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최근 5년간(1998~2002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각종 병원성 세균의 항균제 내성양상
하경임,김문연,이영현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목적 : 감염성 질환의 원인균이나 항균제 감수성 양상은 시대, 지역, 병원의 특성 그리고 대상 환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저자들은 1998년부터 2002년까지 최근 5년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주요 병원성 세균의 양상과 항균제 내성율 변화를 분석하여 감염성 질환 환자에게 경험적 항균제 치료시 적절한 항균제를 선택하고, 또 향후 항균제 사용관리의 기본적인 자료로 이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을 내원한 환자들 중에서 세균배양 검사가 의뢰되어 진단검사의학과에서 병원성 세균으로 분리 동정되었던 주요 그람음성 간균 및 그람양성 구균에 대하여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세균배양검사가 의뢰된 검체에서 균의 분리 및 동정은 통상적인 방법을 따랐으며, 분리된 균주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Kirby-Bauer 변법에 의한 표준 디스크확산법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주요 세균별 항균제 내성율은 다음과 같았다. E. coli는 cephalothin 33~51%, ceftazidime과 aztreonam 및 amilkacin에 2~10%, gentamicin 27~34%, ciprofloxacin 18~34%로 전국 다른 병원과 유사하였다. K. pneumoniae는 cephalothin 29~55%, ceftazidime과 aztreonam에 14~46%, amikacin 18~27%, gentamicin 5~38%, ciprofloxacin 1~13%의 내성율을 보였다. E cloacae는 gentamcin에 15~29%, ciprofloxci에 2~13%로 내성율이 낮았다. 그러나 E. cloacae는 1998년에서 2000년 사이에 ceftazidime 과 aztreonam에 61~84%, amikacin에 21~77%로 아주 높았지만 2001년 이후 39~42%와 9~10%로 전국 평균과 비슷하게 내성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S. marcescens는 amikacin에 49-60%, aztreonam에 35~60%, ciprofloxacin에 34~46%의 내성률을 보여 전국 다른 병원의 평균보다 높았으며 특히 Ceftazidime에 대한 내성율은 98년과 99년에 56%와 51%로 아주 높았지만 2000년 이후 7~l4%로 크게 감소하였다. P. aeruginosa의 항균제 내성율은 gentamicin 37~59%, ciprofloxacin 30~42%, imipenem과 amikacin 및 aztreonam에 대해서는 10~40%, 9~30%, 4~l7%, ceftazidime에 10~14%였으며 특히 imipenem과 amikacin에 대한 내성율은 2001년 이후 10-20%와 9-15%로 오히려 감소되었다. 또한 본원에서는 imipenem내성 장내 세균은 분리되지 않았으며 2001년과 2002년에 분리된 ESBL생성 E. coli와 K. pneumoniae 그리고 E. cloacae의 분리율도 1.8~2.2%, 6.8~8.6% 그리고 5.4~11.4%로 전국 12개 병원간의 평균 분리율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주요 그람양성 구균의 균주별 항균제 내성율은 S. aureus가 ciprofloxacin에 52~66%로, oxacillin에 56~69%로 연도별 내성율이 점차 증가되어 2001년 이후 MRSA의 분리율이 전국 다른 대학병원의 평균분리율과 비슷해졌으며, vancomycin이나 teicoplanin에 내성인 S. aureus나 CNS균주는 분리되지 않았다. E. faecalis은 1998년에서 2000년 사이에 vancomycin과 teicoplanin에 대한 내성율이 38~45%로 아주 높았지만 2001년 이후에는 vancomycin에 14~16% teicoplanin에 9~18%로 전국 평균과 유사한 내성율을 보였다. S. pneumoniae는 2001년 이전에 51 ~60%이던 oxacillin 내성율이 2002년에 70%로 높아졌다. 결론 : 최근 5년간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서 분리된 주요 병원성 세균이 항균제 내성율이 1998년~2000년에 비해 2001년과 2002년에 전국 평균과 유사한 내성율로 일정하게 유지되거나 일부 균주에서는 항균제 내성율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Background: Since the causal bacteria of infectious diseases or the antimicrobial sensitivity aspects can be varied by the times, regions, hospital characteristics, subjective patients, and the periodical analysis. Therefore, we analyzed the changes of the main pathogenic bacterial aspects, isolated in Dongguk Univ. Kyeongju Hospital for the latest 5 years from 1998 to 2002, and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to select the proper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infectious disease patients during the empirical treatment. Moreover, this study was initiated to usuage the results as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pertinent use and control of the antimicrobial agents in the future. Methods: We performed the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s for the bacteria isolated from the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through the bacterial culture tests requested for the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Dongguk Utiv. Kyeongju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2002.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 were followed by the general methods, and the antimicrobial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disk diffusion test by the modified Kirby-Bauer method. Results: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the pathogenic organisms isolated from Dongguk Univ. Kyeongju Hospital for 5 years from 1998 to 2002 were as follows. E. coli showed the resistance rate 33-5l% to cephalothin, 2-10% to ceftazidime and aztreonam, and amikacin, 27-34% to gentamicin, and 18-34% to ciprofloxacin, which were similar to the rates of other hospitals in Korea. K. pneumoniae exhibited the rate 29-55% to cephalothin, 14-46% to ceftazidime and aztreonam, 18-27% to amikacin, 5-38% to gentamicin, and 1-13% to ciprofloxacin, and especially, the resistance rate to aztreonam was highly shown to be 39% in 1999 and 37% in 2000, but was remarkably decreased to 23% since 2001. The resistance rates of E. cloacae were relatively low as 15-29% to gentamcin and 2-13% to ciprofloxacin, however, the r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o ceftazidime and aztreonam and to amikacin were respectively quite high as 61-84% and 21-77% from 1998 to 2000 but were rapidly decreased to be 39-42% and 9-l0% each as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s since 2001. S. marcescen showed the higher resistance rates as 49-60% to amikacin 35-60% to aztreonam, and 34-46% to ciprofloxacin in our hospital than other hospitals, and particularly, its resistance rate to ceftazidime was very high as 56% in 1998 and 51% in 1999 but was considerably decreased to 7-14% since 2000. The anitimicrobial resistance rates of P. aeruginosa were 37-59% to gentamicin, 30-42% to ciprofloxacin, 10-40% to imipenem, 9-30% to amikacin, 4-l7% to aztreonam, and 10-14% to ceftazidime, and expressly, the resistance rates to imipenem and amikacin were rather decreased each to 10-20% and 9-15% since 2001. Moreover, our hospital did not isolate an imipenem 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nd the ESBL-producing E. coli, K. pneumoniae and E. cloacae isolated in 2001 and 2002 were notably lower as 1.8-2.2%, 6.8-8.6%, and 5.4-11.4% for each isolate. S. aureus gradually showed the annually increased resistance rates as 52-66% to ciprofloxacin and as 56-69% to oxacillin, and the isolation rate of MRSA since 2001 was almost equal to other university hospitals of this country. S. aureus or CNS strain tolerant to vancomycin or teicoplanin was not isolated. However, E. faecalis had significantly high resietanre to vancomycin and teicoplanin as 38-45% between 1998 and 2000 but showed the demrased resistance rates as 14-16% to vancomycin and as 9-18% to teicoplanin since 2001, which were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s. S. pneumoniae showed the incrased rate of antimicrobial resistance to oxacillin from 51-60% in before 2001 to 70% in 2002. Conclusions: The r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of the pathogenic bacteria isolated from Dongguk Univ. Kyeongju Hospital for the latest 5 years were regularly maintained to be similar to the national averages in 2001 and 2002, compared with the rates in 1998-2000, or even some bacterial strains showed rather decreased rates of antimicrobial resistance.
문용,장서영,이윤정,이상구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연구목적 : 중국은 경제 발전 및 산업화의 급속한 진행과 더불어 개인기업체와 새로운 업종의 기업들이 나타나면서 산업활동에 종사하는 근로자 수가 계속 증가하여 2억5천만에 이르고 있다. 노동자의 건강보호와 산업생산성 향상을 위해 국가정책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면서 꾸준히 발전해 왔으며, 오늘날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산업의학 실태와 체계를 살펴보고 직업성 암 관련 연구의 현황을 고찰하여 문제점을 중심으로 향후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 및 방법 : 본 연구는 기술 역학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전반적인 중국의 산업의학을 조망하였다. 국가공식 자료인 중국위생연감 및 산업의학 관계 법령 등을 기초로 하여 중국산업의학의 실태와 제도를 알아보았다. 또한 최근 10여년 간의 관련 학술지를 조사하여 직업성 암 관련 연구의 현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기초로 관련 연구기관, 위생국 관리 등의 전문가들과 면담하여 문제점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 중국에서는 산업의학을 노동위생학이라 한다. 노동위생학은 예방의학 영역의 하나의 분과로써 한국에서의 산업위생과 산업의학을 모두 포함하고 있고, 종사자는 대부분 의사들이다. 노동위생학의 기본 목적은 불량한 노동조건에 대한 조사, 평가를 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하며 노동생산을 향상시키고 공, 농업생산의 순조로운 발전을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위생부와 공업부가 중심이 되어 전국 각 성(省), 시(市), 현(縣)에 4,012개의 衛生防疫站(1997년)과, 46개의 직업병병원(1997년)이 있으며, 일반 종합병원에는 직업병과가 있고, 공장광산기업에는 직원전용병원을 설치하는 등 산업환경측정, 기업에 대한 산업위생감독, 노동자들의 건강검진, 노동능력검증, 임직원훈련 및 홍보교육, 산업역학조사, 치료와 요양, 재활치료까지 모든 업무를 국가에서 직접 관리하고 있다. 또한 "직업병 범위 및 직업병환자 처리방법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여 (1) 직업성 중독, (2) 진폐증, (3) 물리적 요인에의한 직업병, (4) 직업성 피부병, (5) 직업성 전염병, (6) 직업성 안질환, (7) 직업성 이비인후 질병, (8) 직업성 암, (9) 기타 직업병 등에 관한 통계를 매년 발표하면서 이들 질환을 중점 관리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 역학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Arsenic and arsenic compounds, Coke production, Chromium compounds, Benzidine, Asbestos, Vinyl chloride, Bischloromethyl ether and chloromethl methyl ether, Benzene 등 8가지 물질로 인한 직업성 암을 인정하고 있다. 토의 및 결론 : 중국의 잘 정비된 산업의학 보고체계와 암에 대한 보고체계에도 불구하고 직업성 암에 대한 통계는 제대로 보고되지 않고 있다. 특히 매년 보고된 직업성 관련질환에서의 중국 위생통계에서 직업성 암만 제외되고 있다. 그 원인은 중국의 산업화가 시작된 시간이 짧아 잠복기가 긴 암 발생의 수가 적은 것과 의사들의 직업성암의 진단능력과 보고 의식이 저하되어 있고 국가가 진단 후 보상에 대한 부담 등 이유 때문이었다. 따라서 산업의학 관련 의사들을 중심으로한 직업성 암에 대한 교육의 강화,전반적인 암보고 체계에서 직업성 암의 보고 항목 추가, 보상자금의 조달 등이 중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Objectives : The number of laborer is extended to 250 million in recent two decades along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China. Occupational medicine has developed by national policy for health protection of laborer and increasement of productivity, so it has settled as a part of main scienc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evaluation of status and system about Chinese industrial hygiene, review of occupational cancer study and suggestion of improvement strategy. Methods : This study reviewed Chinese occupational medicine as a whole, by descriptive epidemiologic method. Materials for this were China annual statistics of hygiene and relative laws of industrial hygiene as official data. Relative journals for last 10 years are reviewed in order to investigate about occupational cancer research. By use of systematic interview with researcher of industrial hygiene institute and officials, we decide its main problems and suggest several stategies. Results : Occupational medicine is named labor hygiene in China. Labor hygiene is a specific field of preventive medicine and include industrial hygiene and occupational medicine. Labor hygienists are usually medical doctors. The primary goal of Labor hygiene is laborers' health protection, increasement of productivity and industry/agriculture development through investigation of poor condition of labor.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e ministry of health and industry established 4,012district health care center(1997), 46 occupational diseases hospital(1997), occupational disease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and firm hospital in the company all over the country. Then government controls all of them directly such as industrial environment measure, company supervision, laborers' medical examination, training, education, epidemiologic study, treatment, recuperation, and rehabilitation. The Ministry of Public Health published annual statistics about (1) occupational poisoning, (2) asbestosis, (3) occupational disease for physical factors, (4) occupational skin diseases, (5) occupational infectious diseases, (6) occupational ocular diseases, (7) occupational ENT diseases, (8) occupational cancer and (9) other occupational diseases. Now, recognized carcinogen in China are 8 substances such as arsenic and arsenic compounds, coke production, chromium compounds, benzidine, asbestos, vinyl chloride, bischloromethyl ether and chloromethyl methyl ether and benzene. Conclusion : In spite of well designed occupational disease and general cancer reporting system, occupational cancer is not properly reported in China. Especially occupational cancer is not included in occupational diseases report on China annual statistics for health. The reasons for under-reporting are suggested that long incubation period of cancer, lack of diagnosis ability and insufficient knowledge for it. Therefore, several strategies are suggested such as enforcement of education for labor hygienist, intensification of secondary medical examination for laborer worked in cancer related environment and regular reporting for occupational cancer in general cancer reporting system.
정태연,김덕윤,정희철,김남일,이재욱,양창헌,이창우,서정일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연구목적 : 만성 B형 간질환에서 라미뷰딘의 장기투여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1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에 내원하여 만성 B형 간질환으로 진단 받은 환자중 HBeAg과 HBV DNA가 양성이고 혈청 ALT가 40 IU/L 이상인 환자 81명(만성간염 75예, 대상성 간경변증 6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24예(29.6%)는 과거에 인터페론 치료를 받았으나 반응이 없었다. 평균나이 38.4세(17세~64세)이였으며 남자 63명, 여자 18명으로 남녀 비는 3.5:1이었다. 43예는 간조직 검사에서 만성 간염으로 진단된 경우이었다. 라미뷰딘 100 ㎎을 매일 6개월이상 (평균투여기간 21개월, 투여범위 6개월-63개월) 투여하였다. 라미뷰딘 투여전과 투여 개시후 1-3개월 간격으로 간기능검사, HBeAg, anti-HBe, HBV DNA검사를 시행하였고 HBeAg 혈청전환율, 치료종료 후 재발률 및 내성 발생률과 각각에 대한 예측인자를 조사하였다. 결과 : 대상환자 81명 가운데 30예(37%)에서 HBeAg 혈청전환이 되었고 이 가운데 26예에서 투약중지를 하였으며 이중 6예에서 재발을 보였다. 혈청전환을 제외한 51예중 18예(35%)에서 라미뷰딘 장기투여에 따른 내성을 보였다. 치료전 AST/ALT 치가 높고, HBV DNA치가 낮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HBeAg 혈청전환이 많이 일어났고, 치료전 HBV DNA의 정량적 수치가 높고, 치료기간이 길수록 라미뷰딘에 대한 내성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발은 치료기간이 짧을수록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 : 라미뷰딘은 장기간 투여시 높은 혈청전환을 보였지만 장기투여에 따른 내성발생이나 투약종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임상양상의 악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 Lamivudine, an oral nucleoside analogue, effectively suppresses HBV replication and improves liver enzymes as well as liver histology. Long term lamivudine therapy can induce the emergence of drug-resistant HBV strains in som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lamivudine, the breakthrough rate, and their relapse rate after HBeAg loss. Methods: A total of 81 HBeAg and HBV DNA positive patients (chronic hepatitis 75, cirrhosis 6) showing abnormal serum levels of aminotransferase for at least 6 months received 100 ㎎ of lamivudine once daily.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was 6-63 months (mean 21 months). Responder was defined as the ALT normalization with sustained suppression of HBV DNA and HBeAg loss. Therapy was stopped after HBeAg loss. Results: The cumulative HBeAg loss rates at 12, 18 and 26 months were 24.7% 28.4% and 37%, respectively. Serum levels of HBV DNA, AST and ALT before lamivudin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the therapy were in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HBeAg loss. The cumulative breakthrough rates at 12, 24 and 32 months were 7.8%, 25.5% and 35.3%, respectively. The HBV DNA level befor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were predictable factor for breakthrough. Therapy was discontinued after HBeAg loss in 26 patients. Most episodes of relapse occurred within 6 months after cessation of lamivudine therapy. The cumulative relapse rates at 6 months was 66%. A predictive factor for relapse after HBeAg loss by the therapy was the duration of lamivudine therap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e quantitative serum levels of HBV DNA, AST and ALT before lamivudine therapy and the duration of the therapy are dependent predictive factors for HBeAg loss. Lamivudine-induced HBeAg loss was not maintained after discontinuing the therapy.
박성동,김수성,구관민,이현경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폐 결절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보다 덜 침습적 방법으로 경피침생검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경피 침생검의 경우 크기와 위치에 따라 특히 결절이 1 ㎝ 미만이거나 중심위치(central position)에 있을 때, 진단의 정확성은 크게 떨어지고, 진단 기술 또한 상당히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악성종양의 가능성에 보다 무게를 둔 조기 진단이 보다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특히나 1 ㎝ 미만의 폐 결절에 있어서의 정확한 진단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동국대학교 포항병원에서는 2003년 4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경피침생검이 힘들것으로 판단되는 4례를 CT의 도움을 받아 결절내에 와이어를 삽입한 다음, 바로 수술실에 들어가 흉강경으로 결절이 포함되어있는 폐실질을 절제하였다. 흉강경수술이 예상되는 폐 결절의 수술에 있어 결절의 위치 표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hook wire를 사용하여 정확하고 최소 침습적인 진단이 가능하였다.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is preferentially considered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nodule because of its less invasiveness. However, it has less accuracy when the nodule is located in the central position or the size is less than 1 ㎝. Considering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of malignancy especially when the size of nodule is less than 1 ㎝, accurate diagnosis should be emphasized. From April to July of 2003, 4 cases with pulmonary nodule that seemed to be hard for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were selected in Pohang Hospital, Dongguk University. After hook wire was inserted inside the nodule under the CT guidance, the patients were brought to the operation room and lung parenchyme containing the nodule was resected by the thoracoscopy. It is very important to marking of localization of pulmonary nodule, therefore this strategy for pulmonary nodule by using hook wire provide patients accurate and less invasive diagnosis.
곽경필,송창진,사공정규,이광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자살은 정신과 영역에서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성공 둥은 응급정신의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자살의 위험성을 평가함에 있어, 가장 높은 위험성을 가진 대상으로 평가되나 교정 할 수 없는 자살 위험요인이 있고, 자살 위험의 가능성을 가지나 효과적인 치료로 수정 가능한 자살 위험요인들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 구분은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교정 불가능한 자살 위험요인에는 이전 자살 시도, 가장 최근에 자살 시도된 시기에 가졌던 자살기도, 성별, 인종, 연령, 결혼 상태, 경제적 상황, 성적 편향성 등이 포함된다. 적절한 조치에 의해 교정 가능한 자살 위험요인에는 불안, 무망감, 연속적인 치료, 정신과적 장애의 동반, 사회적 고립, 의학적 질환 등이 있다. 그리고 보다 객관적인 자살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해 현재 여러 가지 심리검사와 평가 척도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의 요인에 대한 조사와 평가는 자살시도나 자살사고를 가진 환자에 대한치료를 계획하고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s, and the specter of completed suicide form one of the core problems in emergency psychiatry. In the assessment of an individual at risk for suicid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actors that help to identify very high-risk individuals but that are not modifiable and the risk factors not only that place an individual at high risk but that may be modified by effective treatment. "Fixed" risk factors include previous suicide attempts, suicidal intent at the time of the most recent attempt, sex, ethnicity, age, marital status, economic situation, and sexual orientation.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include anxiety, hopelessness and life situation, access to means, continuity of care, psychiatric illness, social isolation, medical illness. There are many of psychometric scales included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Hopelessness Scal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and so on. These risk factors and psychometric scales operate as the foundation for treatment planning in those with suicidal ideation or who have made suicidal attempts.
김병우,류지근,박우진,박계원,김미정,임지은,백대현,최재덕,최윤호,이가현,이관,김덕수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2 東國醫學 Vol.9 No.1
수면, 기억 그리고 학습의 연관성은 실제 매우 복잡하다.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명확한 연구결과는 아직 없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평소와는 달리 시험 전날 수면 변화 양상이 집중력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이용해 효율적인 수면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동국대 의대 본과 1학년생 중 지원자 30명과 본과 2학년생 10명을 대상으로 평상시 상태와 시험 직후 수면이 부족한 상태에서 각각 K-PES TEST를 실시하여 총 8항목에 걸쳐 암기력, 판단력, 단순반응의 변화정도를 검사하였다. 또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인자들도 파악하였다. 수면량에 대한 부호 숫자 짝짓기(순간 판단력)을 검사한 결과, 인간의 최대 생리학적 기능은 꼭 수면부족에 의해 좌우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수면감소는 피로를 증가시키고, 동기부여를 감소시키나 단, 새로운 사실을 학습하는 데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즉, 수면부족으로 장시간 깨어있는 것은 정확성과 반응성을 떨어뜨린다. 흡연에 대한 부호 숫자 짝짓기(순간 판단력)을 검사한 결과, 니코틴의 수면에 대한 상호관계는 알려지지 않았고, 인간의 감정이나 의식,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있지만, 장기적은 측면에서 흡연이나 알코올은 인식능력과 무관한 것 같다. 카페인에 대한 숫자 외우기(암기력)검사 결과, 카페인은 spacial selective attention에는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지만 지각과정이나 주의 집중에 큰 효과를 주며, 인간의 의식 수행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 즉 카페인은 활력, 혼란, 피로상태를 변화시키고 visual analog scales에서 휴식상태에 가까운 양상을 나타낸다. 또 48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지 않은 사람에게 카페인은 집중력과 장시간의 좋은 기분을 유지하게 하였다. 그러나 규칙적, 비규칙적으로 먹는 사람간에는 인지수행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상용자에서는 상당한 내성이 보인다. 수면패턴에 대한 숫자 더하기(순간 판단력)검사 결과, 집중력은 수면패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고, 수면패턴이 바뀌게 되면 순간판단력을 저하시킨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relationship of sleep and attention, and to control sleep effectively. We conducted a K-PES test of 40 medical students. K-PES contains eight elements, for example, simple response, selective response, color pairing, OddEven discrimination, number addition, number-symbol matching, memory, right-tapping, left tapping. Through these, we tested changes of memory, judgement, simple response. And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exclude bias.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s of number-symbol matching test, we know that sleeplessness is not complete responsible for physiologic function for humans. But, decreased sleep increases fatigue and decreases motivation, but no influence on learning new materials. So, long term sleeplessness decreases precision and responsibility. As a results of number-symbol matching test on smoking, a relationship of nicotine and sleep is not certain. A point of view in long term period, smoking and drinking is not related cognition, even if we know that those influence mood, consciousness and cognition. As a results of memory work test on caffeine, caffeine does not influence spacial selective attention, but mainly does perception, attention and consiousness process. Namely caffeine changes energetic activities, chaos, fatigue states and shows resting state in visual analog scales In sleeplessness for 48 hours, caffeine produced attention and good mood for a long time. But, in case of cognitive process no significance shows in regular or irregular diet. Regular diet shows high resistance. As a results of number addition test on sleep patterns, seep patterns influence attention, changes of sleep patterns decrease a moment judgement.
35세 이상 고령산모의 임신과 출산에 대한 임상적 연구
황지영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목적 : 35세 이상의 고령산모에서 연령이 임신과 출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향 후 이들의 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4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2,526명의 산모 중 35세 이상 산모 183명을 연구군으로, 이 기간동안 분만한 25세에서 29세 사이의 산모 150명을 대조군으로 설정한 후 통계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35세 이상의 고령산모는 전체의 7.24%였다. 고령산모군에서 전치태반, 남아분만, 비정상태위, 저체중아, 거대아, 철결핍성 빈혈, 조기진통 등이 대조군보다 높았으며, 조기분만, 임신성 고혈압, 제왕절개 분만은 고령산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고령산모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산전 합병증이나 분만방법의 결정, 신생아 상태에서 좋지 않은 결과를 보이는 경향은 있으나, 철저한 산전관리를 통해 예측 가능한 합병증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분만방법에 있어서도 적절한 적응증을 적용하면 제왕절개술의 빈도는 감소시키고, 비교적 양호한 임신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Objective: We studied the effects of the age factor in pregnant women who are over the age of 35 on pregnancy, parturition and verified its usefulness in the future managements of the old aged pregnancy. Methods: Out of 2,526 mothers who delivered in Dongguk university hospital from April 2000 to June 2003, we selected 183 mothers who aged more than 35 years as a study group, and 150 mothers aged between 25 and 29 years as a control group. We then statistically evaluated and analyzed the two groups. Results: Study group consumed up to 7.24%. Placenta previa, male birth delivery, abnormal presentation, low birth weight, iron deficiency anemia and preterm labor were noted more in the study group. Likewise, preterm delivery,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cesarean sec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study group. Conclusion: Pregnancy in old age is currently a rising trend. Whlie they might have the tendency to show prenatal complications, neonatal complication and difficult decision making in delivery method,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presumable complications by adequate antenatal care and appropriate selection of delivery method can reduce the section rates and obtain relatively successful pregnancy outcome.
정재열,Seo, Yu Kyong,김애숙,이선주,조성민,이동석,김두권,최성민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7 東國醫學 Vol.14 No.1
현재 한국에서 1990년 이후로 약 3년마다 전국적인 역학적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있으나, 경주 지역에서의 역학적 연구 결과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 7년 동안 경주 지역 가와사끼병 환자에 대한 역학적인 고찰과 함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0년 1월 1일부터 2006년 12월 31일까지 7년 동안 동국대학교 경주병원 소아과에 가와사끼병으로 입원한 환자 총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증상, 검사 소견 및 심초음파 검사에 의한 관상동맥 합병증 등을 의무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가와사끼병의 남녀 비는 1.7:1이었고,평균 나이는 약 32개월이었다. 각 계절별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정형 가와사끼병은 83%, 비정형 가와사끼병은 17%였다. 양측성 결막 충혈 93%, 입술의 홍조 및 균열, 혀 , 구강 발적 등이 93%, 부정형 발진 91%,손발의 경성 부종과 홍조 80%,급성기의 비화농성 경부 림프절 비대가 52%의 빈도로 각각 발현하였다. 관상 동맥류는 7%에서 발생하였다. 관상 동맥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 인자를 보면, ALT(p=0.04), 알부민(p=0.008), CRP(p=0.027), IVIG 초회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p=0.001), 농뇨(p=0.046)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고용량의 IVIG의 초회 치료에 반응하지 않은 경우는 14%였다. IVIG 초회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군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 인자를 보면 AST (p=0.019), ALT(p=0.003), ESR(p=0.017), 농뇨(p=0.047)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경주 지역 가와사끼병의 임상 양상은 다른 연구 결과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가와사끼병에서 관상통맥류의 위험 인자도 다른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From 1990, nationwide epidemologic studies of Kawasaki disease have been conducted every 3 years in Korea, yet no study has been reported from Gyeongju. We investigated epidemiology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awasaki disease in Gyeongju for 7 year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100 Kawasaki disease patients, admitted to the Dongguk University Hospital Pediatrics from January 1st, 2000 to December 31st 2006, based on clinical symptoms, laboratory findings and coronary artery cumplications by echocardiography. Male tu female ratio was 1.7:1 and mean age was 32 months. There was no seasonal variation. Incidences of typical and atypical Kawasaki disease were 83% and 17%, respectively. Incidence of occurring symptoms were as follows: 93% of conjunctival injection; 93% of lip redness fissuring, tongue and oral erythema; 91% of amorphous skin rash; 80% of hand, foot erythema and edema; 52% of non-purulent cervical lymph node enlargement. For others, 46% of pyuha. 7% of coronary artery aneurysm was noted. Significant predictable risk factors for coronary artery aneurysm were ALT(p=0.04), albumin (0=0.008), CRP(D=0.027), nonresponsiveness to initial IVIG(intravenous immunoglobulin) treatment(p=0.001) and pyuria(p=0.046). 14% of patients were unresponsive to initial high dose IVIG treatment. Significant predictable risk factors for initial IVIG treatment failure were AST(p=0.019), ALT(p=0.003), ESR(p=0.017) and pyuria(p=0.047). The results of our study on epidemi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Kawasaki disease in Gyeongju were similar to other studies. Also, predictable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aneurysm and initial high dose IVIG treatment failure were as similar as in other studies.
일부지역 대학생들의 미용시술 경험률과 건강장해에 대한 인식
최창원,노상미,양혜민,강태석,김태구,이다현,엄세준,이진영,배근량,정철,정해관,임현술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연구목적: 최근 신세대에게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모발염색, 이어링, 피어싱, 문신, 미용 성형수술 등의 미용시술의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 17일에 경주시 소재 3개 대학교 재학생 566명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는 모발염색, 이어링, 피어싱, 문신, 미용 성형수술 등의 경험률 조사와 시술장소, 시술장소의 위생정도, 시술 이후 부작용의 유무, 부작용 발생 이후 치료방법 등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였다. 결과: 대학생들의 미용시술 경험률은 91.9%이었으며, 여학생과 남학생에 있어 경험률의 차이는, 여학생의 경우 모발염색, 이어링과 미용 성형수술의 경험률이 높았고, 남학생은 문신 경험률이 높았으며, 피어싱의 경우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미용시술 장소로는 대부분이 병원이 아닌 불법 시술소가 대부분이었으며, 시술장소의 위생정도는 보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위생 정도에 관심이 없다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부작용 빈도는 약 l0% 정도였다. 결론: 대학생들에게 미용시술이 보편화되고 대중화되었음을 알 수 있으나, 올바른 시술방법과 부작용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미용시술에 따른 부작용의 심각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미용시술에 따른 부작용의 심각성에 대해 교육하고 홍보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was to catch the state and the problem of esthetic procedures popularized recently to the new generation and to show the solu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ing 566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ju was performed by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t 17. September 2003.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on experience rate of hair dyeing, earrings, piercing, tatto, plastic surgery and the operating place, state of sanitary of operating place, the presence of adverse effect and treatment methods of the adverse effect. Results: The experience rate of esthetic procedure among university student was 91.9%. The experience rate of hair dyeing, earrings and plastic surgery was high in female, and the experience rate of tatto was high in male student and that of pierc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esthetic procedure was performed at a illegal place most commonly, not at a hospital. And then state of the sanitary of the operating place was medium The prevalence of the adverse effect was about 10%. Conclusions: The esthetic procedures was universal and popular to the university students, but university students was not aware of the operating method and advere effect. Thus, further investigations are warranted to assess the seriousness of esthetic procedures, and to educate and inform the seriousness of adverse effects of esthetic procedures to university student will be necessary.
Current status of anti-smoking policy and activities in Korea and medical doctors' role
Sung, Nak Jin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3 東國醫學 Vol.10 No.2
배경 :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 성인 남자의 흡연율이 높은 나라이다. 환자 교육, 본보기 역할, 금연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의사들이 금연 운동에 적극적 역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의미에서 현재의 금연운동 및 금연 정책 실태와 의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의사들의 역할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방법 : 금연 관련 자료를 위해 한국금연운동협의회, 보건복지부, 한국소비자연맹, 일간지 홈페이지를 검색하였다. 논문검색을 위해서는 종합의학논문검색 사이트인 의학연구정보센터, 금연에 관련이 많은 대한가정의학회, 대한예방의학회, 한국보건행정학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였다. 결과: 1995년 발효된 국민건강증진법은 금연운동에 효율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였지만 추후감독이 느슨하여 효과가 예상보다 크지는 않았다. 대한금연협회, 대한소비자연맹이 금연운동 활동을 주도하는 비정부기구이다. 낮은 담배가격, 법질서 미준수, 군인에게 세금 면제된 담배지급, 문화적 요소, 담배에 대한 정부관련단체의 상반된 태도 등이 높은 흡연율에 기여하였다. 관련단체 및 종합검색사이트에서 찾은 금연 정책관련 논문은 6개 뿐이었다. 1990년대 중반의 조사에서 가정의의 27%, 남자 의과대학생의 48%가 담배를 피우고 있었다. 결론 : 연구를 통한 금연정책에 대한 의사들의 관심과 금연 동기유발을 위한 본보기로서의 의사의 역할은 미약하였다. Background: Medical doctors are needed to make much effort to anti-smoking activities such as related research, patient education, role modeling and so on because smoking prevalence is very high in Korea. In this context, the author searched analyzed the data about current status of smoking cessation campaign, anti-smoking policy, and medical doctors' role in smoking cessation.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net search of related web sites and journals. Result: The Public Health Promotion Law, announced in 1995, was expected to play an effective role in anti-smoking activities. But, strict surveillance was not done. Korean Association of Smoking and Health and Consumers Union of Korea are two leading non-governmental organization for anti-smoking activity. Many factors such as low tobacco price, low law-observance, tax-free tobacco supply to soldiers, cultural factors, contradictory message from governmental agency, might contribute high smoking prevalence. There were only 6 articles related to anti-smoking policy in homepage searching of Medric,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Korean Society for Preventive Medicine, and Korea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27% of family physicians and 48% of male medical students were smokers in the middle of 1990s. Conclusion: Both medical doctors' attention to anti-smoking policy through research and doctors' anti-smoking activities as role modeling were wea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