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NH TRA.NG NGHIE^N CU´U HA`N QUO^´C TA.I VIE^.T NAM VA` MO^.T VA`I D E^.NGHI.

        Kim, Ki Tae,Vie^.t, Khoa tie^.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998 東南亞硏究 Vol.- No.7

        베트남에서의 한국연구의 현황과 제의란 제목으로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한국연구기관의 살펴보고 우리 나라 정부의 재정 지원 현황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사회주의 공화국 베트남 내의 한국어 교육과 연구는 19992년의 12월 양국간의 국교가 정상화됨으로써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와 동시에 베트남에서 한국학연구가 시작된 것은 1993년부터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현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 문과이었다. 그러나 같은 해에 국립 하노이 종합대학 내의 동방학부 내에 일본학, 중국학, 한국학 그리고 동남아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또한 남부의 국립 호찌민 종합대학 (현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 대학)에서 1994년부터 한국학 강좌가 개설되었다. 베트남에서는 여러 대학에서 한국어 내지 한국학 강좌가 정규과정으로 개설되었으나 수도 하노이에는 국립 하노이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외국어대학 한국어과가 4년제로 학사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또한 남부의 호찌민시에서는 국립 호찌민 대학교 사회인문과학대학 동방학부 한국학과와 사립대학인 외국어 컴퓨터 대학내에 한국어과가 있다. 이들 4개 대학에서 배출하는 한국어 전공 학사는 매년 100여명 가량이다. 대학 이외에 한국학 연구 기관은 국립 사회인문과학원 내의 한국학 연구소가 일본 연구소 내에 1998년 설립되었으나, 아직 법인으로 베트남 정부에 등록되어있지 않으므로 활동이 매우 부진하다. 한국 정부를 대신하여 해외에 한국학과교육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한국국제교류재단(Korea Foundation)과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이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은 1994년부터 1998년까지 베트남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약 139,580달러를 지원하였다. 이 이외에도 삼성문화재단에서 KF에 기탁한 100만불에 대한 기금에 대한 이자로 베트남 매에 한국을 이해시키는 프로그램을 1997년부터 실행하고 있다. 또한 KF는 베트남 내의 한국학 연구자와 한국어 전공자를 한국에 초청하여 연수 프로그램을 계속하고 있는 이외에 한국학에 대한 각종 서적을 1994년부터 지원하고 있다. 한편 한국국제협력재단(KOICA)은 ODA자금으로 1992년부터 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KOICA의 베트남 내의 한국어나 한국학 지원은 한국어 교육 봉사자 파견이나 단기 한국어교육을 위한 베트남인 국내 초청에 한정되었다. 한국어 교육 봉사자는 1994년부터 1997년까지 27명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도 베트남내의 한국어 보급과 한국을 이해시키는 활동으로 주베트남 한국대사관 공보관이 있다. 한국 문화부의 지원으로 베트남인들의 한국 이해 프로그램인 Korean essay contest, 한국 역사교재 출판과 한국 전래동화 번역 사업 등으로 매년 약 2만불 가량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의 베트남 투자 업체나 종교기관등 NGO에서도 베트남에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 보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에서의 한국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나 한국학과가 개설된 대학과 국립 사회인문 연구소의 한국학 연구소에 대한 계속적인 재정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이와 동시에 한국학연구를 위한 우리 정부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이 요망된다.

      • KCI등재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안정민,김재욱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9 외국어교육연구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yeoin youths in Central Asia and present the case of Korean language immersion camp for Koryeoin youths. In this study, the objectives, processes, participant information, and the details of the camp program were discussed in detail. In addition, four evaluation indicators were set and measured for the evaluation of the camp program: satisfacti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action plan for setting goals after camp, and Korean identity efficacy. Students have generally been highly satisfied with this progra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nts' Korean ability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In this study, two suggestions were ad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oryeoin youths. The systematic pre-management and follow-up management should be continue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parents and teachers of Koryeoin youth should be continued. 이 논문은 한국어 사용 기회가 거의 없는 중앙아시아 지역의 고려인 청소년의 한국어와 관련한 특징을 살피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2018년에 진행된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 집중 캠프’의 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논문이다. 논문에서는 고려인 청소년을 위한 한국어집중캠프의 목적과 목표, 이를 구체화하기 위하여 시행된 현지 인터뷰 및간담회의 과정과 내용, 참가자 정보, 캠프 프로그램의 세부 내용을 자세히 다루었다. 또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의 평가를 위하여 네 가지평가 지표를 설정하고 측정했는데, 만족도 조사와 한국어 성취도 평가, 캠프 이후에 자신의 목표를 세우도록 하는 액션 플랜 세우기, 한국어와한민족 정체성 효능감 평가가 그것이다. 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어 집중 캠프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나 개별 프로그램에 대한 보완점에대해서는 추후 논의가 더욱 필요하다. 한국어 성취도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진단 평가에 비해 참가자들의 한국어 실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을향상시키고 캠프에서 배운 내용을 고국에 돌아가서도 지속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액션 플랜 세우기의 과정과 결과도 보였다. 새롭게 시도된 고려인 청소년들의 한민족 정체성 효능감에 대한 평가 도구와 내용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보완과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려인 청소년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두 가지의 제언을 덧붙였다. 한국어교육프로그램의 전과 후에 체계적인 사전 관리과 사후 관리가 지속되어야 한다는것과 고려인 청소년의 학부모와 교사들을 위한 한국어교육도 계속해서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노채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1

        This paper aims to analyze phonologically the errors made by Mongolian learners in producing Korean diphthongs. When Korean diphthongs input is given, Mongolian learners reanalyze and adjust it based on their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Mongolian vowel system and syllable structure, as reflected in their output. As Mongolian has a glide /j/, Mongolian learners do not have much difficulty in producing the /j/ diphthongs of Korean. They show errors in the Korean /j/ diphthongs; /ju/ and /jo/, which reflect the interpretation of the single vowel. Notable errors appear, however, in producing /w/ diphthongs of Korean. Mongolian learners pronounce the Korean diphthong /wi/ as [we] and [i], /we/ as [e], [ue], and [oe], /wə/ as [ə], [uə] and [ua], /wa/ as [a], [ua] and [oa]. These errors can be classified as glide deletion, vowel separation, and vowel reinterpretation, respectively. Finally, they produce [i], [ɨ], [ɨi] and [ui] for Korean /ɨj/, indicating that they do not grasp the structure of Korean /ɨj/ but realize it through vowel deletion, vowel decomposition and vowel reinterpretation. 본 연구는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 이중모음이 입력되면 몽골어 모음 체계의 내적 구조와 음절 구조를 바탕으로 재해석과 조정을 하여 출력한다. 몽골어에 활음 /j/가 존재하므로 몽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의 /j/계이중모음 산출에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ju/와 /jo/에 대해 오류를 범하는데 이는 단모음의 내적 구조의 해석이영향을 준 오류이다. 주목할 만한 오류들은 한국어의 /w/계 이중모음에서나타난다.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wi/를 [we], [i]로 산출하는 오류를 보이고 한국어의 /we/를 [e], [ue], [oe]로 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그리고 한국어의 /wə/를 [ə], [uə], [ua]로 한국어의 /wa/를 [a], [ua], [oa]로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이러한 오류들은 활음 탈락, 모음 분리, 모음 재해석으로 분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몽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ɨj/를[i], [ɨ], [ɨi], [ui]로 산출하는 오류를 범한다. 이는 한국어의 /ɨj/의 구조를바르게 인지하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 것으로 모음 탈락, 모음 분리, 모음재해석의 과정을 통해 산출된 오류로 분석할 수 있다.

      • KCI등재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zech-Korean Interlanguage

        김인천(Kim, Incho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3 No.-

        언어 유형론상 자신의 모국어와는 전혀 다른 체코어를 습득하는 한국학생들은 복잡한 체코어의 통사규칙을 배울 때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체코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전무한 단계에서 고급수준의 언어구사 단계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위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라는 자신들만의 특이한 언어를 발달시킨다. 즉 이 중간언어는 체코어 습득과정에서 한국학생들이 생성해낸 과도기적 언어형태로서 고유한 언어규칙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든 중간언어는 일련의 전형적인 오류 유형을 보이는데 그 오류의 가장 일반적인 근원은 모국어나 기타 학습자가 기존에 학습한 외국어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 한국학생들의 경우 가장 전형적인 오류는 전자의 경우 자신의 모국인 한국어 그리고 후자의 경우 영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한국학생들이 체코어 습득 시, 문장을 구성할 때 나타나는 한국어 간섭을 연구대상으로 삼고 있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밝히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의 체코어 문법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 특히 초급과 중급 과정의 수강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그들이 직접 생성한 체코어 문장들에서 나타나는 6가지의 가장 일반적 오류유형을 분석하였다. 한국어-체코어 중간언어는, 한국학생들이 외국어를 학습할 때 실제 언어사용(Parole)에 입각해 언어지식을 습득하기 보다는 고립된 언어지식으로서의 언어체계(Langue)를 주로 학습하고자 하는 성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Learning complicated and complex Czech syntactic rules presents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and greatest challenges for Korean students when they start to acquire a language so completely different as Czech is from Korean. Korean students learning Czech develop a special language on their own which represents a transitional level between the stage of no knowledge and the stage of highly advanced knowledge of Czech, referred to as Korean-Czech interlanguage. This is gradually developing system of the language of Korean students which has its own set of rules. Naturally, a series of errors occur in any kind of interlanguage and the most common source of the errors appears to be attributed either to the mother tongue or to some other foreign language a learner had learned. For Korean students, the typical error source is Korean in the former case and English in the latter case. This paper considers the interference of Korean syntax in constructing Czech sentences. To identify this interference, authentic utterances of Korean students from Czech grammar classes (esp.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 levels) at HUFS are used and 6 types of the most common errors are analyzed in this paper. The interference of Korean-Czech interlanguage is assumed to be resulted by the fact that Korean students learn the system (isolated knowledge of langue), but they lack experience and practice in speech (parole).

      • KCI등재

        동유럽 지역의 한국학의 현황과 과제

        박수영(Park, Soo-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6 역사문화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Korean Studies in East European countries which are after the fall of Soviet dominance undergoing the radical transforming processes. It is worthy to think about the future of the Korean Studies in these Young European countries, and especially to explore how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will support the efforts of the east european students in Korean studies. After the World War II the contemporary Korean Studies in East European Countries habe begun in the course of the polit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East for the most part as a subject of geopolitical and ideological area studies. But these originally political motivated projects had incited the various Interest in Korean history and culture in individual countries, which brought up also the divergence in the present stand of KoreanStudies. This is however nothing but surprising, because the foreign study is a kind of the cultural exchange and understanding which cannot be one-dimensional and unilateral. The academic interest in foreign culture and the readiness for its appreciation in general can be connected with cultural identity of it's own countries. So in this point the history and cultural identity of the concerned countries and especially the historical experiences with Korea play very important role. So I think, when we want to promote more systematically and efficiently the oversea Korean Studies, we ought to naturally stand by with more profound and intimate understanding with the concerned areas. By the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studies I suggest for the promotion of the Korean studies in Eastern European three specified themes: a) systematic collection of information and data of the Korean Studies which are dispersed in Eastern European countries, and the survey of these materials, b) examination of the shifting focus and basis of Korean Studies in Europe from country to area, c) the study on founding the Korean Cultural Center in Eastern Europe. 이 논문은 동유럽 지역의 한국학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21세기 세계화 시대의 젊은 유럽(Young Europe)으로 부상하고 있는 동유럽 지역에서의 한국학이 어떤 모습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에 대해 생각해보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할 수 있는 일을 모색해보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동유럽 사회주의권이라는 일반적 지정학적 조건에서 시작되고 발전해온 한국학은 그 보급과 확대의 정도에 있어서 개별 국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데, 그 이유는 이와 같은 문화교류와 수용이 일방적 전달이 아니라 상호소통이라는 특징을 갖는 것이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 사람들의 한국학을 수용하려는 태도는 그 지역 또는 국가의 역사와 정체성 그리고 한국과의 역사적 경험과 관련이 된다. 따라서 해외 한국학의 연구는 해당 지역에 대한 전문적 지식과 이해가 뒷받침되어 문화적 상호소통과 교류로서 한국학이 가능하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세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1) 냉전시기의 동유럽 국가들에 산재해있는 한국학 자료들을 발굴, 수집하고 평가하는 작업, 2) 유럽 지역 한국학을 거점중심 연구로 전환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 3) 한국학의 보급과 확대를 위한 지역 문화원 설립을 위한 연구.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동사 동형동소대등어의 머리자음의 대응관계에 대하여

        연구원자료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1 외국어교육연구 Vol.25 No.1

        현대 중국어의 동사 어휘와 이에 대조 가능한 [명사성 어근 + 동사성 어미 (~ 하다)] 유형의 현용 한국 초등학교 교육용 한자어의 대조 결과 중·한 동사 동형동소대등어는 586개로 통계되었다. 이중에서 AB : AB型의 이음절 동사 동형동소대등어 어휘는 567개로 전체 어휘의 96.76%를 차지하고 A : A型의 일음절 동사 동형동소대등어 어휘는 19개로 전체 어휘의 3.24%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동사 동형동소대등어에서 한국어의 머리자음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머리자음의 양상은 보다 다양하였으며 한국어의 파열음 ㄱ[g], 파찰음 ㅈ[dz], ㅊ[tch], 마찰음 ㅅ[s], ㅎ[h]이 모음 [i] 또는 [y] 앞에 선행할 경우 이에 대응되는 중국어의 동형동소대등어의 머리자음은 중국어의 파찰음 /j/[tc], /q/[tc``]와 마찰음 /x/[c]로 표기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국어와 한국어의 동사 동형동소대등어의 머리자음의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의 머리자음 /ㅂ/[b]은 중국어의 /b/[p], /p/[p``], /f/[f] 3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ㅍ/[ph]은 중국어의 /b/[p], /p/[p``], /f/[f] 3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ㄷ/[d]은 중국어의 /d/[t], /t/[t``], /ch/[ts``] 3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ㅌ/[th]은 중국어의 /d/[t], /t/[t``] 2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ㄱ/[g]은 중국어의 /g/[k], /k/[k``], /j/[tc], /q/[tc``] 4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ㅈ/[dz]은 중국어의 /d/[t], /t/[t``], /j/[tc], /q/[tc``], /zh/[ts], /ch/[ts``], /z/[ts], /c/[ts``], /sh/[s] 9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ㅊ/[tch]은 중국어의 /d/[t], /t/[t``], /j/[tc], /q/[tc``], /zh/[ts], /ch/[ts``], /z/[ts], /c/[ts``], /s/[s] 9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ㅅ/[s]은 중국어의 /j/[tc], /x/[c], /ch/[ts``], /c/[ts``], /sh/[s], /s/[s] 6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ㅎ/[h]은 중국어의 /k/[k``], /j/[tc], /q/[tc``], /x/[c], /h/[x], /n/[n] 6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ㄹ/[l(□)]은 중국어의 /j/[j], /l/[l], 모음 /i/[i] 3개의 음소, 한국어의 머리자음 /ㅁ/[m]은 중국어의 /m/[m], /w/[w] 2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ㄴ/[n]은 중국어의 /n/[n], /l/[l] 2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j/[j]는 중국어의 /l/[l], /r/[□], /y/[j], /w/[w] 4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w/[w]는 중국어의 /w/[w] 1개의 머리자음, 한국어의 머리자음 /Щ/[Щ]는 중국어의 /y/[j] 1개의 머리자음과 대응된다.

      • KCI등재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와 번역의 정치성

        이상경(Lee Sang ky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6 외국문학연구 Vol.- No.62

        This paper aims to retrace the processe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took place in Seoul, and thereby reveal the methods by which influence in the literary sphere of South Korea acted under the Cold War system and the results they produced, as a touchstone of the many issues and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by which a work of literature gains recognition in its linguistic sphere and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It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was bid for and organized, through newspapers, magazines, official materials from the event, and the selection of works published post-congress, to discuss how the ‘classic’ status is conferred upon certain works in a nation’s literary sphere as well as the politics of globalization in translation. The 37th PEN International Congress held by the International PEN Korea Center in 1970 in Seoul was a major international event supported not just by the literary sphere but by the power of the state as well. The process by which the congress was bid for, prepared and held,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the Asian Writers’ Translation Bureau for the publication of Asian Literature as a follow-up project, was the first time the Korean literary sphere gave earnest thought to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the congress, questions of how Korean literature should be introduced to international readers as well as which authors and works should be nominated for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were raised. In the discussion of such questions, serious and detailed consideration was given to which works should be translated and how, in order to transcend the borders of nation and language, in addition to whether Korean literature could become a part of global literature. 이 글은 문학작품이 자국어권에서 인정을 받고 외국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와 고민을 살펴볼 수 있는 하나의 시금석으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제 과정을 정리하면서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과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는 방식과 그 결과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 잡지의 기사와 행사 자료집 등을 통해서 제37차 국제펜서울대회의 유치 및 개최과정을 정리하고 그 후속 작업으로 나온 영역본 한국문학선집 등을 통해서 일국 문학의 정전화와 번역을 통한 세계화의 정치성을 따져보았다. 1970년 국제펜클럽한국본부가 서울에서 개최한 제37차 국제펜대회는 문단뿐만 아니라 국가 권력의 지원을 받은 거국적인 국제행사로 치러졌다. 이 대회를 유치하고, 준비하고, 개최하고, 또 그 후속 작업으로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 』을 발간하는 과정은 한국문단이 한국문학의 ‘세계화’를 진지하게 고민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대회 준비 과정에서 외국인에게 어떤 한국문학을 어떻게 소개할 것인지, 어떤 작가와 작품을 ‘노벨문학상’ 후보로 추천할 것인지 하는 문제가 제기되었고, 그 논의 과정에서 민족어와 국민국가의 테두리를 넘어서기 위해서 어떤 작품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 것인지, 그리하여 어떻게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일원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진지하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고민했다. 그 결과로 한국문학의 정전을 추려 번역한 한국문학선집을 내었고 ‘동양권’ 문학을 ‘서양권’ 독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아시아작가번역국을 설치하고 『아시아문학』을 3권 펴내었다. 그러나 이때에 이루어진 한국문학의 정전화 작업이나 번역 작업은 냉전 체제하 남한의 문단 권력 및 문단 외적 권력이 작동하면서 ‘순수문학’을 제도화시키는 편향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는 한계를 가진다. ‘아시아문학’ 담론을 선도하겠다는 계획 역시 냉전 체제 하에서 온전할 수 없었고 물적 기초 또한 빈약하여 일회적 사건으로 끝나고 말았다.

      • KCI등재

        폴란드에서의 한국문학 번역현황 및 전망

        최성은(Choi Sung Eun)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7 동유럽발칸연구 Vol.18 No.1

        폴란드에서 한국문학 번역은 한국전쟁 이후인 1950 년대에 시작되었으며, 이후 북한에서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한국어문학자들이 생겨나고, 바르샤바 대학교에 한국어문학과가 개설되면서 구체화되었다. 1989년 체제전환 이후 대한민국과의 교류가 본격화되면서 한국 문학 작품의 소개가 늘어났지만, 아직도 번역작업의 활성화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폴란드 출판시장에 소개된 한국 관련 저서들은 아직도 북한에서 출판된 것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무엇보다 현재 한국 문단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젊은 작가의 작품들은 번역, 출간 된 적이 없다. 앞으로 폴란드의 일반 독자들에게 21 세기 한국문화의 새로운 연모를 알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한국문학을 번역, 소개할 필요가 있다. 현 시점에서 폴란드 출판시장이 목말라하고, 폴란드의 독자들이 기대하는 21세기 형 외국문학 작품의 첫 번째 요건은 한국적인 감성과 범세계적인 정서의 적절한 조화라고 할 수 있다. 지금 폴란드 출판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베스트셀러를 살펴보면, 파울로 코헬료나 아멜리 노통브 처럼 국경을 초월하여 범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이라는 점에 주목할 펼요가 있다 장르를 넘나드는 독창적인 시도와 젊은 감각 또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오늘날 폴란드의 독자들은 영화나 TV 프로그램, 컴퓨터 게임 등 대중문화의 요소들을 실험적으로 도입한 작품들, 또는 기발하고 대담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화적 특수성이나 지역적 한계를 초월하여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작품들을 원한다. 그 밖에 작품에 대한 소개나 광고도 중요하지만 작가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를 통해 작가의 인지도를 최대한 높여서 그 작가에 대한 고정 독자층을 형성시킬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Poland had started in 1950's which is after the Korean war and had become concrete as the scholars of Korean literature who had come back from studying in North Korea had appeared and as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had been established in Warszawa University.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Korean literary works had increased as the exchange with Korea had become official after the change of system, the active translation is still not being accomplished. The writings related to Korea introduced in Poland's publishing market are still mostly consisted of the ones published in North Korea and most of all, there are no cases of works by young authors who are currently in active in Korean literary world being translated or published. In order to inform new features and diversity of Korean literature to general readers of Poland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translate and introduce various Korean literature. The first requisite of 21st century type foreign literary works expected by readers of Poland could be defined as adequate harmony of Korean sentiments and universal emotions. When we take a look at the authors who are getting attention in Polish publication market at this time, we need to focus on the fact that they are authors who are getting general popularity beyond the boundaries of countries such as Paulo Coelho or Amelie Nothomb. Also, the independent attempt and youthful sense which is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genres could also be called an important element. Today, the readers of Poland wish for works that have experimentally imported the elements of movies, TV programs or computer games, etc or the works that can communicate freely by transcend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r regional limits based on bold imagination. Moreover, although the introduction or advertisement on the work are also important, various strategies to form regular readers on the author by raising the prominence through intensive publicity is required.

      • KCI등재

        이민자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한국어 교재 내용 분석 연구

        문정원,안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20 외국어교육연구 Vol.34 No.3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in Korea and find out how composition factors of health literacy a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to improve immigrants’ health literacy. Immigrants in Korea often have difficulties due to a lack of communication skills required to live a healthy daily life and medical institutions. This study revealed the need for health literacy research for immigra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ainly dealt with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s, and not cover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basis for the analysis, the composition factors of health literacy assessment scales were explored, focusing on functions. Based on this, it appeared that the Korean education contents were particularly focused on specific composition factors. The same results were found when examined by the learners’ Korean language level. It is positive to suggest the use of hospitals and pharmacies from the beginner’s level, but there is a limit to developing practical health literacy. In addition, understanding and writing various forms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when using health and medical institutions is not mentioned in the textbooks. To improve immigrants' health literacy, practical education contents associated with health literacy should be presented in a balanced way with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본 연구는 건강문해력의 개념과 선행연구를 살펴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로 다루어진 이민자를 위한 건강문해력 연구가 한국어교육에서도 본격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지금까지 건강문해력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국내 이민자들은 한국에서 거주하면서 의료 기관뿐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빈번하다. 먼저 현재 국내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재에서 건강문해력의 구성 요인들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분석 준거로 건강문해력 측정 도구들의 구인을 살펴보았다. 그다음에 국내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내 건강문해력 관련 한국어교육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교육에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구인들을 기반으로 이민자 대상 교재를 분석한 결과, 교육 내용이 특정 구인에 특히 집중되어 있는 양상이 나타났다. 그리고 각 구인을 한국어 수준별로 살폈을 때 한국어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문해력 관련 내용이 더 빈번하게 제시되지만 다양성에 있어서는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병원, 약국 등 의료 기관에서 필요한 의사소통과 관련한 구인들에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초급 단계에서 병원, 약국 이용 등이 주제로 다루어지는 것은 긍정적인 측면이나, 학습자의 한국어 수준이 낮아 제시되어 있는 내용이 제한적이었으며, 실제성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더불어 보건·의료 기관을 이용 시 접할 수 있는 각종 자료 및 서식 등을 이용할 때 자신의 문해 능력을 적절하게 발휘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내용은 한국어교육 내용으로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이민자들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해서는 한국어교육과정 내에서 건강문해력 구인들이 균형적이고 효과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건강문해력에 대한 첫 연구로, 이 논문을 기초로 이민자들의 건강문해력 향상을 위한 실제적인 한국어교육 내용과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우크라이나 속의 한국’ 위키백과 제작 수업

        김석원,임영상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17 슬라브연구 Vol.33 No.4

        Korean Studies abroad encompasses research and education on Korean Studies in various countries worldwid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ies can be put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The first consists of exploring and researching Korean Studies in the traditional fields of study such as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The second deals with research on Korea as part of “regional studies.” The third includes efforts made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 in accordance with public diplomacy. However, the urgent problem of Korean Studies abroad today is that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rofessors and research personnel predominantly in the traditional fields of study,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odern, diverse, and popular way of education. Consequently, although many universities abroad face high demands in the beginner-level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many fail to complete intermediate and advanced stages of learning the language. The bleak reality is that the structure for the interest in Korea (the Korean Wave, interest in the local companies, etc.) to develop into the learning and completion of Korean Studies is weak and the lack of professors, who can teach Korean society, history, and literature along with the language, is keenly fel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 Kyiv National University is undergoing a similar situation and is need of education of students to explore Korea for themselves using the open web in the digital age. In response to such a problem, a class titled “Korean Information(한국정보)” can allow students to continuously manage and update a Wikipedia page called “Korea in Ukraine” and, therefore, more effectively raise interest in Korea and its culture. In mutual cooperation, students will be able to build “their own Korean Studies.” The authors have shared a precedent set by Digital Humanities Education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using it as a model, made a course plan for a class dedicated to creating “Wikipedia page ‘Korea in Ukraine.’” 해외한국학은 해외 여러 국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학 연구와 교육이다. 해외한국학의 성격은 대체로 세 가지 방향에서 논의되어왔다. 첫째, 문학, 사학, 철학 등 전통적인 분과 학문 영역에서 한국과 관련된 주제를 탐구하는 연구, 둘째, ‘지역학’으로서의 한국 연구, 셋째, 공공외교적 차원에서 수행하는 한국이해 확산 노력 등이다. 그런데 현재 해외한국학이 당면한 문제는 전통적 분과학문 중심의 교수 인력과 연구지원 체제인 반면에, 현대적, 다학문적, 대중적 관심의 교육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이다. 또 이로 인해 해외 대학마다 초급 교육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대하는데 상당 부분 중급, 고급과정 이수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한국’에 대한 관심(한류의 영향 등)이 ‘한국학’ 수요로 고양시킬 연계 구조가 취약하고, 언어와 함께 ‘한국의 사회, 역사, 문화’를 알려줄 수 있는 교수 인력의 부족을 절감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키예프국립대학교 한국어문학과도 비슷한 상황인데, 디지털 세계의 열린 환경에서 학생들 스스로 한국에 대한 탐구를 지속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학생들 스스로 ‘우크라이나 속의 한국(키예프국립대 한국어문학과)’ 위키백과를 지속적으로 구축하게 함으로써 한국/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제고시킬 수 있다. 열린 사이트인 위키 콘텐츠의 특성으로, 학생들은 상호 경쟁과 협력 속에 ‘나의 한국학’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자들은 <‘우크라이나 속의 한국’ 위키백과> 제작 수업을 위한 구성안을 작성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