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후보

        "정보"에 관한 다학제적 성찰과 인문학의 가능성 -한국인의 정보 공유 문화를 분석대상으로-

        용현미 ( Hyun Mee Yong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인문학연구 Vol.0 No.27

        디지털 기술은 생활 영역을 넘어서서 문화(文化).사고(思考)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고, 이러한 지적(知的) 변화는 학문에도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기존의 인문학적 영역으로 여겨지던 질적 분석 방법의 영역에서도 계량화된 분석 결과로 산출되며, 대부분의 학문 연구 영역에서는 다(多)학제 차원의 통합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기술적 변화와 지적 변형을 통해 나타나는 학문적 변화에 주목하며, 한국에서 사용되는 ‘정보’ 특징과 그 가능성, 그리고 인문학 본연의 역할에 대한 성찰을 시도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보 개념에 대한 다학제적 연구의 흐름을 파악하고, ‘객관적정보’와 ‘경험적 정보’에 해당하는 이론적 특징을 살핀다. 이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이라는 학문적 성격이 가지는 특징이 한국의 정보 공유 문화에서 나타나는 정보의 성격과 비슷하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또한 디지털 정보공유 환경에서 나타나는 감정과 정서가 드러나는 한국적 의사 소통 문화의 특징과 경험적이며 직관적인 한국적 디지털 정보의 성격은 서구의 것과는 구별된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한국적 특유의 정보 생산 공유 방식과 정보의 성격, 그리고 이를 형성하게 되는 문화.역사적 요인이 서구의 것과는 상이(相異)하며, 따라서 정보화 정책 과정에서도 한국의 고유한 정보의 특성이 반영된 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방법론적으로는, 과학적이고 실증적인 선행 연구의 결과를 분석함과 동시에, 인문학적인 텍스트 중심의 해석 방법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정보’ 개념을 찾아가며,, 현재의 한국 정보문화 정책의 문제점을 인문학적 관점에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다각적인 접근을 통한 대상에 대한 이해는 대상의 특징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작용되었고, 과학적 연구방법과 인문학적 연구방법의 상호 보완적역할의 필요성을 재확인하게 하였다. 또한 이는 서구의 관점에 의해 부여된 평가가 아닌, 한국 고유의 특징이 반영된 정보화 정책에 대한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게 한다. Digital technology has drastically transformed human culture and thought over our daily lives, and these intellectual changes have modified the shape of our intellectual studies. It has quantified qualitative research fields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considered humanities territory, and driven them more towards synthetic research in the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This paper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technical and intellectual changes, and attempts to relate them back to the original role of Humanities. Therefore, this thesis documents and defines the flow of the multidisciplinary studies related information, and characterizes the theories regarding ‘objective information’ and ‘experiential information.’ The notable finding of this study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scribed process,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ormation is simil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Humanities theory. Moreover, the emotional Korean Information which is transmitted and exchang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western collective intellectual information. Therefore, this paper insists that the current Korean Information policy requires to deliber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form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empirical preceding researches, and analyses cultural text as a methodology; thus, it pursues to find out the concept of information with insight for current Korean matters from a humanities perspective. The multi-perspective understanding about the objectives can be used as an approach to figure out the nature of things, and it reconfirms the necessity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scientific research and the humanities methods which are introduced by this work. Furthermore, it will cause us to think critically and reevaluate current Korean information policies in the new digital technology age, apart from policies used in other parts of the world.

      • KCI등재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글쓰기 교육 방안 -전북대학교 글쓰기 워크숍 운영 현황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백은아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인문학연구 Vol.0 No.39

        본고의 목적은 글쓰기 워크숍의 운영 내용을 분석하여 대학 글쓰기의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논의의 대상으로 한 글쓰기 워크숍은 대학의 기초 교양 글쓰기 과목의 교과 과정을 보완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이다. 글쓰기 워크숍의 분석은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이를 위하여 전북대학교에서 운영한 글쓰기 워크숍의 구성과 만족도 조사 내용을 중심으로 논의를 펼친다. 한 학기 동안 이루어지는 글쓰기 과목을 통해서는 글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모두 반영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학습자는 자신의 요구를 어느 정도 해소해야 한다. 본고는 다섯 개의 주제로 글쓰기 워크숍을 운영한 후 그 개선 방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글쓰기 워크숍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서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효율적인 워크숍의 구성과 학습자 맞춤형 워크숍에 대한 요구, 글쓰기 프로그램 이수 경력 관리의 필요성 등은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이 풀어 나가야 할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ways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of the writing workshop. The writing workshop is a Extracurricular program that complements the curriculum of basic liberal arts writing course in the university. Analysis of the writing workshop is a good reference for understanding the linkage of curriculum and Extracurricular program.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composition of the writing workshop and satisfaction survey on the workshop operated b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It is difficult to reflect all of the learners's needs for writing through one-semester writing course. Therefore, learners need to meet their needs to some degree through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 This paper analysed the results and improvement plan after running the writing workshop with five writing themes. As a result, learners were generally positive about the necessity and effect of the writing workshop. However, the problems revealed in Extracurricular writing program should be resolved, including demands on major-specific writing and learner-customized workshop as well as necessity of history management on completed writing program.

      • KCI등재

        대학 화법 교육의 내용 구성 연구

        김병건 ( Kim Byeong-keo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7

        2000년 이후 많은 대학에서 화법 강좌가 개설되었다. 이는 의사소통능력 제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대학 화법 교육에 대한 논의는 부족해 보인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설문을 통해 대학 화법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를 분석하고, 중등 화법 교육과의 연계성과 차별성을 중심으로 대학 화법 교육 내용과 그 구체적인 교육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했다. 1장에서는 대학에서 화법 교육이 필요함을 주장했으며, 2장에서는 현재까지의 대학 화법 교육의 연구 현황을 분석했다. 3장에서는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화법 교육 내용을 도출했다. 응답자들은 대중 앞 말하기, 조리 있게 말하기 등을 어려워하고, 대학에서의 화법 강좌를 통해서는 설득 말하기/정보전달 말하기의 발표를 배우고 싶다고 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대학 화법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확인한 학습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실현하기 위한 대학 화법 교육에서의 성취 기준을 중등 화법 교육을 기반으로 설정한 후, 그 성취 기준을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강의계획(안)을 제안했다. Speech lectures have been open in many universities since 2000. This was to reflect the social needs for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But it appears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discussion on speech education in universit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analyze the needs and demands of learners for speech education in university by surveying, and to suggest university speech education contents and specific education plans, based on connection with secondary speech education and differentiation. Chapter 1 argues the necessity of speech education in university, and Chapter 2 analyzes the state of research on university speech education so far. Chapter 3 presents university speech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respondents had difficulty with speaking in public and speaking logically, and wanted to learn about presentation to speak persuasively and deliver information by speaking through speech lectures. This study claims that university speech education contents need to be organized, based on these findings. Based on secondary speech education, Chapter 4 establishes achievement criteria in university speech education to realize learners’ needs and demands revealed in Chapter 3, and suggests specific lecture plans to achieve the achievement criteria.

      • KCI등재

        요산 김정한 질병서사 연구

        장민주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인문학연구 Vol.- No.55

        본고는 김정한의 질병서사가 주목받지 못한 이유를 해명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김정한의 질병서사는 지금껏 흩어져 연구된 탓에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기 어려웠다. 이를 위해 본고는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질병을 소재로 한 다섯 편의 소설 「옥심이」, 「묵은 자장가」, 「모래톱 이야기」, 「제3 병동」, 「인간단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 중 세 편은 한센병을, 두 편은 장티푸스를 소재로 한다. 해당 연구를 통해 김정한이 오랜 시간 질병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김정한의 질병관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정한의 기존 연구는 김정한의 생애와 시대상에 기대어 민족, 지역, 저항, 농민의몇 가지 키워드로 반복 연구되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한정된 주제어가 반복되던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나아가, ‘질병’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김정한소설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리라 기대한다. 질병서사에 관한 김정한의 관심을 해명하는 작업은 김정한 연구의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는 차원에서도, 문학작품 속의료인문학의 적절한 사례를 발견한다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장애와 치유의 문제

        이봉원 ( Bong Won Yi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인문학연구 Vol.0 No.21

        의사소통의 문제가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의사소통 장애이다. 의사소통 장애의 유형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말장애, 언어장애, 청각장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학문인 언어병리학은 인접 학문과의 교류를 바탕으로 하여 짧은 시간 동안 많은 성과를 이루어냈다. 의사소통장애의 여러 문제는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통해 개선될 수 있다. 제도의 개혁과 인력 양성, 학문적 성과의 측면에서 이 분야는 계속 발전하고 있다. 의사소통 장애는 누구나 직면할 수 있으며 개인의 삶에 중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장애의 차원이 아니지만 의사소통의 문제가 사회 통합을 저해하는 여러 사례가 나타나고 있다. 의사소통은 개인적인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공동체의 차원에서도 해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문학적 견지에서는 의사소통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공동체적 통합의 경험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사소통 장애의 치유는 삶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다. 언어병리학은 의사소통 장애인들이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본 도구를 제공할 수 있지만, 그 의사소통이 사회에서 수용되고 확장되어 의사소통의 총량이 늘어나려면 다른 차원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장애가 당사자나 관련 전문가의 영역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삶의 문제임을 공유해야 하는 것이며, 인문학의 역할을 여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Communication disorders give a negative impact on the lives of individuals.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communication disorders, but usually can be divided into speech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and hearing disorder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made many achievements in communication disorders. Anyone can face communication disorders, which can be improved through proper diagnosis and intervention. In recent years, the dimensions of the communication problems that hinder the social integration have been appearing with according to society`s change. Communication disorders are matters of individual level but also areas of community to be resolved. It is important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ommunity share the experience of integration. Healing of communication disorder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is. Speech-language pathology has provided the basic tools to approach the problems, but the solutions have to be expanded to increase the total amou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disorders and social issues are not the domain of specialists, but the challenge to be shared to all of our lives; the role of the humanities will be found here.

      • 딥러닝을 이용한 스테레오 비전의 변위 추정 시스템

        이성욱 한국교통대학교 2021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6 No.-

        Stereo vision technology mimics the image seen with human eyes and uses images taken from two cameras to capture motion and 3D rendering, and i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utonomous driving, photos, sports, movies, games, and animation. We want to express three-dimensional depth by extracting disparity from stereo images through deep learning. We designed a disparity regression model for estimating disparity using ResNet50 as the encoder of the Pyramid Stereo Matching Network.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the depth information was expressed relatively well for objects and portrait, but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depth of the landscape image was not well expressed.

      • KCI등재

        한국 의학 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 대중문화를 통한 의료문학의 가능성 -

        최성민 ( Choi Sung-m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의료는 그 어떤 분야보다 전문적이고 고급의 지식 정보가 필요한 분야다. 의료에 대해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쉬운 대표적인 통로가 바로 ‘대중문화’ 콘텐츠들, 그 중에서도 TV 드라마일 것이다. TV 드라마에서 의료와 질병을 소재로 삼는 것은 장점과 단점을 두루 가지고 있다. 병원이라는 배경과 질병이라는 사건은 딜레마적 상황을 표현하거나 긴장감을 주기에 적절하다. 시청자들의 감정이입과 몰입을 이끌어내기에도 좋다. 하지만 전문적이고 난해한 용어들과 의학적 지식, 제한적인 촬영 공간은 단점으로 작용한다. 의학 드라마는 의사 인물들의 성격에 따라 인물 유형을 제시하며 시청자의 호응을 유도하거나, 폐쇄적인 병원 내 인물과 조직 사이의 치열한 갈등을 표면화하는 방식으로 그려진다. 질병 서사 드라마는 질병의 진단과 투병 과정을 가슴 아프게 보여주거나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사랑과 배려, 화해의 서사가 전개되곤 한다. 때때로 이러한 드라마들은 우리 사회의 이슈를 논쟁적으로 다루거나,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의료 관련 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문학과 대중문화 영역에서 인물 및 서사를 분석하는 경우와 의학의 영역에서 의학 교육에 활용될 가능성 및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로 나뉜다. 각각의 연구들과 더불어 의료 관련 드라마들도 발전해왔다. 드라마 제작진과 연구자 모두에게 의료인과 조직의 윤리, 환자와 의료인 간의 의료 서사에 대한 관심이 좀 더 필요한 시점이다.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인간 중심 의료를 지향하는 의료인문학이 더욱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Medical care is the area that needs the most specialized knowledge information. ‘Popular culture’ contents are a way to reach medical care tha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most accessible passage for the general public on medical care is “pop culture” content, especially TV dramas. Medical and disease as subjects in TV dramas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context of a hospital and the event of a disease are appropriate to express dilemma situations or to give tension. It is also good for encouraging viewers to empathize and immerse themselves. However, technical and difficult terms, medical knowledge, and limited space are disadvantages. Medical drama suggests the type of docto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haracters. Viewers respond to one type of intention. And he sees the fierce conflict between the people and the organizations in the hospital. Disease narrative dramas show the pain of diagnosing and fighting disease. Or the story of love and reconciliation unfold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sease. Sometimes these dramas play a role in controversial issues or suggest new agendas. The study of medical dramas has two aspects. One is the case of analyzing characters and narrative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popular culture.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effect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area of medicine. Along with each study, medical dramas have also developed. However, interest in medical ethics and organizational ethics, and medical narratives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is a necessary time for both drama producers and researchers. Through popular culture contents including dramas, medical humanities aiming at human-centered medical care will be further spread.

      • KCI등재

        성정론(性情論)과 부양론(扶陽論)의 의료인문학

        김태우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본 논문은 조선말의 의학자인 이제마와 이규준의 의학이론을 함께 논하면서, 두 사람이 공유했던 점들을 통해 의료인문학에서의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조선말이라는 활동시기의 공통점을 넘어, 이제마와 이규준은 유학과 의학을 연결하는 융합적 시도를 한 공통점을 가진다. 동무 이제마와 석곡 이규준이 주목한 것은 각각 성정(性情)과 심(心)이었다. 동무는 희노애락이 성이 될 수도 있고 정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을 통해 성/정을 이원론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에 반대한다. 심을 강조한 석곡은 심이 성과 다른 물건이 아님을 주장하며 성/심의 이원론을 극복하려 한다. 동무와 석곡의 이러한 이원론에 대한 반대를 통해 관념적 경향이 강했던 유학의 논의들은 의학과 연결될 수 있는 영역으로 복권된다.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두 사람의 의론이 흥미로운 것은 바로 여기에 있다. 이원론 극복을 통해 철학과 의학이 만날 수 있는 여지가 만들어지며, 그 위에서 성정론과 부양론이라는 새로운 의론을 펼쳤다는 점이다. 동무의 성정론과 석곡의 부양론은 의료인문학이 단지 의학과 인문학 사이의 다리 놓기 이상인 융합에 대한 것임을 말하고 있다. 논문의 말미에서는 최근 “존재론적 전회” 논의에 의료인문학을 연결하여 성정론과 부양론이 지금의 인문사회과학에 던지는 시사점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s the medical theories of Lee Je-ma and Lee Kyu-jun and searches their implications for medical humanities. They show common grounds not only in their contemporaneity of the late Joseon period but also in their convergence endeavors for combining Confucianism and medicine. Lee Je-ma and Lee Kyu-jun have deep interests in Nature-Emotion(性情) and Heart(心), respectively. Critiquing Nature/Emotion binary of Neo-Confucianism, Lee Je-ma argues that Happiness, Anger, Sadness, and Joyfulness can be both Nature and Emotion. Emphasizing Heart and arguing Nature and Heart are the same, Lee Kyu-jun strove to transcend the Nature/Heart binary. Critiquing the binaries and animating those idealistic notions of Confucianism, they are able to combine philosophy and medicine, on which “Nature-Emotion Theory” and “Supporting Yang Theory” have been established. The two medical-philosophical theories articulate that medical humanities can go beyond just bridging medicine and humanities. In the last sec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two theories’ implications, linking medical humanities and the recent discussion of “ontological turn.”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에 관한 고찰

        이희영 ( Hee Young Lee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인문학연구 Vol.0 No.25

        이 연구에서는 현재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논점이 되고 있는 전공 연계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들을 검토하여,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이 지향할 방향에 맞춘 전공 연계 글쓰기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과 관련된 제반 상황을 살펴보고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현재 중점을 두고 있는 학술적 글쓰기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학술적 글쓰기가 학문적 담화 공동체의 글쓰기 규약에 기반을 둔 글쓰기라고 할 때 전공과목과의 연계성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 문제는 현재 실행되고 있는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도 연관을 맺는다. 글쓰기의 계열별 교육 시도는 유의미하나 계열 내의 세부 전공들의 담론을 모두 포함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현실적인 전공 글쓰기 교육을 위해서 크게 세 가지의 전공 연계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 관련 주제를 중심으로 한 전공 연계 교육이다. MIT대학이나 하버드대학의 예를 참고하여 전공과 관련된 글쓰기 주제를 다루는 과목을 개설할 수 있다. 둘째는 특정 전공과목의 심화 글쓰기 교육 방안으로, 현실적 요구를 바탕으로 한 실용적 글쓰기 교육을 실행하는 것이다. 셋째는 사회의 변화에 따라 융합 학문으로 관심을 돌린 대학의 교육 방향에 맞춘 통합적 전공 연계 글쓰기 수업의 시도이다. 이 세 가지 교육 방안은 각 대학의 학제별 전공 구성을 고려하여 글쓰기 교수자,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세 가지 방안은 대학별 학제 구성과 세부 전공에서 필요로 하는 글쓰기 유형에 대한 조사, 전공교수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college writing systems, and suggests the three alternatives for WAC based on the new trends of college education and knowledge convergence age. For this study, the overall writing systems and writing situations of college has been considered, and the feature of the ``academic writing`` has been examined. If academic writing is based on regulations and styles of its academic discourse community, it is also related with major course writing. The field writing education which is ongoing in colleges, has several problems including its ambiguities in terms of academic character. To solve those problems, three kinds of methods in writing classes are suggested. First, in WAC writing classes, various topics that related to various academic fields can be discussed instead of practicing just a couple of types of academic writings. Second, writing intensive classes for intrinsic writings can be carried on. Third, major convergence writing classes can be carried on for students who are asked to be multi-players in their work after graduations. For detailed class settings, collaborative work with professors in each majors is esse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