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동욱 ( Dong Uk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개소 주년을 맞아 남명학연구소를 중 20심으로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에 대해 시기별로 발전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준으로 1990년 이전과 남명학연구소 설립 후인 1990년부터 2011년까지를 남명선생 탄신 500주년이 되는 2001년을 기점으로 삼아 전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에서 남명 조식 선생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시점은 1980년대 후반이다. 1980년대 후반 김충렬 교수에 의해 학계에 알려지기 시작한 남명학은 1990년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을 기점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왔다. 남명 중심의 연구에서 범위를 확대해 남명 제자들을 통해 남명사상의 계승 양상을 구명해 남명 정신이 우리나라 선비 정신의 본보기로 인식하게 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2001년 남명탄신 500주년을 맞아 남명학과 다른 학파와의 비교를 통해 16세기 유학사에서 남명학의 특징을 학계에 널리 알렸으며, 외국 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남명학의 국제화에도 많은 기여를 했다. 지금껏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남명과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남명학 연구의 발전 과제도 적지 않다. 20여년 동안 ‘남명’ 이란 주제로 수많은 연구 성과물들을 세상에 내놓았지만 아직 남명 선생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인지도는 적어도 경남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굳이 퇴계선생과 비교하지 않더라고 남명의 정신과 학문이 우리나라 대표적인 선비정신의 표상으로 전 국민들이 인식할 때 까지 관계자들의 꾸준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In Korea, Nammyeong Josik teacher research began in earnest on the point is in the late 1980s. In the late 1980s, Nammyeonghak known in academia for the first time by Professor gimchungryeol has been a breakthrough, nammyeonghak Institute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ounded in 1990 to begin. Nammyeong center to broaden the scope of the study, so Succession patterns of Nammyeong thought revealed by his disciples, so the spirit nammyeong Korea as an example of the scholar to recognize the spirit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2001, at 500 anniversary of the birth of nammyeong, nammyeonghak and by comparison with other schools in the 16th century, yuhaksa nammyeonghak widely in academia have been notified of the feature, through exchanges with foreign scholars contributed much to the internationalization of nammyeonghak. So far as R & D Center,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nammyeonghak nammyeonghak nammyeong and steps are being par for the study. Nammyeonghak development challenges, but also myriad of research. Over 20 years ``nammyeong`` as the subject of numerous research results released to the world, but still nammyeong teacher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does not seem to be at least in Gyeongnam is terrible. Compared with the teacher, even if you do not bother Toegye, nammyeong the spirit of the country, and leading academic scholars in the spirit of former officials until people recognize that you need constant attention and looks. Nammyeong for teachers identify academic efforts of the past 20 years has been recognized in academic circles. But for the disciples of nammyeong research, research on nammyeonghak par soon have a lot yet further support. A study of some of his disciples as revealed Naeam actively progressed, but, for many students, including suwoodang research is the beginning stage. Study of young researchers to improve conditions there is an urgent task. Nammyeonghak Institute, focusing on hanmunhak and their emissions, but many young researchers, nammyeonghak personnel involved in the research that is just a few. Different circumstances, but the active support of school authorities to create conditions through research and young researchers to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nammyeonghak also think it`s important to create an atmosphere.
강동욱 ( Dong Uk Ka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본 논문은 우리나라 남명학 관련 연구기관의 설립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연구기관들이 나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우리나라 남명학 연구의 발전에 보탬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다.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설립 22주년을 기점으로 하는 글이니만큼 경상대학교 남명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관련 연구기관을 살펴보고 또한 우리나라 유학 인물관련 연구소들의 설립과 활동 상황도 살펴보았다. 2001년 남명선생 탄신 500주년을 계기로 남명학 연구는 外延的으로 많은 확대를 꾀했다고 할 수 있다. 국제학술회의 등 다양한 학술 활동을 통해 연구자들도 많이 늘어났다. 앞으로 남명학연구소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물을 기반으로 남명학의 대중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지역 거점대학인 경상대학교의 대표적인 연구기관으로 자리를 잡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선비문화연구원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남명학 연구기관으로서의 자리매김을 할 수 있도록 많은 인력 양성과 다양한 학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하겠다. This paper was written for examine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ions related on the Korea Nammyeonghak, and present direction that this research institutions have to get on based on that reflection. Purpose is to be a boon to the development of Korea nammyeonghak research. Because this paper`s starting point is 22years anniversary of foundation of Nammyeonghak laboratory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 searched related research institutions revolve around Nammyeonghak laboratory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also searched about foundation of Korea laboratory of Confucianism person and their activities. With 500years anniversary of birth of teacher Nammyeong on 2001 as a momentum, Nammyeonghak research could attempt a lot of extensivo expansion. Studier increased through various academic work including World Conference. In the future, Nammyeonghak laboratory should take considerable pains to popularization of Nammyeonghak based on products of study and should be located as represantative research institutions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s university of regional hub. As well necessity that construct new paradigm through training a lot of manpower and multidisciplinary fusion is on the rise for positioning as Nammyeonghak research instituions that can offer theoretical basis of Korea Institute of classical scholar culture.
이정희 ( Jeong Hee Lee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1989년부터 고서실을 설치하여 운영해오다가 2001년 10월 지역민의 도움으로 대학 내에 南冥學館이 건립되자, 고서실을 남명학관으로 이관하고 ‘文泉閣’으로 명명하여 재개관하였다. 문천각에서는 남명학 연구의 기초자료가 되는 경남지역 민간소장 고문헌을 다년간에 걸쳐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문천각에서는 이렇게 수집된 고문헌의 원본은 영구보존하고 활용성은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고문헌 디지털화 계획을 수립하였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2004년부터 행정안전부 <국가DB 구축사업>을 유치, 2011년 남명학 관련 고문헌을 디지털화한 <남명학고문헌시스템> 개발을 완료하였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은 남명학 관련 문헌, 유학자 문집, 기록류, 고서 해제, 고문서, 책판 등을 디지털화여 인터넷을 통하여 대국민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남명학고문헌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남명학 연구의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었고, 나아가 남명학 연구가 전국화·세계화 될 수 있는 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되었다. 경상대학교 도서관은 이 사업을 통하여 2010년 교육과학기술부 대학 도서관 특성화 평가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11년 교수신문·국가브랜드위원회·교육과학기술부가 공동 주관한 <대학의 유산, 한국의 미래다>에 선정되기도 하였다.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Library has been collecting old books and local archival materials since 1989 when it established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s, which was then housed in the university library building. In 2001, the department was renamed ``Moon Cheon Gak(文泉閣)`` and moved to Nammyong(南冥) Hall, a building newly erected in memory of a leading scholar of the Choseon Dynasty. Moon Cheon Gak consists of the Preservation Division and the General Division. The Preservation Division preserves old threadbound books, engraved wood blocks, and archives. The General Division houses modern photocopies of old books, genealogical data, and has rooms for exhibitions. The Department of Archives and Special Collection, Moon Cheon Gak, has now started to digitalize various kinds of old materials as part of a nationwide data base digitalization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aim is to promote the history and culture of Western Gyeongsang. The digitalized materials include collections of Confucian scholars` writings, documents, exhibition of important old books, and engraved wood blocks. The data base uses high resolution color imaging and replicates the experience of looking at the authentic document You can search the data base by using advanced search terms such as family name, last name, adult name, nom de plume, ancestral home, residential place, and birth date and year. Original images allow you to check or compare whether there are any missing letters or misprints in modern versions. The Nammyong collections are housed in Nammyong Hall and managed by Moon Cheon Gak. The books, documents, and archival materials made accessible online were selected among the materials in the Department. The collections form a unique research resource for the study of Master Jo Sik(1501-1527), whose most well-known nom de plume was ``Nammyong`` or ``the Great Southern Ocean``. Nammyong was a well-known scholar from the mid Joseon Dynasty,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in scholarly circles west of the Nakdong River in the Gyeongsang region.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본고는 지난 20여 년간 진행되어온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를 종합, 검토하는 논문이다. 지금까지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아주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 왔는데 본고는 그 중에서도 특히 남명학파의 거시적 동향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 논문을 모아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대상 논문은 우선 통시적 연구와 시대별 연구로 나누었으며, 시대별 연구는 다시 남명학파의 형성 및 전성기에 관한 연구, 남명학파의 몰락 및 쇠퇴기에 관한 연구, 남명학파의 부흥기에 관한 연구 등 세 시기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사실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통시적 관점의 연구는 주로 남명학파의 동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는데, 인조반정의 가해자와 피해자 가운데 피해자에 해당하는 북인만 연구해온 것이라 볼 수 있다. 그 결과 남명학파의 공(共)보다는 과(過)가 부각되었다는 점을 부인하기는 어렵다. 가해자인 서인에 대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입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것이다. 시대별 연구도 자료의 한계성 때문에 더 이상 크게 진보할 가능성을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자료 발굴은 물론 자료 해석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자세로 임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this article, I put together several studies related to the Nam-myoung school which have been progressing for last twenty years. So far, the studies on the Nam-myoung school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I particularly collected data containing macroscopic movements of the Nam-myoung school and carried out an analysis of those papers. They were divided into diachronic study and periodic one, and the periodic study was divided into three parts: formation and golden age of the Nam-myoung school, collapse and decadence of the Nam-myoung school and rehabilitation of the Nam-myoung school. Actually, the macroscopic studies have been proceeded mainly with the movements of the Nam-myoung school. They were focused on only the North-party(北人) which was the victim of ‘The coup of Injo’ between the victim and the assailant. As a result, it is hard to deny that the fault of the Nam-myoung school was magnified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of theirs. If we study the West-party(西人), the offender in parallel with the North-party(北人), multilateral study will be made. It is hard to find the possibility of progress in the periodic study because of its limitation of data. To overcome this problem, we need not only to excavate materials but also to engage in the interpretation of data actively.
기획논문 : 남명학(南冥學) 연구저술(硏究著述)에 관한 간고(簡考)- 철학사상(哲學思想)을 중심으로-
손흥철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6 No.-
이 글의 주제는 “南冥 曺植(1501~1572)의 학문에 대한 연구저술의 성과에 관한 분석”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다섯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남명집』과 譯註本의 종류와 그 특징. 둘째, 초기 남명학연구의 문제형성과 관련된 저술. 셋째, 남명학연구의 다양화와 심화정도. 넷째, 퇴계학과의 비교연구의 내용과 의미. 다섯째, 南冥學의 傳承에 관한 두 유형에 관한 분석이다. 이상의 문제에 대한 연구결과 첫째, 『남명집』에 대한 판본정리와 定本化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남명학의 학문적 사상적 특성을 정리할 때 틀에 박힌 類型化를 지양해야 한다. 셋째, 단순한 비교보다는 남명학의 독창적 성격이 무엇인가를 밝혀야 한다. 넷째, 南冥評傳의 저술이 꼭 필요하다. 다섯째, 남명학파와 門人 등 남명학 전반에 관한 체계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동안 남명학 연구저술은 대부분 개인이 이미 발표하였던 연구논문을 주제별로 엮어서 출판하였거나, 기획된 목적에 따라 전문연구자들의 개별적 연구논문을 모아서 편집한 책들이다. 이러한 상황은 남명학의 정확한 정체성을 밝히거나, 남명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함을 말하는 것이다.
기획논문 : 남명 연구 성과의 회고와 전망-정치 분야에 대한 소고
심흥수 ( Heung Su S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지금까지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그 동향을 밝혀 앞으로의 남명학 연구의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여기서 남명학은 남명 조식(1501-1572)과 그의 문인 집단인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는 1947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2000년까지의 연구는 거의 대부분 교육사상 일반에 집중되어 있다. 그것도 남명에 편중되어 연구되었다. 2000년 이후는 남명학의 교육부분에 관한 연구가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200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자가 새로운 방법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고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가 남명학의 교육부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명의 문인에 대한 개개인에 대한 연구가 남명학파라는 문인집단을 중심으로 연구의 방향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접 학문의 연구방법이나 결과를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는 첫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교육에 관한 다각도의 연구와 남명학의 계승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역사 속에서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향촌사회에서의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영향이 향촌사회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향촌사회 변화와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세 번째로 남명과 비교될 수 있는 사람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교육사에 있어서 남명과 남명학파의 위상을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로 남명과 남명학에 대한 연구에 현대 서양교육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지속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찾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영역에 있어서의 남명과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교육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고 나가가 미래 교육발전의 방향을 제공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fold: 1) to assess research papers written on the sixteenth century Great Teacher Cho Sik(曺植, 1501~1572, referred by his nickname Nam Myung from here on), which focus on political aspects of his life; 2) to find out why such research papers are scarce; and 3) to suggest how the current state of the discipline can be rejuvenated. Despite two previous reviews lamented on the scarcity of political analyses of Nam Myung, the results are positive but not satisfactory. They are positive in that a number of research efforts have in recent years increased, political scientists by training have appeared in the discipline, and some analysts began to examine not only Nam Myung`s political thoughts but also his other political aspects of his life. They are not satisfactory for the number of research outputs are still not many compared to those of education, literature, and history. The paper argues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scarcity is due to the fact that people in general and political scientists, both oriental and western in particular narrowly define politics. As a result, scholars on Nam Myung have failed to grasp the totality of Homo Politicus Nam Myung. Thus this paper offers a new definition of politics: politics is a phenomenon which results from actions to handle collective interests. Political actions in turn consist of meta-systemic utterances and writings, systemic utterances, writings, and actions as office-holders or power holders, and off-the-system utterances, writings, and actions. It is the third type of political action that promises abundant contemplation on Nam Myung`s political behaviors, especially political criticism in the form of petitions. The paper also suggests two methodological tools that may enrich these endeavors to enlighten Homo Politicus Nam Myung. One is the method of consilience amongst otherwise idiosyncratic academic fields. Modern academic training programs produce tunnel-visioned scholars most of whom do not know other fields than their own. Consilience amongst various specialties is therefore necessary as well as inevitable. The other is Quentin Skinner`s methodology which helps us rethink the debates within and without textualists and contextualists. He has argued that utterances represented in historical texts become knowable only if we recover illocutionary forces of those utterances. These suggested tools together with our new definition of politics will expand our intellectual horizon so as to meet a truly political Nam Myung.
李聖惠 慶尙大學校 南冥學硏究所 2003 남명학연구 Vol.15 No.-
이 논문은 南冥 曺植의 再傳門人인 凌虛 朴敏(1566-1630)의 학문과 사상을 究明한 것이다. 현재 학계에는 남명과 남명학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남명 직전문도인 정구와 김우용에서 맴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남명학 연구가 능허를 비롯한 재전문인으로 확대되지 못하면서 남명학은 마치 한 시대의 사상인양 誤認되고 축소된 경향이 있다. 때문에 필자는 남명에게 직접 執贄한 문인은 아니지만 누구보다도 충실히 남명과 남명학의 정신과 사상을 잘 잇고 있는 능허를 통해 남명 死後, 정인홍의 정치적 실각으로 瓦解의 위기를 처했던 남명학의 실체적 존재를 확인하고자 한다. 아울러 16세기의 남명학을 17세기로 이어주는 가교자로서 능허의 학문과 사상이 무엇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살피려고 하는 능허 학문과 사상의 구체적인 내용은 세 가지다. ① 그의 학문과 사상은 무엇인가? ② 그의 학문과 사상은 남명 혹은 남명학파의 학문 사상과 어떻게 맥을 잇고 있는가? ③ 그의 학문과 사상이 오늘날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세 가지 목표는 그가 남긴 시를 통해 고찰 될 것이다. 그 방법은 그의 시가 사물을 어떻게 형상화했느냐의 형식미학보다는 무엇을 표출하고 형상화했느냐는 점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결과 능허의 학문성향과 사상은 철저한 유가적 바탕 하에 이루어졌다. 小學을 기본으로 하는 下學으로 시작하여 明明德과 親民, 至於至善에 이르는 大學의 上達로 이어졌다. 그는 남명이 추구했던 在養省察의 의미로서 ‘明’과 ‘敬’을 지니기 위해 四書三經에 근본한 爲己의 학문을 하였고, 부조리한 현실과 부도덕한 행동에 대해 단호히 끊어버리는 ‘斷’으로서의 ‘義’를 실천했다. 이러한 능허의 학문과 사상은 남명 혹은 남명학파의 학문태도와 사상을 그대로 이은 것이다. 다만 남명이 유가적 세계관 속에 도가적 사상을 자유로이 수용했던 것과는 달리 능허는 철저하게 유가만을 고집했다. 이는 스승 정구의 영향도 있었으리라 본다. 남명의 직전 문도들 중에서도 망우당 곽재우 같은 이는 말년에 도가적 세계에 더욱 경도된 경향을 보이지만, 한강은 도가적 세계를 부정하고 오직 유가적 현실만을 인정했던 사람이다. 이런 한강의 사상이 능허에게도 영향을 주었으리라 본다. 냉혹하리 만큼 철저하게 자신을 닦고 성찰하며 그것을 고스란히 실천한 능허의 학문과 사상은 학문이 하나의 독립된 지식과 직업으로 실천에서 떨어져 나간 오늘날 현실에 학문과 학자의 역할과 사명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보여준다. This paper wrote for NeungHeo Park-Min's studies and ideology, a follower who succeed to NamMyong Cho Sick's schooling. NeungHeo doesn't have intimate connection with NamMyong but he, of all men, is a substantial researcher of NamMyong Cho Sick's Schooling. This paper explain concretely of NeungHeo's studies and ideology in three aspect. The first, What is his studies and ideology? The second, how keep in touch with NamMyong's schooling to his studies and ideology? The third, What is suggestion of his studies and ideology for us of the day? This paper's three goals will consider through his poetry left behind. So, I adjust the focus of expression and finding a shape of his poetry more than the beauty of form of his poetry. As a result of research, NeungHeo's studies and ideology get accomplished basically on Confucian ideas. It start from fundamental study of SO HAK(small study : 小學), it is end to cultivation virtue, being familiar with people, and seeking extremely good of DAE HAK(Great study : 大學). In a sense of self-reflection, he hold Myung(being versed in oneself : 明) and Gyung(being respectful to oneself : 敬), is based on the Four Books and the Three Classics. Also he reject positively to irrational reality, immoral conduct base oneself on justice. This NeungHeo's studies and ideology succeed to NamMyong's schooling as it is. NamMyong accept to taoism in his Confucian ideas, however, NeungHeo holds fast to his view only, that is Confucian ideas. NeungHeo's studies and ideology which originate in his thoroughly self-reflection, give an example to an academical person's a role and a mission that separate attainments and profession from study.
기획논문 : 월연(月淵) 이도추(李道樞)의 남명학(南冥學) 계승양상(繼乘樣相)과 방외시(方外詩)
윤호진 ( Ho Jin Yun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한말의 학자 이도추(李道樞: 1948-1921)는 牲齋 許傳의 문하에 적을 두었고, 남명의 학행을 사모하였다. 면우 곽종석과는 같은 고을에 태어나 매우 절친 하였지만, 전혀 다른 삶을 살았다. 郭鐘錫이 고향을 떠나 퇴계의 학맥인 寒洲 李震相 문하에 들어갔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이도추는 고향을 지키며 고향에서 강학하던 허전에게 배웠고, 자신의 고장의 학장인 남명을 존숭하였다. 곽종석이 큰 학자로서 세상에 이름을 떨친 반면에, 이도추는 세상을 피해 시골에 은거하며 시를 짓는 낙으로 살았다. 그래서 그의 삶은 화려하지 않고 그의 학문은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가 어떠한 삶을 살며 무엇을 시로 읊었던가 하는 것은 흥미 있는 연구거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글은 이도추의 생애와 한시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생애를 정리한 전기자료가 전하는 것이 없으나, 몇몇 문헌을 참고하여 간략한 생평을 구성하자면, 그는 당시의 진주 남사에서 태어나 평생을 그 인근에서 살았다. 일찍 과거를 포기하고 주변의 산수를 음상하고, 때로는 벗들과 멀리 유람을 나서기도 하였다. 곽종석, 하용제, 박규호 등과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였던 것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학문적인 저술이나 논쟁 자료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학자로서 학문에 몰두하기 보다는 문사에 많은 힘을 기울였고, 특히 시를 짓는 데에 특장이 있었다. 그래서 그는 주변의 사물과 인사에 대해 시를 읊기도 하고, 여행을 다닐 때의 여정과 감회를 시로 짓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의 학문 성향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남명학을 계승한 측면이며, 이러한 성향은 그가 남긴 시문 가운데 많이 드러나 보인다. 그의 시 가운데에는 특히 자연에 묻혀 세상과 떨어져 지내는 즐거움과 그 양 상을 읊은 시 들이 많이 있는데, 이러한 것은 크게 두 가지로 드러난다. 하나는 물외, 세외, 상외로 나타나 보이는 물외시이며, 다른 하나는 유선, 방호로 나타나 보이는 신선시이다. 이들은 모두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세상과는 다른 세상을 읊은 방외적인 것이다. 하지만, 이들 시의 내용을 들여다 보면 진짜 세상과는 다른 별세계를 다룬 것이 아니고, 그가 사는 공간을 그저 방외로 인식한 것이며, 신선세계로 인식한 것도 인간세계와는 다른 가상의 세계에서 관념적 유희를 즐기는 여느 유선시와는 다른 것이라 하겠다. In this writing, 1 looked through the life Lee Do-chu(李道樞) and his poetry. A biography arranging his life has not been inherited, but I constructed his life through several document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his life. He was born in Chinju Namsa and lived there for his entire life. He gave up gwageo(科學) early and appreciated scenery nearby. Sometimes he made a journey with his friends. The most well-known trip was to Kumkang mountian(金剛山) with Kuck Zhong-seck(郭鐘錫), Ha Yong-jae(河龍濟), Park Kue-ho(朴圭浩). Although he left some academic writings and disputing documents, he mainly concentrated on creative writings and he was exceptionally gifted in writing poetry. Subjects of his poems were about surrounding things and people, and about his feelings through his journeys. The most eminent point through his academical tendency was that he succeeded Nammyung study(南冥學) and this tendency was well represented in his poetry. In his poetry, especially, there were a lot of themes about the living far away from secular world to nature. These poems can be categorized in two ways, One is to look these poems as Mulwue(物外) poems which describe Mulwue, Saewue(世外), Sangwue(象外), and the other is to look these poems as Sinseon Poems which describe Yuseon(遊仙), Bangho(方壺). These were all kinds of Bangwue which sung the different world from himself. However, when we specifically inquire his poems, we could find that he just discerned his world as Bangwue, so it is different from existing Yuseon poems having a conceptional play other than poets world.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