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톨릭 이념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김정우 ( Kim Jung Woo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논총 Vol.19 No.-

        본고는 많은 대학들이 학령인구의 감소와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생존경쟁을 벌이고 있는 현상황에서 가톨릭 학교로서의 이념 실현과 치열한 경쟁관계 속에서 가톨릭대학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다른 대학과의 경쟁에서 생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1990년 발표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가톨릭 대학교에 관한 교황령」(Ex Corde Ecclesiae)을 중심으로 살펴 볼 것이다. 본교(대구가톨릭대학교)가 일반 대학들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일은 결국 오늘의 현실에서 대학으로서 더욱 가톨릭적인 특성을 찾는 것이고, 다른 대학과 경쟁하기와 가톨릭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은 서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보완되는 개념으로 신앙과 이성을 통한 진리추구를 할 수 있는 공동체, 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또한 인간(휴머니즘)중심의 가톨릭적 사상을 바탕으로 4차 혁명의 시대 변화에 맞춰 시대의 흐름과 미래의 변화를 읽어가는 대학, 가톨릭 사회교리를 실천하여 인간다움 인격체를 양성하는 차별된 학교가 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aims to find ways to survive competition with other universities while maintaining the identity of Catholic universities amid the realization of ideology as a Catholic school and fierce competition among many universities amid the shrinking school-age popul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To that end, we will focus on Pope John Paul II’s 「Papal decree on the Catholic University」(Ex Corde Ecclesiae), which was announced in 1990. The fact that this school (Daegu Catholic University) has the upper hand in competition with ordinary universities is to eventually find more Catholic characteristics as a university in today’s reality, and that its identity as a Catholic university and competing with other universities should be the center of community and education that can pursue truth through faith and reason with complementary concepts rather than conflicting concepts. It should also become a university that reads the trends of the times and future changes in line with the changes of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based on the Catholic thought centered on humanism, and a differentiated school that trains humanistic personalities by practicing Catholic social doctrines.

      • KCI등재후보

        지역의 사회적경제 활성화방안으로서 사회자본 축적에 대한 연구: 대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김세연 ( Kim Seyeon ),김민석 ( Kim Minseok ),남춘모 ( Nam Choonmo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지역사회 현안과 담론 Vol.21 No.-

        본 연구는 지역 사회적경제 분야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지역을 지향하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활동과 사회자본 축적 간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연구 방법은 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의 2020년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조사를 활용한 양적 데이터 분석과 대구·경북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적경제 조직 4곳에 대한 심층 인터뷰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과 지역주민 각각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대구·경북 지역의 사회적경제 조직과 주민의 사회자본은 전국 평균과 비슷하였다. 평균 점수는 2점 대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사회적경제 조직과 지역주민간의 사회자본은 평균을 약간 상회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적경제 조직의 활동을 지역과 연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최의 상설화 지원이다. 둘째, 사회적경제에 대한 교육과정 개편이다.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경제 교육은 청년의 참여와 더불어 인식 개선에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지역과 연계한 사회적경제 관련 축제 개최이다. This study studi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ctivities of regionaloriente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as a way to revitalize the local social economy field.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data analysis using a regional resource survey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economy regional ecosystem in 2020 by the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and in-depth interview analysis of four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based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of each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local residents,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nd the social capital of resi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were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 In that the average score was in the range of two points, the social capital between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local residents slightly exceeded the average. Through this, this study mad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it is support for the permanentization of programs that can link the activities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with regions. Second, it is a curriculum reform for the social economy. Social and economic education for adolescents has a great influence on improving awareness along with youth participation. Third, it is to hold a social economy-related festival in connection with the region.

      • 산업발전과 환경오염

        문옥표,박재묵,김종해,정영금,이시재,양종회,조돈문 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6 社會科學硏究 Vol.12 No.-

        이 논문은 '산업발전과 환경오염'연구의 제3차년도 연구보고서이다. 이 보고서로서 중점과제연구의 3년 간의 전체연구가 종결된다. 이 보고서는 연구지역, 연구팀의 분업 등의 기준에 따라 세 개의 독립된 논문들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오염에 대한 인간의 반응유형을 산업공해, 반핵운동, 그리고 도시쓰레기처리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 중심으로 나누어서 연구해 왔기 때문이다. 1차년도에는 주민들과 관계자들에 대한 직접 청취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2차년도에는 울산, 영광, 부천지역 등 3개 지역에 통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3차년도에는 부천시의 쓰레기처리를 둘러싼 주민들의 반응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울산지역에는 시민운동조직으로서의 울산환경운동연합의 형성 및 활동과정을 추적조사하였다. 그리고, 반핵연구팀에서는 영광지역에서 실시한 조사와 비교군으로서 울진지역을 조사하였다. 울진조사는 가톨릭대학교와 성공회대학의 학생들이 조사원으로 참가하였으며 울진지역을 직접 연구하지 않는 공동연구원들도 조사활동을 지원하였다. 우리들은 반핵운동, 산업공해, 그리고 쓰레기처리에 있어서 공통적인 이론들을 마련하는 것을 기도하지는 않았다. 그러한 반핵이든 산업공해이든, 그리고 쓰레기처리이든간에 사람들은 경제적인 요인이 환경과 관련된 활동에 매우 중요하기는 하지만 가장 결정적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가 있었다. 우리들은 울진지역의반핵운동조사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응답자들은 핵폐기물 매립, 원자력 발전, 농약사용 등과 같은 환경문제를 도시가스 사용, 탄광작업, 비행기 여행 등에 비해 더 위험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10개의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정도로 측정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높은 편이나 전국조사 결과보다는 약간 낮은 수준이다. 셋째, 환경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은 상당부분 환경주의적 가치로 이어지고 있다는 증거가 있으며, 환경주의적 가치도 환경에 대한 관심과 마찬가지로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 사회경제적 지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원자력 발전소의 위험에 대해서는 절대 다수가 폭발위험이나 건강상의 해를 끼칠 수 있다고 응답하고 있는데 반해, 기술발전으로 원전사고 위험이 줄어들고 있다든가, 화력발전소 보다는 환경오염이 덜하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많은 비율이 찬성하고 있어서, 원전에 대한 전반적인 위험도 인식은 환경문제의 심각성보다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원자력발전소의 건설이 개인이나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지역경제를 비롯한 생활환경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부정적인 반응보다 훨씬 높았고, 주민건강이나 자연환경의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았다. 여섯째, 응답자의 약 45%가 반핵운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영광조사에서 나타난 17%와 비교할 때 매우 높은 참여율이다. 그리고 운동참여 이유로는 환경보호, 애향심, 경제적 이유, 정부에 대한 불신감 등이 지적되었다. 일곱째, 반핵운동 참여 여부에는 응답자들의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배경요인과 더불어 사회적 연결망 요인이 중요한 요인임이 드러났다. 이론적으로 볼 때, 이러한 결론은 우리나라의 반핵운동의 설명에는 기존의 집합행동이론이나 구조기능론적 접근 보다는 신사회운동이론이나 자원동원론적 접근이 더 타당함을 시사하고 있다. 울산연구에서 하나의 중요한 발견을 얻을 수 있었다. 환경운동이 주로 시민운동으로 인식되어 노동운동과는 큰 연결이 없었던 것으로 이해되어 왔지만, 울산에서는 일시적이고 부분적이기는 했지만 울산환경운동에 노동자들이 조합단위로 참여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울산의 현대중공업이 산업폐기물을 소각하기 위해 소각장을 건설하려고 하자 지역주민들과 환경운동연합에서 대대적인 반대운동을 하였다. 이에 같은 현대그룹에 속하는 현대미호조선소와 현대정공의 노조가 시민들과 같이 소각장 건설반대운동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지난 10년 간 울산의 환경오염에 대한 시민들의 의식과 행동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환경의식은 계급과 연령을 넘어서서 폭넓게 확대되어 가고 있다. 학력이 높을수록, 젊을수록, 그리고 소득이 높을수록 환경의식이 우세하지만 그렇지 않은 집단에서도 전반적으로 환경의식이 고양되었고, 환경운동에 참여하는 정도가 확대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운동에 직접 참가하는 시민의 수는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 이것은 환경단체가 갖는 사회적 기반의 취약성, 조직이 시민들에게 대한 낮은 호응성(Accountability)이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정부이든 시민단체이든 스스로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시민운동을 조직화하여 울산의 환경오염을 지속적으로 고발하고 사회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 소수의 집단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소수의 집단이야말로 지금은 개발주의사상이 팽배한 현실 속에서 어려움을 당하고 있지만 산업문명이후의 새로운 가치지향과 세계관을 잉태하는 선구자라는 사실을 직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종량제 이후에 쓰레기의 분리수거에 참여하는 동기가 주로 경제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되었지만 부천에서는 경제적 이익보다는 환경적 동기가 더욱 중요하다는 것이 다시 확인되었다. 따라서 경제적 동기와 환경적 동기를 적절히 활용할 때 재활용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재활용품의 분리수거가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비해서는 소비생활에 있어서 재활용과 쓰레기 감량을 위한 태도 변화까지는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었다. 부천시의 재활용품 분리수거 체계는 지방자치단체가 재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모범적인 사례를 보여준다. 부천시는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시작하였던 재활용품의 수거를 단독주택에까지 유상수거로 확대함으로써 재활용율을 높일 수 있었다. 시민과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비교적 잘 수행된 반면에 상품의 생산과 재생산에서는 재활용을 지지하는 체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초기에 세웠던 가설 중의 하나는 소비와 배출부분에서 재활용이 활성화되면 이것이 역으로 생산부분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것이었다. 물론 영향이 어느 정도 있었던 것은 사실이지만 그보다는 생산과 재생산부분에서 재활용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으면 재활용이 적체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철캔과 플라스틱류, 합성수지류와 같이 가정에서 많이 배출되면서 시장성이 약한 품목들에서 이러한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었다. 따라서 앞으로 재활용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시민들의 분리배출이나 시장성에만 의존해서는 한계가 있으며 중앙정부에서 부족한 시장성을 보충하여 재생산체계를 강화하여야 하며, 상품의 생산단계에서부터 쓰레기를 줄일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한 상품을 생산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 연구는 3년 간에 걸쳐 한국의 공해현상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반응을 중심으로 연구해 왔다. 이 연구에서는 공해 그자체에 대한 연구를 한 것은 아니며, 이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지역사회구조의 연구, 인간의 의식과 행동과 관련된 연구, 그리고 우리 나라의 핵, 산업공해, 그리고 도시형 공해에 대한 환경정책을 더 심도있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 韓日 女子大學生의 最大酸素攝取量과 體脂肪率의 比較分析

        洪進杓,增田貞二,安永誠,滿園良一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89 女性問題硏究 Vol.17 No.-

        근래에 우리나라에서는 急激한 生活環境의 變化로 인하여 學校生活에서도 身體活動量이 不足되기 쉽기때문에 低體力者나 肥滿者의 增加가 憂慮되고 있다. 이러한 傾向이 어느 정도가 될 것인가를 알기 위하여 曉星女子大學校 商業學科 學生 51名, 體育舞踊學科學生 104名을 對象으로 體力의 指標로서 V´O_2max/w를 肥滿의 指標로서 %Fat을 測定하고, 文獻을 通하여 얻은 아시아 地域의 女子集團과 比較·檢討하였다. (1) V´O_2max/w의 平均値는 商業科 學生이 34.0土4.1㎖/㎏/min, 體育舞踊學科學生이 37.5±6.7㎖/㎏/min로서 兩集團共히 平均値로서는 適切한 基準에 있다고 생각된다. (2) V´O_2max/w를 個人別로 살펴본다면 商業學校學生에 5名(9.8%) 體育舞踊 學科學生에 8名(7.6%) 程度의 不適正하다고 생각되는 者가 있다. (3) %Fat의 平均値는 商業學科學生이 19.4±2.3%, 體育·舞踊學科學生이 17.3±2.2%로서, 對照群과 比較한다면 상당히 낮은 水準에 있다. (4) %Fat를 個人別로 살펴보아도 肥滿이라고 判斷할 수 있는 者는 볼 수 없고, 오히려 體脂肪 減少傾向인 者를 볼 수 있다. Women Students' cardiorespiratory fitness was investigated with 51 women stude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Education in Hyos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104 in the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in the same University as the above. V´O_2max/w was used as measurment of physical fitness, and %Fat of obesity, the results gained are following: (1) The average value of V´O_2max/w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Education was 33.0±4.1㎖/㎏/min, and that in the departmet of physical Education and Dance was 37.5±6.7㎖/㎏/min. The average value of both groups maintained desirable indices. (2) The members who are below the average value of V´O_2max/w were 5persons (9.8%) and 8(7.6%) in the former and latter departments respectively. (3) The average value of %Fat are 19.4±2.3% and 17.3±2.2% in both the departments respectively. These value are far below the average level of Asian group. (4) There was no one who could be considered as fat in the University. Rather those who are far below the average level of fat were found.

      • 수능등급제의 쟁점과 복원

        손종현 ( Son Jong Hyun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논총 Vol.18 No.-

        이 연구의 목적은 2008학년도에 처음 도입되었던 수능등급제의 의미를 다시금 살피고 이것을 다시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고자 하는 것이다. 당초 참여정부 교육혁신위원회에서 제안한 2008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혁방안에서 가장 중점을 둔 것은 ‘공교육 정상화’였다. 공교육 정상화의 지표는 모든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이다. 이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대학입학제도를 개혁하고자 했으며, 그 일환으로 수능등급제를 도입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 수능등급제가 실시되고 1년만에 또 다시 이전의 방식으로 환원되어 버렸다. 이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이전의 개혁 조치를 무력화시킨 데서 연유하는 것이다. 본래 취지의 입학사정관제도가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수능등급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연구자는 참여정부가 입안했던 당시의 수능등급제를 지금 다시 복원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examine the meaning of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SAT) rating system first introduced in 2008 and to assert that this system must be restored. The main focus of the original 2008 university entrance system revision plan proposed by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education innovation was standardization of public education. The index for standardization of public education was the operation of a standard curriculum by all schools. The university entrance system had to be revised to make this possibl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CSAT rating system was a part of that. However, just one year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is CSAT rating system, it was reverted to the former method. This was due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validating the revised measures after it assumed power. A CSAT rating system must be created in order to realize the functions of the originally intended university admissions system. The researcher therefore asserts that the CSAT rating system devised by the government of the time should be restored.

      • 시민사회 정치 참여의 사회 정치적 의미

        이정옥 ( Jung Ok Lee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사회과학논총 Vol.12 No.-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particularitie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s of civil societies in Korea within the world system context.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ate, market and civil society has been changed during the last 2 decades. The role of civil society has extended into the other two sectors - state and market - in this conjuncture after the failure of the state in 1989 and the failure of the free market in 2008. The political parties of western societies have carried the ideological orientations of old and new social movements. Within the current specific context, the civil society has been recalled under the name of ‘big society’ and ‘social state’. The role of citizenship as the partner of public service has been emphasized within the ‘big society’ umbrella while the role of political participation based on civic sovereignty has been highlighted in the implications of ‘social state.’ In Korea, political parties have changed their name for the election with localisms base, lack of social base. The CSOs have actively engaged in the policy proposals, legislations and monitoring the state power instead of the weak political parties. The leaders of CSOs have been invited for the election in spite of CSOs` internal rule of political neutrality. This individual invitation has been changed into the coalition between the political party and CSOs. The deepening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CSOs with the normative political neutrality of CSOs characteries the Korean particularities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of civil soc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