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1장 3주기 교원양성기관 평가 준비의 실무적 진단과 시사점: 경상대학교를 중심으로

        윤대원 ( Dae Won Yoon ),박균열 ( Gyun Yeol Park ),김복정 ( Bok Jeong Kim ),김수진 ( Su Jin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0 중등교육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교육과학기술부의 3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에 대해 실무적으로 진단하고, 향후 평가대비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3주기 평가는 경영 및 여건 영역, 프로그램 영역, 성과 영역 등 3개 영역으로 진행되었다. 경상대학교는 평가를 위해 사전준비 조치로 사범대학의 경우 인성, 전문성, 창의성이라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각 평가지표별로 사전에 준비할 수 있는 요건 구비 노력을 했다. 실제 자체평가준비를 위해, 기획위원회와 실무위원회를 구성했다. 기획위원회는 교과별 경륜이 풍부하고 전력수립 경험이 많은 교수들로 구성했다. 실무위원회는 주로 사범대학의 각 교과별 교육평가경험이 있는 소장교수들로 구성했으며, 일반대학 교직과정 준비를 위해 자연대학과 인문대학의 교수를 각 1명씩 포함해서 구성했다. 자체평가를 실제 준비하는 중에도 학과장 및 전공주임 교수회의 개최, 조교회의 개최, 상황실 설치, 그리고 실시간 정보공유를 위해 학교 웹하드를 활용하여 사이버공동체를 수립했다. 자체평가보고서의 주요내용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이미 양식을 제시해주었기 때문에, 제시된 안의 범위내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증빙할 수 있는 비치자료를 잘 선별해서 제시해야 되는데, 서류철 정리에서부터 지표영역별 우수 사례 선정, 최종보고서 인쇄에 이르기까지 세심한 준비를 해야 한다. 경상대학교는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사범대학은 B등급, 교육대학원은 C등급, 일반대학 교직과정은 D등급을 받았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원의 경우 다른 국립대학, 즉 서울대학, 경북대학, 전남대학, 전북대학 등과 같은 수준의 결과를 얻었지만, 교직과정의 경우 다른 인접 국립대학과 같이 낮은 등급을 받았다. 교원양성의 주요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사범대학의 평가결과는 컴퓨터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등 학과내부의 특수사정이 개선된다면 추후 평가에서는 전국적으로 월등한 평가결과를 얻게 될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했다. This paper diagnoses on 3rd period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shows some implications. As main indicators, there are three perspectives: management and environment, program, and product etc. As preconditional prepar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NU) made objective of the education: personality, expert, creativity for teacher. Based on this objective, GNU has collected and prepared for indicator relating data. For more efficiency, two committees were organized. Those were strategic planning committee and practical committee. As a result, GNU got B grade at the level of Teachers College, C grade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D grade at Subsidiary Course for Teachers Training (Gyozikgwajeong) which has concerned about students not in Teachers College. Comparing with neighboring some national universities, GNU did show not so bad result through this sequential evaluation process.

      •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전공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

        정찬기오 ( Chang Gi Ho Chuang ),박신렬 ( Sin Yeol Park ),김훈희 ( Hoon Hee Kim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2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계열 대학생들의 과거, 현재, 미래의 전공역량에 대한 자기보고형 창의성 용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설문조사 대상은 경상남도 소재 2개 국립대학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275명으로 교육대학교(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2학년 학생과 사범대학(수학교육과, 생물교육과) 2학년 학생, 그리고 자연과학대학(수학과, 생물학과) 2학년 학생과, 공과대학(반도체공학과, 토목공학과) 2학년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조사 도구는 박병기(1998: 36-39)의 MAPS 4A 모형 중에서 ‘창의적 능력’ 부분만을 발췌하여 부분적인 자구수정을 하여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자연계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3개의 요인으로 상정하였다. 과거 역량으로는 직전학기 학점, 현재 역량은 설문조사 도구의 전공만족도, 미래 역량으로는 전공에 기반을 둔 비전 창 출 각오를 상정하였다. 연구결과, 자연계 대학생들의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에 대한 인식 평균값의 순위는 지식>융통성>민감성>정교성>상상력>유창성 순으로 나타났다. 전체 전공 역량의 평균은 3.49였으며, 과거 전공 역량의 평균은 3.26, 현재 전공 역량의 평균은 3.55, 미래 전공 역량의 평균은 3.66안 바, 자신의 전공에 대한 역량은 점점 강화되는 것을 나타난 것이 특징이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의 하위요인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 역량에서도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보고형 창의성 요인과 전공 역량 간에는 비교적 낮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자연과학계열 대학생들의 전공 역량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지식’과 ‘융통성’이다. 하지만 보다 세부적인 요인을 구체적으로 찾아내는 연구나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 대학생 법치교육의 발전 및 보완에 관한 논의

        리펑 ( Li Peng ),뤼항항 ( Lv Hanghang ) 경상대학교 교육연구원(구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31 No.2

        법치국가의 기초와 전제는 인간을 근본으로 하여야 가능하며, 법치의 계획은 교육을 우선으로 꼽아야 한다. 다시 말해 법치의 건설은 매 개인에 대한 교육에서 시작하여야 하며, 법률의 교육으로 법치의 소양을 향상하여야 법률인재를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대학생은 나라의 부흥과 발전의 비전으로서 미래 사회의 주인이며 사회의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하게 됨으로 대학생에 대한 법률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본문은 중국 현재의 대학생 법치 교육의 정의와 필요성을 검토하고 법치교육의 의의와 범위를 분석한 후, 거시적 시각으로 법치교육의 발전을 살펴보고, 일부 대학교의 대학생 법치교육의 내용과 방식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사례로 하여 설명을 하면서 미국, 싱가포르, 일본 등 법치교육의 선진국의 경험을 참고하여 상응한 대책을 제출하고자 한다. Article Abstract: The foundation and premise of "ruling the country according to law" is to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socialist rule of law. The construction of the rule of law must be people-oriented and rely on people to complete it. Rule of law, education first. The smallest unit of the construction of the rule of law is the individual. To strengthen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ist rule of law must start with the education of the rule of law of the individual. Only by truly improving the legal literacy of the individual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rule of law can we provide talent guarantee for the construction of the rule of law. As a reserve force and senior intellectuals for the rejuven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otherland, college students will move to important positions in society in the future and will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eref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be the center of education for the rule of law, and college students should focus on improving their quality of the rule of law. . Promoting the integ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education and the rule of virtue education is of great significance to improving the comprehensive quality of the rule of law among college students,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rule of law campuses in universities, and promoting the spirit of the rule of law in socialism. This article starts from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the theory of rule of law education for college students in today's era, defines the connotation and extension of rule of law education, combs the evolution of the rule of law education process, grasps the development of the rule of law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and focuses on the law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in some universities. Existing problems in the content and methods of education in the process, in-depth analysis of general problems and special problems, find out the reasons, learn from the advanced legal education experience in the United States, Singapore, and Japan, apply the right medicine, and start from the legal education The content, the main body of the rule of law education, the guarantee measures of the rule of law education and other aspects are targeted to propose a perfect path and specific methods, in the hope that better promote the rule of law education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학고문헌시스템> 개발과 그 성과

        이정희 ( Jeong Hee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1989년부터 고서실을 설치하여 운영해오다가 2001년 10월 지역민의 도움으로 대학 내에 南冥學館이 건립되자, 고서실을 남명학관으로 이관하고 ‘文泉閣’으로 명명하여 재개관하였다. 문천각에서는 남명학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는 경남지역 민간소장 고문헌을 다년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문천각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고문헌의 원본은 영구보존하고 활용성은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고문헌 디지털화 계획을 수립하였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2004년부터 행정안전부 <국가DB 구축사업>을 유치, 2011년 남명학 관련 고문헌을 디지털화한 <남명학고문헌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였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은 남명학 관련 문헌, 유학자 문집, 기록류, 고서 해제, 고문서, 책판 등을 디지털화여 인터넷을 통하여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남명학 연구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남명학 연구가 전국화·세계화 될 수 있는 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이 사업을 통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도서관 특성화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교수신문·국가브랜드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가 공동 주관한 <대학의 유산, 한국의 미래다>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has been collecting old books and local archival materials since 1989 when it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which was then housed in the university library building. In 2001, the department was renamed ``Moon Cheon Gak(文泉閣)`` and moved to Nammyong(南冥) Hall, a building newly erected in memory of a leading scholar of the Choseon Dynasty. Moon Cheon Gak consists of the Preservation Division and the General Division. The Preservation Division preserves old thread­bound books, engraved wood blocks, and archives. The General Division houses modern photocopies of old books, genealogical data, and has rooms for exhibitions.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 Moon Cheon Gak, has now started to digitalize various kinds of old materials as part of a nationwide data base digitalizatio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aim is to promote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stern Gyeongsang. The digitalized materials include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writings, documents, exhibition of important old books, and engraved wood blocks. The data base uses high resolution color imaging and replicates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the authentic document You can search the data base by using advanced search terms such as family name, last name, adult name, nom de plume, ancestral home, residential place, and birth date and year. Original images allow you to check or compare whether there are any missing letters or misprints in modern versions. The Nammyong collections are housed in Nammyong Hall and managed by Moon Cheon Gak. The books, documents, and archival materials made accessible online were selected among the materials in the Department. The collections form a unique research resource for the study of Master Jo Sik(1501-1527), whose most well-known nom de plume was ``Nammyong`` or ``the Great Southern Ocean``. Nammyong was a well-known scholar from the mid Joseon Dynasty,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in scholarly circles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Gyeongsang region.

      • KCI등재후보

        묵수당 崔有海의 『大學』解釋과 그 意味

        崔錫起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4 남명학연구 Vol.18 No.-

        이 글은 묵수당 崔有海(1588-1641)의 경학관과 『대학』해석에 관해 살핀 것이다. 묵수당의 경학관은 懷疑를 통한 義理의 發明, 곧 道를 추구하는 것이었다. 그는 이와 같은 관점으로 先儒의 설만 固執하는 사람들을 拘儒로 보고 墨守主義를 비판하였다. 그리고 이런 경학관으로 경전을 해석하였는데, 특히 『대학』에 관심을 집중하여 아래와 같은 설을 발명하였다. 첫째, 주자의 『대학장구』를 텍스트로 하지 않고 『고본대학』을 취하여 독자적으로 체제를 개편하였는데, 삼강령을 기본골격으로 하여 明明德傳·新民傳·止於至善傳으로 배열한 뒤, 팔조목을 명명덕의 일로 보아 명명덕전에 포함시켰다. 둘째, 명명덕전은 釋明明德·釋格物致知·釋誠意·釋正心修身·釋修身齊家·釋齊家治國·釋治國平天下 순으로 배열하여 대체로 『대학장구』의 체제를 따르고 있다. 셋째, 『대학』의 작자에 대해, 經文 제1절만 孔子의 말씀이고, 경문의 팔조목 공부와 공효를 말한 두 절은 曾子의 말씀이며, 나머지는 모두 傳文으로 후인이 지은 것으로 보았다. 넷째, 明德의 明이 致知로부터 발하기 때문에 명덕이 격물치지로 연결되어야 하고, 평천하도 自明에 해당하는 명명덕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新民과 자연스럽게 연결된다고 하였다. 다섯째, 『대학장구』 경일장의 제2절·제3절·제6절·제7절 및 청송장을 합해 격물치지전을 새롭게 구성하였다. 여섯째, 正心章의 四有를 주자차럼 心之用으로 보지 않고 情이 치성해 방탕해진 것으로 보았다. 일곱째, 평천하장의 혈구에 대해 혈지이구·혈이구지를 모두 취하지 않고, 이혈즉여방이라는 독특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여덟째, 평천하장의 제6절부터 제10절까지의 다섯 절을 제18절 뒤로 옮겨놓았다. 아홉째, 지어지선전을 功效로 보고 『중용』에서처럼 五引詩로 끝맺었다고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is a research on Muk-su-dang(묵수당), Choi Yu-hae(崔有海, 1588-1641)'s view of Chinese classical study and the interpretation of [Dae-hak(『大學』)]. His view of study was seeking after 'Tao(道)' which means the invention of theory through skepticism. With this viewpoint, he criticized for the conservatism scholars who adhere former scholar’s theories defining as 'Gu-yu(拘儒)'. The outline of his [Dae-hak] interpretation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he re-edited the system of [Dae-hak] independently to select the text of [Go-bon-dae-hak(『古本大學』)] not of [Dae-hak jang-gu(『大學章句』)]. And he put Pal-jo-mok(팔조목) in 'Myoung-myoung-deok jeon(明明德傳)' because he regarded it as the item of 'Myoung-myoung-deok(明明德)' after arranging it in order of 'Myoung-myoung-deok-jeon(明明德傳)', 'Sin-min-jeon(新民傳)', 'Ji-eo-ji-seon-jeon(止於至善傳)' on the base of 'Sam-gang-ryoung(三綱領)'. The second, he followed the system of [Dae-hak] in general through arranging it in order of '釋明明德·釋格物致知·釋誠意·釋正心修身·釋修身齊家·釋齊家治國·釋治國平天下'. The third, upon the author of [Dae-hak], he insisted that only the first sentence of 'Gyeong-mun(經文)' is Confucious' words and the both study and its effect of 'Pal-jo-mok(八條目)' are Jeung-ja(曾子)'s one, and the rests of 'Jeon-mun(傳文)' are the mention of posterities. The forth, he insisted that 'Myeong-deok(明德)' should be link to 'Gyeok-mul-chi-ji(格物致知)' because '明' of '明德' is derived from '致知', and '平天下' should be link to '新民' naturally because of '明明德' of '自明' too. The fifth, he newly organized '格物致知傳' by uniting from chapter 2 to 7 of '經-章' of [Dae-hak-jang-gu] and '청송장'. The sixth, he regarded '四有' of '正心章' as the dissipation of '情' not '心之用' like Ju-ja. The seventh, upon the '혈구' in the chapter of '平天下', he suggested an peculiar interpretation that it is '이혈즉여방' not to select the interpretation of '혈지이구·혈이구지' at all. The eighth, he moved the 5 chapters from 6 to 10 of '平天下' to the next position of the chapter 18. The ninth, upon '止於至善傳', he regarded it as the category of effect(功效) and insisted that it finished with '五引詩' like [Jung-yong(『中庸』)]

      •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 연구

        최정혜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현대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과 가족건강성을 규명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경상대학교 12개 단대에서 각 10%이상이 되도록 유의추출 표집을 한 1,727명의 학생들이다. SPSS 20.0을 사용하여 대학생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첫째,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전체 평균 4.07로 나타나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은 성별, 아버지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 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들의 가족건강성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을 영역별로 보았을 때, 가족유대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문제해결 수행능력, 가족간 의사소통, 가치체계 공유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가족건강성 관련변인은, 성별, 단대별, 종교, 아버지의 직업, 어머니의 직업, 아버지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양육태도, 경제수준 등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경상대학교 재학생들의 자아존중감 및 가족건강성 향상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steem and familial strength of the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study, 1,727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re selected as subjects in this research. Using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data including the percentage, average standard, t-test, one-way ANOVA, Tukey test are analyzed and obtai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average self-esteem score of the students is marked as 4.07 comparing to the maximum score of 5.0. It suggests that most of the students in this university positively perceive their self-esteem. And it is found that self-esteem of the students is dependent on their sex distinction and fostering attitude of their parents.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ir familial strength is ranked to 3.79, which also indicates their familial strength is quite strong. When the familial healthiness is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and analyzed them in detail, the familial strength is marked as the highest and sharing the same goal is scored at the lowest. The familial soundness is relied upon the orders of sex, difference in their major college, religion, parent’s job, rearing attitudes of parents and level of home economics, respectively.

      • KCI등재

        기획논문 : 冥學硏究(명학연구)의 發展史(발전사)

        강동욱 ( Dong Uk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개소 주년을 맞아 남명학연구소를 중 20심으로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에 대해 시기별로 발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준으로 1990년 이전과 남명학연구소 설립 후인 1990년부터 2011년까지를 남명선생 탄신 500주년이 되는 2001년을 기점으로 삼아 전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남명 조식 선생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1980년대 후반이다. 1980년대 후반 김충렬 교수에 의해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한 남명학은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남명 중심의 연구에서 범위를 확대해 남명 제자들을 통해 남명사상의 계승 양상을 구명해 남명 정신이 우리나라 선비 정신의 본보기로 인식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1년 남명탄신 500주년을 맞아 남명학과 다른 학파와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유학사에서 남명학의 특징을 학계에 널리 알렸으며, 외국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남명학의 국제화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지금껏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남명과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남명학 연구의 발전 과제도 적지 않다. 20여년 동안 ‘남명’ 이란 주제로 수많은 연구 성과물들을 세상에 내놓았지만 아직 남명 선생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는 적어도 경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굳이 퇴계선생과 비교하지 않더라고 남명의 정신과 학문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전 국민들이 인식할 때 까지 관계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Korea, Nammyeong Josik teacher research began in earnest on the point is in the late 1980s. In the late 1980s, Nammyeonghak known in academia for the first time by Professor gimchungryeol has been a breakthrough, nammyeonghak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ounded in 1990 to begin. Nammyeong center to broaden the scope of the study, so Succession patterns of Nammyeong thought revealed by his disciples, so the spirit nammyeong Korea as an example of the scholar to recognize the spirit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2001, at 500 anniversary of the birth of nammyeong, nammyeonghak and by comparison with other schools in the 16th century, yuhaksa nammyeonghak widely in academia have been notified of the feature, through exchanges with foreign scholars contributed much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nammyeonghak. So far as R & D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nammyeonghak nammyeonghak nammyeong and steps are being par for the study. Nammyeonghak development challenges, but also myriad of research. Over 20 years ``nammyeong`` as the subject of numerous research results released to the world, but still nammyeong teacher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does not seem to be at least in Gyeongnam is terrible. Compared with the teacher, even if you do not bother Toegye, nammyeong the spirit of the country, and leading academic scholars in the spirit of former officials until people recognize that you need constant attention and looks. Nammyeong for teachers identify academic efforts of the past 20 years has been recognized in academic circles. But for the disciples of nammyeong research, research on nammyeonghak par soon have a lot yet further support. A study of some of his disciples as revealed Naeam actively progressed, but, for many students, including suwoodang research is the beginning stage. Study of young researchers to improve conditions there is an urgent task. Nammyeonghak Institute, focusing on hanmunhak and their emissions, but many young researchers, nammyeonghak personnel involved in the research that is just a few. Different circumstances, but the active support of school authorities to create conditions through research and young researcher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nammyeonghak also think it`s important to create an atmosphere.

      • KCI등재

        대학의 경제화와 대학의 자치

        곽상진 ( Kwak Sang-jin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7 No.4

        1990년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의 신자유주의적 대학개혁 정책은, 신자유주의적 시장경제질서에 기초하여 대학의 운영방식을 효율화하여, 경쟁력을 높이려는데 목표를 둔 것이다. 즉 대학운영에 경제화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에 그 핵심이 있다. 따라서 대학운영을 기업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시장경제적인 개방을 교육제도의 영역까지 확장하여, 교육을 서비스산업화 함으로써 자본시장의 원리에 합당한 경쟁과 이윤창출을 유도하려는 것이다. 이렇듯 대학개혁은 그 내용에 있어서 대학을 경제화하는 것이 필수적 사항이 된 것이다. 국립대학의 법인화도 이러한 대학의 경제화 정책으로서의 대학개혁에 해당한다. 국립 대학은 국가가 제공하는 중요한 공공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그 유지와 운영에 많은 국가예산이 소요된다는 점에서, 대학을 법인으로 독립시켜 성과에 따른 재정만을 지원하고자 하는 것이다. 국립대학의 법인화는 국가가 여전히 재정지원을 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는 없다. 다만 대학경영의 성과를 평가하여 그에 따른 재정지원을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이 독립법인으로서 재정에 대하여 책임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교육개혁 정책 추진의 결과, 법인화 대학과 비법인 대학 모두에서 대학지도부의 권한강화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에 반비례하여 대학구성원의 자치기구는 권한축소로 이어진다. 독일에서는 대학개혁을 통하여 대학의 지배구조를 바꾸기 위해서, 대학이사회를 새로운 기구로 만들어 의사결정기관으로 운영하고 있다. 이는 대학과 국가 간의 대립을 완화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데, 그 구성에 있어 대학외부인으로 과반수를 채운다. 이점에서 대학자치와 민주적 정당성이 문제로 되고 있다. 이는 많은 부분 평의회와의 협력하여 운영되고 있다. 이렇게 대학이 경제화 되면서, 대학의 내부조직에도 변화가 생긴 것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대학운영과는 차이가 있어서 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학을 경제화해 나가는 개혁정책 추진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다고 보지 않으면 안 된다. 즉 학문의 자유와 대학의 자치의 본질적인 내용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헌법재판소는 대학에 대하여 학문의 자유와 대학자치의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립대학은 국가시설인 영조물의 지위에 있으므로, 학문의 자유의 기본권의 주체라고 하더라도, 어느 정도의 독립성은 인정되더라도 대학의 자치가 거의 인정되고 있지 않다. 더욱이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으로 인하여, 대학자치의 폭은 더욱 축소되었다. 즉 정부는 2017년의 고등교육법 개정으로 대학평의회를 제도화하고, 교수의 대학평의회의 참여비율을 1/2이 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교수의 참여비율을 축소시켰다. 이는 대학운영에서 교수의 지위와 의견반영을 현저히 낮추고, 대신 총장을 중심으로 한 대학지도부의 권한을 강화시킴으로써, 대학경영의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려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이 곧 기업으로 운영될 수는 없다. 대학은 제품 생산성과 수익성이 없거나 기업생산품과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문연구와 강학을 담당하는 교수의 중추적인 역할을 감안할 때, 대학평의회에서 구성원집단 간에 획일적인 기준으로 참여비율을 정하는 것은 평등의 원칙에 위반된다. 즉 대학에서의 교수의 역할과 기능에 따른 참여비율을 직능에 따라 배분해야 한다. 오히려 여기서 획일적 평등은 불평등을 야기하므로, 대학의 의사결정에 참여비율은, 직능에 따른 기준이 적용되는 직능제 민주주의가 실시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수 참여비율을 1/2 이상이 되도록 법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대학평의회의 권한확대와 의결기구로의 전환이, 대학자치에 최소한 필요하다. 대학의 공공성의 측면에서 생각할 때, 대학개혁정책으로 인해서 대학이 평가를 받고, 기업방식으로 그 운영체제를 전환시켜 가는 것에 한계를 두어, 일정한 정도의 대학의 자치를 허용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학은 연구나 교육의 기능을 통하여,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인 현실적 수요에 부응하는 것은 물론이고, 장기적으로는 헌법이 지향하는 문화국가의 형성에도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 이처럼 대학이 사회에 제공하는 현실적 효용성과 미래 성장잠재력을 함께 갖는다는 점에서, 그 공공성이 크다. 따라서 대학개혁도 이러한 대학의 공공서비스 기능을 고려하여 그 평가의 적용기준에 차등을 두어 추진할 필요가 있다. 영조물로 본다면 대학자치를 인정할 여지가 없으므로, 대학의 자치가 허용되는 법적형태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즉 독일의 연방대학기본법에서, 국립대학이 공법상의 사단으로서의 성격을 가짐과 동시에 국가시설이라고 규정한 것과 같은, 법률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같이 신자유주의적 대학개혁을 하고 있지만, 선진국은 대학의 자치가 이미 확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러한 대학개혁정책들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대학자치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기업경영식 운영을 한다는 점에서, 대학 자치기반의 와해가 우려된다. 대학의 자치기반 정도에 따라 대학개혁의 결과가 선진국과는 전혀 다르게 나타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학 운영에 경제화의 개념을 일부라도 완화시켜서, 대학의 문화를 장려하는 방향으로, 개혁의 기준을 설정하여 대학의 문화적 경쟁력에 목표를 두는 방향으로 대학개혁의 목표를 정 해야 할 것이다. Damit sich die individuelle Wissenschaftsfreiheit der Hochschulangehörigen entfalten kann, bedarf es einer freiheitsfördernden Organisation der Hochschulen mit partizipatorischen Strkturen im Innern und gewisser Autonomie nach außen gegenuber dem Staat, dies alles im Gewande einer wissenschaftsadäquaten Rechtsform. Verfassungsrecht Art.22 Abs.1 Abs.4 kommt insoweit als wertentscheidende Grundsatznorm fur das Verhältnis des Staates zur Wissenschaft oder, präziser noch, als Organisationsgrundrecht zum Tragen. Die Staatliche Hochschulen ist im Wandel. Nunmehr ist allenhalben von Autonomie und Wettbewerb von Universitäten die Rede. Diese Ursache verbreite sich die Einsicht, daß Bildung und Wissen in der globalen Dienstleistungs- und Wissensgesellscaft von entscheidender Bedeutung im internationalen Wirtschafts- und Standortwettbewerb sind. Vor diesem Hintergrund ist mit den Schlagworten “Ökonomisierung” die Richtung einer Vielzahl von Veränderungen gekennzeichnet, mit denen sich die Universitäten seit einigen Jahren konfrontiert sehen. Ökonomiesierung der Universitäten schlagen sich nieder in Änderungen bezuglich der Finanzierung, in veränderten Handlungs-, Rechts- und Organisationsformen. Das Problem der Freiheits- und Autonomiesicherung im Verhältnis der Universitäten zum Staat stellt sich in besonderer Weise, Weil die nationale Universität, stets ein Zwittergebilde mit Anteilen beider Sphären war. Er klärtes Ziel der Reformen ist es, die Autonomie der Hochschulen zu steigern. Gibt man dem Begriff der Autonomie gegenuber dem organisationsrechtlichen Gehalt der Wissenschaftsfreiheit eine spezifische Bedeutung, so betrifft er nicht die universitäre Binnenorganisation, sondern als Garantie wissenschaftsgeforderter Selbstverwaltung die Verteilung der Zuständigkeiten zwischen Universität und Staat. Da die Organisation einer Hochschule als Staatsanstalt mangels hinreichender Autonomie ausscheiden muss, kommt als öffentlich-rechtliche Alternative zur Körperschaft vor allem die Rechtsform der Stiftung des öffentlichen Rechts in Betracht. Aber das faktische Substrat fur echte Selbständigkeit fehlt, solange die Stiftung finanziell von jährlichen staatlichen Zuwendungen abhängig bleibt und nicht uber ein eigenes und ausreichendes Stiftungskapital verfugt. Rechtlich konstruierte Selbständigkeit lässt sich aber gleichermaßen im Rahmen der herkömmlichen Organisationsform der Körperschaft herstellen. Hand in Hand mit der Einfuhrung des neuen Finanzierungsmodells erfolgten Änderungen in der Organisation der Universitäten mit dem Ziel, diese zu effektiver und effizienter Aufgabenerfullung zu befähigen. Die Aufmerksamkeit ist deshalb von der Rechtsform auf die praktisch bedeutsameren Veränderungen in der Binnenorganisation der Universität zu richten. Die mit dem neuen Finanzierungsmodell notwendig gewordenen Entscheidungen uber die Mittelverwendung, die Schwerpunktsetzung mit Folgen fur Berufungen oder die Verwirklichung von Berichtspflichten sind organisatorisch den Leitungsorganen der Universität zugeordnet worden. Die Gremien werden vielfach auf Kontroll- und Informationsrechte beschränkt. Bestrebungen zur Stärkung der Rolle der Dekane und Rektoren (Vorstandsmodell), zur Bildung von Hochschulräten (Aufsichtsratsmodell) mit komple -mentärer Teilentmachtung der traditionellen Hochschulselbstverwaltungsgremien (Tendenz zum bloßen Mitbestimmungsmodell) nähern die Selbstverwaltungskörperschaft Hochschule einem mitbestimmten Wirtschaftsunternehmen an. Zur Kompensation fur die verlorengehenden direkten mitgestaltungsmöglichkeiten mussen den Gremien aber adäquat verstärkte und effektive Kontrollrechte gegenuber der Leitungsebene eingeräumt werden. Im Lichte des Autonomierkriteriums zeigt sich das Problem in der Weise, daß die Übertragung von bisher staatlichen Entscheidungsbefugnissen auf einen mit Externen besetzten Hochschulrat zwar formal zu einem Zuwachs an Autonomie fur die Universitäten fuhrt, da ein Universitätsorgan mit Befugnissen ausgestattet wird. Ein materieller Autonomierzuwachs im Sinne einer Steigerung der grundrechtlich legitimierten Selbstbestimmung tritt dagegen nicht ein. Keiner der hier untersuchten Bestandteile der Organisationsreformen fuhrt damit zu einem Zuwachs an Autonomie fur die Universitäten.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조성가(趙性家)와 최숙민(崔琡民)을 통해서 본 경상우도 지역에서의 노사학(蘆沙學)의 전개양상

        김봉곤 ( Bong Gon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본고는 19세기 경상우도 학풍 속에서 趙性家(1824-1903) 와 崔琡民(1837-1905)의 활동을 분석하여 노사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경상우도 지역은 19세기에 새로운 성관집단이 성장하면서 학파를 비교적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었고, 각 가문에서는 과거 급제나 학행에 뛰어난 인물 배출을 위해 노력한 결과 진주 일대의 학문 수준은 그 이전시기보다 훨씬 높아지는 결과를 갖게 되었다. 각 가문에서는 書齋를 지어 학문에 몰두하였으며, 지리산과 덕천강의 풍경이 뛰어난 곳에는 樓亭을 지어 문장을 통해 당색을 뛰어넘어 교제하였다. 문장 외에도 경학이나 성리학에 뜻을 둔 학자들은 호남의 기정진과 같은 저명한 학자 들에게 나아가 수학하였다. 경상우도의 기정진의 문인들은 섬진강과 지리산을 따라 이어진 길을 따라 호남으로 나아갔는데, 곳곳에 숙박할 수 있는 객점과 시문을 주고받을 수 있는 사족들이 분포되어 있어서 여행이 용이하였다. 또한 장성의 김인후나 함양의 정여창의 후손 등 영,호남을 대표하는 사족들 간에 혼인도 이루어지고 있어서 호남 지역을 왕래하는데 정서적으로 큰 어려움이 없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정진의 명성이 높아지자 많은 학자들이 기정진을 찾아와서 수학하게 된 것이다. 조성가와 최숙민은 19세기에 성장한 가문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경상우도에서 두각을 나타낸 인물들이다. 그들은 河達弘(1809-1877)등에 의해 전개된 시단에 참여하여 다수의 시를 남겼으며, 장성의 기정진을 찾아가서 주리론에 바탕을 둔 성리학에 잠심하였다. 조성가는 호남지역 문인들과 깊은 관계를 맺고 하달홍 이후 이 지역의 시단을 이끌었으며 영, 호남간의 노사학파의 가교 역할을 하였다. 그는 崔益鉉이나 宋秉璿, 李震相 등이 찾아올 정도로 명망이 높았으며, 관찰사나 목사 등 지방관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향촌질서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남계서원의 원장이 되어 강규를 새롭게 정하거나 조식의 신도비의 일에 주도적으로 관여하였다. 또한 최숙민은 남인 출신이지만 기정진에게 수학한 인물로서 이항로나 이진상의 문인들과도 교제하면서 기정진의 학설을 심즉리로 이해하였다. 그는 기정진에게서 성리학을 수학한 이후 동문들과 강회를 자주 개최하였으며, 조식을 숭상하여 山川齋에서 德山講約의 강규를 정하는 등 강학에 힘써 산청과 단성, 진주 일대에 다수의 문인을 배출하였다. 그의 학문은 기정진의 학설을 추종하여 매사에 천명 즉 천리를 구현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삼강오륜의 도덕적 질서를 중시하고, 의리나 도리에 어긋나는 일체 행동을 배격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그는 1895년 단발령이 내리자 도에 어긋난다고 반발하여 직접 언문을 지어 단성의 吏民들을 효유하여 결국 단발령을 철회하게 하였다. 이처럼 조성가와 최숙민은 각각 이 지역의 문단과 학계를 주도하면서 경상 우도 지역에 의리에 바탕을 둔 노사학파의 학설이 굳게 뿌리내리게 하였던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trace the advancement of Nohsahak studies within the Gyeongsangwudo`s academic tradition during the 19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Jo Seong Ga(1824-1903) and Choi Suk Min(1837-1905).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relatively tolerant environment began to take shape owing to the rise of the newly established clans. It became possible to pursue a doctrinal faction of one`s own choosing. With every family clan vying to produce their own promising prodigy, who would make a name for themselves by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or becoming a respected scholar, academic standards of the Jinju region rose higher than ever before. Every clan would set up their own "Seojae(study hall)" to dedicate themselves to learning. While building "Rujeong(pavilion)" in scenic spots, mostly in the Jirisan mountains or along the Deokcheongang river, to promote wide-ranging exchange of opinions through "Munjang(handwritten manuscripts)" even to the point of transcending political affiliations. Those keen on "Gyeonghak(study of Confucian classics)" or "Seonglihak(Neo-Confucianism)" would study under renowned scholars like Gi Jeong Jin in the Honam region. Followers of Gi Jeong Jin living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would make their way to the Honam region taking the trail winding through the Seomjingang river and the Jirisan mountains. Along these paths, lodging facilities like "Gaekjeom," and "Sajok(distinguished family`s household)" where you can exchange "Shimun(literary writings)," would be found scattered about, making traveling less of a chore. Furthermore, as in the case of Kim In Hu of Jangseong or the descendants of Jeong Yeo Chang of Hamyang, marriage between the leading families of the two regions was not an uncommon practice, thus canceling out any concerns of cultural disparity between the two regions. All of these factors contributed to scholars flocking to study under Gi Jeong Jin as his reputation continued to grow.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o had the financial backings of the newly-risen clan in the 19th century, became notable figures among Gyeongsangwudo scholars. They had been closely involved in a poetry group fostered by Ha Dal Hong(1809-1877), contributing many compositions. They also went to Gi Jung Jin in Jangseong region delving into Seonglihak based on Ju-Ri philosophy. Jo Seong Ga kept close ties with literati of the Honam region, and eventually took over the reins from Ha Dal Hong to lead his poetry group, effectively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the Nohsa scholars` faction of the Yeongnam and the Honam region. Jo was held in such high esteem that scholars like Choi Ik Hyeon, Song Byeong Seon, and Lee Jin Sang sought him out. Working closely with governors and local officials, Jo would implement "Hyang-Yak(Confucianist village code)," as a means of establishing order in provincial districts. Later, he was to head "Namgye Seowon(lecture hall)," exercising his influence in newly enacting academic code of conduct and erecting a stone monument dedicated to Jo Shik. Choi Suk Min though he was from the Namin faction, chose to study under Gi Jeong Jin establishing close ties with the likes of Lee Hang Ro and Lee Jin Sang. He was to interpret Gi Jeong Jin`s theories in terms of "Shim-Jeuk-Lee(心卽理)" philosophy`s perspective. After studying "Seonglihak" under Gi Jeong Jin, he would regularly hold lectures with his alumni. As a sign of utmost reverence for Jo Shik, Choi would institute academic code of conduct called "Deoksangangyak" in Sancheonjae. His commitment to education has turned out many scholars from Sancheong, Danseong, and Jinju region. Choi`s philosophy, which follows in the footstep of Gi Jeong Jin`s theories, is in realizing the truth in everything. In line with this logic is to place the utmost importance on ethical order according to "Sam-Gang-Oh-Ryun(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and denouncing any behavior contrary to righteousness and reason. On this account, when "Danbalryeong(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was proclaimed in 1895, Choi personally wrote a written protest using Korean alphabets in opposition, asserting that it ran counter to reason. This incited the citizens of Danseong, and Danbalryeong was soon called off. Jo Seong Ga and Choi Suk Min, while leading the learned circles of this region, made doctrines of Nohsa scholar`s faction based on righteousness take root in the Gyeongsangwudo region.

      •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과정과 수시-정시 전형의 주요내용 분석

        이재태 ( Jae Tae Lee ),문승한 ( Sung Han Moon ) 경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현대교육연구 Vol.2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입시제도의 변화과정과 수시-정시 전형의 주요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학입시에 관심이 많은 학생-학부모-교사 등에게 입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1945년 이전의 입시제도와 이후의 입시제도는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수학능력시험과 입학사정관제에 의한 입시제도는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2015학년도의 수시전형과 정시전형은 본질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대학입시제도는 개인의 능력을 판단하여 그 시대의 요구와 대학 자체의 요구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생 개개인을 판단할 수 있는 차별화된 평가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입학사정관제는 평가 과정상의 공정성이 중요하며, 학생-학부모-교사들에게 입시의 수월성 제공이 중요하다. 수시 전형과 정시 전형은 시기-모집단위-평가방법 등 학생들의 여건에 맞는 입학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지원자격의 제약조건을 최소화 하는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nge process of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major contents of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s along with providing basic resources that can help parents, students and admissions officers to understan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pecific research problems are what fundamental differences there are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efore 1945 and after 1945, how differ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from Admission Officer System, a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occasional admission and regular admission in 2015.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ource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suggeste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should be performed with the methods that can judge individual``s ability and can satisfy both demands of the times and demands of the university. Regarding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differentiated evaluation methods that can judge each student need to be sought. Regarding Admission Officer System, fairness during the process of evaluation is important, along with providing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with convenience of college admission. For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s, college admission opportunities that suit students`` situation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in period, unit of recruitment and evaluation method, and methods that minimize constraint condition of qualification for application should b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