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통한옥에 대한 한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중심으로 -
박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The object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our everyday life throughout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Among them,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not only in Korea and abroad since the 1990s, it is not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it is a tangible heritage which is very important as tourism resource as well as cultural property value. Among the classical Chinese heritage associated with the houses,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樓亭記) is one of the richest and deepest contents. As a result, this paper focuses on the Writings, and examined it as a story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cultural contents beyond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them as merely classical Chinese texts. And we constructed this as a digital archive, and sought to find ways to utilize not only professional researchers but also cultural workers and general public conveniently.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cultural contents in the Writings. The first i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t is about the landlord and several related persons mentioned within the Writings. The second is information about traditional Korean houses, it is about how to build the houses, why it was built, and what is thought in each building structure. The third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f the houses, it is about the world view of intellectuals of the time in the name of the houses. For the more detailed discussion under the above viewpoint, and one Writing was analyzed intensively. The digital archive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 cultural contents was constructed using wiki software. The advantages of wiki softw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yone can easily make it and it costs almost nothing. Second, the hyperlink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ird, it can encourag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Fourth, indexing is done automatically by 'sorting' function. And we present an example of archiving using wiki software, archived a detailed analysis in the previous chapter. We show the capture screens actually implemented and added explanations, and emphasized that this can be conveniently used as cultural contents. 한문학 유산과 관련이 있는 대상들은 의식주 전반에 걸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마주칠 수 있는데, 이 가운데에서도 전통한옥은 1990년대 이래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를 비롯해 관광 자원으로서도 매우 비중 있는 유형 유산임은 굳이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전통한옥과 연관된 한문학 유산 중에서도 樓亭記는 가장 풍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누정기에 집중하였으며, 누정기를 단지 한문학 텍스트로만 간주하는 차원을 넘어 문화콘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 소재로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로 구축하여 전문 연구자뿐만이 아니라 문화계 종사자 및 일반 대중들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누정기에서 문화콘텐츠로서 의미를 가질만한 요소들은 크게 세 가지로 상정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인물에 대한 정보로서 누정기 내에 언급된 건립자 및 여러 관련 인물들에 대한 정보이다. 둘째는 전통한옥에 대한 정보로서 전통한옥을 어떻게 지었는지, 그렇게 지은 이유가 무엇인지, 건물의 구성 하나하나에 담긴 생각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정보이다. 셋째는 전통한옥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로서 집 이름에 담긴 당대 지식인의 세계관에 대한 정보이다. 위와 같은 관점 하에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누정기 1편을 집중 분석하였다. 누정기-문화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축하였는데, 위키 소프트웨어의 장점은 다음의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무료로 제작할 수 있다. 둘째,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쉽게 실현시킬 수 있다. 셋째,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분류’ 기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색인(index)이 만들어진다. 위와 같은 장점을 충분히 수용하여 본고에서는 위키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제시하였다. 앞 장에서 자세히 분석한 바를 아카이빙한 것이다. 실제로 구현된 모니터 화면을 부분별로 캡처하여 설명을 덧붙였으며, 이것이 문화콘텐츠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and establish th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of Mt. Jiri and figure out the meanings of its major attractions clearly based on poetry and prose works left by many different scholars after a trip to it in Joseon. The discussions about them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status of Mt. Jiri was further enhanced among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s they perceived the mountain as the center of the nation and the major fundamental presence of its southern regions beyond its image as a guardian mountain to hold and defend the nation's territory in a huge and vast manner at the southern tip of the land, stretching down from Mt. Baekdu. Moreover, Nammyung Jo Shik, a moralist in middle Joseon, chose to retire to hermitage in Deoksandong of Mt. Jiri and made it the gathering place for moralists. After his death, it was regarded as a sacred place where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egan and received the ongoing inflow of pilgrims. There are three types of cultural archetypes in Deoksandong of Mt. Jiri: first, Deoksandong was Nammyung's place of retirement around Sancheonjae and his Daechukji as a seeker of truth that wished to cultivate the way of man and combine it with the way of Heaven; secondly, Deoksandong was established as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in Joseon after the Deokcheon Seowon was built to praise and emulate his learning and virtue; and finally, Deoksandong wa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limbing course to Cheonwang Peak via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This course became a popular course among those who hit the road to find human nature and seek the truth. These thre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hold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re are several major attractions in Deoksandong: Ipdeokmun was named by Nammyung to signify an entry into the world of moral philosophy; Takyeongdae was a place where scholars were able to wash their hat strings in the clean and clear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stream; Gomajeong and Mt. Suyang would transmit the old stories of hermits; Sancheonjae was the place where Nammyung completed his moral philosophy in his latter years; Deokcheon Seowon and Sesimjeong were built to commemorate the learning and virtue of Nammyung after his death; Songgaekjeong would pass down the stories of Nammyung holding a banquet to see off Oh Geon; Myeonsangchon was the place where Oh Geon had an injury in the forehead, being drunk; and the valley of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were the places where the big origin of truth would begin to flow. All of these attractions have profound connections to Nammyung's moral philosophy, enriching the meanings of Deoksandong in culture and history. These relics show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his moral philosophy and Joseon's moral philosophy directly, thus providing good content for experience and field study. It is thus needed to continue the work of understanding their meanings right and promoting them broadly so that they will not be forgotten. 이 글은 조선시대 여러 학자들이 지리산 덕산동을 유람하고 남긴 시문을 통해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정립하고, 주요 명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지리산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백두산에서 뻗어 내려 국토의 남단에 크고 넓게 웅거한 鎭山이라는 의미를 넘어, 우리나라의 중심이고 남쪽 지방의 祖宗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위상이 한층 격상되었다. 그런데다 조선 중기 도학자 南冥 曺植이 지리산 덕산동을 은거지로 택함으로써 도학자의 은거지로 자리를 잡았고, 남명 사후에는 도학의 원류가 흐르는 聖地로 인식되어 순례자들이 끊이질 않았다.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덕산동은 山天齋를 중심으로 한 南冥의 만년 은거지로 人道를 닦아 天道에 합하기를 구한 求道者의 大畜地이었다. 둘째, 덕산동은 德川書院이 건립된 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고 본받고자 하는 朝鮮 道學의 聖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셋째, 덕산동 중에 大源寺와 肇開谷을 경유해 天王峯에 오르는 코스는 성리학자들에게 道學의 源流가 흘러나오는 곳으로 인식되어 본성을 찾아나서는 구도여행코스가 되었다. 이 세 가지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그 문화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덕산동의 주요 名所로는 도학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南冥이 붙인 入德門, 상류에서 맑고 깨끗한 물이 흘러내려 갓끈을 씻을 수 있는 濯纓臺, 은자의 고사가 전해지는 叩馬汀과 首陽山, 남명이 만년에 도학을 완성한 山天齋, 남명 사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德川書院과 洗心亭, 남명이 문인 吳健을 전송한 고사가 전해지는 送客亭과 오건이 술에 취해 이마에 상처를 입었다는 고사가 전해지는 面傷村, 도의 큰 근원이 흘러나온다는 大源寺 계곡과 肇開谷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명소는 모두 남명의 도학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어 덕산동의 문화역사적 의미를 풍부하게 해준다. 곧 이런 유적지는 남명의 도학, 조선 도학의 정신지향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 현장학습을 하는 데 좋은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널리 알리는 일이 지속되어 잊히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함양의 대립적 인물 평가 연구 - ‘정여창’과 ‘유자광’을 중심으로 -
권복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6 No.-
The historical figures examined in this paper are Jeong, Yeo-Chang and Yu, Ja-Gwang. While both were from a town called Hamyang, the former is regarded to represent the spirit of seonbi (classical scholar), whereas the latter is viewed as an archetypal incendiary. While the official records of the region primarily center on Jeong, Yeo-Ghang, legends regarding Yu, Ja-Gwang are more prevalent than those of his counterpart. Resolving the question behind this phenomenon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gain a better insight into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the people of Hamyang. A review of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that these two figures were presented on the opposite ends of the scale. Contrasting words such as legitimate son and illegitimate son, virtuous and mediocre, revered and contempt, and seonbi and treacherous subject are a metalanguage that serves to explain them. In the legends, Jeong, Yeo-Ghang and Yu, Ja-Gwang are symbolized as “baekhyeol (white-blooded)” and “pi-bawi (bloodied rock),” respectively. The former symbolizes the height of sublimity from the aspect of literature. Those who have passed down the legendary tales regarding Jeong, Yeo-Chang have transcendentalized him as “baekhyeol” based on the shockingly tragic event in which he was exiled during two literati purges and became subject to posthumous execution. On the other hand, “pi-bawi” symbolizes a bigger sense of rage with a sense of tragic beauty. Historically, the two individuals were evaluated differently, as clearly evident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lthough Jeong, Yeo-Chang was posthumously revered as one of the five sages, Yu, Ja-Gwang was regarded as a treacherous subject even after death. While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contain factual records of historical events, legendary tales focus more on the actual liv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figures concerned. The legends regarding hak-sa roo and pi-bawi, in particular, pose the fundamental question of why Yu, Ja-Gwang lived the way he did, and by using the controversial figure as their main character, these legends became actively transmitted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nd survived over several centuries. Written records are made and passed down by the ruling class, whereas legends are transmitted by commoners. As it can be seen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 dichotomous yardstick by which to measure “good” and “bad” based on one conformity to Confucianism was applied to assess the characters of Jeong and Yu. In contrast, the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approach was taken in the legends, reflecting the desire of regular people to create a society characterized where there is no discrimination between legitimate children and illegitimate children. The people of Hamyang are described in literature to be circumspect and prudent yet aggressive and hostile. These attributes are associated with the contrasting personalities of two prominent figures from the region who portrayed in certain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through which their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Those endeavoring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and Confucian values and principles tout Jeong Yeo-chang as a prominent figure representing the spirit of seonbi (classical scholars), while legends characterized by oral transmission note his propensity to fight a good fight thereby inciting a debate on social contradictions. 본고에서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인물은 정여창과 유자광이다. 정여창은 함양의 선비정신을 대표하는 인물이고, 유자광은 불온한 인물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 지역을 대표하는 공식 기록에서는 정여창이 주인공이지만, 인물전설에서는 정여창보다 유자광의 전승력이 활발하다. 이에 대한 의문을 해명하는 것은 함양 지역의 특성과 민중의식을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실록을 검토해 본 결과 두 인물은 정(正)과 반(反)의 대척점에 놓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적자와 얼자, 덕행과 용렬, 추존과 멸시, 선비와 간신 등의 대립적 어휘들은 두 사람을 설명할 수 있는 메타언어로 작용한다. 전설에 나타난 두 인물의 상징은 ‘백혈’과 ‘피바위’로 나타난다. ‘백혈’은 문학적인 측면에서 숭고미의 극치를 상징한다. 전승자들은 정여창이 두 번의 사화로 인해 귀양을 떠나고 부관참시를 당한 비극적 사건이 강한 충격으로 자리잡아 ‘백혈’로 승화시키고 있다. ‘피바위’는 처절한 분노를 상징하면서 비장미를 안겨준다. 두 사람에 대한 평가는 역사와 전설에서 극명하게 다르다. 실록에서 정여창은 사후 오현(五賢)으로 추존되었지만, 유자광은 간신의 오명을 벗어나지 못한다. 실록이 역사적인 사건을 사실 위주로 기록한 반면, 전설은 인물이 살았던 역사적 이면에 더 관심을 갖는다. ‘학사루’나 ‘피바위’에 얽힌 전설에서는 ‘유자광이 왜 그런 삶을 살 수밖에 없었나’에 대해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고, 논쟁적 성격이 강한 전설의 주인공으로 만들어 활발한 전승력을 발휘했다고 볼 수 있다. 실록에서 보듯이 두 인물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유교 문화의 부합 정도에 따라 정(正)과 반(反)의 이분법적 잣대가 적용되어 긍정과 부정의 평가가 극명하게 드러난다. 반면 전설에서는 이분법에서 벗어나 정반합(正反合)의 논리로 접근함으로써 통합적 관점에서 두 인물을 조명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문헌에 나타난 함양사람들의 기질은 신중한 면이 있는 동시에 호전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매체별 특성에 따른 두 인물의 대립적 성격에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유교 문화를 존속시키고 전통문화를 소중하게 보존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문자언어를 매체로 한 실록에 근거하여 정여창을 선비정신을 대표하는 인물로 내세우고 있으며, 쌍방적 음성언어의 특성을 지닌 전설에서는 호쟁투의 기질을 발휘하여 사회적 모순에 대한 논쟁거리를 제공한 것으로 보인다.
이미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2 N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paces and characters exhibited in Guam Lee Jeong’s (1512∼1571) Chinese Poems, and therefore, tap the modern availability of them, by focusing on his long career as a local officer working in Yeongnam province. The total number of Chinese poems collected in 『Guamjip(龜巖集)』 was 246, but it is not easy to track his life flow, because they are listed by their poetic themes and it is impossible to verify when most of his works were written. More than half of his official life was, however, spent to work as a local official, so it may be possible to secure important clues with which when and where his Chinese poems were created can be inferred. Hence, this study investigated his poems created in some provinces: Yeongju, Seonsan and Gyeongju, Gyeonbuk; Cheongju, Chungbuk; Sunchoen, Jeonnam; and Sacheon, his home. In doing so, it was possible to verify that the degree of his Neo-Confucian understanding, his reflection on and practice of Neo-Confucianism, interest in persons who are politically disappointed, and respect and reverence for his teacher and affection for his home are reflected across his Chinese poems. Putting an emphasis on the current availability of Guam's Chinese poems, by seeking how to verify and reorganize the sites in which Chinese literary works were created is closely related with the excavation of local cultural archetypes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resources. It is probably a significant work in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contents. Discovering a general value from a lot of book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which can have implication for modern people, may be a certainly significant work promoting locally collaborative development and encouraging the self-esteem of local residents. 본고는 경남 사천 출신 龜巖 李禎(1512∼1571)이 지방관으로 근무한 시기가 적지 않았던 이력에 주목하여, 그의 한시 속에 드러난 공간과 인물을 더듬어보고 이를 통해 구암 한시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 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이다. 『龜巖集』에 수록된 한시는 총 246수로 확인되는데, 시체별로 수록되어 있는데다 저작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수가 많지 않아 생애 동선 추적이 쉽지 않다. 다만 구암이 오랜 관직 생활 중 절반 이상 지방관을 역임하였고, 이에 따른 거주 기간이 확인 가능한 만큼 부임 공간을 따라가보면 그의 한시가 언제, 그리고 어디에서 창작되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주요 단서를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구암은 경북 영주, 경북 선산, 충북 청주, 경북 경주, 전남 순천, 그리고 경남 사천 등지에 주로 생활권이 집중되어 있고, 이는 그의 지방관 부임지 및 고향이라는 점에서 기인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구암의 한시에는 성리학적 이해 정도와 이에 대한 성찰과 실천, 정치적으로 실의한 인물에 대한 관심, 스승에 대한 공경과 존모, 그리고 고향 지역에 대한 애정 등이 묻어나 있음도 아울러 확인할 수 있었다. 구암을 경남 사천 지역을 대표하는 문인으로 단선적으로만 현양하기보다 경상 좌우도의 주요 인사들과 교유하였고 오랜 영남살이를 통해 이곳의 문화를 두루 체험하였던 인물로 새로이 자리매김한다면, 사천 지역의 문화콘텐츠 개발과 관련하여 유의미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시 뿐만이 아니라 한문학 작품이 생성된 현장을 확인하고 재구성하는 방식을 모색하여 이의 현재적 활용에 중점을 두는 일은, 지역 내 문화 원형을 발굴하고 문화 자원을 개발하는 일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그 과정에서 현대인에게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찾아낼 수 있다면, 지역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고 지역민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수 있는 의미있는 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6 No.-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Project for the Traditional Villages of Classical Scholars in Gyeongnam" planned by the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Uijang run by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Jisu-myeon, Gyeongsangnam Province and the family's donation activities around the Uijang. It is said that Uijang has its origin in the yizhuang of the Fan family led by Fan Zhongyan during the Song Dynasty. It is a system in which a wealthy member of a family sets up a huge fund through his donations to save poor relations and promote harmony in the family. The Heo family of Seungsan-ri set up and ran its Uijang based on the yizhuang of the Fan family, and the main figure was Jisinjeong Heo Jun(1844-1932). Heo Jun was a poor young man but accumulated enormous wealth in middle age. He used his wealth to help his relations and gave generous donations to the neighbors and the state in need at the end of Joseon and during the Japanese rule, living a life of giving, which was based on his spirit of thrift and saving to put emphasis on Jiji(知止) and Sindok(愼獨). The present significance of the Uijang of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isinjeong's giving activities was not temporary. Not only did he donate to the war fund for the country in 1894, but he also supported the neighbors in need consistently for years as they suffered famine or could not afford to pay their taxes. He showed ongoing interest in the cultivation and education of talents earlier on and made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foundation of Ilsinhakdang during the Japanese rule. His activities continued through the Uijang of the Heo family. Secondly, his life and the Uijang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represented the cultural superiority of Gyeongsangnam Province with Jinju at the center. Starting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the intellectuals of the region played a pivotal role in various activities to strengthen their families. Most of the activities were "building a clan village, establishing a family Seowon and Sawoo, worshiping ancient sages, and publishing genealogy and anthology." They represented the activities to maintain and reinforce the base of a family in the country community and were part of universal actions among Confucian intellectuals. Heo Jun's donation activities were intellectual activities of high order different from these activities and exhibited the superiority of the culture of classical scholars in the Jinju area. Finally, the Heo family still continues its Uijang activities. There were many figures or families that ran Uijang during Joseon, but most of them deviated from their original nature, being abolished during the time or after a couple of generations or incorporated into other items of property. In contrast, the Heo family of Seungsan-ri still continues its intellectual activities around Uijang including the active outside activities such as the family scholarship. This is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Uijang activities of the Heo family in Seungsan-ri. 이 글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가 기획한 ‘경남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하나로, 경상남도 지수면 勝山里 許氏家에 소재하는 義莊과 이를 중심으로 행해진 기부 활동 등을 살펴보았다. 의장은 중국 宋나라 때 范仲淹의 范氏義莊에서 연유하였다. 대체로 문중 내 부귀한 인물이 많은 기금을 출연하여 가난한 친족을 구제하고 문중 간 화합을 추구한 제도이다. 승산리 허씨가에서도 범씨의장에 근거를 둔 허씨의장을 설립하여 운영하였으니, 그가 바로 止愼亭 許駿(1844-1932)이다. 허준은 젊어 가난하였으나 중년 이후 막대한 富를 소유하게 되었고, 가족과 문중뿐만 아니라 한말-일제시기 어려운 이웃과 국가를 위해 아낌없이 베푸는 삶을 실천하였다. 이러한 베풂의 삶은 知止와 愼獨을 중시하는 지신정의 근검절약 정신에 기반한 것이었다. 승산리 허씨의장의 의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지신정의 베푸는 활동은 일시적이지 않았다. 그는 1894년 국가를 위해 군자금을 출연한 것뿐만 아니라 기근이나 세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곤궁한 이웃을 위해 수년 간 지속적으로 지원하였다. 또한 일찍부터 인재양성 교육에 끊임없는 관심을 보이다가 일제시기에 이르러 一新學堂 설립에 크게 기여하였다. 둘째, 허준의 삶과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은 晉州를 중심으로 하는 경상남도 지역의 문화적 우월성이라 평가할 수 있다. 조선후기부터 이 지역의 지식인을 중심으로 문중강화 활동이 다양하게 행해졌는데, 대개 ‘동족마을의 형성, 문중 서원 및 祠宇 건립, 先賢의 追崇, 族譜와 文集 刊行’ 등이었다. 이는 향촌사회에서 문중의 기반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대표적 활동이었고, 유가지식인의 보편적 행위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허준의 이러한 기부 활동은 이와는 다른 고차원적인 지적 활동이었으며, 진주지역 선비문화의 우월성이라 할 수 있다. 셋째,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조선시대에 의장을 둔 인물이나 문중은 적지 않았다. 그러나 대개 그 당대나 두어 세대를 지나면서 없어지거나, 다른 재산과 통합되는 등 본래의 목적이 변질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승산리 허씨가의 지적 활동은 지금도 의장을 중심으로 한 문중 내 장학금 지원 등의 대외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것이야 말로 승산리 허씨가의 의장 활동이 지닌 가치와 의의라 할 수 있다.
하강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okseongnu’s pavilion(矗石樓) poetry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poetry is the most critical.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themes reflected pavilion poetr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group,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ere 710 writers and 1028 works of 884 poem titles in Chokseongnu’s pavilion. This is tentative but it is the country’s largest size as a single pavilion to date. The largest number of the writers, over 49% of the total, were from Gyeongnam Province, and among them, about 87% were from wester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The biggest number of the writers were tourists, and many of the works were by officials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the city. Moreover, there were a number of writers with family members or colleagues who were writers. Second,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or about 893 poems, showed the time of creation. The number of work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133, which was a relatively small distribution. Approximately 33% of the works, or 335 poems, were created after 1900, which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works by writers from Gyeongnam Province who were bor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ird, among Chokseognu poetr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number of seven-character poems, which accounted for 93%. Among them,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poems reached about 75%, indicating they were commonly enjoyed by many people. This was derived from the general creative tendency of rhyme-borrowing poems, which utilized the authority from the original works. Jeong Eulbo’s poem in the previous section served as the original work only until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40% of the people borrowed rhymes from Shin Yuhan’s works, which proves it was a big trend. In addition, poetic diction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been used customarily, which was clearly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palace-pavilion poems. Fourth, Chokseongnu poetry's themes could be divided into into four types: praise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Jinju,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ill for national salvation, the memories and internal reflections of patriotic heroes, the real purpose of tour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trend of creation with a theme that calls on patriotic heroes to have internal reflections or to promote the spirit of strong loyalty. As a result, many poems highlighting only outstanding scenery have disappeared, and it served as an occasion to achieve the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rough Chokseongu tourism or writing poems. In this context, anti-national entertai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strongly criticized using poems. I hope that this diachronic and positivistic study on Chokseongu’s pavilion will help not only enshri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iterature but als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but also constitute various aspects of local literary history and further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본고는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의 내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시문의 총량 파악은 무엇보다 절실하며, 제영시에 반영된 다양한 주제 의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문헌을 두루 뒤져 촉석루 제영시 전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집성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층의 성격, 작품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석루 제영시의 작가는 710명, 작품 수는 884제 1,028수에 달했다. 이는 잠정적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전국의 단일 누정으로서는 최다 수준이다. 그리고 작가는 경남 출신이 가장 많아 전체 49%를 넘고, 그중에서도 진주를 비롯해 서부 경남 출신이 약 87%를 차지했다. 또 작가는 유람객이 제일 많고, 고을 통치와 관련된 관리들의 작품도 적지 않았다. 작가들 중에는 스승과 제자, 혈연관계가 있는 문인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둘째,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93수로 전체 약 87%에 달했다. 이중 임진왜란 이전의 작품은 133수로 비교적 적은 분포를 보였다. 작품의 약 33%인 335수가 1900년 이후에 창작되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출생한 경남지역 문인들의 작품이 대거 양산된 결과였다. 셋째, 촉석루 시 중 7언시가 93%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7언율시가 약 75%에 달해 대표적인 양식으로 향유되었음을 알았다. 이는 원운의 권위를 활용하는 제영시의 일반적 창작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편을 잡은 정을보의 시는 조선전기까지만 원운으로서 기능했다. 조선후기에는 신유한의 시를 차운한 이가 40%일 정도로 거대한 흐름을 이루었다. 또한 임란 사적과 유관한 시어가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는 다른 누정시와 분명히 구별되는 지점이라 하겠다. 넷째, 촉석루 시의 주제는 진주의 문화경관에 대한 상찬, 임진왜란의 대응과 구국 의지, 순국 영웅의 기억과 내면 성찰, 유람의 진정성과 시대의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후로는 순국 영웅을 호출해 내면을 성찰하거나 강개한 충의 정신을 주제로 내세우는 창작 경향이 지배했다. 이에 따라 빼어난 경관만을 부각하는 시는 자취를 거의 감추었고, 촉석루 유람이나 작시 행위를 올바른 시대의식을 체득하는 계기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적 유람 풍조를 시를 통해 준열히 비판하기도 했다. 촉석루 제영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시적이고도 실증적인 본 연구가 누정문학의 특성을 구명함은 물론 지역문학사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나아가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39 No.-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河東)-gun, Gyeongnam (慶南) by century, the 15th century has one, the 16th century has two, the 17th century has 7, the 18th century has two, the 19th century has 16, and the early 20th century has one. The period that indicates the highest rate is the 19th century, and the next is the 17th century. In Gyeongnam area, Nammyeong (南冥) School that transmits Nammyeong Jo Sik’s studies has played the initiative roles. And we can see that Confucian scholars in Hadong area are produced proportionally to Nammyeong School’s rise and decline. About their distribution by area, Okjong-myeon has produced the most Confucian scholars, that is, 21 out of total 29. The next is Bukcheon-myeon as six, and Geumnam-myeon and Yangbo-myeon have produced one each. Among these, Confucian scholars from Angye-ri, Okjong-myeon are 11, so they are more than half of the Confucian scholars from Okjong-myeon. And they take up one third of the entire Confucian scholars from Hadong-gun. Based on the statistic data, we can establish that the center of Hadong Confucianism is Okjong-myeon, and in that area, Angye-ri has formed the core area. According to the aspects of formation of academic lines, Nammyeong School has 11, Hanju (寒洲) Affiliation has four, Nosa (蘆沙) Affiliation has five, Seongho (星湖) Affiliation has three, Wooam (尤庵) Affiliation has one, Hwaseo (華西) Affiliation has one, and the rest are six. Thus,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schools in Hadong-gun, Nammyeong School and Namin lines occupy the majority, and the next highest are literary men of Nosa Affiliation. About the transmission of Nammyeong studies in Hadong area, we can come up with the fact that Jinyanghassi Sajikgongpa (晉陽河氏 司直公派) scholars from Angye Village did transmit it by family learning. And we can also point out that scholars like Ha Dal-hong, Jeong Woo-bin, Jo Seong-ga, Choi Sook-min, Gang Byeong-ju, or Jeong Don-gyun did respect and emulate Nammyeong and tried to practice it even though they were from different academic lines or factions. 경남 하동 지역 유학자의 세기별 분포는 15세기 1명, 16세기 2명, 17세기 7명, 18세기 2명, 19세기 16명, 20세기 초 1명이다. 가장 비율이 높은 시기가 19세기이며, 그 다음이 17세기이다. 경남 지역은 南冥 曺植의 학문을 계승한 南冥學派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남명학파의 성쇠에 따라 하동 지역의 유학자도 비례하여 산출되고 있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구역별 분포는 총 29명의 유학자 가운데 옥종면이 21명으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북천면이 6명, 금남면과 양보면이 각각 1명이다. 이 가운데 옥종면 안계리 출신의 유학자가 11명으로, 옥종면 유학자의 절반이 넘는 비율을 차지하며, 전체 하동군 유학자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이러한 통계를 근거해 볼 때, 하동 유학의 중심지는 옥종면이며, 그 중에서도 안계리가 핵심 지역이라고 규명해 볼 수 있다. 학맥 형성 양상을 살펴본다면, 남명학파 11명, 寒洲系列 4명, 蘆沙系列 5명, 星湖系列 3명, 尤庵系列 1명, 華西系列 1명, 기타 6명이 된다. 그러므로 하동 지역의 학파별 분포는 남명학파 및 南人 계열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그 다음으로 노사계열의 문인이 많은 비중을 가진다. 하동 지역의 남명학 전승과 관련해서는 안계마을 출신의 晉陽河氏 학자들이 家學을 통해 계승한 사실을 거론할 수 있다. 그리고 河達弘, 鄭瑀贇, 趙性家, 崔琡民, 姜柄周, 鄭敦均 등의 학자들이 서로 다른 학맥과 당파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남명을 존숭하고 본받아 실천하려 한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하동 安溪 마을의 인문 환경 -學術文化 인프라의 조성 및 경영을 중심으로-
김학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8 No.-
Chosŏn was a state ruled by civil officials (文治國家) as well as a community of ruling by rituals (禮治) that was made with literary and elaborated with courtesy. The literati those who believed in Learning of Master Zhu in respect, posed themselves as devoting performers for civil administration (文治), and they had a strong attachment to village, which was the space of realization of Ga (家), a basic unit of the state. The village was implanted to them as not only for dwelling and living, but also as a knowledge community that has a self-sufficient in academic culture. They accepted general realization of this conception as Chosŏnization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Village as a human environment is not formed, but it is a space constructed by human being who has particular ideology and valu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spa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bility of the person who designs the space. When the person who is far-sighted with brilliant vision involved in the design, it will be able to ensure an excellence of characteristics, that is an elegance of the space. The origin thought of the Ha clan in Angye village was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The former was a vertical thought that has generality, and the latter was a horizontal value that was based on distinctiveness. They created their culture by putting these two thing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is, they gave prominence to their existence and expanded their social and academic field as well. It was early 17th century that the Ha clan settled in Angye in 15th century secured the supreme control of the space and started to manage the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On its peak, there was a scholar called Ha Hong-do who was preferred by Yŏngnam academia. The academic culture infra that he and his descendants constructed and managed―Munam(文巖), Kyŏngsŭngjae(敬勝齋), Mohanjae(慕寒齋), Chongch'ŏnsŏwŏn(宗川書院), Chikpanghŏn(直方軒), Kwangyŏngjŏng (光影亭), Igoksŏdang (尼谷書堂), Sasansŏdang(士山書堂)―had reflected their goal of academic culture and sociopolitical line of Angye village. Their lives set in Angye village were remained in historical stratum in 300 years’ time and we are trying to ruminate on their lives through this historical stratum. This is what the village is. Writings could be corrected or elaborated according to one’s needs and interests, but the traces of life which were built impregnably as time passes do not tolerate hasty changes. This is the scene of the cultural history of village, that is simple and sincere, also severe. 조선은 文으로 빚고 禮로 다듬은 文治國家이자 禮治의 공동체였다. 朱子學을 尊信했던 양반 사대부들은 ‘文治’ 구현의 충실한 수행자를 자임했고, 국가의 기초 단위인 ‘家’의 실현 공간인 마을에 대한 애착은 강렬했다. 그들에게 마을은 住居와 生活을 넘어 學術·文化를 자급하는 知識共同體로 착상되었고, 그것의 보편적 구현을 朱子學의 朝鮮化로 받아들였다. 인문 景觀으로서의 마을은 形成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이념과 가치를 지닌 인간이 造成하는 공간이다. 그 공간의 우열은 그것을 디자인하는 인간의 능력과 직결된다. 시대를 내다보는 안목과 식견을 지닌 인간이 디자인에 개입할 때 그 공간은 形質의 수월성, 즉 格調를 담보할 수 있다. 안계마을 河氏의 本源的 思惟는 朱子學과 南冥學이었다. 전자가 보편성을 지닌 종적 思惟라면 후자는 특수성에 바탕한 횡적 가치였다. 이들은 양자를 종횡으로 엮에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갔고, 또 그것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성을 부각시키며 사회·학문적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15세기에 안계에 정착한 하씨들이 이 공간에 대한 우월적 지배력을 확보하고 주자학·남명학적 개념과 구도 속에서 마을을 경영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반이었고, 그 정점에는 그 시대의 嶺南學界가 선호했던 河弘度라는 학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와 그 자손들이 조성하고 경영했던 文巖[門巖]·敬勝齋·慕寒齋·宗川書院·直方軒·光影亭·尼谷書堂·士山書堂 등의 학술문화 인프라는 안계마을의 학술문화적 지향과 정치사회적 노선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안계마을을 무대로 펼쳐졌던 그들의 삶의 모습은 300년의 시간 속에서 역사의 지층으로 남았고, 우리는 이 지층을 통해 그들의 삶을 반추하려 한다. 마을은 이런 것이다. 글은 인간의 필요와 이해에 따라 고칠 수도 있고, 곱게 단장할 수도 있지만 시간의 경과 속에 견고하게 다져진 삶의 자취는 섣부른 개변을 용인하지 않는다. 이것이 마을의 문화사가 지니는 質實하면서도 혹독한 장면이다.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정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5 남명학연구 Vol.48 No.-
Dangye village of Sancheong in Gyeongnam province is wher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is well conserved. The real life of the villagers―when Dangye village was formed, which lineage group had lived, how they had lived, and which idea they had supported―can be studies through ancient archives written by Dangye villagers. In Dangye village, Donggye lineage group and Dangye lineage group own a number of ancients archives. 383 pieces of ancient books within 161 categories are stored at Donggye Head Family House, and 1,296 pieces within 378 categories at Dangye Old House. The number of ancient documents owned by Donggye lineage group of the Andong Kwon clan and Dangye lineage group of the Sangsan Kim clan reaches up to 1,628 pieces. 144 pieces of woodblocks are stored at Donggye Head Family House, and 247 pieces at Dangye Old House. These have been reported in a research on ancient archives in Dangye village by Gyeongnam Culture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 Ancient archives are, however, extremely susceptible to deterioration by fire, insects, and humidity. Once the ancients archives are disappeared or owned by the private sector, researchers may not be able to have access to the archives. In particular, aging population and urban migration in rural areas have accelerated population decline in rural villages. Even though the lineage group has owned ancient archives up to date, the number of people who can translate into contemporary Korean and understand properly is decreasing as Chinese characters are now inaccessible to most of the current population. To make things worse, descendants with a low level of confidence in their lineage group have difficulty in managing their traditional archives in a proper manner. Therefore, the ancient archives, the history records of Dangye village, shall have to be donated to professional research centers so that researchers nationwide can have an easy access to traditional archives and the history of Dangye village can be studied in depth. In addition, ancient archives can be combined with various anthrogeopraphical information of the village and developed into various public contents. Descendants have a grave responsibility to conserve traditional archives, to pass down to future generations, and to make use of them contemporarily as a way of a succession of traditional culture. 경남 산청의 단계마을은 외형적으로 전통문화유산이 잘 보존된 마을이다. 그러나 단계마을은 언제 형성되고, 어떤 문중이 어떻게 살아왔는지, 어떤 인물은 어떤 사상을 지녔는지 그 내면을 들여다보고자 한다면 단계마을 사람들이 기록한 고문헌을 통해서 연구가 가능하다. 단계마을에서 동계문중과 단계문중이 고문헌을 많이 소장하고 있다. 동계종택에는 고서 161종 383권, 단계고택에는 378종 1,296권이 소장되어 있다. 또 안동권씨 동계문중과 상산김씨 단계문중 소장 고문서는 1,628점에 달한다. 책판(책판)도 동계종택에는 144장이, 단계고택에는 247판이 소장되어 있다. 이는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과 한국국학진흥원(Advanced center for korean studies)의 조사에 의해 단계마을 소장 고문헌 조사 보고서가 출간되어 그 전모를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문헌은 화재와 충해 및 습기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안고 있다. 한번 멸실되거나 연고가 없는 곳으로 떠나 사유화 되고 나면 연구자가 두 번 다시 그 내용을 열람할 수 없게 된다. 특히 근래 농촌사회의 고령화(高齡化)와 이농(離農)으로 인하여 마을 공동화 현상이 가속화 되어가고 있다. 또 한학세대(漢學世代)의 단절로 인하여 문중에서 고문헌을 소장하고 있어도 판독할 수 있는 사람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그리고 후손들은 점점 문중에 대한 자부심이 약화되어 문중 전래 고문헌을 관리하는 데 한계에 도달했다. 따라서 단계마을의 역사기록인 고문헌을 전문 연구기관에 기탁하여 고문헌 정보를 전국의 연구자가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한다면 단계마을 내면의 역사가 더욱 다각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고문헌은 마을의 다양한 인문지리정보와 결합하여 보다 더 대중화된 콘텐츠 개발이 가능해질 것이다. 후손들은 조상이 남겨준 고문헌을 잘 보존 관리하여 다음세대에게 물려주고, 또 고문헌을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대중적으로 연구 활용하는 것이 전통문화 계승발전의 방안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