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술혁신에 따른 직무대체의 사회적 영향 탐색 : 사회적 비용 추계와 사회적 인식 검토를 중심으로

        이채정(LEE, Chae-jeong),조희찬(CHO, Hee-chan),장윤정(CHANG, Yoon je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지능정보사회의 도래는 노동과 고용관계를 다각도에서 변화시킬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전통적으로 인간에 의해 행해지던 생산활동을 네트워크, 인공지능, 로봇 등 혁신적 기술이 빠르게 대체하게 되어, 기술혁신의 영향에 취약한 분야에 종사하던 인간은 실직하거나, 급여가 감소하여 소득수준이 낮아지는 등의 변화에 처하게 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진행된 기존의 기술혁신에 따른 직무대체율 연구에 기반하여, 직무대체가 일어날 경우 소득수준 하락으로 인해 한국 사회에 필요하게 될 공공부조 증가분과 조세수입 및 사회보험료 감소분를 추계하고, 직무대체로 인한 소득 감소와 사회적 인식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2018년 기준의 직종별 직무대체율을 한국노동패널 원자료의 소득정보에 적용하여 추계한 결과, 빈곤비용은 42∼54% 증가하며, 소득세수는 45∼57% 감소하고, 사회보험료수입은 10∼16%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산 및 소득 수준이 낮고, 가구의 경제상태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직무대체로 인한 가처분소득 감소폭도 클 것으로 분석되었다. 뿐만 아니라, 직무대체로 인한 가처분소득 감소폭이 큰 가구 중에서도 자산수준이 낮은 가구에서는 5년 뒤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전망이 낮아지지만, 자산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삶의 질에 대한 전망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직무대체에 의한 국가의 사회지출 투입 재원 감소가 현행 사회보장체계 유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실직과 급여 감소 등에 의해 양극화 문제가 심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advent of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as a resul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often perceived as a threat that will redefine a wide range of jobs.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obots penetrate the domain of tasks that were regarded as highly sophisticated for machines to emulate and may lead to extensive technological unemployment. This study estimates the amount of increase needed in public assistance in Korean society due to the anticipated decrease in tax revenue and social insurance premiums from automation.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nd the predicted level of unemployment from former studies, we show that the poverty cost is expected to increase by 42-54%. Moreover, income tax revenue is estimated to decrease by 45-57%, while social insurance premiums decrease by 10-16%. Households with low income or assets were more vulnerable to the reduction in disposable income due to job displacement.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subjective outlook for the quality of life of wealthy households was not 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ecreased disposable income due to automation as that of households with fewer asse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job replacement by technological innovation may undermine the upkeep of the current social security system and worsen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김정은 시기 과학기술교육정책의 특징과 정치적 함의

        이미경(Lee, Mi Ky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1

        이 연구는 김정은 집권이후 ‘전민과학기술인재화’를 위한 일련의 교육개혁이 북한이 의도한 과학기술발전에 기초한 경제강국 건설에 기여할 수 있는 지의 여부를 살펴보고자 했다. 북한의 현대화, 정보화, 과학화 등의 추세에 부합되는 교육내용과 방식 및 교육환경 개선 등 일련의 교육개혁은 창의적인 인재들이 지식경제강국 건설에 매진하는 발전국가로의 전환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일련의 교육개혁은 기존 체제안정 및 유지라는 프레임 속에 추진되고 있어 성과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김정은 정권의 지식경제강국건설론은 대외개방과 자율성의 허용이 전제되는 것이나 사상성이 투철한 전문가들이 자립적인 경제발전에 이바지하며, 인민동원적 지원방식에 의존하는 일련의 교육개혁은 일정정도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런 가운데서도 김정은 식 과학기술·경제강국에 대한 비전 제시와 일련의 시도들은 주민들에게 발전국가, 강성국가건설에 대한 희망부여와 함께 애민, 위민의 지도자로서 자리매김 등의 정치적 기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eeks to see whether a series of educational reforms to “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manification of the whole people” under the Kim Jong-un regime can achieve its goal of building an economic power based o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 series of educational reforms, such as improving education contents, method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 line with the trend of modernization, information and scientification of North Korea, can be expected to transform into a developing nation by building a knowledge economy power by creative talents. However, such a series of education reforms are being pursued under the framework of stabilizing and maintaining the current regime, which has limitations in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e Kim Jong Un regime’s theory of building a strong knowledge economic power is a prerequisite for reforms that allow openness and autonomy, but a series of educational reforms rely on people’s support systems rather tha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has a certain limit. Despite such limitations, Kim Jong Un’s vis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 and economic power and a series of attempts can be said to serve as a political function for the people, including his desire to build a powerful nation, and his status as a leader of compassion and great people.

      • KCI등재

        젠더와 노동: 탈노동사회를 향한 상상

        안숙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1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xtend the feminist understanding of work through a theoretical analysis of conceptions of a ‘postwork society’ which are oriented toward ‘less work’.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s a reflective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the concept of ‘work society’, in which work as wage labor is understood as the primary aspect that gives meaning to our lives. It also analyzes the concepts ‘work ethic’ and ‘family ethic’, which are the two pillars that are propping up the work society. In this context, this study in chapter II critically examines the problem of a work ethic which is only focusing on the value of wage labor in an overwork society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right not to work. In chapter III, it takes a critical look at the problems of a family ethic which is another pillar sustaining the work society. In chapter IV, it tries to reimagine the economy as a precondi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postwork society’ and explores possibilities of introducing working time reductions and basic income as alternatives to a ‘postwork society’. Lastly, in chapter V, it draws a brief sketch of some points that need atten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prospects. 이 논문의 목적은 과잉노동사회로서의 한국사회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판하며 ‘더 적은 일’을 지향하는 ‘탈노동사회’를 상상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이론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일이나 노동에 대한 페미니즘적 이해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으로, 노동사회의 미래를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새롭게 상상해 보는 것이다. 임금노동으로 이해되는 일이라는 것이 우리의 삶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차지하는 이른바 ‘노동사회’ 및 그 노동사회를 떠받치고 있는 ‘노동윤리’와 ‘가족 윤리’를 반성적으로 돌아보는 가운데, 노동사회를 넘어서기 위한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방안들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과잉노동사회에서 임금노동의 가치에만 초점을 맞추는 노동윤리의 강화가 안고 있는 문제점을 페미니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본 후 일하지 않을 권리 또한 중요함을 강조한다. III장에서는 노동윤리와 더불어 가족윤리 또한 과잉노동사회를 지탱하는 또 하나의 커다란 기둥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반성적 고찰을 통해 가족윤리를 넘어 페미니스트 시간 운동으로 나아갈 필요성으로 시선을 돌린다. 나아가 IV장에서는 ‘탈노동사회’를 향한 상상이라는 차원에서 ‘경제’라는 개념의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으로 노동시간 단축과 기본소득 도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맺음말에 해당하는 V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하고 미래적 전망을 그려나가는 데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지점을 간략히 소개한다.

      • KCI등재후보

        도·농 통합시의 사회개발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종섭(Kim, Jong-Sup)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2

        한국의 경우 90년대 후반부터 지방재정지출 중 사회개발비의 증가추세가 급속하게 나타났다. 이런 변화와 함께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통합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시·군 통합이 이루어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삼척시 등 4개 통합시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12년까지 횡단면과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개발비 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표면무관회귀분석(SUR)에 의한 추정결과, 통합시에서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탄력성측면에서 사회개발비가 경제개발비나 일반행정비 보다 훨씬 컸으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개발비의 효과를 지역별로 보면 불리한 경제적 환경에 직면하고 있는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약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개발비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은 통합시의 자원배분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개발비는 지역경제 성장을 위하여 중요한 투자적 경비임을 알 수 있었다. It obviously showe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n local public finance of Korea had increased since the late 1990s. But few research explained the economic impacts of such a change at basic administrative unit like Urban-Rural Integration City(i.e. City-County Consolid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on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cross section data and time series data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ies in Gangwon-Province during 1980-201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y tends to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s on the regional economy, and larger than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and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Furthermore, the degree of impact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was that Yeongseo Urban-Rural Integration City is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Yeongdong area facing unfavorable economic environmental. The rapid increase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has made, as a result, possible a long-time adjustment toward a more desirable resource allocation. Therefore, it certifie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s an important investment expenditure for the economic growth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y.

      • KCI등재

        중년 여성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신뢰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 매개효과

        고윤희(Yun Hee Go),윤명숙(Myeong Sook Yo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4 사회과학연구 Vol.63 No.2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사회활동 및 사회적 신뢰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회미래연구원에서 실시한 「2022년 한국인의 행복조사」원자료를 활용하여 중년 여성 4,254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년 여성의 사회활동과 사회적 신뢰는 행복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삶의 의미는 사회활동, 사회적 신뢰와 행복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활동과 사회적 신뢰의 긍정적인 영향이 높을수록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사회활동과 사회적 신뢰가 높아질수록 삶의 의미는 증가하고, 증가한 삶의 의미는 중년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 여성들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trust of middle-aged women on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hip.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on 4,254 middle-aged women using the original data from the 2022 Happiness Survey of Koreans condu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Future Research Institute.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social activity and social trust among middle-aged wome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happiness. Second, the meaning of life identified as having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social trust, and happiness. This indicates that an increase in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activity and social trust results in an increase in happiness. Furthermore, an increase in social activity and social trust leads to an increase in the meaning of life, which in turn affects the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actical policy measures to enhance the happiness of middle-aged women were proposed.

      • KCI등재

        신행정학의 공공성

        임의영(Lim, Euy-You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47 No.2

        공공성은 행정학의 핵심적인 이념임에도 불구하고 이론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공공성에 관한 행정학적 관심이 촉발되었던 신행정학을 중심으로 그 이념의 연구 가능성을 타진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공공성을 윤리학적으로 사회정의와 정치학적으로 민주주의를 동시에 충족시켜야 하는 이념으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신행정학에서 공공성 이념이 어떠한 방식으로 다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신행정학에서는 공공성 문제가 사회적 형평성 개념으로 표현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신행정학이 등장하게 된 배경을 상세히 다룸으로써 공공성으로서의 사회적 형평성이 왜 관심의 중심에 자리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신행정학의 전개과정에서 사회적 형평성 개념이 어떻게 발굴되고 발전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신행정학에서 공공성을 실현하기 위해 발굴한 사회적 형평성은 정치철학자 Rawls의 정의론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신행정학이 수용하고 있는 Rawls의 정의론은 전기의 형이상학적 입장에 머무는 것으로서, 공공성의 윤리적 측면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으나, 정치적 측면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후기의 Rawls는 다양한 논쟁을 통해 정치적 차원을 자신의 정의론에 접목하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이러한 노력은 사회적 형평성이 공공성을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는 계기로서 유의미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기 Rawls를 뛰어넘어 사회적 형평성 이념을 보다 발전적으로 개념화하려는 노력이 보이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회적 형평성 이념의 발전적 개념화를 위해 두 가지 대안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하나는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정치적 해석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Rawls와 대결하였던 다양한 정의론들을 사회적 형평성 이론에 반영하는 것이다. Publicness i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the theory of public administration. Despite of its importance, theoretical attention has not been paid on it sufficiently. Therefore this article is planned to heighten the possibility of studying on publicness which was facilitated by New Public Administration(NPA). I define publicness as both social justice in ethics and democracy in politics, and examine how publicness was treated in NPA. In NPA, social equity was introduced as a lens illuminating publicness. So in this article, I show how a conception of social equity was developed theoretically,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advance of NPA in detail. Social equity of NPA is grounded on Rawls" theory of justice. It does not deal with an political aspect of publicness, but with an ethical aspect. So it is necessary to give some supplementary ideas to the conception of social equity of NPA. In this article, two supplementary ideas are suggested. First idea is to find a way to include an political aspect of publicness. Second idea is to reflect arguments of various theories of justice which criticize and compete against Rawls" theory of justice.

      • KCI등재

        지방 대학에 대한 낙인과 지방대생의 손상된 사회적 정체성

        박경(Kyung, Par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사회과학연구 Vol.59 No.2

        이 연구는 지방 대학에 대한 사회적 평가가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 교육 평가 척도의 실질적 반영을 넘어서 사회적 낙인이라는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일어나고 있음에 주목하였다. 대학을 평가하는 여러 척도 중 입학 난이도를 의미하는 신입생 경쟁률을 제외하면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의 평가 척도 차이는 극명하게 드러나지 않았다. 오히려 수도권 대학과 지방 대학 간의 격차는 대학 바깥 영역에서의 격차 즉 수도권과 지방 간의 격차에서 비롯되었으며, 이는 학력 내 서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인서울’이 지위재로서의 성격을 띠게 된 것과 맞물려 가속화되고 있다. 지방 대학에 대한 ‘지방대’라는 사회적 호명은 수도권 이외 지역에 소재하는 대학이라는 의미를 넘어 ‘인서울’하지 못한, ‘입시경쟁에서 실패한’ 이들이 가는 대학이라는 의미의 낙인으로 통용되고 있다. ‘지방대’에 진학한 이들은 입시 경쟁에서 스스로 실패를 자초한 이들로서, 자기 존중의 사회적 경험을 하지 못하였다. 경쟁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입증하여야 한다는 가상적 사회적 정체성(virtual social identity, Goffman의 개념)을 획득하지 못한 이들의 사회적 정체성은 손상을 입고, 지방 대학생들은 친밀한 관계를 벗어난 사회적 관계에서 얼굴(Goffman의 face 개념) 없는 존재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스스로 실패를 자초한 이들로서 사회를 향하여 자신들에게 붙은 낙인의 딱지가 부당하다고 항변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 있다. 이는 우리 사회가 능력주의에 기반을 둔 경쟁에 대한 신봉과 경쟁을 통한 공정성 확보에만 몰두해 온 결과, ‘자신에게 책임이 있는 실패’를 경험한 이들을 사회 바깥으로 밀어 내는 일을 당연하게 생각해 온 탓이 크다. In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social evaluation of local universities is taking place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social stigma beyond the actual reflection of the evaluation scale between metropolitan universities and local universities. Excluding the competition rate for freshmen, which means the difficulty of admission, among the many measures of evaluating universities,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scale between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universities was not clearly revealed. Rather, the stigma of “local university” originated from the gap outside the university, that is, the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region, and this is accelerating in tandem with the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ranks within the academic background, and that ‘In Seoul’ has become a positional good. The social name “local university” for a local university goes beyond the meaning of a university located outside the metropolitan area, and is commonly used as a stigma in the sense of being a university for those who failed to “in Seoul” and “failed in the entrance examination competition”. Those who entered the “local colleges” were those who brought their own failure in th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and could not have a social experience of self-respect. Those who have not acquired a virtual social identity (Goffman’s concept) that they must prove their abilities through competition suffer damage to their social identity, and they have no choice but to live as beings without a face(Goffman’s concept) in social relations outside of intimate relationships. Also, as those who have brought their own failure, they cannot even protest that the label of the stigma attached to them is unfair. Because we have been concentrating in competition based on meritocracy and fairness through competition, those who have experienced ‘failure for their own responsibility’ were excluded.

      • KCI등재

        강원도 폐광지역의 쟁점과 미래 전망 그리고 대응전략

        김원동(Wondong Kim)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2

        이 글의 목적은 강원도 폐광지역의 사회경제적 쟁점과 폐특법의 재연장 문제에 대한 전망 및 미래의 대응전략을 강원랜드와 폐특법에 초점을 맞춰 검토해보는데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 폐광지역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고, 주민들은 매우 열악한 교육, 의료, 주거환경에서 아쉬움과 체념 속에 이를 감수하며 살고 있다. 둘째, 강원랜드와 폐특법은 강원도 폐광지역의 어제와 오늘을 이해하고 내일을 전망함에 있어 핵심적인 준거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셋째, 강원랜드와 폐특법이 강원도 폐광지역에 미친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평가는 영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고용창출과 같은 부문에서는 우호적 평가가 지배적인가 하면 또다른 부문들에서는 크고 작은 사회적 쟁점의 소지를 내포하고 있다. 넷째, 강원도 폐광지역 주민들은 폐특법 재연장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면서도 재연장의 전망을 그리 밝게 보지 않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향후 대응 방향은 폐특법의 재연장에 초점을 맞추어 이를 강력하게 정당화하고 뒷받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논거들을 만들어가는 한편, 재연장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전망 아래 그에 따른 대응책들도 함께 모색하는 것이어야 한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socioeconomic issues in abandoned min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prospects and strategies for re-extension of ‘a special law on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 areas’ with focusing on Kangwonland and the law. Major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opulation in abandoned min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has continuously decreased. Moreover, residents put up with the poor education, medical treatment, and living conditions with disappointment and resignation. Secondly, Kangwonland and a special law on the development of abandoned mine areas have meaning as a main reference for analyses and discussion, when we try to understand and prospect the past and present and future of the areas in Gangwon-Do province. Thirdly, the socioeconomic effects of both Kangwonland and the law are evaluated somewhat differently per sectors. While there are mainly favorable responses in some parts such as job creation, several social issues still remain in another many parts. Fourthly, even though residents in the abandoned mine areas long for re-extension of the law, dominant atmosphere in that local community seems to be negative. Fifthly, agents in the community should make efforts to get objective bases which can legitimate and support re-extension of the law strongly. At the same time, they have to prepare for another countermeasures in a negative prospect on its re-extensio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학에서 맑스와 과학적 방법

        이기홍(Lee, Ki Ho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연구 Vol.52 No.1

        한국사회학에서 1980년대 후반 잠깐 동안의 맑스적 경향의 유행이 있은 후 맑스는 ‘죽은 개’처럼 취급되어 왔다. 맑스에 대한 한국사회학의 평가는 맑스가 반증되었다거나, 경제결정론의 한계를 가졌다거나, 불명확하고 모순적이라는 것 등이다. 그렇지만 이런 평가는 과학적 탐구의 특성에 대한 그리고 맑스의 메타이론에 대한 몰이해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사회에 대한 과학적 탐구는 이론의 ‘반증’이 아니라 사회현상의 설명을 추구하는 활동이며, 사회세계의 모든 객체가 아니라 일부 객체들만을 추상하여 이론화하는 활동이다. 또한 인지능력과 연구의 진전에 따라 부분성이 확장되고 정확성이 심화되는 과정에 있는 오류가능성을 내포한 미완성의 활동이다. 이것은 과학에 대한 맑스 자신의 이해이기도 하다. 이런 이해에 기초할 때 사회세계에 대한 결실있는 과학적 탐구도 가능하고 맑스(의 기여)에 대한 적절한 이해도 가능하다. 한국사회학은 실질적으로 실증주의적 메타이론에 갇혀 이러한 인식을 결여하고 있기 때문에 맑스에 대한 적절한 이해에 도달하지 못하고 맑스를 죽은 개처럼 취급하는 것이다. 또한 이 때문에 통찰력 있는 사회이론의 생산에도 실패하고 있다. In korean sociology, after a passing fad of Marxian drift in late 1980s, Marx has been treated as a ‘dead dog.’ It is said that Marx was falsified or captured in economic determinism or unclear and contradictory. However these evaluations that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inquiry and Marx’s meta-theory are inadequate. Scientific inquiry of Society does not seek to falsify a theory but to explain experiences, not abstract all the objects in social world but some objects. It is fallible and unfinished works on the processes of development dependent upon development of the cognitive capacities and inquiries. Marx also understood and practiced the scientific inquiry in such way. Based on those understanding, it is possible to inquiry into social world fruitfully and to appreciate the Marx’s contributions to sociology adequately. Because of being locked up a positivist meta-theory, Korean sociology does not apprehend Marx’s theory and meta-theory and treat Marx as ‘dead dog’ as well as fail to produce the insightful social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