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학 안에 인간학적 전환과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

        조정환(Cho Jeong-hwa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07 인간연구 Vol.- No.13

        가톨릭 신학은 최근 40여 년 동안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것은 하느님에 대해서 말하는 학문인 신학(神學) 안에 인간을 중심으로 세우려는 경향, 즉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경향이 큰 흐름처럼 밀려왔기 때문이다. 이제는 신학의 각 부분에 흩어져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일된 하나의 학문으로 종합하면서 ‘신학적 인간학’(Antropologia teologica)이라는 명칭을 통해 말하고 있다. 과거 신학의 역사 안에서 인간에 대한 주제가 중요하게 다루어 진것은 사실이지만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다루어 졌다고는 볼 수 없다. 비로소 근대에 와서야 인간을 체계적으로 조명하는 학술서들이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을 무엇보다 먼저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상황과의 연관성 안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그 중심에는 근대 서구 유럽의 인간학적인 전환(轉換)혹은 인간 중심적인 전환이 있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전환은 신 중심적이고 혹은 교회중심적인 시대적 상황에 큰 충격을 가져다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과거의 교회가 신앙에 대하여 언급할 때, 하느님의 말씀과 교부들의 견해 그리고 공의회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적인 차원에서 언급하였다면, 인간중심적 혹은 인간학적으로 전환 되어진 새로운 시대 안에서는 인간의 측면을 도외시 하지 않고, 더 나아가서 인간의 현실적인 체험에서부터 출발해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느끼게 된 것이다. 또한 시간이 흐를수록 거세어지는 극단적인 ‘인간중심주의’(Antropocentrismo)는 교회가 올바른 인간 이해를 위해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연구를 해야 한다는 필요성도 더불어 제기 되었다. 이런 시대적인 흐름 안에서 신학적 인간학은 태동되었다고 볼 수 있고, 바로 그 자리에는 시대적인 고민이 같이 하고 있다. 또한 신학적 인간학 안에서 꼭 언급해야 할 학자는 칼 라너(K. Rahner 1904~1984) 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신학 안에 인간 연구는 그리 순탄한 길만은 아니었지만, 그를 통해서 체계적이고 통일된 모습을 갖추게 된다. 실제로 라너는 그 시기에 존재하지 않았던 ‘신학적 인간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체계적으로 신학 안에 인간학적인 방법론을 적용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간학적인 경향의 수용은 어느 일부에서만 일어난 것이 아니라 가톨릭 교회 안에서 공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는 그 수용을 잘 보여주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사목헌장(Gaudium et spes)은 인간이 겪고 있는 현실적인 체험들을 신학적 인간학의 바탕 안에서 체계적으로 제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이유로 신학적 인간학의 역사 안에서 제 2차 바티칸 공의회는 그 정점에 있기에 꼭 언급해야할 중요한 사건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처럼 가톨릭 교회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환된 시대적이고 사상적인 흐름 안에서 시대의 표징을 읽었고, 거기에서 긍정적인 부분을 과감하게 수용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고 볼 수 있다. 그 중심에는 학문적으로 신학적 인간학이 함께 하고 있었기에 그 역할이 중요했음을 부인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러한 신학적 인간학의 태동과 더불어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이제 현대 가톨릭 사상이 인간을 중심에 두고서 모든 생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는 시대적인 필요성은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다가왔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which explores theology with emphasis on humankind, based on time and ideological changes. In the latest 40 years, the Catholic theology gave birth to Theological Anthropology (Antropologia teologica) which generalizes the understanding of humankind on the basis of theology. Theology has studied humankind as a major topic, but the emerge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ells us that a more organized field of study on humankind and more professional studies and researches have become available. The convertsion of theology into a man-centered, anthropological theme was a major change to its God-centered and church-centered foundation. Today, the Church can no longer talk about religion from the hierarchical perspective with the focus on God’s words, Fathers’ opinions, the Councils. It is necessary to deeply explore men and seek out for realistic experiences. With the growing ethnocentrism (Antropocentrismo), the Church found it important to study humankin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ological Anthropology was born in modern Europe’s conversion to ethnocentrism. Karl Rahner(1904~1984) is the one who greatly contributed to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rough him, anthropological studies become more organized and uniform within the realms of theology. Rahner first used the term ‘Theological Anthropology’ and established anthropological methodologies on a theological background. The anthropological tendency of theology became official within the Catholic Church. The “2nd Vatican Council” was what made it official. The Pastoral Constitution (Gaudium et spes), established by the Councils, explained realistic experiences of men on the basis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 Catholic Church made effort to understand the conversion to ethnocentrism and boldly absorb its positive aspects. Such effort accomplished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ological Anthropology. Theological Anthropology allowed the church to absorb ethnocentric trends and address it from academic perspectives. The naissance of Theological Anthropology reflects the inevitable needs that modern Catholic ideologies have to be man-centered and promote its teachings and studies for men.

      • KCI등재

        가톨릭 인본주의와 대학의 역할

        이종진(Lee, Jong-j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2

        본고의 목적은 국내외적으로 대학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가톨릭대학교의 이념을 확인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실천적인 반성을 수행하는 데에 있다. 본론에서는 첫째로, ‘가톨릭 인본주의’에 대한 개념적 정의를 시도하고 있다. 즉, ‘가톨릭 인본주의’는 전통적인 성서적-그리스도교적 인본사상이 가톨릭적인 지반 위에서 르네상스 인본주의의 특질들을 수용하면서 형성된 사조라고 규정 될 수 있다. ‘하느님의 모상에 따라 창조된 인간’이라는 성서적 인간이해, 은총과 자연의 양립가능성, 신앙과 이성의 통합가능성, 원죄에 의해서도 온전히 훼손되지 않은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한 가르침 등이 가톨릭 인본주의의 ‘본래적인’ 내용들로 이해된다. 둘째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은 ‘보편적 인본주의’로서의 가톨릭 인본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사실이 요한 바오로 2세의 교황령 Ex Corde Ecclesiae(『교회의 심장부로부터』)를 통해서 제시 되고 있다. 아울러 가톨릭 인본주의의 이념이 시대사조와의 대화를 거치면서 그 내용이 더욱 풍부하게 발전되고 있고, 그와 함께 가톨릭대학교에 주어진 사명도 보다 실천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는 점도 고찰되고 있다. 셋째로, 이 문헌에 나타난 가톨릭대학교의 정체성과 사명, 특히 사회정의의 증진이라는 시대적 사명을 우리보다 앞선 전통을 가진 국외의 가톨릭대학교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또 실천해 가고 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들과 함께 소개하였다. 결론부에서는 이상의 실천적 반성을 통하여 국내의 가톨릭대학교들에 주어진 과제와 전망을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This paper aims to reaffirm the roles of Catholic universities at a time when universities at home and abroad face crises, and aims to establish specific actions to fulfill those roles. This paper first attempts to define the concept of “Catholic humanism.” Catholic humanism is based on traditional Catholic ideas combined with biblical-Christian humanism, and embraces renaissance humanism. By nature, Catholic humanism is thought to include the biblical understanding of humans that imitates the image of God, the compatibility of grace and natur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faith and reason, and human free will that cannot be restricted even by original sin. Second, it is suggested that the identities and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are based on Catholic humanism as universal humanism as Pope John Paul Ⅱ’s “Ex Corde Ecclesiae” suggested. In addition, Catholic humanism has been enriched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trends of each era, and accordingly, the missions of Catholic universities have become more practical. Third, this paper introduces how overseas Catholic universities have traditionally understood and implemented their identities and missions, particularly social justice which is the mission of Catholic universities in this era. In the conclusion, the writer presents the challenges and prospects faced by Korean Catholic universities.

      • KCI등재

        의학교육에서 가톨릭 정신의 구현

        김평만(Kim Pyeong-man),임선희(Yim Seon-hee),오승민(Oh Seung-mi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1 인간연구 Vol.0 No.21

        오늘날 자연과학 중심의 생의학 모델에 근거한 의료와 의학교육, 철학적 반성이 결여된 생명과학기술의 발전 등으로 말미암아, 의료의 비인간화 및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다양한 윤리문제들이 발생하고, 의료인의 정체성에도 혼란이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로, 의과대학에서 인문사회의학을 교육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 의학전문대학원에서도 인문사회의학 교육과정인 옴니버스 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옴니버스 교육은 인문사회학 과정에 가톨릭 정신을 결합하여,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가톨릭 정체성을 지닌 의사란 소명의식과 사명감을 지닌 인격적으로 성숙한 의사, 의료지식과 기술역량뿐 아니라 공감하는 역량과 도덕적 역량을 지닌 의사, 환자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 요구에도 응답하는 봉사의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다. 다른 의과대학에서 운영되는 인문사회의학 교육과 달리, 통상적인 인문사회학적 관점에 가톨릭 정신이 결합되면서, 옴니버스 과정은 인간과 의료를 바라보는 시선과 환자의 치유를 영적인 차원으로까지 확장시키고, 의학직업전문성을 추구하는 의료인의 길이 변화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수준에 그치지 않고 복음적인 인간 성숙을 기반으로 충만한 사명감을 지닌 생명의 봉사자 양성을 목표로 한다. 이 논문은 먼저 옴니버스 교육과정의 시작 배경을 살펴보고, 이어서 옴니버스 교육을 구성하는 원리와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가톨릭 정신이 옴니버스 과정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옴니버스 과정의 교육방법론을 살펴보고 방법론 자체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을 살펴본다. 이어 이 논문의 결론으로, 가톨릭 정신은 의대 교육과정에서 봉사나 자선, 그리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르침 등 특정한 분야를 통해 구현되는 것보다, 인간과 의료에 대한 인식론과 참다운 의료인 상에 대한 존재론의 차원에서 구현되는 것이 더 근본적이고 중요하다는 것을 언급한다. 즉, 예수 그리스도의 말씀을 통해 환자와 의료를 복음적 시선으로 이해하는 자세와, 고통 받는 사람들의 이웃이 되라고 부름 받은 의료인의 사명에 응답하려는 태도를 교육하는 것이 의학교육에 구현된 가톨릭 정신이며, 여러 가지 한계에 도달한 현대 의료를 극복하는 출발점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Due to the biomedical model affecting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the advance of biotechnologies unaccompanied by philosophical reflection, medicine has been dehumanized and industrialized. As a consequence, these developments are causing ethical problems and identity confusion among medical professionals. As one of the potential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eed to be integrated into medical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have developed a new curriculum named the “Omnibus Curriculum”, and implemented it in the curriculum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chool of Medicine. The Omnibus Curriculum aims to produce medical professionals who embody Catholic identity. We understand Catholic identity to imply various characteristics, including an open attitude to professional vocation, spiritual and personal maturity, a high level of empathy, high ethical standards, servant leadership, and a high sensitivity to social justice. The curriculum can achieve these aims through the embodiment of Catholicism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tudies, an approach that serves to distinguish the Omnibus Curriculum from similar curricula offered in other medical school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background to the development of the Omnibus Curriculum, and show how it embodies Catholicism. In addition, we present our creative teaching methods, which mimic the creative teaching methods of Jesus. Afte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we are now convinced that Catholicism can offer answers to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questions confronting medicine, the medical system, and medical professionals, and can provide important directions for surmounting the current obstacles in moder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 KCI등재

        그리스도 안에 창조되고 구원되며 완성된 인간 -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 -

        조동원(Cho, Dong-Wo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20 인간연구 Vol.0 No.41

        루이스 라다리아의 “그리스도론” 인간학은 그리스도의 인성에 대한 교부들의 통찰의 재발견이다. 20세기 초중반 가톨릭 신학계에서 커다란 논쟁의 대상이 되었던 “새 신학”의 학문적 결실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통해 가톨릭 교회 안에 긍정적으로 수용되었다. 라다리아는 넓은 의미에서 “새 신학”의 전통 안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헌장이 제시하는 그리스도 중심적인 인간관에 기반하여, 교부들의 저작들에 대한 직접적인 탐구를 통해 그 안에 “묻힌 보물”을 다시 꺼낸다. 그는 성서와 교부들의 가르침 안에서, 사목헌장에 등장하는 “온전한 인간이자 완전한 인간인 그리스도”(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의 개념을 일종의 해석학적 열쇠로 가다듬고 발전시킨다. 그리스도는 참으로 인간일 뿐 아니라, 오직 그분만이 온전하고 완전한 의미에서의 “인간”이다. 하느님께서는 창조 이전에 이미 그리스도의 인성을 예비하시고, 그것을 원형 삼아 인간을 창조하셨다. “사람이 되신 말씀”이자 “새 아담”인 그리스도는 그분의 인성 안에서 “첫 아담”의 범죄로 상실한 “하느님과의 닮음”을 회복하고, 우리는 그분에 의하여 온전하고 완전한 “하느님 모상성”에 이르게 된다. 인간은 그리스도를 통해, 그분 안에서 창조되고 구원받으며 완성될 존재이다. 이처럼 그리스도는 인간존재의 원형이자 완성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리스도론은 인간학의 시작이자 준거이며 마침이다. Luis Ladaria’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is a rediscovery of patristic insights into Christ’s humanity. The academic fruits of nouvelle théologie, which was a hotly disputed issu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ere positively adopted by Vatican II and the post-conciliar Church. Standing on the same line as nouvelle théologie in its broad sense and firmly based on the Christocentric view of humanity observed in Gaudium et spes of Vatican II, Ladaria concentrates on a study of various patristic works, revealing some “treasures” hidden beneath this field. He elaborates the conception “Christus perfectus homo et homo perfectus” found in Gaudium et spes into a hermeneutical key for his Christological anthropology, always inspired by the teachings of the Bible and the Fathers. Christ is not only truly human, but “the human being” in its complete and perfect dimension. God predestined Christ’s humanity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making it the prototype of the first human being. Christ, who is “the incarnate Word” and “the New Adam,” restores in his humanity the “similitudo Dei” that was lost by “the first Adam” because of his sin, making us fulfill a complete and perfect imago-Dei-ness. The human being is created, saved, and perfected in and through Christ, the Alpha and Omega of human existence. In this respect, Christology is no other than the beginning, norm, and end of anthropology.

      • KCI등재

        포스트휴먼 시대의 미학적 주체

        김하얀(Ha-Yan KIM),유은순(Eun Soon YOU),서영주(Yong Chu SUH)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4

        현시대는 휴먼에서 포스트휴먼으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시대이다.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는 언제나 불안하다. 그리고 이 불안 속에서 새 시대를 준비하는 지금, 사실상 가장 시급한 것은 기술과학의 무한발전 속에서 이 모든 것들을 마주하며 오롯이 살아낼 가장 바람직한 인간 주체에 대한 고민일 것이다. 이에 논자는 인간의 종합적 이해를 강조하는 철학적 인간학을 통해 초학제간 연구의 가능성을 열고, 이러한 가능성 속에서 미학적 주체가 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는 단순히 지성적 인간이 아니라 감성적 인간으로서의 주체를 강조함으로써 포스트휴먼 시대의 급변하는 사회와 문화 속에서 그 새로운 변화를 합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주체에 대해 고민해보려는 시도이다. 인간학에 관한 논의들은 과거에 철학분야나 생물학, 심리학 등 여타 분야에서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미학과 관련해서는 그렇지 못했다. 그 점과 더불어 더 나아가, 포스트휴먼 현상 안에서 미학적 주체되기를 제안하는 것은 주체성 확립의 영역에서 미학의 미래를 전망하고 그 영역을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고 하겠다. The present era is a transition period from human to post-human. The future that has not yet arrived always causes anxiety. And now, as we prepare for a new era in this anxiety, the most urgent thing to do is to face all these things in the infinit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science and worry about the most desirable human subject to emulate. For this reason, the authors seek the possibility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rough philosophical anthropology highlighting huma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becoming an aesthetic subject in this possibility. The subject as an emotional person, not merely an intellectual person, is a human subject who can reasonably accommodate new changes in a rapidly shifting society and culture. Discussions on anthropology have previously been active in other fields such as philosophy, biology and psychology, but not in aesthetics. This suggests that proposing to become an aesthetic subject in the post-human phenomenon has significance such that it can broaden the scope of the future of aesthetics in the domain of establishing subjectivity.

      • KCI등재

        가톨릭 초등학교의 종교교육 실태와 원리

        양지영,최준규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principles of religious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ality of Catholic elementary school religious education and examining related church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 survey of religious teachers in six Catholic elementary schools revealed that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religious education differed between schools and religious teachers. Based on church documents and previous studies, four principles of systematic religious education were derived. These four principles are humanization, cultural approach, incarnation, and community. Each principle, together with the purpose, content, method, and results of religious education, provides a conceptual basis for designing a future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in Catholic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also highlighted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and emphasized the need for an organization that cultivates religious teachers and capacity development and fo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가톨릭 초등학교의 종교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관련된 교회문헌과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종교교육의 원리를 도출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톨릭 초등학교 6개교의 종교 교사를 설문조사한 결과 종교교육의 목표, 내용과 범위, 방법이 학교와 종교 교사마다 차이가 있었다. 이에 따라 교회 문헌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종교교육을 위한 네 가지 원리를 도출하였다. 네 가지 종교교육 원리는 인간화, 문화적 접근, 육화, 공동체의 원리이다. 각 원리는 종교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결과와 연계하여 향후 가톨릭 초등학교 종교교육 모형을 설계할 때 개념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가톨릭 초등학교 종교교육의 효과성 연구,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정과 학교 협력 등에 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종교 교사 양성과 역량 개발을 위한 조직의 필요성과 체계적 지원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촉구하였다.

      • KCI등재

        대학 인권교육의 의의에 관한 고찰

        김녕(Nyung K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8 인간연구 Vol.0 No.35

        이 시대 한국의 청년들, 특히 대학생들은 행복한가? 대학생들은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았는가? 대학에는 ‘큰 배움’과 ‘큰 물음’이 있는가? 어떤 대학생들은 대학 공부를 그만 두고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몹시 힘들어하고 있다면, 대학은 어떻게 해야 할까? 본 논문은 그러한 문제의 원인이 대학 내의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부실에 있다고 보았고, 그것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인권교육이 우선 중요함을 강조했다. 물론, 과거에 비해 현재의 대학 인권교육은 양적 확산 추세에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부족하며, 더 나아가 질적 심화가 요청되고 있다. 필자는 대학 인권교육이 단지 기본적 인권에 대한 교육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까지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치교육, 인성교육, 시민교육의 토대이자 이런 교육들을 보완하고 추동하는 교육이기에 ‘특별한’ 의의를 지닌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인권교육이 어떻게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을 보완하고 추동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교육들이 ‘삶의 의미’와 ‘공부하는 이유’를 찾는 학생들에게 어떻게 도움이 되는지를 고찰하여 보았다. 아울러, 인권교육이 지닌 이러한 특별한 의의가 대학 내에서 커다란 공감대를 형성해 간다면, 인권교육은 양적으로 확산될 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인권교육이 삶과 세상에 대한 긍정과 희망을 가져다준다는 점, 보편적 가치이자 복음적 가치인 인권, 정의, 평화 등을 접하면서 대학생들은 신앙을 찾게 될 수도 있다는 점, 그리고 인성교육, 시민교육, 가치교육의 토대로서의 인권교육은 오늘의 대학생들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기본적으로 꼭 필요한 ‘사유세계의 확장’을 가능케 하고 현재의 대학교육에 꼭 필요한 ‘큰 배움’과 ‘큰 물음’을 가져다준다는 점을 필자의 오랜 강의 경험에 비추어 강조하였다. Are youth in Korea, especially university students happy? Do they feel they have a ‘purpose of their life’ and a ‘reason for their subject of study’? Are big questions examined on campuses? What do universities do if their students drop out or become frustrated when they face these problems? A failure of Korean universities to address theses questions, to a certain extent, can be attributed to considerable deficiencies in regard to character, civic, and value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Human rights education is important in solving this problem because it is the foundation of and can encourage such educations. The number of human rights education courses offered at Korean universities has recently grown, but the number is insufficient and most of the courses must be improved in terms of quality and depth. This paper argues that improv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providing it to more students and professors will make a difference. It is proposed that human rights education be used to either educate students about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character equipped with sense of justice and solidarity, and civic empowerment and engagement, or supplement such educat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such educations can assist students in finding meaning of life and reason for study. Students can become optimistic and hopeful as world history shows that human rights movements are very often victorious. As human rights and related values, such as human dignity, justice and peace, are not only universal values but religious values shown in the Bible as well, some of students who yearn for these values can be drawn sometimes to religion and God. Further, human rights education can encourage students to consider big questions, which Korean universities do not currently encourage students to do.

      • KCI등재

        성신대학의 사제 양성 교육

        노용필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4 인간연구 Vol.- No.7

        1942년 2월 일제의 천주교회에 대한 간섭 정책으로 용산 예수성심신 학교가 폐교를 당하고 말았고, 그 이후 대신학교 학생들은 덕원 신학교로 옮겨 가서 학업을 계속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가 1945년 2월 신학교인가가 나와 드디어 대신학교의 문을 다시 열게 되었는데, 경성교구의 신학교로서 경성천주공교신학교라는 명칭으로 5월 1일에 개교식을 거행하였다. 이때에는 대구의 성 유스티노 신학교가 해체된 상태였으므로 함께 통합되어 운영되었으며, 대·소신학교를 겸하여 12년의 학제로 운영되었던 것이다. 그 후 정규 대학인 성신대학으로 승격된 것은 1947년의 일이었는데, 대학으로 승격되었기 때문에 동시에 자연히 대신학교와 소신학교가 분리되었다. 이후 6· 25동란 때에는 제주도와 부산을 전전하며 교육이 계속되었고, 1953년 10월 혜화동 본교사로 돌아와 수업을 재개하였다. 이후 1959년에 가톨릭대학으로 교명이 변경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In February 1942, Owing to Japanese colonial goverment's interference policy in catholic church, Yongsan(龍山) Yesu-seosim(예수성심) theological school ought to be abolished. Since then Senior students could study their lessons without interruption in Dokwon(德元) theological school. Thereafter obtaining sanction in February 1945, the school had began anew. The opening ceremony of new school was held in May 1st under name of Kyongsong(京城) Chonju(天主) Konggyo(公敎) theological school. At this time because of Saint Justino theological school in Daegu(大邱) had been disorganized, the two school was adminisered to unify in unison. In 1947 Songsin(聖神) College was raised to the status formal college, at that same time junior and senior school was seperated of itself. During the 6.25 south and north War, the college had wandered from Jeju-island(濟州道) to Busan(釜山). In Oct. 1953 Students had returned to the principal school building in Hyehwa-dong(惠化洞), the college resumed work. In 1959, the name of school was changed to Catholic College.

      • KCI등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

        나정원(Jeong Won, Nah)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4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학문적 논의들은 정치현실의 제약 때문에 그 실천의 한계를 갖는다. 종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충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다종교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에 주목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를 분석하였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사회교리는 학문적 대안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평화의 제1전제로서 인간 존엄성을 강조함으로서 과학적 대안들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념 대결의 극복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지향에서 학문적 대안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사회교리는 남북한 모두에게 민주화는 물론 이 민주화의 전제로서 인간화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군사적 대치를 지양하는 평화주의의 실현에서 학문적인 모든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는 호소로서 사회교리는 인간 존엄성의 자각을 강조하고 있다. 보편주의의 실현이라는 민족공동체의 형성에서 학문적 대안과 가톨릭 사회교리 모두 무조건적인 교류와 지원을 강조하지만 현실정치와의 괴리는 불가피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사회교리는 용서와 화해를 통한 진정한 평화를 강조한다. 이런 사회교리를 통해 가톨릭교회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학문적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해주면서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Almost all academic discourses (ADs) concern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re limited in their realizations about real politics. Religion can potentially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tributions of religion to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by using the Catholic Churchs Social Teachings (STs). To enabl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Ts stress human dignity as the first premise for that peace to show the difference to ADs. First, to establish the democratic society, STs focus on the importance of humanization as the first premise of democratization. Second, to enable the transition from militarism to pacifism, STs demand that ADs recognize human dignity as a call for overcoming limitations in discourse. Both STs and ADs assert that unconditional assistance and cooperation are necessary to build a national community, The difference is that, STs invit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o promote a truthful peace. Through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e Catholic Church contributes to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

        나정원(Jeong Won, Nah)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9

        Almost all academic discourses (ADs) concerning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are limited in their realizations about real politics. Religion can potentially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contributions of religion to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pecifically by using the Catholic Churchs Social Teachings (STs). To enabl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STs stress human dignity as the first premise for that peace to show the difference to ADs. First, to establish the democratic society, STs focus on the importance of humanization as the first premise of democratization. Second, to enable the transition from militarism to pacifism, STs demand that ADs recognize human dignity as a call for overcoming limitations in discourse. Both STs and ADs assert that unconditional assistance and cooperation are necessary to build a national community, The difference is that, STs invit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o promote a truthful peace. Through these three characteristics, the Catholic Church contributes to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학문적 논의들은 정치현실의 제약 때문에 그 실천의 한계를 갖는다. 종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보충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다종교국가인 대한민국에서 가톨릭교회의 사회교리에 주목하여 한반도 평화에 대한 종교의 기여를 분석하였다. 한반도 평화를 위해 사회교리는 학문적 대안들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면서도 평화의 제1전제로서 인간 존엄성을 강조함으로서 과학적 대안들과의 차이를 보여준다. 이념 대결의 극복을 통한 민주주의로의 지향에서 학문적 대안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사회교리는 남북한 모두에게 민주화는 물론 이 민주화의 전제로서 인간화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있다. 군사적 대치를 지양하는 평화주의의 실현에서 학문적인 모든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는 호소로서 사회교리는 인간 존엄성의 자각을 강조하고 있다. 보편주의의 실현이라는 민족공동체의 형성에서 학문적 대안과 가톨릭 사회교리 모두 무조건적인 교류와 지원을 강조하지만 현실정치와의 괴리는 불가피하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사회교리는 용서와 화해를 통한 진정한 평화를 강조한다. 이런 사회교리를 통해 가톨릭교회는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학문적 대안들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완해주면서 한반도 평화에 기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