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김명하(Kim Myeong-Ha),윤순갑(Yoon Soon-Gap)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07 동서사상 Vol.3 No.-

        정체성에 관한 논의는 항상 상대적이다. 왜냐하면 정체성은 사회적 접촉과 관계 속에서 비로소 현실화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의식과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타 지역, 타인들과의 접촉에서 상대적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비로소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대구ㆍ경북지역은 교통의 중심지로서, 인구의 밀집지역으로서 다양한 교통로와 통신망, 인구이동의 양상이 정체성 형성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을 것이다. 특히 분지라는 지형적인 특성과 함께 기후적인 여건도 대구ㆍ경북인의 기질과 의식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유달리 다른 지역에 비해 전통적인 것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대구ㆍ경북지역은 오랜 역사적, 문화적인 전통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은 '대구 경북적인 것'을 결정하는 근원적인 작용을 할 것이며, 대구ㆍ경북적인 이미지와 지역민의 자화상의 고찰은 대구ㆍ경북지역민의 정체성 연구의 일환이라 하겠다. 그런 의미에서 본 대구ㆍ경북지역의 이미지는, 물론 전체적인 의견은 분산되어 있으나, 그래도 대구ㆍ경북은 교육도시와 관광도시로서의 이미지가 압도적이다. 다음으로 대구ㆍ경북지역 주민들의 자화상을 살펴보면 보수적인 이념과 애향심이 많다는데 동의하는 것 같다. 둘째는 전통과 의리를 중시하는 강직한 성격이다. 셋째로, 배타적인 성격을 들 수 있는데, 해방이후 서구적인 문화와 질서가 편입된 지도 많은 시간이 지났지만, 아직도 이러한 배타성은 여전히 대구ㆍ경북의 나쁜 기질로 남아있음은 자타가 공인하고 있는 터이다. 지방자치의 실현을 통한 이른바 지방화시대를 맞은 지도 벌써 10수년이 지난 즈음, 대부분의 지방정부는 주도적으로 지역의 이미지와 정체성의 확립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사실 정체성은 과거 역사의 궤적위에서 쌓인 퇴적물과 같은 것이지만, 동시에 미래를 위해 적극적으로 투사하는 능동적인 창조의 대상이기도 하다. 그런 의미에서 대구ㆍ경북지역민들의 삶에 있어서 적극적인 자세와 애향심, 그리고 의리를 중시하는 자세는 대구ㆍ경북이 새로운 이미지를 정립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물론 개방화의 시대에 걸맞지 않는 보수성과 배타적인 사고는 하루빨리 변화시켜야 할 대구ㆍ경북인의 기질일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dentity of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research theoretically argued about a meaning of identity, a process of its formation. And we looked about the gographical features, historical background of Daegu-Kyungpook area. On the foundation of this study, we studied about Daegu-Kyungpook area' image and its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For this study, we utilized past empirical researches. In this study, we became clear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self-portrait is a conservative view and love of their province, a moral courage and an unfriendly attitude. Among these dispositions, the bad elements that Daegu-Kyungpook local residents have had to be excluded. In a wide meaning, the study of regional identity and image and its' development are related to each other. More, for a regional development, we have to empathesize the sense of justice, the positive attitude and the love of their province in the Daegu-Kyungpook area.

      • 비외상성 소장천공

        신언성,유완식,황일우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6 慶北醫大誌 Vol.27 No.4

        저자들은 1976년부터 1985년까지 만 10년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에서 경험한 비외상성 소장천공 환자 85예를 대상으로 발병원인, 진단방법, 치료결과에 대해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장천공의 원인별로는 장티프스가 64예, 장결핵이 8예, 장폐쇄가 5예, 중피종이 1예, 원인불명이 7예 이었고 수술전 진단이 정확했던 경우는 장티프스가 93.8%, 장결핵이 37.5%, 장폐쇄가 60% 이었다. 장티프스의 경우에 Widal 반응의 양성율은 발열후 제 4주째가 제일 높았고, 혈액배양에서 Salmonella균의 양성율은 제 2주째가 제일 높았으며, 병리조직 검사에서는 거의 비슷한 양성율을 나타내었다.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장폐쇄의 경우 80%, 장티프스의 경우 48.4%, 장결핵의 경우 12.5%로 원인질환에 따라서 차이를 나타내었고, 복강내 오염이 심할때의 합병증 발생빈도는 63.2%, 중등도 일때는 54.8% 경할 때는 31.4%로 나타나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천공부위를 단순봉합 했을 경우 합병증은 44.9%에서 발생하였고 절제후 단단문합술을 실시했을 경우는 52.9%에서 발생하여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We had managed 85 cases of the nontraumatic small intestinal perforations during the 10 year period from 1976 through 1985 at the Department of Surge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re were 64 cases of typhoid fever, 8 cases of tuberculous enteritis, 5 cases of intestinal obstruction, and one case of mesothelioma as the underlying cause of the small intestinal perforation. The correct preoperative diagnosis of the underlying cause was established in 93.8% of typhoid fever, 60% of intestinal obstruction, and 37.5% of tuberculous enteritis. Of the patients with the typhoid fever, the highest positive rate of the Widal reaction was reported in the fourth week of the disease, and the blood culture for Salmonella typhi in the second week of the disease. The morbidity of the patients with intestinal obstruction was 80%, typhoid fever 48.4%, tuberculous enteritis 12.5%. The morbidity was 31.4% in patients with minimal peritoneal contamination, 54.8% with moderate contamination, 63.2% with severe contamination.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rbidity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oper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Takayasu동맥염의 임상적고찰

        채성철,강승완,우언조,전재은,박의현,김기식,김윤년,김권배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89 慶北醫大誌 Vol.30 No.4

        경북대학교병원 및 계명대학교의과대학 부속병원에 입원하였던 28례의 Takayasu동맥염환자의 임상적관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대상환자 28례중 남자가 7례, 여자가 21례였고, 남자의 평균연령은 44세, 여자의 평균연령은 21세, 전체환자의 평균연령은 27세였다. 2) 내원당시의 28례의 증상으로는 운동성호흡곤란(11례), 현기증(7례), 두통(7례), 무맥(4례), 전신쇠약감(3례), 시력장애(3례), 이상감각(3례), 복통(3례), 심계항진(2례), 흉통(1례)등이 있었다. 초기증상을 알 수 있었던 16례에서의 초기증상은 전신쇠약감 또는 피로감(8례), 국소동통(4례), 관절통(3례), 야간발한(3례), 흉통(3례), 발열(2례), 체중감소(2례), 식욕부진(1례)등이었다. 이들에서의 잠복기(latent period)는 42일에서 10년이상까지 다양하였다. 동반된 질환으로는 결핵이 2례, 류마티양관절염, 당뇨병, Valsalve동의 동맥류, 위점막 병변 및 사구체신염이 각각 1례씩 있었다. 3) 내원당시의 주요 이학적소견으로는 무맥(25례), 고혈압(16례), 병변부위동맥의 잡음(bruit)(12례), 울혈성심부전(11례), 고혈압성망막증(10례), 하지의 파행(8례), 폐동맥고혈압(2례) 및 대동맥판폐쇄부전과 승모판폐쇄부전(2례) 등이었다. 4) 검사실소견으로는 빈혈(10례), 혈침속도증가(22례)가 있었고, 그외 비특이적으로 CRP양성(13례중 9례), RA factor양성(13례중 3례) 및 ANA, LE세포, VDRL양성(13례중 1례)등이 있었고, Man toux검사는 시행한 11례중 3례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 심전도소견으로는 재분극이상(12례), 좌심비대소견(7례), QT간격연장(4례), 좌심방이상소견(2례) 및 심방세동, 발작성심방빈맥과 흉부유도에서의 R파의 "poor progression"(각각 1례)등이었다. 5) 동맥조영술소견은 Lupi-Herrera등의 1형이 11례, 2형이 6례, 3형이 9례 및 4형이 2례였다. 6) 치료받은 19례가운데 내과적치료를 받은 17례중 11례에서 부신피질호르몬제를, 10례에서는 항응고제를 사용하였는데, 부신피질호르몬제를 투여받은 4례에서만 혈침속도의 감소가 있었다. 그리고 고혈압치료를 위하여 경피적신동맥확장술이 7례에서, 신절제술이 1례에서 시행되었다. 7) 15례에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고, 이가운데 4례는 사망하였으며, 생존하고 있는 11례의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7개월(1.5-24개월)이었다. 사망한 4례중 3례는 심부전으로, 1례는 농흉에 의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다. Clinical observation on 28 cases of Takayasu's arteritis from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Keimyung University revealed followings: 1) Age and sex distribution: Seven cases were male and twenty one cases were female. Mean ages of male and female cases were 44 and 21 years old, respectively (range 11-66 years old). 2) Chief complaints on first presentation were dyspnea on exertion (11 cases), dizziness (7 cases), headache (7 cases), absence of pulse (3 cases), abdominal pain (3 cases), palpitation (2 cases), and chest pain (1 case). Initial systemic symptoms of 16 cases which could be recalled were generalized weakness and fatigue (8 cases), localized pain (4 cases), arthralgia (3 cases), night wsweating (3 cases), chest pain (3 cases), fever (2 cases), weight loss (2 cases), and anorexia (1 case). Latent periods of these cases were ranged from forty-two days to over 10 years. Concomittant diseases were pulmonary tuberculosis (2 cases), rheumatoid arthritis (1 case), diabetes mellitus (1 case), aneurysm of sinus of Valsalva (1 case), gastric mucosal lesion (1 case), and glomerulonephritis (1 case). 3) Among the physical findings were absence of pulse (25 cases), hypertension (16 cases), bruits over affected arteries (12 cases), congestive heart failure (11 cases), hypertensive retinopathy (10 cases), claudication of lower extremities (8 cases), pulmonary hypertension (2 cases), and aortic and mitral regurgitations (2 cases). 4) There were no specific laboratory findings. Among nonspecific findings were anemia (10 cases), increased ESR (22 cases). C-reactive protein, RA factor were positive in nine and three cases, respectively, of 13 cases tested. Antinuclear antibody, LE cell and VDRLK were positive only in a case of 13 cases tested. Mantoux test was positive in three of 11 cases tested. Electrocardiogram revealed abnormal repolarization (12 cases), findings of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7 cases), prolongation of QT interval (4 cases). 5) According to angiographic findings, 11, 6, 9 and 2 cases had type 1, type 2, type 3 and type 4 of Lupi-Herrera and associates, respectively. 6) In 19 cases who were treated, 17 cases were given medical treatment of corticosteroid (11 cases) and/or oral anticoagulant (10 cases). Four cases on corticosteroid showed decrease in ESR. Percutaneous angioplasty of renal artery was performed in seven cases with hypertension, and successful in 4 cases in which blood pressures were normalized. In another hypertensive case, nephrectomy normalized blood pressure. 7) Follow-up observations were possible in 15 cases, of which 4 cases died.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seven months (range 1.5-24 mopnths). Causes of death were congestive heart failure in three cases, and pyothorax related sepsis in a case.

      • 대학졸업생의 취업동향과 그 변동추세

        김학수,이윤수,변창진,진위교,이희도 경북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971 學生指導硏究 Vol.4 No.1

        대학졸업생의 취업동향과 그 변동추세 및 이에 작용하는 여러가지 교육적, 사회적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 및 대학 졸업생의 직업지도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가능한 실현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경북대학교의 농대·문리대·법대·사대·의대 및 영남대학교의 공대, 상경대·약대의 1961∼1965년도 졸업생 6,421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취업현황, 선직 변동추세 및 이에 관련된 23개요인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후, 조사대상을 불변자와 전직자로 나누어 각기 그들의 전반적인 취업동향과 변동추세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1) 대학졸업생의 취업현황은 전체적으로 교사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공무원·의사·사업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별로는 특히 의대·사대·약대 졸업생이 전공학과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직업적 동질성의 정도가 높은데 비하여, 농대·법대·문리대졸업생은 이러한 경향이 없이 비교적 다양한 직업군을 형성하고 있다. (2) 대학졸업생의 선직변동추세는 (a) 졸업생의 73.26%가 처음 선택한 직업에 그대로 머물러 있으며 나머지 약 26.74%가 한번 혹은 그 이상 전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b) 한편 전직자의 전직내용은 동일형태나 동일수준내의 전직이 가장 많고, (c) 이러한 전직 변화현상은 처음 선택한 직업과 인접직업군에로 선직변동이 일어나는 일정한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3) 선직변동의 규정요인으로서는 취업결정시기, 취업절차, 적합도(능력·흥미·적성·가치관), 전직희망도, 이상직업과 직업의 일치도에 있어 진직자와 불변자간에 의의있는 차이가 있으며, 이것이 선직변동의 한 요인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4)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얻어진 직업지도상의 시사점도 또한 논의되었다. Being emphasized practically the necessities of vocational guidance activities and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unfortunately there has been little inquiry into the vocational behavior in exploratory and trial work periods that occur during the first few years after college. To investigate the vocational behavior of male college graduates during their early work experien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career patterns of male college graduates. The job histories of 6,421 male alumni graduated fro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nd Young Nam University in 1961 to 1965 were examined. Of them the post-college vocational behavior of 4,014 alumni were identified and descriptively analyzed. And a questionnaire was mailed to this gross study population and thus the actual population surveyed amounted to 905 male college graduates. Based on his job history each respondent was classified into a stable career pattern and a changed career pattern, and vocational behavior of these two career pattern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revealed as follows; 1. 73.26 percent of male college graduates remain in their initial occupational fields and 26.74 per cent of male college graduates have one or more exploratory jobs. And in a case of the changed career pattern the occupational change goes to related job in the aspects of occupational type and level of initial job. 2. 36.44 percent of male college graduates engages in the occupational field of teaching and the other in business, organization, technology etc., in order. And occupational homogeneity of alumni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 medicine and pharmacology is rather higher than that of alumni graduated from college of law, arts & science, agriculture, technology, and commerce. 3. Of 23 variables investigated, only 9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different influences between a stable career pattern and a changed career pattern. These variables are time to decision to obtain initial job, method used to obtain job, one's assumed suitability of his job to his ability, aptitude, interest and value system, desire to change job, and congruence between ideal job and present job. And implications for vocational guidance activities and programs of these findings are also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국제법기초의 구체적 강의 방법과 내용

        박배근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법학논고 Vol.0 No.28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국제법기초’라는 과목을 어떤 내용으로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는 법학전문대학원의 교육목표와 교육이념, 법학전문대학원이 배출하고자하는 법조인상에 달려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졸업생이 진출할 법조직역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통상·외교·협상의 업무에 종사하는 정부고용변호사의 경우에는 탄탄한 국제법적 지식과 실무능력이 요구될 것이다. 그런 만큼 이러한 직역으로 진출할 학생에게는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강도 높은 국제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반면에 단독으로 개업하여 주로 송무에 종사할 변호사의 경우에는 국제법에 관한 지식이나 국제법적 실무능력이 거의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당연히 자신의 장래를 단독 개업 송무 중심 변호사로 상정하고 있는 학생에 대한 국제법 교육의 강도나 내용은 달라져야 한다. 다만, 구체적으로 경북대학교의 교과과정 속에서 1학년 2학기에 1학점 2시간의 선택필수과목으로 교육되는 ‘국제법기초’는 수강생이 진출할 구체적인 법조직역과는 관계없이 “일반적인 법률지식과 기술, 법조윤리에 관한 교육과정을 골고루 이행하도록 함으로써 일반적 소양을 갖춘 generalist로서의 법률전문가를 양성"하는데 꼭 필요한 국제법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교육하는 과목이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국제법기초’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은 generalist로서의 법률전문가 양성에 필요한 국제법의 기본지식을 전수하여야 한다는 점을 고려하고, 미국 또는 일본의 로스쿨에서 유사한 교과목으로 강의되는 내용을 참조할 때 대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① 국제법의 개념, 역사, 법적 성질, ②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③ 국제법의 法源, ④ 조약법, ⑤ 국제법의 주체, ⑥ 국가관할권, 국가면제, 국가책임, ⑦ 국가의 대외적 기관, 특히 외교사절제도, ⑧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결 등이다. ‘국제볍기초’의 강의방법으로는 미국 로스쿨에서 많이 사용되는 케이스 메소드 및 소크라테스식 문답법과 더불어 전통적인 강의식 방법 모두가 적합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떤 방법을 채용하여 ‘국제법기초’를 가르칠 것인지는 변호사시험제도 등의 변수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국제법기초’에 어느 정도 열의를 가지고 시간과 에너지를 투여할 수 있을지에 달려 있다. How should the subject of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be taught in the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which is supposed to start in 2009? The answer to this Question may vary according to the types of lawyers it IS going to grow. Students who want to be government counsel and work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trade, diplomacy or inter-governmental negotiation need solid knowledge of international law and substantial ability of practicing international law.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for them to receive rather fortified international law education. On the other hand, students who want to start their practice as an individual lawyer and work for clients of law suits may have few chance of dealing international legal problems. Therefore, international law education for them should be different. Regardless of this difference in the kinds of students, in general in the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Law School and supposed to be taught to freshmen in the second semester for 2 hours per week the most fundamental and basic matters of international law should be taught under the object of growing legal generalists who possess common legal knowledges.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object of legal education in the law school is generally speaking growing generalist lawyers, not specialized lawyers, and also when references to the international law education in American and Japanese law schools is made, the contents to be taught in the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may be said to be as follows: concept of international law,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legal character of international law, relations between international law and domestic law, sources of international law, treaty law, subjects of international law, State jurisdiction, State immunity, State responsibility, State organs for foreign relations, law of diplomacy, peaceful settlement of international disputes. As to the methods to be used in teaching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this author thinks that all of the case mothod, Socratic method and traditional lecture are appropriate. Which of them should be adopted in a real class may be decid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energy and time law school students may spend for the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Law', which in turn is dependent upon the contents of the coming system of new bar examination.

      • 벼의 품종별(品種別) 필요수량(必要水量) 관(關)한 실험분석(實驗分析)

        서승덕,최원칠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985 慶北大農學誌 Vol.3 No.-

        본(本) 연구(硏究)는 벼의 본답기간(本畓期間)에서의 용수량(用水量) 확보(確保)에 기본(基本)이 되는 소비수량(消費水量)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일반계(一般系) 진주(眞珠)벼, 통일계(統一系)인 태백(太白)벼와 풍산벼를 공시(供試)하여 1983년도(年度)에 경북대학교(慶北大學校)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품종별(品種別)로 소비수량(消費水量)에 대(對)한 여러 계수(係數)를 조사분석(調査分析)한 것으로서 요약(要約)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수중지표면(水中地表面) 온도(溫度)는 평균(平均) 이며 8월(月) 상순(上旬)에 모든 측정위치(測定位置)에서 최고(最高)의 온도(溫度)를 기록(記錄)하였다. 2. 벼의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은 이앙후(移秧後) 점차(漸次) 증가(增加)하여 각(各) 품종(品種)마다 공(共)히 수잉기(穗孕期) 말기(末期)에서 출수개화기(出穗開花期)에 최대량(最大量)을 나타내고 그후 점차(漸次) 감소(減少)하였다. 전생육기간(全生育期間)의 평균(平均) 엽수면증발량(葉水面增發量)을 보면 일반계품종(一般系品種)인 진주(眞珠)벼는 8.43 mm/day였고 통일계품종(統一系品種)인 태백(太白)벼는 7.78 mm/day, 풍산벼는 7.71 mm/day이었다. 3. 증발계증발량(蒸發計蒸發量)과 엽수면증발량(葉水面蒸發量)과의 비(比)는 진주(眞珠)벼가 1.71, 태백(太白)벼가 1.50, 풍산벼는 1.59이었다. 4. 작물계수(作物係數) K는 일반계(一般系)가 1.41, 통일계(統一系)가 1.30이었고 보정작물계수(補正作物係數) Kc는 일반계(一般系)가 1.40, 통일계(統一系)가 평균(平均) 1.27이었다. 5.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소비수량(消費數量)이 많았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수위(水位) 6 cm와 8 cm시험구(試驗區)가 수위(水位) 2 cm와 4 cm시험구(試驗區)보다 다소(多少) 적었다. 전체적(全體的)으로 수위(水位) 2 cm인 시험구(試驗區)가 타시험구(他試驗區)보다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consumptive use of irrigated water for calculation of a duty of water in paddy rice. Tall statured Japonica rice variety is Jinju(late). Short statured Tongil varities-Taebaek(early) and Pungsan(medium) were planted on the experimental farm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1983.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underwater surface was and the maximum was recorded at beginning of the August. 2. The evapotranspiration was gradually increased after transplanting and showed the peak from booting to heading stage of rice varieties. The average evapotranspi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8. 43mm/day(Jinju) for tall statured Japonica variety, and 7.78mm/day(Taebaek), 7.71mm/day(Pungsan) for short statured Tongil varieties. 3. The ratio of evapotranspiration to pan-evaporation through the whole growing period was 1.71 for Japonica variety and 1.55 for Tongil varieties. 4. K-value in Blaney & Criddle formula was 1.41 for Japonica variety and 1.30 for Tongil varieties. Coefficient consumptive use of water (Kc-value) was 1.40 for Japonica variety and 1.27 for Tongil varieties. 5. It appeared that the water consumption in the 6, 8 cm pot is more than that of 2, 4 cm pot but the number of panicle of the 6, 8 cm pot is somewhat less than that of 2, 4 cm pot. The deeper water level is the less tiller became. It is consindered that 2 cm pot is more profitable than the others.

      • 農産物 輸入開放과 그 對應政策의 摸索 : 大邱·慶北地域 農業專門家에 對한 事例調査를 中心으로 A Case Study of Agricultural Experts of Kyungpook Provincial Area in Korea

        李鎬撤,兪炳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1 社會科學硏究 Vol.7 No.-

        This study is to cope with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 and to search for the realistic policy alternatives of the market open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field survey from Sep. to No. in 1990 covering 89 rural extention officiers and 75 professors of agricultural college at rando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overed that the agricultural experts opinion in import liberalization and thei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omestic & foreign agri-products considering price, packing, freshment, an chemical poison. Secondly, the optimum proceeding of import liberalization policy and the future agricultural prospect are showed. Thirdly, the agricultural experts' responses to the validity of the policy programs for rural-fishing society development are appeared. Fourthly, the farmers' countermeasure against import liberalization and the agricultural experts' view on the government policy of modulation are suggested. Finally, the weakest points in marketing and the method of improving them are indic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