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고대 한반도의 통일과 그 현대적 함의

        김창석 ( Kim Changseok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통일이란 공통의 역사적 경험과 동질의 문화를 기반으로 형성된 집단이 나뉘어져 있다가 단일한 정치체로 결합하는 것을 가리킨다. 삼국의 주민들은 서로를 같은 민족이라고 의식하지 못했을지 모르나 객관적 실체로서 민족의 모체가 되는 집단으로서 이미 성립되어 있었다. 그런데 신라는 흡수된 백제와 고구려 주민에 대해서 차별 정책을 펼쳤다. 그리고 주로 당나라, 일본과 외교교섭과 문화교류, 교역을 벌임으로써 백제와 고구려가 각기 맺고 있었던 광역의 외교·문화 네트워크를 계승하지 못했다. 따라서 신라의 삼국 통일론은 인정될 수 없고, 현실에서는 발해가 고구려 계승을 자처하며 신라와 병립하는 남북국시기가 펼쳐졌다. 후삼국시기의 궁예는 신라의 전통적인 질서를 파괴하는 데 기여했으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이념이나 정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견훤은 유능한 군사 지휘관이었고, 대외 관계에 대한 안목이 있어 주변의 여러 국가들과 외교교섭을 벌였다. 그러나 종래의 지배체제를 재정비하거나 군사적 위력을 사용하여 정치ㆍ사회의 혼란을 잠재우려는 태도가 보일 뿐 신질서에 대한 전망을 갖지 못했다. 이에 비해 왕건은 유력한 지방세력을 우대하고 백성들에 대한 수취를 완화하는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려는 정책을 펴고, 유교적 정치체제를 수립하고자 했다. 이는 신라의 골품제적 질서를 넘어서는 것이다. 그리고 중국 중심의 세계관이나 문화관에 매몰되지 않고, 삼국시기 이래의 전통문화를 중시했다. 발해는 요나라에게 멸망당하기 전부터 주민들이 고려로 망명해오기 시작했는데, 멸망 직후에는 왕족과 귀족들이 대거 고려로 흡수되었다. 따라서 왕건의 후삼국 통일이야말로 우리 역사상 최초의 민족 통일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삼국 통합, 후삼국 통일의 경험을 통해서 각 시대가 당면했던 과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것을 해결하려고 노력한 것이 곧 민족 통일이라는 결실로 이어졌음을 발견한다. 생존권 확보, 사회적 정의, 전통문화와 세계문화의 조화와 같은 오늘날의 근본 문제에 대한 인식을 남과 북이 공유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천해나갈 때 민족의 재통일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다. Unification is that groups formed based on common historical experiences and homogeneous cultures are divided and then combined into a single political body. The residents of the Three Kingdoms may not have recognized each other as the same nation, but it was already established as an objective entity and a group that became the original form of a nation. However, Silla implemented a policy of discrimination against the absorbed Baekje and Koguryeo residents. In addition, it was not able to inherit the wide-area diplomatic and cultural networks that Baekje and Koguryeo had. Therefore,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cannot be acknowledged, and in reality, Parhae claimed to be a successor to Koguryeo and developed a period of South and North states. Gungye contributed to the destruction of Silla’s traditional order, but failed to present any new ideology or policy to replace it. Gyeonhwon was a competent military commander and had an eye for foreign relations, so he engaged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various countries. However, there was no prospect of a new order, only an attitude to calm political and social confusion by reorganizing the existing governance system or using military power.

      • DMZ박물관 전시 분석

        이기찬 ( Lee Kichan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이 논문은 강원도 고성에 있는 DMZ박물관의 전시를 분석한다. DMZ박물관은 스스로를 “세상에 하나뿐인 비무장지대 DMZ를 정확히 담고 기억하고, 기록하는 곳”으로 규정하고 DMZ 탄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한국전쟁, 전쟁 전후의 DMZ의 모습과 군사충돌, 사람이 발길이 거의 닿지 않은 생태적 환경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DMZ를 전쟁이 잠시 멈춘 여전히 전쟁을 대비하는 군사적 공간이 아니라 평화와 생명의 공간으로 바라보면서 남북한 동질성 회복, 통일 준비 등 박물관의 평화 지향적 성격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설립 배경, 전시 주제, 지향성은 DMZ박물관이 전시의 주된 대상이자 주제인 DMZ와 DMZ 탄생의 원인이 되는 한국전쟁에 대해서 기존 한국전쟁 기념시설과는 다른 서사와 재현 방식을 채택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게 한다. 그러나 DMZ박물관 전시는 DMZ의 서사와 재현에서 한국전쟁, 전후 DMZ의 모습, 접경지역을 넘어 발생한 남북한의 군사적 충돌 등을 더 비중있게 다루고 있으며 한국전쟁 기념시설과 유사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exhibitions at the DMZ Museum in Goseong, Gangwon Province. It defines itself as “a museum that accurately captures, remembers, and records the DMZ, the only demilitarized zone in the world,” It deals with the Korean War, military conflicts after the war, and ecological environments of the DMZ. Above all, the DMZ is represented as a space of peace and life, not as a military buffer zone preparing for war and enunciates its aims of restoring the homogeneity of North and South Korea and preparing for reunification. With such a background and orientation, visitors would expect the museum to adopt a different narrative and representation about the DMZ and the Korean War, the cause of the DMZ’s creation,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Korean War memorials. However, the DMZ Museum’s narrative and representation put more focuses on the Korean War, the post-war state of the DMZ, and the military conflic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have a very similar approach with that of Korean War memorials.

      • 강원도와 연해주의 농업협력 사례의 의의

        강승호 ( Kang Seung-ho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2 평화들 PEACES Vol.1 No.1

        본고는 지역의 초국경적 평화협력 사례로서 강원도 동해시 기업 ‘바리의 꿈’이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 연해주 고려인 재정착 지원을 위한 대두농업 지원사업과 그것을 계기로 강원도와 러시아 연해주 간 협력으로 확대되는 과정을 소개하고 그 의의를 분석하였다. 협력 사례가 지닌 의의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정부의 외교적 협력 없이 민간차원과 지방정부 혹은 기관 등의 약간의 협조만으로 협력 범위 및 방식을 다변화하고 있다. 두 번째 더 중요한 것은 협력 범위의 전이효과(spilover effect) 발생 가능성이 크다. 세 번째 의의는 동북아 신냉전 도래의 억제 내지 지연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이다. This paper introduces regional examples of transboundary peace cooperation and summarizes the implications. ‘Bari’s Dream’, a company in Donghae-si, supported the soybean farming business for the resettlement of Goryeoin in Primorsky Krai, Russia. With that as an opportunity, cooperation between Gangwon-do and the Russian Primorsky Territory expanded. The significance of cooperation case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pe and methods of cooperation are being diversified with little cooperation from the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or institutions without diplomatic cooperat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o far. Seco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spillover effect in the scope of cooperation. Third, it will be able to provide a clue to suppress or delay the advent of the new Cold War in Northeast Asia.

      • 1967∼1974년 동독의 통일 포기와 이민족론

        이동기 ( Lee Dongki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4 평화들 PEACES Vol.3 No.1

        1967년부터 동독의 지도자들은 양독간 대결이 새로운 단계로 진입했고 서독 사회 내부에 정치변화의 가능성이 없다고 평가하며 독일통일 전망을 포기했다. 사통당 주요 지도자들은 사회주의를 독점자본주의와 통일시키는 것은 물과 기름을 섞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동독 지도부의 독일통일 포기와 민족 노선 변경은 한편으로는 서독 기민련 정부의 완강한 태도에 대한 실망 탓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서독 사민당의 ‘우경화’에 대한 비관적 현실 인식의 결과였다. 사민당과의 동맹, 즉 서독과 동독 사이에 노동계급 통일 대오를 결성함으로써 통일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는 믿음은 완전히 사라졌다. 오직 동독 사회주의 체제의 강화만이 독일 민족의 의미 있는 발전으로 여겨졌다. 동독의 이민족론은 1969년 서독 사민당-자민당 연정의 ‘일민족 이국가’ 주장에 맞선 것이었다. 사통당 민족 이론가들에 따르면, 서독에는 부르주아 민족이 잔존하고 있으며, 동독에서는 사회주의 민족이 형성되었다. 국가의 계급 성격과 계급투쟁의 결과가 민족의 차이를 낳는다는 것이 새로운 민족관의 전제였다. 서독과 동독은 “질적으로 유형이 다른 민족”으로 간주되었다. 서독에 대한 동독의 거리두기와 민족 정책 차이의 강화는 양독 모두에게 망상적 통일논의나 민족주의 담론을 벗어나 현실적 평화정치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그 과정에서 동독은 서독과의 관계와 국제 정치 무대에서 실질적인 국가 인정과 체제 존중을 완전히 확보했다. 하지만 동독은 동시에 평화정치의 역설적 성과로 내부적으로는 붕괴의 도정에 들어섰다. 동독에서 새로운 집단적 정체성이 형성되는 것은 오히려 통일 후였다. From 1967, GDR leaders began to abandon the prospect of a national reunification of Germany, believing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German states had entered a new phase and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of political change within West German society. The SED leadership argued that the unification of socialism and monopoly capitalism was like mixing water and oil. The East German leadership’s rejection of German reunification can be seen primarily as a result of disappointment with the stubborn attitude of the West German conservative government. However, it was also the result of a East German communist pessimistic perception of reality with regard to the “shift to the right” of the West German social democrats. The belief of the SED that reunification could be achieved through an alliance with the SPD, i.e. through the formation of a unified workers’ solidarity between West and East Germany, had completely disappeared. Only the strengthening of the East German socialist system was seen as a meaningful development for the German nation. The German Democratic Republic completely distanced itself from West Germany and insisted on the two-nation theory, so that both countries had to go beyond the unification discourse in order to achieve peace. East and West Germany avoided conflict over reunification and national politics and were able to move towards a realistic peace process. In this process, East Germany secured de facto state recognition and respect in its relations with the West and o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tage. However, the paradoxical achievement of the peace process also led to the emergence of a strong democratic movement and opposition to the SED regime in the GDR. It was only after reunification that a new collective identity emerged in East Germany.

      • 2·18 대구지하철참사 피해자의 애도할 권리

        윤석기 ( Yoon Sukki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3 평화들 PEACES Vol.2 No.1

        2003년 2월 대구지하철참사는 단순히 방화범의 범죄나 기관사의 잘못만이 아니라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발생했다. 그렇기에 그 참사의 본질을 직시하고 잘못된 법과 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아울러 유족의 고통을 달래고 망자를 위한 추모공원을 건립하는 것이 필요했다. 하지만 대구광역시는 희생자대책위원회와의 이면합의를 통해 시민안전 테마파크 건립을 약속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유족을 기만했다. 유족들의 다친 마음을 치유하는 과정이 추모행사고 사업이어야 한다. 추모는 개인의 잘못이 아닌 제도와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의한 집단 살인과 다름없는 참사를 교훈으로 삼아 시스템의 정비와 보완으로 재발 방지를 넘어 다른 유형의 참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겠다는 각오를 다지는 과정이기도 하다. 따라서 추모는 유족의 의무이자 권리일 뿐 아니라 함께 참사를 본 사회 일반의 의무이기도 하다. The Daegu subway disaster in February 2003 was caused by structural problems, not just the crimes of arsonists or the fault of train operators. It is important to face the nature of the disaster and improve the laws and systems that were wrong. It is also important for the bereaved families to build a memorial park for the dead. Daegu Metropolitan City promised to build a civic safety-theme park through a backroom agreement with the Victims’ Task Force, but soon afterwards, it deceived the bereaved families. The process of healing the wounded hearts should be a memorial event and business. We must learn from the tragedy and improve the system to prevent it from happening again. Memorialisation is not only the duty and right of the bereaved, but also the duty of the society in general.

      •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역사적 기원, 그리고 몇몇 단상

        류한수 ( Lyu Hansu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2 평화들 PEACES Vol.1 No.2

        소비에트 연방이 해체된 1991년에 처음으로 독립 주권국가가 된 뒤로 우크라이나는 서방 세계와 어떤 관계를 맺어야 하는지를 놓고 극심한 내부 분열에 시달렸고, 러시아 연방과 우크라이나 사이에는 불편한 관계가 조성되었다. 이처럼 해결되지 않고 켜켜이 쌓여온 갈등이 결국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으로 번졌다. 그러나 이 전쟁의 원인은 최근 한 세대 동안의 갈등에만 있지 않다. 그 원인을 제대로 밝혀내려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가 고대 국가인 키이우(키예프) 루스 이래 지난 오랜 세월 동안 함께 해온 기나긴 역사를 살펴보아야 한다. 다시 말해, 최근 사태에만 초점을 맞추면,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근원적 원인을 규명할 수 없다. 이 글은 2022년 2월에 러시아 연방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면서 일어난 전쟁의 역사적 연원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This article aims to illuminate the historical origins of the war in the Ukraine in 2022. 1991 saw that the Soviet Union broke up and the Ukraine became an independent sovereign state. On the question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Western World it suffered from the serious internal disruptions. In the meantime the Russian Federation would not allow it to be closer to the European Union and NATO. Such a situation led to the sharp conflicts between both nations. In the end Russia invaded the Ukraine, and the Western World denounced the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and supported the Ukraine’s desperate war effort. To be sure, the outbreak of the war in the Ukraine in 1922 is a result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nations in the past thirty years. For the wider and deeper understanding of its causes, however, the war should be put into the even longer historical contex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Russians and the Ukrainian people. The research into the history of the Rus as well as the Russian Empire and the Soviet Union is of the great help to those who are eager to find the origins of the military conflict in 1922 between Russia and the Ukraine.

      • 유엔 아카이브와 한반도 냉전사·평화사의 모색 - 유엔 아카이브 소장 한국 관련 자료 소개와 해제를 중심으로

        류기현 ( Ryu Kee Hyun )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 2022 평화들 PEACES Vol.1 No.1

        본고는 유엔 아카이브의 연혁, 이용 방법, 자료 분류 체계를 소개하고 유엔 아카이브 자료 중 한반도 냉전사·평화사 연구에 활용할 만한 자료들을 선별하여 소개한다. 1945년 이래 한반도는 유엔과 여러 측면에서 밀접한 관계를 맺었지만 이에 대한 역사 연구는 충분치 않았다. 이는 자료 접근 문제와 관련이 있는데, 유엔의 내부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유엔 아카이브의 자료 상황이 연구자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가기록원이 유엔 아카이브 내 한국 관련 자료의 일부를 수집했지만, 자료 분류 방식의 혼란으로 연구자들의 이용이 쉽지 않다. 본고는 유엔 아카이브 내 한국 관련 자료의 체계 및 국 가 기록원의 유엔자료 소장 상황을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유엔 자료 중 일부를 소개하여 향후 냉전사·평화사 연구에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suggests the history, research guide, and record management system of the UN archive, and introduces specific sources that can be used for the study of Cold War and Peac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1945, the Korean Peninsula has had close relations with the United Nations in many aspects, but there has been insufficient historical research on this. This is related to the issue of data access, as researchers are not fully aware of the data situation in the United Nations archive, which holds diverse array of records from the United Nations. Although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NAK) collected some of the records related to Korea from the UN archive, it is not easy for researchers to use it due to confusion in the record classification system.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structure of Korean-related records in the UN archive and the overall situation of the UN records in NAK,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some of them for future Cold War and peace history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