위적 지식, 규범적 지식,경험적 지식, 합리적 지식, 형식지와 암묵지, 방법적 지식, 과정적 지식 등의 개념을 사용하였다. 또한 교과 지식의 성격과 교육방법 및 인식과 실천의 관계 혹은 상호작용을 기준으로 원시 및 고대, 유교적 전통사회, 개화기, 광복 이후의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연구 결과 원시와 고대의 교육은 주로 암묵적 지식에 의존했고 앎과 삶, 교육과 생활이 하나로 통합되었으며, 유교적 전통교육의 기본 교과는 규범적․권위적 지식으로 인식과 실천, 지와 행이 통합되고 조화된 전일적 인격 형성을 이상으로 추구했으나, 과거제도가 정착되면서 인식과 실천이 유리되었다. 서구의 합리적․경험적 교과가 유입되는 개화기에는 서구적 근대교육과 유교적 전통 교육이 병행되는 과도기였으나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전통교육은 급격히 사라지게 되었다. 해방 후 서구의 과학적 교과가 도입되었으나 유교적 규범적 교과를 교육할 때와 같은 방법으로 교육이 진행되었고, 시험위주의 교육이 확산되면서 합리적․경험적 지식조차도 교육현장에서는 권위적 지식으로 둔갑하여 인식과 실천의 괴리는 더욱 심화되었다. 또한 지식교육과 인성교육의 분리는 인성교육은 물론 지식교육의 부실을 가져왔다. 이는 결국 교육력의 약화를 초래하여 지식사회의 교육 경쟁을 약화시키는 근본적 원인으로 귀결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ssential problems of Korean contemporary education. In order to that it took a historical and epistemological approach to Korean education problems. Epistemological approach means to study about the contents of education and how to teach students.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subjects of curriculum, it took the traditional types of knowledge and some modern concepts of knowledge. And in order to historical approach, the historical period was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result of study shows the following; ①primitive education depended on tacit knowledge and education integrated with knowledge and knowing, and living was united. ②Confucian education period was depended on normative․authoritative knowledge and the integration of knowing and living was important but according to establishment of recruit system with examination they were separated. ③The third period was transitional period. ④After liberation the education depended on rational․empirical knowledge but it was accepted as authoritative knowledge in the Korean classroom. The result of study found that knowing and living were originally one thing but they have divided into two and moreover knowledge education was separated from character education. So not only the knowledge education couldn't help the character education but also the knowledge education itself became ineffective and fruitless.

      • KCI등재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은행 활용 방안

        김명화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0 敎育問題硏究 Vol.13 No.-

        본고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제은행을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려 한다. 먼저 문제은행의 의미와 본질을 간단히 논의하고, 실제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문제은행을 활용하여 출제하고 있는 시험에 대해서 논의하고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문제은행식으로 출제할 때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안의 문제, 문항제작상의 문제, 많은 수의 양질의 문항을 확보하는데 따른 어려움, 문항의 저장 및 보관 관리의 문제, 사회문화적 인식의 문제 등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문제은행식의 출제여부는 이제는 결단의 문제이다. 문제은행체제의 구축에 의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는 양질의 문항을 출제할 수 있으며, 여러 번 시험을 보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몇 년간의 시험결과를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만을 위해 고등학교 전학년과 몇몇 학생들은 몇 년 동안 준비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이제는 교육외적인 문제나 사회 문화적인 요인보다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치르는 피험자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그 자료를 활용하는 대학의 입장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육감의 역할과 향후 변화 전망에 관한 연구

        김용일(Kim Yong il)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4 敎育問題硏究 Vol.27 No.4

        이 연구는 교육감의 역할에 주목하여 향후 예상되는 제도 변화를 전망해보려는 목적에서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육감의 역할 변천 과정과 주민직선제 도입의 의의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다음으로 교육감제도 개편의 정치과정과 주요 개편안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감의 역할 변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 관련 법령, 개정 법률안, 제도 개편안, 선행연구 등 기본적으로 문헌 분석을 통해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자치에관한법률」(1991. 3. 8 제정ㆍ공포)에 따라 현행 제도의 골격이 마련된 이래 교육감제도상의 가장 큰 변화는 주민직선제 도입으로, 대표성을 강화시켜 교육감의 위상을 실질적으로 제고시키는 효과를 거두었다. 둘째, 향후 교육감의 역할은 지금보다 축소되는 방향의 변화를 겪게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된다. 그 근거는 다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시ㆍ도의회의 일반 상임위원회로 격하된 교육위원회의 위상에 맞춰 교육감의 역할이 조정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지난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진보교육감'이 대거 당선되자 한국교총이 위헌심판 청구 등 주민직선제 폐지에 적극 나서는 한편, 집권 여당이 주민직선제 개편 당론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시ㆍ도지사 임명제 등 그간 거론되어온 개편안들이 현실화할 경우 교육감의 위상 격하와 관장사무의 축소가 필연적이다. 셋째, 이처럼 선임 방식의 변화가 교육감의 위상과 관장사무 등 그 역할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le of superintendent and forecast the possibilities of its change. For this, the author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of superintendent's role and the meaning of introducing a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And it is necessary for the author to focus on the politics of superintendent system change and the major revising agendas of superintendent's electoral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an introducing the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that is the most important change of superintendent system since 1991. Second, we can forecast that the role of superintendent will be lessened, because the revising agendas are basically negate the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system guaranteeing the strongest role. Third, the change of superintendent's role depends on the political process of revising the superintendent electoral system, which determines substantially the status and work of the superintendent.

      • KCI등재

        교육책무성 정책의 쟁점과 과제: 이명박 정부 단위학교 책무성 정책을 중심으로

        신현석(Shin Hyun-Seok),양성관(Yang Sung-kwan),이준희(Lee Jun-Hee),가신현(Ka Shin-H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3 敎育問題硏究 Vol.26 No.1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plore tasks needed for implementing educational accountability policy based upon an analysis of the policy issues in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o suggest any implications of how the policy should be adjusted in the next administration. The educational accountability policy produced several issues derived from the perspectives, such as policy idea and logic, contents, implementation method, and outcome. Based on the analytic results on th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the four tasks as the followings; (1) Reconstructing the logic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policy reflecting institutional context in the policy, (2) Restructuring collaborative governanc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policy implementation, (3) Establishment of the boundary of responsibility associated with educational values, and (4) Refinement of assessment systems to address relative fairness and foster inner motivation of each school. 본 연구의 목적은 이명박 정부에서 추진되었던 교육책무성 정책의 쟁점을 분석하여 관련 정책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과제를 탐색하고, 향후 교육책무성 정책이 어떻게 조정되어야 하는지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교육책무성 정책에 대한 이론적․실제적 배경을 바탕으로 책무성 이해당사자, 책임내용, 책무성 확보수단으로 구성된 분석틀을 마련하여 이명박 정부의 단위학교 책무성 정책의 쟁점과 과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학교평가, 학업성취도평가, 정보공시제, 학교성과급제 등을 대상으로 교육책무성 정책을 이념과 논리, 책무성 당사자, 책임내용, 그리고 책무성 확보수단에 따라 쟁점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책무성 정책의 과제로 ① 제도적 맥락을 고려한 책무성 정책 논리의 재구성, ② 책무성 당사자간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축, ③ 교육적 가치를 고려한 책임내용의 설정, ④ 비교공정성을 고려한 측정과 내재적 동기를 고려한 결과연계를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교육에서의 비교과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

        이림(Lee, Rim)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8 敎育問題硏究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istory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its relationship with the subject and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ed from the subject, and to discuss how outofclassroom activities have been and will be developed in university education. Outofclassroom activities were born from the will to overcome the harmful effects of the subject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are as follows. ①nonformal education, ②reflection of student s individuality, ③total growth, ④connection with the subject, ⑤experience, ⑥group composition, ⑦voluntary participation, ⑧securing of prepost stages, ⑨flexible operation, ⑩alternative evaluation. These characteristics are the criteria and principles that outof classroom activities must stand in operation. In the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pecialized departments that can manage the overall outofclassroom activities in the university. This special department can manage the entire out ofclassroom activities process leading to planning  operation  performance management  utilization. This, of course, is accompanied by a shift in overall physical and human conditions, and a change in perceptions of outofclassroom activities. 이 연구는 비교과교육의 역사와 교과와의 관계, 교과와 차별화되는 그 특성 등을 살펴보고 이런 비교과교육이 대학교육에서 어떻게 자리 잡아 왔고 앞으로 어떻게 발전해야 하는지 논하고자 하였다. 비교과교육은 교과교육의 폐해 속에서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에서 탄생하였고, 이 탄생 배경으로부터 교과교육과 차별화되는 특성이 발견된다. 그것은 ①비형식적 교육, ②학생 의 개별성 반영, ③전인적 성장, ④교과와 연계, ⑤체험, ⑥집단 구성, ⑦자발적 참여, ⑧사전사후 단계의 확보, ⑨융통적 운영, ⑩대안적 평가이다. 이러한 특성은 비교과교육이 운영됨에 있어 견지해야 할 기준이자 원리가 된다. 이러한 기준과 원리에 의거하여 대학에서의 비교과교육은 운영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학교의 전반적인 비교과교육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부서 신설이 필요하다. 이 전문부서는 기획운영성과관리활용으로 이어지는 비교과교육 진행 전반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서는 전반적인 물적 인적 조건의 마련, 비교과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등이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일제 식민지기 예비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관한 시론 - 고등교육기관 입학시험 준비교육을 중심으로

        김자중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1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eparatory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reparatory schools in japan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preparatory schools in Korea under Japanese rule. Secondly,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educational enthusiasm of Koreans and fierce competition to enter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s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preparatory schools. Thirdly, There were at least 15 preparatory schools in colonial Korea. eleven of them was established by Korean, three of them was established by Japanese. The founders and teachers of the former were mostly from private schools. Fourthly, preparatory schools had one year or less diploma course, taught English and mathematics, selected secondary schools students and graduates. Some preparatory schools charged high school fees, carried out Mock tests, held summer or winter courses, published textbooks. And most preparatory schools had various courses, but did not last long. Fifthly, supplementary courses absorbed the demand for preparatory schools. This shows that supplementary courses was in competition with the preparatory schools. 본 연구는 일제 식민지기 예비학교의 설립 배경과 현황, 운영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고등보통학교⋅중학교 보습과와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예비학교의 교육사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예비교는 식민지 조선의 예비학교의 설립과 운영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예비학교의 설립은 3.1운동 이후 고등보통학교 졸업자 수의 증가와 조선총독부의 관립전문학교증설억제정책에 의해 초래된 고등교육기관의 입학경쟁의 격화와 이에 따른 ‘정규의 학교제도’ 밖에서의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 증가라는 배경 하에서 이루어졌다. 셋째 일제 식민지에는 적어도 15교의 예비학교가 설립됐다. 설립자별로 보면 사실상 조선인 설립의 예비학교 11교, 일본인 설립의 예비학교 3교, 미상 1교였다. 이중 조선인 설립의 예비학교는 설립자나 강사가 대체로 사립의 고등보통학교, 각종학교, 사설학술강습소 관계자 출신이었으나 일본인 설립의 예비학교는 설립자나 강사가 중등학교 교원와 함께 일부 고등교육기관 교원도 참여하고 있었다. 넷째 예비학교는 다음과 같은 운영상의 특징을 갖고 있었다. 수업연한은 대체로 1년 이하였으며 교육과정은 영어⋅수학 중심이었다. 재학자는 재수생과 함께 고등보통학교와 ‘지정학교’ 재학자 등을 아울렀을 것으로 보인다. 일부 예비학교는 모의시험을 실시하거나 강습회를 개최하고 교재를 저술⋅출판했으며 수업료가 고등보통학교 본과의 수업료보다 고액이었다. 대부분의 예비학교는 존속기간이 짧았으며 ‘준비교육’ 이외의 다양한 과정을 설치했다. 다섯째 1934년에 보습과의 출현은 예비교에 대한 수요를 일정 정도 흡수했다. 동년에 경성고등예비학교의 입학지원자 수는 급감했다. 이는 보습과가 경성고등예비학교와 경합관계에 있었다는 점을 방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보면 일제 식민지기에 예비학교는 고등교육기관의 입학경쟁의 격화와 이에 따른 ‘준비교육’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재수생’, 고등보통학교와 ‘지정학교’ 재학자, ‘전검’ 합격자 등에게 ‘준비교육’을 제공하는 교육기관이었다는 점에서 교육사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들뢰즈의 관리사회론과 현대 공교육의 과제

        최승현(Choi Seung Hy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들뢰즈의 관리사회론은 현대 공교육의 문제를 풀어나갈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관리사회의 특징은 사회적 복종과 기계적 예속으로서 각각 개인과 ‘가분체’로 표현된다. 이는 확장된 신자유주의의 특징인 금융화 현상과 부채 경제를 이해하는 길을 제공한다. 우리는 들뢰즈의 논의로부터 현대 공교육에 관한 다음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신자유주의에 대해 확장된, 심화된 설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둘째, 신자유주의자들이 교육을 상품화하려는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셋째, ‘공(公)’의 의미를 확장, 심화할 수 있다. 오늘날 공교육은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 학교선택제와 같은 거시적 변화와 학교 내 광고, 상품의 전면 도입 같은 미시적 변화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는 그간 교육 및 학교의 고유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공교육에 관한 논의에 들뢰즈의 관리사회론을 접목시킴으로써 ‘교육의 관리화’라는 논의를 시사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Deleuze’s the Societies of Control and modern public education. Deleuze’s the Societies of Control suggests the novel point of view to solve modern public education. The feature of the Societies of Control corresponding to individual and ‘dividual’, which provides the way to understand financialization and debt economy on the deep neoliberalism. We are able to see modern public education from Deleuze’s argument following as: First, we see an expanding and deep neo-liberalism; Second, we know the reason why many neoliberalists commercialize even public education; Third, we can expand the meaning of ‘public’. Nowadays, modern public education is exposed from the macro enforcement as neoliberalistic educational reform, public school choice to the micro enforcement as an advertisement in school, commercialization in school widely. Consequently, we can get a new viewpoint about modern public education to connect between the arguments on the given public education and Deleuze’s the Societies of Contr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