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정신보건법 제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이해와 요구

        이성아,박수현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최근 정신사회 작업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정신질환자에 대한 정신보건법에 대한 관심이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3월 19일 개정 발표된 정신보건법에 대한 전체 내용을 대략적으로 확인하고 작업치료 및 작업치료사의 직무와 관련된 문제점에 대해서 제언하기 위함이다. 개정된 주요 내용은 정신질환 예방과 치료 및 재활과 사회복귀에 대해서 지방자치 단체의 역할을 강조하였으며, 입원환자에 대한작업요법의 내용이 추가되었다. 그러나 개정된 법의 시행규칙에 작업치료사의 업무가 추가되었지만 작업치료를 작업요법으로 사용한 용어 선정의 문제점과 의료기사법에 명시되어 있는 작업치료의 고유업무에 대해 작업치료사가 포함되지 않은 정신보건전문요원와 함께 수행하도록 한 법률 간의 모순이 있다. 따라서 ‘작업’을 정신보건 재활의 치료적 도구로 사용하는 작업치료의 직무가 정확하게 반영되며, 작업치료사의 업무와 역할에 대한 명확한 기준 및 전문성을 보장하는 내용이 추가된 정신보건법의 개정이 요구된다. As interest for psychosocial occupational therapy has been recently growing, interest for Mental Health Act for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outline of amendment to Mental Health Act published on March 19th, 2010 and to present advice on the issues related to the occupational therapy and tasks of occupational therapists. Main contents of amended Act emphasize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mental illness, and add the occupational therapy for hospitalized patients. Even if the enforcement regulations of amended Act add task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t has problem of the terms that use the occupational therapy as occupational treatment. In addition, it has a contradiction between laws in which mental health professional staffs who do not include occupation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 together in their own tasks in occupational therapy specified in the medical technicians Act. Thus, we would like to propose the need for the amendment on mental health Act which adds the contents accurately reflecting the task about occupational therapy using “work” as a therapeutic tool of mental health rehabilitation and securing the clear criteria and expertise of task and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 KCI등재후보

        국내 정신과 작업치료의 현황 조사연구

        이주언,강대혁,박소연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의 정신과 재활서비스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작업치료사의 역할에 대해 제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대한작업치료사협회에 등록된 협회원의 정보와 연쇄소개추출법(snowball sampling)을 통해 얻은 정보를 취합하여 선정하였으며, 주로 성인을 대상으로 치료하는 정신과 작업치료사 13명 중 11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일반적인 특성과 근무 기관의 환경, 재활 서비스, 평가방법,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방향과 전망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적으로 정신과 작업치료사가 근무하는 기관의 수는 본 연구자의 근무지를 포함하여 총 12개였으며, 근무기관의 형태로는 전문정신병원, 종합병원, 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치료감호소 등으로 다양하였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기관을 제외 한 11개 기관 중 5기관에서 임상실습교육을 시행하고 있었으며,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정신과 작업치료의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나 인력부족과 작업치료 평가도구의 제한적 사용,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부족은 앞으로 개선해야 할 점으로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정신과 재활서비스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정신과 작업치료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condi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where occupational therapists work and suggest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the future. The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databa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Therapists and utilized snowball sampling. Thirteen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with adult clients were identified and eleven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survey was composed of demographic information, work environment, rehabilitation services, evaluation methods, and personal view on the future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There were 12 institutions(in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nationwide where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working. The settings varied as mental hospital, general hospital,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halfway house, and forensic service. Five out of eleven institutions excluding the researcher’s working site were accepting students for fieldwork education.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providing various rehabilitation services. Although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optimistic about the growth of occupational therapy in mental health they were concerned about lack of manpower, limited use of occupational therapy evaluation tools, and lack of awareness on occupational therapy. This study examined the overall situa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mental health and suggested professional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tilized in facilitating the growth of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의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조사

        장상익(Sang-Ick Jang),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정신건강전문요원의 정신질환에 대한 그릇된 태도는 효과적인 치료와 환자의 사회 복귀에 장애 요소로 작용하며, 이러한 태도는 교육에 영향을 받는다. 정신건강전문요원에 작업치료사가 포함된 현시점에서 본 연구는 예비 작업치료사인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신건강관련 경험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국내 작업치료전공 대학생 11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정신건강관련 경험을 설문하고,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ASMI (Attitudes to Severe Mental Illness) 척도를 통해 조사하여 자료를 빈도 분석하였다. 결과: 작업치료전공 대학생은 정신건강관련 교내교과목이수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고, 정신건강관련 실습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는 ASMI 척도로 평균 95.92±11.63점으로 높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ASMI 척도의 하위범주로 보면 낮은 고정관념, 긍정적인 낙관주의와 대처, 중립적인 이해로 정신질환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과 태도를 지녔다. 하지만 약물에 대한 고정관념이 큰 편이었으며, 자신이 정신질환에 걸렸을 때를 가정한 문항에서 좋지 않은 대처가 나타났다. 또한, 정신질환자가 보통 사람들과 다르지 않다는 문항에서 낮은 낙관주의가 나타났다. 결론: 작업치료전공 대학생들은 교육과정을 통해 정신건강과 관련한 경험을 하며, 정신질환에 대해 높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보다 역량 있는 정신건강전문가 양성을 위해 약물 등 환자관리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관련된 교육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기회가 교육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ntal health-related experience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114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related to mental health were investigated,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ttitudes to Severe Mental Illness (ASMI)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erienced the most mental health-related education on campus, and practice showed a low frequency. Their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was positive. However, stereotype about medication was large, and low optimism was shown in the question that people with mental illness don’t differ from other people.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at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experienced mental health through the curriculum and had a high positive attitude toward mental illness. In order to foster more competent mental health experts, education related to factors that affect client management, such as medication, and opportunitie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정신건강 분야에서 작업치료의 평가 현황조사

        장상익(Sang-Ick Jang),감경윤(Kyung-Yoon Kam)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3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1

        목적 : 본 연구는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평가 현황을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 정신건강 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29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평가 현황,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 활성화를 위한 요구사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가 평가하는 영역은 일상생활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사용하는 평가도구는 간편 정신상태 평정척도(BPRS), 캐나다작업수행평가(COPM), 역학연구를 위한 우울척도(CES-D)가 많았다.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이유는 기관의 규정 및 명령이 가장 많았으며, 평가 수행 시 발생하는 고충으로 업무와 관련된 직접적인 평가도구 부재 등 평가 자체에 대한 고충과 작업치료 계획에 도움이 되는 평가도구의 수가 미발생과 정신건강 사례관리시스템(MHIS)상 미등록 등의 고충이 많이 나타났다. 작업치료사의 강화되어야 할 평가 영역은 일상생활활동과 작업수행이 많이 나타났다. 결론 : 정신건강 분야 작업치료사의 주된 초점이 일상생활활동과 작업수행에 맞춰져 있음이 드러나 작업치료사의 정체성이 정신건강 분야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여러 고충이 나타났다. 작업치료사가 정신건강 분야에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정신질환자에게 성공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 평가에 대한 보험수가 미적용의 문제, 시스템 미비 등 평가 수행을 제약하는 요소를 개선하여 작업치료사가 적절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atus of evaluation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Methods :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all occupational therapists engaged in the field of mental health, and the data of 29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 In mental health, the main evaluation targets of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The most commonly us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BPRS, COPM, and CES-D. The main reason for using such assessments was the regulation and directives of the institution. The main difficulties in conducting evaluation were the unavailability of assessment tools related to occupational therapy, and health insurance and system-related problems. evaluation areas to be strengthened by occupational therapists for mental health were found in ADL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Conclusion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main focus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mental health is ADLs and occupational performance. However, several difficulties appeared when occupational therapists performed evaluation. In order for occupational therapists to properly play their roles in mental health and to provide successful services to persons with mental illness, an environment in which occupational therapists can perform appropriate evaluations should be established by improving factors that limit evaluation performance.

      • KCI등재후보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영욱(Kim, Youngwook),김민지(Kim, Minjee),문광태(Moon, Kwangtae)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업무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향후 직업재활 영역에서 작업치료사의 역할, 과제와 전망, 재활 성공사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정신장애인에게 직업재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 8명에게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사전 동의를 통해 인터뷰 영상은 녹화되었고, 녹화된 자료는 Colaizzi의 6단계에 현상학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 3개의 주제와 9개의 개념, 19개의 의미단위, 60개의 중심의미를 도출하였다.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상담자, 평가자, 중재자, 연계자로 나타났다. 향후 과제와 전망으로는 커리큘럼, 직업재활 수가체계 개편, 직업에 대한 인식 재확립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공적인 직업재활에 대해서는 취업 장소와 직업재활의 효과를 언급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사의 직업재활 영역에서 개선되어야 할 과제와 전망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보다 전문성있는 직업재활 전문 작업치료사를 양성하기 위한 가이드라인과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role, task, and prospects of vocational therapists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work experience of vocational therapists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Methods :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to mentally disabled people by applying Zorg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terview videos were recorded with prior consent, and the record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llage 6-step phenomenon analysis method. Results : Three themes, nine concepts, 19 semantic units, and 60 central meanings were derived. The rol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provid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was found to be counselors, evaluators, mediators, and links. Future tasks and prospects were curriculum,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nse system reform, and vocational consciousness re-establishment. In addition, for successful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employment location and the effect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mentioned.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asks and prospects to be improved in the field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occupational therapists who provid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mentally disabled, and could be used as guidelines and basic data to cultivate more professional vocational rehabilitation experts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중증정신질환자가 이용하는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체계적 고찰

        황정하(Jung-Ha Hwang)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4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11 No.1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가 중증정신질환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체계적인 문헌 고찰을 통해 중증정신질환자에게 서비스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효과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3년 이후부터 2023년까지 데이터 베이스 RISS, GOOGLE SCHOLAR, PubMed에 주요 검색어를‘중증정신질환자 AND 정신건강서비스’,‘중증정신장애인 AND 지역사회서비스’,‘Severe mental illness AND Mental health services’, ‘Severe psychiatric disorders AND Community Service’를 사용하여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바탕으로 논문을 검토한 결과, 최종적으로 13편의 논문을 연구 분석 후 선정하였다. 결과 : 연구의 질적수준은 총 13편으로 5단계 분류 방법에서 Level Ⅰ 4편(30.7%), Level Ⅱ 3편(23.4%) Level Ⅳ 2편(15.2%), Level Ⅴ 4편(30.7%)로 분류되었다. 중재 대상자는 조현병과 양극성 장애가 포함된 9편(69.2%)으로 가장 많았으며, 서비스 종류에는 동료지지 제공서비스, 지역사회 참여와 계획 서비스, 주거제공서비스,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인지강화치료와 적극적인 지역사회치료가 제공되었다. 그 결과 삶의 질, 대인관계 향상, 우울 증상 감소, 정신건강 의료 이용률과 가족옹호 및 연대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 향후 연구에서는 질적 수준이 높은 근거 확보를 위해 다양한 진단을 받은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impact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on pat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the importance of services to patien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provide evidence for their effectiveness. Methods :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2013 to 2023, 13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based on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using the main search terms 'Severely mentally AND Mentally disabled OR Psychosis AND Mental health services AND Community service AND Service' in the databases RISS, PubMed, GOOGLE SCHOLAR. Results : The quality level of the research is a total of 13 papers, which are classified into LevelⅠ 4 papers(30.7%), Level Ⅱ 3 papers(23.4%), Level Ⅳ 2 papers(15.2%), and Level Ⅴ 4 papers(30.7%) in a 5-level classification method. It has been done. The largest number of intervention targets included schizophrenia and bipolar disorder 9(69.2%) and service types included peer support services, community participation, planning services, housing services,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cognitive enhancement therapy, active treatment and community treatment was provided. As a result, significant effects were found in the areas of quality of life,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duction of depressive symptoms, mental health care utilization, and family advocacy and solidarity. Conclusion : In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comparativ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arget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have received various diagnoses in order to secure high-quality evidence.

      • KCI등재후보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을 통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가 만성 조현병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과 우울 및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 사례연구

        김하예진,강대혁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14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employing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on quality of life, psychiatric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of a client with chronic schizophrenia. Methods : The client was a 54-years-old male diagnosed with paranoid schizophrenia who was an inpatient. The goals were set up through the COPM that was used to identify self-perceived performance problems. The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was conducted for four weeks. This study compared posttest to pretest scores on the COPM and evaluated quality of life, psychiatric symptoms, and depressive symptoms throug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Brief Version(WHOQOL-BREF),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Expanded(BPRS-E), and the Korean Version of Calga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K-CDSS) respectively. Results : After the intervention, performance score increased by 5.34 and satisfaction score increased by 4.34 on the COPM, score of quality of life increased from 60 to 92, score of psychiatric symptoms decreased from 68 to 43, score of depressive symptoms decreased from 19 to 7.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employing the COPM is effective to improve quality of life and reduce depressive and psychiatric symptoms by eliciting interest and facilitating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lient with schizophrenia. Therefore, client-centered occupational therapy which applies individualized goal and program was suggested to be utilized more widely. 목적 : 사례연구를 통해 만성 조현병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OPM)을 통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가 삶의 질과 우울 및 정신과적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클라이언트는 입원치료를 받고 있는 편집성 조현병 진단을 받은 만 54세 남성으로 COPM을 통해 문제가 되는 활동을 선택한 뒤 치료 목표를 세우고 사주 동안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를 제공하였다. 중재 전과 후의 COPM의 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간편정신상태 평정척도-확장판(BPRS-E), 한국어판 정신분열병의 캘거리 우울증 척도(K-CDSS)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삶의 질, 정신과적 증상 및 우울증상을 각각 평가하였다. 결과 : 중재 후 COPM의 수행도는 5.34점, 만족도는 4.34점 상승하였고, 삶의 질은 60점에서 92점으로 32점 상승하였으며, 정신과적 증상은 68점에서 43점으로 25점 감소하였고, 우울증상도 19점에서 7점으로 12점 감소하였다. 결론 : 조현병 클라이언트에게 COPM을 통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는 클라이언트의 흥미를 유발하고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정신과적 증상과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개별화 된 목표와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 중재가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작업치료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고예진(Go, Ye-Jin),김하은(Kim, Ha-Eun),송유미(Song, Yu-Mi),최은영(Choi, Eun-Yeong),김희(Kim, Hee)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 2021 한국정신보건작업치료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정신과 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작업치료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학교 중 정신과 교육과정이 있는 3, 4년제 학교를 선정하여 정신과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전공 학생 12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고 인식도, 교육 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인식도, 교육 만족도 하위 요인과 진로정체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인식도 하위요인은 진로정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론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교과과정 구성과 성적 평가, 실습 교육 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정신과 실습지도, 임상실습 후 만족도가 진로정체감과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이론 교육 만족도의 강의 및 실습과 성적 평가 요인이, 실습 교육만족도의 임상실습 후 만족도 요인이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정신과 작업치료에 대한 전공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을 위해서는 교육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in psychiatric field on their career identity. Methods :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f 122 students with experience in taking psychiatry courses from three to four-year schools with a psychiatric curriculu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and the correlation and multi-recovery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wareness and education satisfaction on career identity. Results :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education satisfaction sub-factors and career identity showed that the relevance of awareness sub-factors to psychiatric occupational therapy and career identit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sub-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the curriculum composition, grade evaluation and psychiatric practice guidance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sub-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identit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lecture and practice, grade evaluation factors of theore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after clinical practice factors of practical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the career identity. Conclusion : To build a career identity for the students, there is a ne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follow-up studies to determine various factors on career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