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적체험’예술교육이 청소년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에 미치는 영향 : ‘서울창의예술 중점운영학교’를 중심으로

        하수연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이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는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이 단순한 장르통합의 수준을 넘어, 심미적 사고를 지닌 다차원적 문화예술향유자를 양성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참여자의 ‘미적체험(Aesthetic Experience)’을 극대화하는 예술교육과 더불어 그와 연계된 ‘미적체험활동’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은, 문화예술향유를 일상으로 여기고 예술을 옹호하는 적극적인 미래의 문화소비자를 양성하는 목표로 연결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문화예술관람・교육・활동’이라는 ‘미적체험활동’에 대한 문화예술 향유인식의 관계를 지적, 정서적, 실천적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가 청소년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얻어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예술교육’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미적체험예술교육에서의 심화된 문화예술 ‘체험’에 대한 향유인식 확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에 따라 문화예술‘관람’과 더불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체험’활동에 대한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천적 교육효과가 높은 학생의 경우, 문화예술참여 ‘욕구’와 ‘인식’에 따라서 문화예술 ‘관람’ 위주의 문화예술 향유인식이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문화예술참여에 대한 욕구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예술교육 각각의 효과를 측정한 것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문화예술향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과 연계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를 위하여 ‘미적체험’예술교육의 효과를 측정하는 루브릭 모델을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본 연구 결과에서 도출된 각각의 문화예술향유 인식확대 분야를 연계하여, 능동적이고 주도적으로 참여 가능한 미적체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사회・문화적, 제도적 지원과 관심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began from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in which the flow of the 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adolescent which is recognized for its importance in various fields needs i) to exceed the level of simple integration of genres, and ii) to be converted in the direction of training the multi-dimensional cultural and art enjoyers who have aesthetic thinking. The researcher believed that the art education that maximizes the aesthetic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aesthetic experience’, suggested the direction in terms of regardi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s the daily life as well as training the active cultural consumers of future who support the arts. In this paper, the focus was made on the educational effect of aesthetic experienc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be distinguished in three categories: intellectual, emotional, and practical, and o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ultural art enjoyment about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called ‘cultural art watching-education-activities’. The hypothesis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on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of cultural art enjoyment of the adolesc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onclusion that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intellectu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education’ that can maximize the cultural art ‘viewing’ and aesthetic experience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expanded.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 ‘recognition’ increased, the expansion of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intensified cultural art ‘experience’ in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was affected as well. Secon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emotional educational effects, it was shown that the enjoyment recognition about the cultural art ‘experience’ activities that allows them to directly participate in along with viewing the cultural arts according to the ‘desir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was being expanded. Third, in case of the students with high practical educational effects, the cultural art ‘viewing’ - oriented cultural art enjoyment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desire’ and ‘recognition’ was being expanded. Eventually,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bout the desire and importance of cultural art participation, and develop systematic and phased cultural art enjoyment program based on the measurement of each of the effects of art education, and relate it to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For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measure the educational effects by utilizing the Rubric Model that measures the effects of ‘aesthetic experience’ art education, and to have social, cultural, and systematic supports and interests about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experience programs that can influence the recognition expansion to be realized.

      • 관객개발을 위한 국내 복합문화예술공간 예술교육프로그램 연구 -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예슬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2 문화예술경영 Vol.5 No.-

        본 논문은 관객개발을 위한 국내 복합문화예술공간 예술의전당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함으 로써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 현황을 알아보고, 추후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며,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문 헌연구와 사례연구, 예술의전당 고객만족도 조사, 전문가 면담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문헌연 구를 통해 복합문화공간 현황과 예술교육의 개념 및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교육 유형을 정리하 였다. 또한, 국내·외 복합문화공간인 바비칸센터와 링컨센터,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을 사례기관 으로 정하고 기관별 예술교육 프로그램 유형과 교육방식을 분석한 결과 예술기관과 학교의 협 업을 통한 학교문화예술교육은 학생들에게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능동적인 태도를 갖게 해 주고, 대상별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교육유형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 다. 이에 따라 국내·외 복합문화공간 예술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강좌프로그램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예술의전당 아카데미 강좌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 낼 수 있었다. ①예술교육을 통한 관객개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관객연구가 선 행되어야 한다. ②교육대상 세분화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③코로나19 이 후 비대면 온라인 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용으로 잠재관객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rt education program of the art center for audience developme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art education in the complex cultural space, derive implications for art education programs for audience development, and seek improvement accordingly. To this end,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case studies, customer satisfaction surveys at the Seoul Arts Center, and expert interviews. Through literary research, the current status of complex cultural spaces, the concept of art education, and the types of art education for audience development were summarized. In addition, the Barbican Center, Lincoln Center, and the National Asian Cultural Center were designated as case institutions, and the types and methods of art education programs collaborated with institutions and schools were analyzed to provide students with creativity, problem-solving skills, and active attitudes. Accordingly, based on the case of domestic and foreign complex cultural space arts education programs, the following measures could be deriv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eoul Arts Center academy program and expert interviews. ① Audience research must be preceded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 of audience development through art education. ② It is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hrough segmentation of educational subjects. ③ This is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potential audiences by utilizing non-face-to-face online art education programs after COVID-19.

      • 사회 참여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연구 - 국내·외 예술 프로젝트 사례를 중심으로

        우현주,민정아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1 문화예술경영 Vol.4 No.-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예술적 관점에서의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 참여적 접근의 예술 개념과 참여 유형에 따른 사례를 분석 해봄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예술 분야의 역할과 자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흐름을 파악하고 선례를 분석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활용하였다. 먼저, 문화예술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을 살펴보고, 사회 참여적 접근의 문화예술 개념과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후변화 개념을 알아보고 세계의 움직임을 파악하였다. 파리협정 이후, 기후변화 관련 국내·외 예술 프로젝트 사례들을 명목적인 참여, 지시된 참여, 창의적 참여, 협업 수준의 참여 유형으로 나누고 분석하였다. 그 후 사회 참여예술 프로젝트의 의의를 5 가지로 파악하였다. ①예술을 통한 인식 제고의 기회가 마련된다. ②프로젝트가 커뮤니티로 작용 가능하며 실천적 문화가 형성될 수 있다. ③여러 주체가 새로운 예술적 통찰력을 가질 수 있게 되면서 저변이 확대된다. ④사회 문제를 낙관적인 관점으로 대응할 수 있다. ⑤프 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문화예술을 지속적으로 향유하게 되고, 이는 관객개발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대응방안을 3가지로 제시하였다. ①융복합적인 네트워크 활용이 필 요하다. ②다각적 참여를 기반으로 몰입도를 향상하게 시켜야 한다. ③진행 횟수를 늘려 하 나의 브랜드로 인식되도록 해야 한다. 연구 결과, 문화예술분야의 기후변화 대응은 필요하 며, 이에 대한 문화적 실천을 위해 사회 참여적 예술 활동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hus raised the need to respond to climate change from a cultural and artistic perspective by raisin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nd reviewed cases of art projects according to the art concept and type of participation from a social-participatory approach. As a research method,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o identify the concepts and flows related to research topics and examine previous cases. Art projects related to climate change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of participation: nominal participation, directed participation, creative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ve participation. Through case analysis, the significance of the socially engaged art project was identified as follows. ①such projects provide opportunities to raise awareness through art. ②the art project itself can act as a community, thereby forming a practical culture. ③various actors can have new artistic insights, which expands the base of art by giving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art itself. ④it is possible to respond to social problem from an optimistic perspective rather than a demoralizing response. ⑤people continue to enjoy culture and arts by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which can affect the audience development of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Based upon this, three countermeasures against climate chang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were presented. ①it is necessary to utilize a convergent network through the intervention of various fields and genres in implementing the project. ②there is a need to facilitate the immersion of the project target based on multifaceted participation. ③it is important to steadily expose the project itself to the general public by increasing the frequency, and in the long run,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brand. As a result of the study, measur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must be prepared and implemented,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art activities with a social-participatory approach are crucial when it comes to expanding the base of art and cultural practice.

      • 문화예술기관의 구독 서비스가 관객개발에 미치는 영향 - 웹진을 중심으로 -

        여경미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2 문화예술경영 Vol.5 No.-

        본 논문은 문화예술기관의 구독 서비스가 관객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구 독 서비스인 웹진을 활용한 문화예술기관 관객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 설문조사, 실무자 인터뷰 등으로 진행하였다. 홍보 출판물 을 유형 및 기능별과 함께 구독경제와 맞물린 사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구독 서비스인 웹진과 E-book, 뉴스레터 현황을 분석했으며, 고객관여도에 따라 선호하는 콘 텐츠의 유형은 달랐다. 설문조사는 문화예술기관 이용 형태, 문화예술기관 웹진 이용 형태, 문 화예술기관 웹진의 특성, 관객 인식, 관람 동기에 대해 물어봤다.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을 통 해 문화예술기관 웹진의 특성은 ‘전문 유용성’과 ‘자율 편의성’으로 특정할 수 있었고, 이 두 가지 특성과 관객 인식은 모두 관람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기관 웹진을 활용한 효과적인 관객개발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the subscription service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on audience development and ultimately suggests ways to develop audiences for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using webzine, a subscription service. Research methods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surveys, and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The use status of promotional publica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subscription economy was examined along with type and function. The current status of webzines, e-books, and newsletters, which are subscription services provided by each institution, was analyzed. The preferred type of content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ustomer involvement. The survey asked about the preference for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 types, the type of use of webzin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the characteristics of webzin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audience perception, and motivation for view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e webzine characteristics in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could be specified as 'professional usefulness' and 'self-convenience.' Both of these characteristics and audience percep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viewing motivation. Based on this, a plan for effective audience development using the webzines of culture and arts institutions was derived.

      • 국내 거리예술현황 분석에 따른 거리예술지원정책의 전망

        원혜원,서희원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3 문화예술경영 Vol.3 No.-

        본 연구는 구의취수장 활용 거리예술센터의 개관을 계기로 국내의 거리예술 축제 및 단체 현황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거리예술 정책이 새롭게 정립될 필요성 속에서 거리예술지원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거리예술 제작 및 배급 여건을 분석하면서 국내에서의 거리예술에 대한 인식과 위상을 점검하였다. 또한 거리예술 단체 및 예술가들의 제작 환경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살핌으로써 실질적인 정책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여전히 작품 제작을 위한 공간의 요구와 발표 기회 확보가 필요하며, 단체에게 기획 및 국제교류, 교육, 마케팅과 관련한 전문 역량이 필요하며, 국내 거리예술단체들의 운영 방식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여건을 개선하 기 위한 정책 수립을 통해 한국에서의 거리예술 진흥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support our street arts through researching the cases of France street arts policy.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needed is because, as it has been decided that the usage of Guui Intake Station changes to Street Arts Center of Seoul, this is the time when the policy for street arts is needed to be renewed. To do this, Having analyzed the condition of producing and distributing domestic street arts, I checked people's awareness and its status. Also, through th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the street arts groups and artists about the production's circumstances, the suggestions for practical policy establishment have been derived. As followed, the space for art productions and opportunities to present them are still needed. For the groups, the experts related to planning, international relation, education, and marketing are also needed.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it is needed to review the operation method of domestic street arts groups. It is expected that a foundation to upgrade the street art in Korea by setting up policies to improve these conditions.

      • 지역예술인 복지정책 정착화를 위한 체계 수립 연구 - 부산, 대구, 광주를 중심으로 -

        이지은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3 문화예술경영 Vol.6 No.-

        본 논문은 수도권 외 지역에 거주하는 예술인들의 복지정책이 정착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 시하는 것을 연구 목표로 한다. 최근 광역시를 중심으로 예술인복지지원센터가 설립되고 있 는 시점에서, 지역에 거주하는 예술인에게 서울에 소재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은 접근성이 떨어지고, 재단 자체에서도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나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 이다. 또한, 지역별 문화재단에서 예술인복지 관련 업무를 일부 진행하고는 있지만, 문화재 단 고유 업무와는 결이 다르면서 본격적인 예술인 복지업무를 해소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 이다. 게다가 코로나19 이후로 예술인 복지사업의 기본자격인 ‘예술활동증명’의 신청자 수가 급격하게 늘어 심의단계에서도 시간이 계속 지체되고, 그에 따른 예술인들의 민원이 증가하 고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문화부는 ‘제1차 예술인 복지정책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이 기본계획에서 ‘지역예술인 복지 종합지원센터(가칭)’ 지정 및 운영지원을 계획하고 있는 단 계다. 그런 점에서 지역 예술환경에 맞는 센터를 운영하기 위하여 중앙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복지지원 체계를 수립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에 와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예술인복지 재단’의 기관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의 예술인 복지업무를 운영하는 기관 중 대표적으로 ‘부 산예술인복지지원센터’, ‘대구예술인지원센터’, ‘광주예술인보둠소통센터’를 중심으로 기관현 황 및 주요 사업들을 비교 분석한 후 쟁점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 지역예술인 복지정책 정 착을 위한 체계 수립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ways to establish welfare policies for artists living outside of Seoul and Gyeonggi-do area. The Korea Artists Welfare Foundation, located in Seoul, is not accessible to artists living in the region at the time when the Arts Welfare Support Center is recently established around metropolitan cities, and the foundation itself does not have any work or system for the region. In addition, although regional cultural foundations are carrying out some work related to the welfare of artists, it is difficult to resolve the welfare of artists in earnest as it is different from the work of the Cultural Foundation. Since COVID-19, the number of applicants for the ‘Certificate of Artistic Activities’ which is the basic qualification for artist welfare projects, has increased rapidly, delaying time even in the deliberation stage, and complaints from artists are increasing accordingly. To solve this problem, the Ministry of Culture has established the ‘First Basic Plan for Artist Welfare Policy’, which is planning to designate and operate a ‘Comprehensive Welfare Support Center for Local Artists (tentative name)’ in the basic plan. In this regard, it is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central role and establish a welfare support system in order to operate centers suitable for the local art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the Korea Artists Welfare Foundation’s institutions and compares and analyzes major projects, focusing on the Busan Artists Welfare Center, Daegu Artists Support Center, and Gwangju Artists Body Communication Center, and ultimately suggests a system for establishing a welfare policy for local artists.

      • 예술의 혜택과 체험 만족도에 따른 현대미술 관객 개발 연구 - Z세대의 문화소비성향을 중심으로 -

        배수영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22 문화예술경영 Vol.5 No.-

        본 논문은 현대미술 분야 관객 개발연구로서, Z세대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관객개발과 현대 미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체험 만족도를 단편적인 측정항목으로 연구를 진행한 연구와 달리 예술의 가치와 체험이론 등 예술의 본원적, 도구적 혜택에 맞는 다양한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설계하였고, 심미, 자기성찰, 교육, 관계 체험을 독립변수로 측정하였 다. 본 연구에서는 Z세대의 문화소비성향을 ‘스마트 경험 소비’, ‘자기 만족적 소비’, ‘가치소 비’ 총 3가지로 분류하고 조절변수로 측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심층인터뷰를 통하여 관객개 발 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는 경이감이 드는 인스타그래머블 원포인트, ASMR을 통한 감각적 뉴미디어 아트 영상, 작품과 타인과의 관계 속 리추얼 공간, 개인화된 경험으로 완성되는 자 기 탐색 코스, 사회적 이슈 참여를 통한 예술 경험 만들기, 필(必)환경시대, 창의적 참여를 통한 작품화이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의 체험요소 분석 틀을 제시하고 예술의 가치에 초점 을 맞춰 본원적, 도구적 혜택으로 범주화하고 측정항목을 설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diences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and the purpose is to propose practical ways to develop audiences and revitalize contemporary art for Generation Z. Unlike studies that conducted research on experiential satisfaction as a fragmentary measurement item, it was designed based on various preceding theories suitable for the original and instrumental benefits of art, such as the value of art and experience theory, and aesthetic, self-reflection, education, and relational experience were independently conducted. Measured as a variable. In this study, the culture consumption propensity of generation Z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mart experience consumption’, ‘self-satisfaction consumption’, and ‘value consumption’, and was measured as a moderating variable. Through statistical results and in-depth interviews, a plan for developing an audience was derived, which is an amazing Instagrammable one-point, sensuous new media art video through ASMR, a ritual spa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works and others, self-exploration completed with personalized experiences courses, making art experiences through participation in social issues, creation of works through creative participation in the era of essential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n analysis framework for experiential elements of contemporary art, focuses on the value of art, categorizes it into original and instrumental benefits, and designs measurement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