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中國經濟發展에 對한 分析 : 毛澤東時期의 經濟 The economy the Mao's time

        李元福,徐在日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2 경제경영연구 Vol.1 No.2

        毛澤東을 中心으로 수도인 北京에서 49년 10월 1일 中華人民共和國은 탄생함과 동시에 共産黨指導部는 국가체제를 정비하고 경제발전을 위하여 大躍進運動을 비롯한 計劃經濟開發을 단행하였다. 이시기 計劃經濟모델은 東獨과 蘇聯이었고, 蘇聯의 지원을 받아 1∼2차 經濟開發은 성공리에 끝났지만 文化大革命이라는 10년 정체기를 통하여 集團體制經濟는 落後의 길을 걷는다. 이러한 毛澤東時期의 經濟는 현 시기의 중국경제학자들에도 批評을 받는 부분이다. 비록 左派的인 路線에서 입각한 경제활동이었지만, 이 시기의 경제활동은 中國의 工業을 現代化시키기에 충분한 노력을 하였고, 이에 따른 成果와 이어지는 등소평시기의 경제적인 기초를 확립하였기 때문에 毛澤東時期의 經濟는 재조명해 보아도 충분한 價値가 있다고 할 것이다.

      • 중국 경제의 위기 가능성에 대한 분석

        강대창 강명주 청주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08 경영경제연구 Vol.31 No.1

        이 논문은 올림픽 개최 이후 중국 경제가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IMF의 위기 판단 지표를 사용하여 아시아 외환위기를 경험한 국가들의 경제지표와 최근 중국의 경제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국이 대외 불균형에 의한 경제위기를 맞을 가능성은 낮지만, 자산시장의 버블 붕괴에 의한 경제위기를 경험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이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올림픽 이후의 중국 경제 향방을 전망하였다. 올림픽 개최 당시 개발도상국이었던 한국과 일본의 올림픽 개최 전후 거시경제지표 변화를 분석한 결과, 중국에서도 올림픽 이후 경제성장이 크게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 중국 경제위기에 대응하여 금융시장의 위기가 한국으로 전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중국 리스크 분산을 위한 포트폴리오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높은 대중국 수출의존도를 낮추고 해외 신흥시장으로의 직접투자 다변화를 추진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s the possibility of the Chinese economic crisis after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by using the IMF crisis evaluation index. Based on the analysis of a possible Chinese economic crisis, the paper outlook the Chinese economy after the Beijing Olympic Game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economic crisis, it is less probable that China faces an economic crisis due to the exterior disequilibrium, while it is more probable that China experiences an economic crisis owing to the bubble burst at interior asset market. On the top of this result, the paper forecast the Chinese economic outlook that China would encounter a sharp economic slowdown after the 2008 Beijing Olympic Games, from the inference of the economic trends of Korea and Japan in vicinity of the Olympic Games. The Korean economy could be hit by the hard landing of the Chinese economy.

      • KCI등재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이 주가급락 위험에 미치는 영향과 경영자 압박의 매개적 효과

        윤선주,고재민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4 경영경제연구 Vol.46 No.1

        주가급락 위험의 원인을 살펴본 여러 선행연구들은 경영자의 이익조정, 보수주의, 조세회피 등 주로 경영자가 회계 불투명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의 성격을 지닌 요인들을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단 외에도 기업의 회계 불투명성을 높이는 동기가 될 수있는 요인들을 밝혀내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바탕하여, 기업에 대한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이 경영자의 경영 성과에 대한 압박으로 작용하여 주가급락을 불러온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은 경영자에 대한 압박과 주가급락 위험을 높인다. 둘째, 경영자가 느끼는 압박으로 인해 주가급락 위험이높아진다. 셋째, 경영자가 느끼는 압박이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과 주가급락 위험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주가급락 위험 연구에서는 드물게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주가급락 위험에 미치는 메커니즘을 보여주었다는 데 그 공헌도가 있다. 특히 매개변수로 주가급락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요인으로 널리 알려진 회계 불투명성이 아닌 경영자 압박을 사용함으로써, 재무분석가의 낙관적 예측이 경영자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결국 주가급락 위험으로 이어진다는 경로를 밝혀냈다. 향후 후속연구에서 경영자 압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보여줄 것을 기대한다 Prior studies examining the causes of stock price crash risk show the factors of means that managers influence the accounting opacity, such as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conservatism, and tax avoidance. However, in addition to these factors, it is also important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motivate managers to increase accounting opacity. Based on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 optimistic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about a firm act as pressure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leading to a stock price crash risk.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timistic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increase the pressure on managers. Second, the pressure on the managers increases the stock price crash risk. Third, the pressure on the managers acts as a mediator between the optimistic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and the stock price crash risk. This study contributes to showing a mechanism that affects the stock price crash risk by analyzing mediating effect, which is rare in research fields on stock price crash risk. In particular, it reveals a path that the optimistic forecasts of financial analysts affect the psychology of managers and eventually lead to a stock price crash risk by using managerial pressure rather than accounting opacity, generally known as a direct factor that causes a stock price crash risk. We expect that future studies will show additional factors that can affect managerial pressure.

      • 한국자본주의정신과 동아시아경제모델

        박천익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3 경제경영연구 Vol.2 No.1

        1960년대 이후 동아시아의 경제발전을 주도해온 동아시아 경제모델이 1990년대에 접어들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 이르러서 동아시아경제가 연쇄적인 경제위기를 겪으면서 그 강도는 높아 졌다. 한국을 비롯한 세계의 주류경제학자들은 합리적 행위가 요구되는 글로발리제이션 시대에 있어서 온정주의적 가치가 다분한 동아시아경제모델은 폐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과연 이러한 주장은 옳은 것일까? 만약 동아시아경제모델이 시대적 요구에 맞지 않다면 그 대안은 무엇인가? 경제적 기초가 서구의 그것과는 현저히 다른 동아시아적 환경에서 시장적 글로발리즘은 어떤 문제를 갖고 있는가? 한국경제를 보다 한국적 여건에 맞는 모형을 통해서 한층더 효율적으로 발전시키는 방안은 없는가? 시장론자들은 시장의 능력을 과신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한국경제에 나타나는 많은 부정적 요인들은 잘못된 市場觀에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많다. 시장원리를 근거로 한 放任的 자유, 過當競爭이 야기하는 조직 및 발전의 불안정성은 시장적 사고가 가져오는 부정적 시각의 일부분이다. 경제적, 문화적, 의식적 배경이 서구와 같지 않는 상황에서 맹목적인 시장신뢰 그 자체가 많은 문제를 갖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면 한국경제를 비롯한 동아시아국가들에 있어서 대안적 모델은 없는가? 필자는 그 대안적 방안을 신동아시아경제모델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신동아시아경제모델은 기본적으로 유교적 가치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자본주의 모델이다. 즉 경쟁의 효율성과 협동의 안정성을 혼합하여 최적적경제상태를 실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의 시론이라고 본다. This study is analysed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with the sprits of Korean capitalism. In November 1997, only 10 years after the Asian miracle, Korea was on the verge of foreign currency crisis, and Thailand and Indonesia came very close to declaring a national moratorium in July 1997 and in 1998, respectively, as the financial and foreign currency crisis deepened. The drastic deterioration of Eastern Asian economies left experts wondering about the causes of the demise of Eastern Asian economies. Many economists raised criticism on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itself. The criticism on the Eastern Asian economies led to negation on the very fundamentals of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s. In consequence, the Eastern Asian economy that had been once a darling of the economist was now considered as a wrong model that to be discarded, according to the pervasive opinion of todays economists. There was no objection to the argument that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built on the Confucius values wasn't fit to the international economy prescribed with logics and competitions. However, there are a lot of flaws with the statement that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should be eradicated due to its illogical and obsolete values. It is well know that many social variables are intricately woven into the economic systems. It is for this reason that in the selection of an economic model that make the most sense to a country, one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ocial variables that play into an economic model. Although the developed countries in the west have maintained a higher level of economic stability in comparison with the Eastern Asian countries, it is certain that they still have problems ensuring the comfort and happiness of the citizens in terms of the quality of living as well as defining the value systems. The Confucius capitalism of East Asia is deeply rooted in the Confucius values, which center on ethical and mental values with the objective of ensuring people to follow the ethical codes, differing from the market capitalism built on economic interests. The market capitalism is a principle of competitions and order among individuals, clearly defining the efficiency and logical aspects of market principles, but lacks the ethical values for people in communities. The market capitalism is associated with too many problems to become an economic model for a society to adopt: it hasn't addressed the issue of isolation of people, and the lack of community sprit, corporation and sharing within communities and fulfillment of human spiritual quest. This research reviews the fundamentals of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as well as re-examining them with the focus on the sprits and value system of the Korean capitalism against the backdrop that the world capitalism becomes central to the contemporary values. After analyzing the Eastern Asian economic model, which was under intense criticism recently, with regards to the fundamentals and the values of Confucius capitalism, this research determines what kind of modification the Confucius capitalism is in need of to be transformed into an advanced model equipped with the logic that meets the future capitalism of the world. The East Asians are in need of a new value system to better prepare themselves for the era of new world capitalism. The new value system is neither Asian nor the western values. The downsides of the western values have caused adverse effects in the western societies, as well. Furtherm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western values will be the world-leading values down the road in the future. The best long-term alternative will be to establish new value systems by adopting the western values based on the Asian ones. In other words, the specifics of the market capitalism will be absorbed into a society built on the premises of the Asian values. W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following criteria in the building of new value system. Firstly, we should understand the essence of the Asian and the western values. The ethical values are of little difference in theory across both cultures. The question is how these values are practiced in reality. Secondly, we should recognize that principle of competitions and reasonability must be upheld and accepted. The market is an institutional devise that leads to efficiency-and has appeals to most people. We are in need of a precise economic model in which Confucius concepts are materialized in market activities. Thirdly, there should be explicit regulations on the specifics of economic activities and the enforcement of these regulations should be validated. A lot of less developed countries suffer from lack of supervision and responsibility over economic activities, and thus fail to deliver economic justices. The East Asian governments should initiate ongoing restructuring on the economic values to equip the economic system with self-control capabilities based on the principle of efficiency.

      • 북한의 암시장경제

        정은찬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5 경제경영연구 Vol.3 No.1

        최근 북한에서 사람들의 일반적 경제생활은 사회주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의 베일속에 감추어진 암시장경제에 의하여 유지된다. 사회주의계획경제가 가장 이상적인 경제체제이고 관리운영방식이라고 강조하던 북한 당국의 선전에 비추어볼때 현 북한의 경제현실은 국가적 결정과 의사와는 관계없이 생계를 위하여 피나게 노력해 나가는 사람들의 생존경쟁에 의해 암시장경제가 활성화 되여 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북한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체제와 그 속에 가리워진 북한 주민들의 생활루투인 암시장경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The economic life of a North Korean is the product of a strange interaction between the contrived socialist economy planned by the North Korean Authority and the developing black market. Though the North Korean Authority has consistently emphasized that the state-planned economy is the ideal economic and social system, the present economic conditions of North Korea reveal some of the failings of North Korean socialism. A black market has formed and thrived in reaction to the government’s failures in function providing the only realistic source of domestic economy. The centralized planned economy of North Korea and the black market economy are discussed in this treatise.

      • KCI등재후보

        기업의 경영환경과 기술경영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상빈(Sang Bin Lee),김훈(Hoon Ki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영경제연구 Vol.37 No.2

        본 연구는 기업의 외부환경이 기술경영역량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영환경의 변화와 기술경영역량에 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경영환경의 변화는 환경불확실성, 시장이질성, 산업성장률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전, 충남 지역의 76개 생산기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는 PL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정 결과, 환경불확실성, 시장이질성, 산업성장률이 기업의 기술경영역량에 유의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술경영역량이 기업성과에 유의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업의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기술경영역량을 보유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and firm performance.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the empirical studies of the management from technology literature. A theoretical model was tested in which a business environment exerts a direct effect on th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th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then influences firm performance. A business environment consists of three parts: environmental uncertainty, heterogeneity and market growth. The model was empirically tested from a survey consisting of 76 South Korean productivity firms. The data obtained from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PLS). Based on the empirical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ar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entences. First,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was affected by environmental uncertainty, heterogeneity and market growth of business environment. Second, firm performance was affected by the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This article focuses on how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y can improve the performance of a firm in a rapidly changing and complex business environment. We conclude that firms must build up their technology management capabilities to achieve their higher for performance .

      •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와 한국에의 시사점

        김용원 대구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05 경제경영연구 Vol.3 No.1

        The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Ordo- liberalism', refers to a market economy, that assumes social responsibilitie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ocial market economy is its effort to establish a system of orderly competition. It is the state that assumes the task of intervention to create an order that guarantees competition and maintains social balance. The policies of Social Market Economy can be divided into economic policy and social policy. The economic policy allows the market to function as competitive market, and it also consists of the state's measures to handle the problems occurring from economic process. Social policy in the social market economy means social security policies that include an equal labor relations and economic democracy. The Social Market Economy contributed not only much to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ocial stabilization in Germany, but also to the socio-economic integration of the two Germanies. Currently, the Korean government follows the example of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and is pursuing its vision of democratic market economy and productive welfare system. However, Korea's market economy system is in many respects different from the German Social Market Economy. The Korean government must improve its performance in the areas of equal economic opportunities, fair competition, cooperative labor relations and the expansion of welfare systems. 사회적 시장경제는 시장에서의 경제적 자유의 원칙과 사회적 형평의 원칙을 결합하여 경쟁원리의 우위를 강조하여 모든 계획경제에 반대하고 생산·소비·직업선택 등에 대해서는 시장경제에 있어서의 자유경쟁을 완전히 보장하지만 시장형태 등을 포함한 경제적·사회적 질서의 형성·유지에 대해서는 국가가 경제·사회 정책을 통하여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독일의 독자적인 경제체제이다. 우리나라도 김대중 정부 이래 민주주의와 시장경제질서의 실현을 국가의 기본목표로 설정하고 여러부문에서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바람직한 시장경제질서를 분권적인 의사결정을 통해서 자유 정의 및 복지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제질서라고 본다면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이는 사회적 시장경제의 이념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따라서 미국식 시장경제와는 달리 경제적 자유와 사회적 형평성을 잘 조화시킴으로서 독일이 세계적인 경제대국과 복지국가로 발전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한 사회적 시장경제는 한국과 같이 분단된 국가에게 시장경제질서의 한 모델로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회계정보지표가 공기업 경영평가에 미치는 영향

        안나영(Na-Young An),권선국(Sun-kook Kwon),유수연(Su-yeon Yoo)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6 경영경제연구 Vol.38 No.1

        본 연구는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경영노력과 성과를 매년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경영평가제도가 공공성과 경영효율성을 높이고 경영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공기업의 본질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재무적 성과를 나타내는 회계 지표가 경영평가등급에 제대로 반영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량관리업무비는 경영 평가등급과 유의한 음(-)의 계수값이 나타났으며, 당기순이익과 경영평가등급은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자산회전율과 부채비율은 경영평가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기업의 경영평가등급에는 회계지표의 일부항목이 반영되고 있으나 나머지 회계지표는 경영평가등급에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기업의 재무적 성과를 나타내는 회계지표가 공기업 경영평가등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의 한계는 공기업 경영평가에서 사용된 회계정보지표를 중심으로 분석했다는 점이다. 추후 연구로 다양한 회계정보지표를 추가하거나, 공기업에 국한하지 않고 준정부기관까지 표본 수를 늘려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assesses the performance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al agencies. In particular, accounting information indices for measuring financial performance are analyzed to check whether or not these indices affect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First,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ssets turnover ratio and the liability ratio did not affect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Secondly, the ratio of administrative expenses over sales negatively affected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That means the lower the administrative expenses, the higher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Thirdly, net income positively affected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That means the higher the net income, the higher the management evaluation rating.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was that only accounting information indices used in the management evaluation system were considered. Also, only public enterprises were considered. Therefore, future research may consider more accounting information indices and quasi-government agencies.

      • KCI등재후보

        중소기업 경영자보상의 결정요인

        최정미(Jeong-Mi Choi)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5 경영경제연구 Vol.37 No.3

        본 논문은 중소기업 경영자보상의 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경영자 보상은 기업의 경영성과에 따라 경영자에 대한 보상의 크기를 결정함으로써 우수한 경영자를 확보하고 경영자들의 일하려는 동기와 의욕을 진작시키며, 궁극적으로는 기업가치를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중소기업 경영자 보상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재무건전성이 높을수록, 인건비 비중이 높을수록 경영자보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성은 현금보상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고, 스톡옵션보상에 대해 배당성향과 차입금 의존도는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대기업 경영자보상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규모, 성장성, 재무건전성, 인건비 비중은 경영자보상과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동성과 차입금 의존도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금보상에 대해서만 자산수익률(ROA)가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대기업 경영자의 현금보상은 기업가치가 아닌 회계이익에 기초하고 있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for managerial compensation for small and medium sized companies. Compensation plans are designed to align the interests of risk-averse self-interested managers with those of shareholders in order to maximize the ultimate firm value. The results show that size, financial health, and proportion of wages on sal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otal compensation in small and medium firms. The growth perspective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cash compensation. Dividend pay and loan to equity ratio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tock-option compensation. This paper conducts additional tests on major companies. The results indicate that size, growth perspective, financial health, and wages are positively related to total compensation. On the other hand, liquidity and loan to equity ratios have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ROA has significantly positive coefficient only on cash compensation that suggests managerial cash compensation is designed by accounting ear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