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에 대한 사례 연구: 학습 동기 및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

        최호성 ( Hoh Sung Choe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3 외국어교육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는 세 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를 알아보고, 미국 대학의 한국어 강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교포 학생들과는 달리 한국어에 거의 노출되지 않았으며, 대학에 와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수강하고 있었다. 자료는 한 학기 동안 다섯 번의 개 별 면담을 통해 수집 되있고 내러티브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전적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 때문이 있다.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경험했던 한국 문화가 한국어 강좌 수강으로 연결된 것이었다. 이들은 한국어의 효용가치가 적고 배우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를 기피한다고 말하였다. 한국어를 배워도 사용할 기회가 제공 되지 않아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지나친 문법 암기와 독해 위주 의 교육도 흥미를 반감시키는 요인이었으며,교포 학생위주의 교과 과정도 이들을 한국어 수업에서 배제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ree KFL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learner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 to learn Korean and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classes. Two research questions guide this study: (1)What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And (2) what barriers do they face learning Korean in a US tertiary context? The participants were sophomores who enrolled in a second-year Korean class in a Midwestern university, and they were the only KFL learners in the clas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narrative interviews over a semester.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participants interests in Korean culture motivated them to learn Korean; that is, their encounters with Korean culture before college led them to take Korean classes. They reported that Korean is difficult to learn but of little use in the US, which they believed explains a small number of students in Korean classes. They said that the lack of a Korean speaking community demotivated them to use Korean. Grammar/reading-based instruction also made them lose interest in learning Korea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cusing mainly on heritage learners was another reason for KEL learners to avoid enroll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 KCI등재

        러시아 중등 한국어교육과정 분석과 과제 탐색

        김호정 ( Kim Hojung ),골로바노브키릴 ( Golovanov Kirill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2 외국어교육연구 Vol.36 No.2

        본 연구는 러시아 중등학교 한국어교육과정 설계의 제도적이고 정치적인 상황·맥락을 살피고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 과제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러시아 헌법, 교육법, 언어법, 연방국가교육기준, 외국어교육과정 문서와 관련 연구 보고서, 논저 등의 문헌을 검토하고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과정 문서, 교육과정 관련 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러시아에서는 ‘다원주의’를 외국어교육의 대원칙으로 삼고 있으나 국가 차원의 외국어교육과정, 교과서 개발이 미진하고 교사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등 ‘다원주의’ 가치 실현을 어렵게 하는 상황적 요인이 존재한다. 러시아 외국어교육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에서는 타 문화에 대한 관용적 태도, 학습자의 자아실현 및 의사소통 도구로서의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등을 목표로 설정하며 유럽공통참조기준(CEFR)의 A1+∼B1 수준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2010년 중학교 연방국가교육기준이 개정되면서 중학교 정규과목에 제2외국어가 추가되었고, 고등학교 정규과정에서는 제2외국어가 선택과목으로 편성되고 있다. 제2외국어로서의 한국어는 의사소통능력 즉, 담화능력, 언어능력, 사회문화적 능력, 보상전략 능력의 발전을 교육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연간 약 340∼350시수의 교육과정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A1+ 수준 도달을 목표로 5∼9학년 과정에서 다루어야 할 주제, 의사소통 활동 과제, 언어 지식 등의 교육 내용 체계와 요소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과정이 러시아 내 중등교육의 내실화에 기여하며 고등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을 지속적으로 견인해 나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고등학교 간 연계를 위한 후속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며, 교육과정-교재-교수·학습-평가를 통한 환류 및 교육과정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stitutional and political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sign for secondary schools in Russia, and to discuss the follow-up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iculum. To this end, documents such as the Russian Constitution, Education Act, Language Act,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orts, and theses are reviewed, and then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cuments are analyzed while surveying four curriculum-related experts in Russia. In Russia, 'pluralism' is a great principle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ut there are situational factors that make it difficult to realize the value of 'pluralism', such as insufficient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at the national level, and difficulties in supplying teachers. The curriculum, which is the ba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Russia, aims to reach CEFR level A1+~B1 with the goal of developing a tolerant attitude toward other cultures, self-actualization of learners, and improvement of foreign language communication skills as a communication tool. As the federal national education standards for middle schools were revised in 2010, a second foreign language was added to the regular middle school subjects. Korean as a second language suggests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competence, that is, discourse competence, language competence, socio-cultural competence, and compensation strategic competence as the educational goal, and the curriculum consists of about 350 hours per year. To this end, with the goal of reaching the A1+ level, the educational content system and elements such as topics, tasks, and language knowledge to be covered in grades 5-9 are presented in detail.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of Russia,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ollow-up curriculum to link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of feedback through curriculum-textbooks-teaching·learning-evaluation.

      • KCI등재

        TI`NH TRA.NG NGHIE^N CU´U HA`N QUO^´C TA.I VIE^.T NAM VA` MO^.T VA`I D E^.NGHI.

        Kim, Ki Tae,Vie^.t, Khoa tie^.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998 東南亞硏究 Vol.- No.7

        베트남에서의 한국연구의 현황과 제의란 제목으로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연구기관의 살펴보고 우리 나라 정부의 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는 19992년의 12월 양국간의 국교가 정상화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베트남에서 한국학연구가 시작된 것은 1993년부터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현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 문과이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내의 동방학부 내에 일본학, 중국학, 한국학 그리고 동남아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또한 남부의 국립 호찌민 종합대학 (현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에서 1994년부터 한국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베트남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내지 한국학 강좌가 정규과정으로 개설되었으나 수도 하노이에는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외국어대학 한국어과가 4년제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또한 남부의 호찌민시에서는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사립대학인 외국어 컴퓨터 대학내에 한국어과가 있다. 이들 4개 대학에서 배출하는 한국어 전공 학사는 매년 100여명 가량이다. 대학 이외에 한국학 연구 기관은 국립 사회인문과학원 내의 한국학 연구소가 일본 연구소 내에 1998년 설립되었으나, 아직 법인으로 베트남 정부에 등록되어있지 않으므로 활동이 매우 부진하다. 한국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에 한국학과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과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이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약 139,580달러를 지원하였다. 이 이외에도 삼성문화재단에서 KF에 기탁한 100만불에 대한 기금에 대한 이자로 베트남 매에 한국을 이해시키는 프로그램을 1997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또한 KF는 베트남 내의 한국학 연구자와 한국어 전공자를 한국에 초청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는 이외에 한국학에 대한 각종 서적을 1994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한편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은 ODA자금으로 1992년부터 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KOICA의 베트남 내의 한국어나 한국학 지원은 한국어 교육 봉사자 파견이나 단기 한국어교육을 위한 베트남인 국내 초청에 한정되었다. 한국어 교육 봉사자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27명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도 베트남내의 한국어 보급과 한국을 이해시키는 활동으로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공보관이 있다. 한국 문화부의 지원으로 베트남인들의 한국 이해 프로그램인 Korean essay contest, 한국 역사교재 출판과 한국 전래동화 번역 사업 등으로 매년 약 2만불 가량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베트남 투자 업체나 종교기관등 NGO에서도 베트남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의 한국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나 한국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국립 사회인문 연구소의 한국학 연구소에 대한 계속적인 재정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와 동시에 한국학연구를 위한 우리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망된다.

      • KCI등재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한 소고: 루마니아, 불가리아, 헝가리를 중심으로

        김훈태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1

        My paper aim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training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This paper has two aspects. One was discussed in three aspects about the role of Korean Studies experts in the local area. In addition, discussions were held in various aspects, focusing on the possibility of fostering Korean Studies scholars in Eastern Europe, with a focus on the Babes-Bolyai University in Romania, Eőtvős Lorand University in Romania, and Sofia St. Kliment Ohridski University in Bulgaria. For this study, concretely compared situation of lectures, students, professors in Korean Studies managed by these Universities. After addressing them in depth, suggested realistic improvements of problems which these Universities have in common. Especially in order to complement insufficient lectures of Korean Studies in these Universities, using the CEEPUS(Central European Exchange Programme for University Studies) actively which is operated by some of Universities in Eastern Europe is one of good methods and more need to expand the CEEPUS for developing Korean Studies in this area. And for developing teaching materials of Korean Studies suitable for local situation, local experts in Korean Studies and experts related fields in Korea need to highly cooperate with each other. As a final suggestion, for maintaining and developing the major of Korean Studies in Universities of Eastern Europe is very important in order to cultivate Korean Studies professionals in Eastern Europe. 본 연구는 동유럽의 지역에서 한국학 전문가의 양성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한국학 전문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지역 전문가로서의 한국학 전문가의 역할을 세 가지로 정리하여 그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1)자국에서 한국을 올바로 알리고 대변하는 역할, 2)해당지역에서 한국학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있어서의 중심적인 역할, 3)한국문화를 제대로 알리고 보급 및 확산시키는 중심적인 역할을 들 수 있겠다. 아울러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 가능성에 대해서는 루마니아의 바베쉬-보여이대학, 헝가리의 엘테대학, 불가리아의 소피아대학에서 운영하는 한국학 전공 강좌의 실태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현재 이들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한국학 전공의 강좌 현황, 재학생 및 교수진의 상황, 한국학에 대한 국내외의 관심과 지원 등을 구체적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아울러 논의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을 짚어 보고, 그에 대한 현실적인 개선책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해외 대학의 한국학 전공 유지 및 발전은 각 지역 출신의 한국학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일이므로 한국정부기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뿐만 아니라 현지에 진출해 있는 한국 기업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와 번역의 정치성

        이상경(Lee Sang 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This paper aims to retrace the processe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took place in Seoul, and thereby reveal the methods by which influence in the literary sphere of South Korea acted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the results they produced, as a touchstone of the many issues and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by which a work of literature gains recognition in its linguistic sphere and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It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was bid for and organized,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official materials from the event, and the selection of works published post-congress, to discuss how the ‘classic’ status is conferred upon certain works in a nation’s literary sphere as well as the politics of globalization in translation.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held by the International PEN Korea Center in 1970 in Seoul was a major international event supported not just by the literary sphere but by the power of the state as well. The process by which the congress was bid for, prepared and hel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riters’ Translation Bureau for the publication of Asian Literature as a follow-up project, was the first time the Korean literary sphere gave earnest thought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congress, questions of how Korean literature should be introduced to international readers as well as which authors and works should be nominated fo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ere raised. In the discussion of such questions, serious and detail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and how, in order to transcend the borders of nation and language, in addition to whether Korean literature could become a part of global literature. 이 글은 문학작품이 자국어권에서 인정을 받고 외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고민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제 과정을 정리하면서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과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 잡지의 기사와 행사 자료집 등을 통해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유치 및 개최과정을 정리하고 그 후속 작업으로 나온 영역본 한국문학선집 등을 통해서 일국 문학의 정전화와 번역을 통한 세계화의 정치성을 따져보았다. 1970년 국제펜클럽한국본부가 서울에서 개최한 제37차 국제펜대회는 문단뿐만 아니라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은 거국적인 국제행사로 치러졌다. 이 대회를 유치하고, 준비하고, 개최하고, 또 그 후속 작업으로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 』을 발간하는 과정은 한국문단이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진지하게 고민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대회 준비 과정에서 외국인에게 어떤 한국문학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지, 어떤 작가와 작품을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할 것인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논의 과정에서 민족어와 국민국가의 테두리를 넘어서기 위해서 어떤 작품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것인지, 그리하여 어떻게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진지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고민했다. 그 결과로 한국문학의 정전을 추려 번역한 한국문학선집을 내었고 ‘동양권’ 문학을 ‘서양권’ 독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을 3권 펴내었다. 그러나 이때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정전화 작업이나 번역 작업은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 및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면서 ‘순수문학’을 제도화시키는 편향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시아문학’ 담론을 선도하겠다는 계획 역시 냉전 체제 하에서 온전할 수 없었고 물적 기초 또한 빈약하여 일회적 사건으로 끝나고 말았다.

      • KCI등재후보

        마케도니아인을 위한 한국어 멀티미디어 부교재 활용 교수법

        김재욱 ( Jae Wook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4 외국어교육연구 Vol.28 No.2

        본고에서는 마케도니아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한국어 부교재의 종류를 제시하고 이들을 한국어 수업 단계에 맞춰 체계적으로 제시하면서 이를 수업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보이고자 하였다. 멀티미디어 한국어 부교재란 교재를 제외한 수업에서 사용하는 모든 자료로, 교재 단계에 맞게 개발되거나 다양한 수업 상황에 맞추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마케도니아처럼 새로이 한국어 교육이 시행되는 곳에서는 이러한 부교재 자료들도 언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까지 세심하게 제시하지 않으면 이러한 부교재를 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멀티미디어 한국어 부교재의 종류를 크게 소리(언어, 음악)와 이미지(기존의 낱말이나 문형 카드, 그림, 사진 및 문자, 미술), 그리고 이들의 통합체인 영화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자료를 수업의 단계, 기능, 내용에 맞추어 이러한 부교재가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한국어 수업의 각 단계 및 내용에 따른 부교재 종류 구분 및 활용 제시는 한국어 교육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마케도니아의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교수자가 각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shows the types of multimedia supplementary materials, which you can use them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suggests them systemically to the level, and tries to demonstrate how to use them in the class. The multimedia supplementary materials are all types of materials except for the main textbook, they are usually developed for the level of textbook, or developed to be able to use in the various situations of the classes. However, if there is no detailed guideline, then it is not easy to use these supplementary materials in Macedonia where is new to start Korean education. Therefore, this paper classified the multimedia supplementary into three main categories; Sound (language and music), Image (existing words or structures card, paintings, pictures, letters, and arts), and Movie, which is integrated work of above-mentioned categories. Then, this paper suggests how to use these multimedia supplementary materials according to the each stage of the class, functions, and conten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classified types of the multimedia supplementary materials for the each stage of Korean class and suggestion of using methods, will help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of Macedonia to make good use theses.

      • KCI등재

        2020년 제정 한국어 인명·지명에 대한 라트비아어 표기법 연구

        서진석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20 동유럽발칸연구 Vol.44 No.3

        The regulation of the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was developed in 1997 by Dina Gailite, a Latvian linguist, and Natalija Jansone, a Koreanist from Russia who afterwards became a naturalized Latvian. Their regulation was used as a standard for transcribing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until recently, when the new version was announced in 2020 by the author. The older version of regulation by Gailite and Jansone contained many shortcomings in that the transcription system was based on the pronunciation of proper nouns written in English, not in the general Romanization regulation, which ultimately distorted the pronunciation of original words so much that no one comprehended the original orthography of words in the Korean writing system. Moreover, it seems that the regulation of Holodovich and Kontsevich, which was generally used in Russia to transcribe Korean into Cyrillic, was applied to some extent for the old regulation where the ending consonant ㅇ/ng/ was replaced with the consonant n and the /h/ sound was added for transcribing aspirated consonants, which is very typical in Kontsevich’s works. With this background the regulation by Gailite and Jansone was not applied generally in Latvia due to the low public confidence and illogical system. Therefore, until recently, in Latvian mass media Korean proper nouns, like names of persons and places, were transcribed as pronounced Latvian style from how they were written in Romanization or as pronunciations provided in Wikipedia or mass media coverage from overseas. Therefore, we find countless cases where the name of one person is transcribed in non-unified and differentiated versions, or known by the name pronounced incorrectly in Latvian mass media. To solve this problem the Center for Korean Studies at the University of Latvia launched a project in 2019 to develop the new regulation of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jointly with the National Agency of Latvian Language. This was publicly announced in March 2020.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the merits of the new regulation of transcription of Korean proper nouns into Latvian developed in order to transcrib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proper nouns as closely as possible into Korean and, at the same time, reflect the original characters of the Latvian and Korean languages. I would also like to discuss the problems yet to be solved in the new regulation related to the linguistic and phonemic dilemma. 본 논문에서 논하고자 하는 2020년 한국어 라트비아어 표기법이 고안되기 이전에도 한국어 고유명사에 대한 라트비아어 표기법은 제정되어 있었다. 라트비아 언어학자 디나 가일리테(Dina Gailite)와 러시아 출신 라트비아 귀화 한국학자 나탈리야 얀소네(Natalija Jansone)가 공동으로 집필하여 1997년 고시된 표기법은 한동안 라트비아에서 한국어를 적기 위한 표준으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이 방식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먼저 한글이나 일반적인 로마자 표기법이 아닌 영어로 표기된 한국어 발음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원래 한국어 발음을 심각하게 왜곡하고 자모대조표에서 제기된 알파벳과 한글 자모간 연관성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전무하다. 게다가 공통 집필자 중의 한명이 러시아 출신이라는 점에서 당시 러시아에서 널리 쓰이던 홀로도비치-콘체비치 표기법을 다소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받침 ㅇ 표기를 모두 n으로 단순화하고 거센소리에 h 발음을 덧입힌 것들이 그 실례이다. 이렇듯 가일리테-얀소네의 표기법은 공신력과 논리적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널리 쓰이지는 못하였다. 언론에서는 대부분 한국에서 로마자로 표기된 명칭을 별 고민 없이 라트비아 현지 방식으로 발음하거나 위키피디어나 해외 언론에서 제공되는 발음을 그대로 적용하여 표기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하여 같은 사람의 이름이라 하더라도 통일되지 못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올바르지 못한 발음으로 잘못 알려지는 경우도 부지기수다. 이런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인이 소장직책을 역임했던 라트비아 대학교의 한국학 연구소와 라트비아 언어원(Latviešvu valodas Aģentūra)은 2018년부터 공동으로 한국 고유명사 라트비아 표기법을 제정하기 위한 연구 사업을 시작하였고 2020년 3월 고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인도유럽어족의 분파인 라트비아의 굴절어적 특성과 한국어의 아름다움과 음성학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원음에 가장 가깝게 표기하고자 했던 새로운 표기법 방식에 대한 고찰, 그리고 기존 방식과 현재의 방식을 비교하여 개선점 및 언어학적, 음성학적 난점으로 인하여 여전히 개선책을 찾지 못한 사안들을 제시하며 한국 고유명사 라트비아어 표기법의 효용성을 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 설계와 구축

        정채관 ( Jung¸ Chae Kw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사용 양상을 이해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설계하고 구축한 대규모 공개형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에 관한 소개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개 대학의 대학생과 만 20세 이상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 300명 이상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 화상회의 시스템을 사용하여 듣고 요약하여 말하기와 읽고 요약하여 평가를 각각 실시한 후, 유럽 공통 언어 기준(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을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의 영어 말하기 등급을 A1, A2, B1, B2, C1, C2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평가는 교육경력 5년 이상의 영어 원어민 3인이 교차 검토를 통해 결과를 검증하였고, 이후 연구 참여자의 음성 파일을 전사하여 텍스트화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참여 인원 237명, 총 474개의 텍스트, 36,588 토큰, 1,799개 타입을 포함하는 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가 완성되었다. KELSC에는 특정 대학이 아닌 국내 10개 대학의 재학생과 성인이 참여하였고, 시험 상황에서 인터넷이나 영어 사전 등 보조 수단이나 도구의 도움 없이 한국인 영어 학습자가 실시간으로 발화하는 것을 채집한 국내 최초의 공개형 한국인 영어 학습자 구어 코퍼스이다. KELSC가 우리나라 영어 학습자의 영어 말하기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희망하며, 이를 위해 KELSC를 국립인천대학교 코퍼스연구소 홈페이지를 통해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할 예정이다. This study is an introduction to the first large-scale public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designed and built in Korea to understand aspects of Korean learners’ use of English-speaking patterns. Over 300 ordinary Korean adults and students from 10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English-speaking performances were recorded using a real-time online video conferencing system. The result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ommon European Framework of Reference for Languages (CEFR) and their English-speaking was assessed on a scale with six grades: A1, A2, B1, B2, C1, and C2. For evaluation,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cross-examination by three native English speakers with over five years teaching experience at university level. The participants’ voice files were transcribed using MS Word 2019 and converted into plain text using Notepad++ v8.1.1. Through this process, the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KELSC, 켈스크), which involves 237 participants, 474 texts, 36,588 tokens, and 1,799 types, was completed. KELSC is the first Korean English learners’ spoken corpus in Korea to collect the real-time utterances of Korean English learners without the help of an English dictionary or the Internet, allowing it to be used in many ways for research purposes. KELSC will be available for free download if a user agrees to the terms of use through the website of the Institute for Corpus Research,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KCI등재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서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수-학습 방안 연구

        한혜민 ( Han Hae Min ),조영미 ( Cho Young Mi )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1 외국어교육연구 Vol.35 No.1

        본고는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문학을 활용한 한국어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로, 한국 내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와 해외의 한국학 부전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패러디 시 쓰기를 한국어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온라인 학습 도구는 Webex와 Zoom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홍콩의 <미디어로 배우는 한국어> 수강생 19명과 한국 내 <발표와 토론> 중국인 대학원생 20명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들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실시간 온라인 교수-학습이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며 한국어 및 한국문화를 학습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제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패러디 시 쓰기를 활용한 한국어문화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폭을 넓혔고 한국문화에 대해서도 학습자들 간에 활발한 의견교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가 차후 국내외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교수-학습 설계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도 기대한다. This paper is research on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using Korean literature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Targeted students were Korean minor students in Hong Kong taking < Korean Through Media > and Chinese graduate students in Korea enrolled in <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 This paper poses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al education through writing poetry using parody, utilizing Korean modern poetry. Webex and Zoom were used as the primary online tools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ough writing poetry using parody in a synchronous, online setting activates interaction among learners and proves to be effective i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Korean cultural class writing poetry using parody not only increased the learners’ interest and level of understanding regarding Korean literature, but also allowed learners to actively exchange ideas on Korean culture. Reflecting on student feedback, it was found that the anxiety of writing could be reduced and interaction among learners could be activated through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Drawing from such result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fundamental resource when other instructors desig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argeting domestic and foreign Korean students learning online synchronously.

      • KCI등재

        CIS지역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교육에 대한 소고 -한국어 교사 FGI를 중심으로-

        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1

        This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as a Korean language learners. The results of FGI and the survey of Koryeoin youths were combined to find out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CIS region. For this, FGI was conducted by nine Korea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Language Intensive Camp for Koryeoin youth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enagers as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as follows: the search for identity as Koryeoin,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enhanced grammar and writing, and the ability to use vocabulary closely related to Koryeoin‘s everyday life. Based on this,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done by using media and projects, strengthening exchange and cooperation programs with Korean youth, and using various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it was argued that not only Korean language proficiency but also Korean language pedagogy education was requir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yeoin language teachers, and that the improvement of the status and treatment of Koryeoin teachers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should be preceded. 고려인은 민족적으로 한민족이라는 의식은 있으나 한국어는 능숙하게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녀 세대에게는 한국어를 가르쳐야 한다는 의식의 고양과 한국의 경제적 발전과 한류 등의 영향으로 고려인 청소년들이 한국에 대한 관심과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 하는 마음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외동포재단에서 주최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캠프에 한국어교사로 참여한 9명을 대상으로 학습자로서의 고려인 청소년의특징과 이들의 한국어의 특징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또한, 이 결과와 캠프에 참여한 고려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하여CIS지역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 학습자로의 특징으로 고려인으로서의 정체성 탐구, 문법/쓰기가 강화된 한국어 능력, 고려인 일상생활에 밀접한 어휘 사용 능력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CIS 현지에서 이루어지는한국어 교육에 대한 제언으로 미디어, 프로젝트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 한국 청소년과의 교류 협력 프로그램 강화,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한국어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해 한국어 능력뿐 아니라 한국어 교수법 교육이 필요하고 전문적인 직무 수행을 위한 현지 교사의 지위와 처우에 대한 부분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