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 대학교 대학생 선후배간 코칭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

        리상섭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7 평생교육 · HRD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oaching program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of D University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s for coaching programs results. The purpose of coach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 University was to help the freshmen and the sophomores to orient themselves to their successful college lifes and to facilitate the junior and the senior to develop leadership competency. The coaching programs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 University consist of 4 steps; coaches selection, attending a coaching program, coachees selection, and one on one coaching. 30 coaches from 37 and 35 coachee from 41 completed coaching programs.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coach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 University was successful based on Level 1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d a coaching program for undergraduate students in D University in detail. 본 연구의 목적은 D 대학교 대학생 선후배간 코칭 프로그램 운영 사례 연구를 통해 D 대학교 코칭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이다. D 대학교의 코칭 프로그램의 실시 목적은 저학번 재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력 향상과 고학번 재학생의 리더십 역량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D 대학교의 코칭 프로그램은 코치 선발, 코치 자격 과정인 코칭 프로그램 수강, 피코치 선발, 코칭 실시의 4단계로 구성되었다. 37명의 코치 중 30명과 41명의 피코치 중 35명이 코칭 프로그램을 수료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레벨 1 평가 분석을 통해 D 대학교의 코칭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었다고 제시할 수 있었고, 둘째, D 대학교 대학생 선후배간 코칭 운영 사례 연구를 보여주고, 셋째, D 대학교 코칭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 최초의 대학 ‘崇實’이 한국 문학에 남긴 영향

        車奉俊(Cha, Bong-Jun),김미진(토론자)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09 한국문학과 예술 Vol.3 No.-

        이 글은 민족 최초의 대학인 숭실대학교가 건학된 지 111주년을 기념한 학술대회에서 숭실 문학의 지나 온 과정을 되짚어 보고자 하는 의도로 쓰여 졌다. 숭실은 근대화와 일제치하라는 격랑의 역사 속에서 건학한 이후 지금까지 민족적 사명을 감당하기에 결코 나태하지 않았다. 식민지 상황이라는 비극 속에서도 꿋꿋하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며 독립운동의 면면에 그 역할을 성실히 감당해 왔다. 또한 애국계몽운동, 농촌진흥, 과학기술의 보급, 한국 근대음악의 발전 등에 뚜렷한 영향을 끼치면서 한국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숭실학보』, 『숭실문학보』, 『숭실활천』 등의 교지(校紙)를 통해 문학적 성과를 쌓아오던 숭실의 문학이 본격적인 토대를 갖추게 된 것은 80년대를 기점으로 국어국문학과가 창설되고 뒤이어 문예창작학과가 창설되면서부터이다. 이때부터 체계적인 문예교육과 창작교육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문단을 이끌어 나갈 신예작가들이 꾸준히 등장하기 시작했는데, 이병렬을 선두로 조기봉, 문재호, 이재홍, 조현, 김태용 등이 이 시기의 주목받는 작가들이다. 이병렬은 군 하사관으로 장기 복무한 병영 생활의 체험, 대학원 시절과 시간강사의 삶으로 이어지는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소시민의 일상에 대한 따뜻한 시선을 가진 다수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그리고 고인(故人)이 된 조기봉의 경우도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삶에 대하여, 죽음에 대하여, 그리고 사랑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였다. 한편 최근에 와서 문단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기 시작한 작가로 조현과 김태용을 빼놓을 수 없다. 2008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조현의 경우는 현대 문명에 대한 지적인 냉소와 유쾌한 비틀기를 통해 현대 사회를 바라보는 통찰력이 매우 날카로운 면모를 보여준다. 그는 현대문명이 직면하고 있는 심각성을 오히려 농담처럼 해소해 나가면서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이 보여주지 못했던 독특한 소설세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또한 2005년 『세계의 문학』으로 등단하고 2008년 ‘한국일보 문학상’을 수상한 김태용의 경우도 ‘언어’라는 매개를 아주 능수능란하게 사용하면서 기존의 서사문학과는 변별되는 자신만의 영역을 구축해 나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숭실 문학의 미래는 이들 신예작가들에 의해 그 전망을 밝게 내다볼 수 있다. This was written in order to look back over the past of Soongsil literature at a conference of commemorating the 111th anniversary of Soongsil since Soongsil University, Korea-first university was found. Soongsil has never been lazy to fill the national mission up to now since Soongsil was established in the history of moder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Even in a tragedy of a colony situation, Soongsil has aroused national consciousness and has filled its roles in all sid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lso, Soongsil stands in the middle of Korean history as Soongsil clearly affected an enlightenment movement, a rural promotion, a spread of science & technology, and a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music. The literature of Soongsil which accumulated the literary performance through a school magazine such as ‘Soongsil Hakbo’, ‘Soongsil Literature’, and ‘Soongsil Hwalcheon’ has arranged the active foundation, after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as established in 1980s and then the department of creative writing was opened. As the systematic literature education and creation education has been made from that time, new writers who will lead the Korean literary world started to appear constantly. Lee Byeongryeol, Jo Gibong, Mun Jaeho, Lee Jaehong, Jo Hyeon and Kim Taeyong occupied the attention for that time. Lee Byeongryeol has published many writings with a warm sight on normal citizens’ life based on his army experience as sergeant, the graduate school life, a part-time lecturer experience and the writer’s experience. Also, the decreased Jo Gibong was interested in the life, death and love even though he had a short time of life. Besides, Jo Hyeon and Kim Taeyong have recently started to receive an intensive spotlight in the literary world. Starting to write through a spring literature contest of [DongA Ilbo] in 2008, Jo Hyeon shows very keen insight of looking at the modern society through intelligent smile and pleasant twisting about the modern civilization. He has solved the seriousness of the modern civilization like a joke and has made the unique novel world that the Korean literature hasn’t contain up to now. Also, starting to write through [Literature of the World’ in 2005 and awarding ‘the literature prize of Hankook Ilbo’, Kim Taeyong has implemented his own area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narrative literature while using the medium of ‘language’ sophisticatedly. After all, the future of Soongsil literature can be brightened by new writers.

      • KCI등재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및 수업의 질, 대학생활 만족 간의 관계 구조분석

        신소영,권성연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8 평생교육 · HRD연구 Vol.14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other variables related with satisfaction to prevent dropout and improve level of satisfaction in college. As a results of analysis for 1,258 college students in C province,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 class,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instructional quality had meaningful influences on a college life satisfactio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influenced instructional quality, and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influenced interaction with professor. Additionally, instructional quality had mediating effects between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satisfaction, and between interaction with professor and satisfaction. Particularly, indirect effect of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was more powerful than direct effect on satisfaction. Therefore, to improve college life satisfaction, it is required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professor outside of class as well as both peers and professor in clas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instruction. Especially, interactive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professor had not only direct but also indirect effects mediated by the instructional quality on satisfaction, and their indirect effect size were greater than direct effect. So, the impotance of instructional quality should be highlighted to enhance college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시사점 제공을 위해 대학생활만족과 관련한 다양한 요인들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분석을 하였다. C시 소재 4년제 대학 재학생 1,258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만족과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수업의 질 및 교수와의 상호작용 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호작용적 학습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질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상호작용적 학습활동은 교수와의 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각각에서 대학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수업의질을 매개로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수업의질을 매개로 하는 간접효과가 직접효과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에서 학생들의 대학생활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과 함께 상호작용적 학습활동과 교수와의 상호작용 등 학생 상호 간, 교수와 학생 간 상호작용 촉진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수업의 질은 대학생활 만족에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직접효과보다 더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대학교육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의 질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A대학 대학생의 생애학습경험에서의 팀워크 인식에 관한 사례연구

        홍아정,이경미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2017 평생교육 · HRD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고등교육 졸업자에게 팀워크 역량에 대한 필요가 심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교육요구가 충족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제기로 출발하였다. 대학에서 팀학습 기반의 교육과정 개설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팀 프로세스에 관한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가 내재화되지 못했다고 비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학생의 팀활동 경험과 영향맥락, 효과적 팀워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대학 교육기간으로 한정된 기존 연구의 범위를 대학생의 생애학습경험으로 맥락을 확장하여 인식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등학교부터 자발적 팀활동을 성공적으로 경험하여 입학사정관제로 A대학을 입학한 대학생을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두 가지 다른 의미체계로 효과적 팀워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였는데, 전자는 명목팀으로서, 정확한 기준을 제시하는 리더십과 업무분장식 관계를 선호하였다. 이에 대비되는 동고동락팀은 입장을 조율하는 리더십, 일은 가고 사람은 남는다로 구성원의 관계를 의미화 하였다. 동일 대학의 사례임에도 불구하고, 효과적 팀워크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학습된 까닭은 경험의 다른 측면에 주목하게 만드는 중등시절의 학교문화의 맥락 때문이었다. 또한 대학 전까지 학습된 초기 팀워크 인식은 대학의 개인주의 문화 속에서 거듭된 성공을 거두며, 습관화된 신념으로 강화되었다. 이처럼 대학은 교육적 비관여의 공간으로 작동했음을 연구에서 새롭게 밝혔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미래 인재를 위하여 대학입학전과 대학 입학 후에 학교 공간에서 발생하는 모든 학습기회를 망라한 생애학습경험에 관심을 촉구할 것을 제시하였다. Development of teamwork competency is gaining more attention since diversity has become unvoidable feature in this global worl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teamwork competency, universities have developed various programs and integrated team learn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s. Studies on teamwork, however, have shown not enough verified evidence of its effectiveness. In this v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teamwork and to understand how they developed their teamwork competency throughout their everyday learning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1 students in A university.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exist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teamwork. One is ‘normative team’ where competition among team members and rejection toward otherness in the classrooms have oppressed them to participate in teams, and these kinds of habitual perspectives and behaviors have been reinforced through various team-based activities in college. The other feature is described as the team that share bittersweet experiences among team members and continue to develop its relationship even after the team task were completed. Influence of teachers from junior high schools was critical in building their teamwork behavior as they become students’ initial role model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veryday interactions in developing teamwork competency and suggested practical implications of its enhancement inside and outside of classrooms.

      • KCI등재

        융복합시대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과 모색

        하경숙(Ha Gyeong Suk)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19 No.-

        이 논문은 새로운 융복합(融複合) 시대를 맞이하여 선문대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모색(摸索)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근 수많은 대학이 학제간 통합주제를 교양과목에서 다루면서 학문간의 벽이 무너지고 있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융복합 주제 중심의 교양과목에서 공통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핵심 내용은 글로벌 시대의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와 배려와 나눔, 실천 등으로 글로벌 시대의 교양인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을 강조하는 것이다. 융복합이라는 화두는 변화하는 시대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융복합형 학문의 필요와 확대에 따라 단일 전공 중심 교육에 대한 우려의 의견이 제기되면서 그동안의 교양교육보다 보다 한층 강화된 교양교육을 실행하는 상황이다. 이에 선문대학교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가 융복합 시대에 알맞은 학습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여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선문대 글쓰기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사회 문화적 환경이 요구하는 학문적 역량을 배양하고, 침체된 기초 학문을 부흥하기 위해 글쓰기 교육의 심화가 절실하다. 아울러 선문대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강좌에서는 다양한 매체의 활용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의 글쓰기의 필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또한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주도적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창의성의 증진방안을 마련하고, 다양한 방식의 토론, 이성과 감성의 발현 등을 통합적으로 결합한 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한다. This paper aims to seek (摸索) direction of Sunmoon University’s writing education in the new era of convergence (融複合). People should know that interdisciplinary walls are collapsing as numerous universities has recently dealt with interdisciplinary topics in the liberal arts. The core content commonly dealt with in the liberal arts focusing on convergence related topics includes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consideration, sharing, putting ideas into practice and highlights such cardinal virtues that the educated of the era should have. The topic ‘convergence’ is becoming a core competence in the changing times. With the necessity and expansion of integrated disciplines in our society, concern about education focusing on single major has been voiced and therefore more strengthened liberal arts education is being implemented - compared to before. For this reason, as for Sunmoon University’s cours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it is necessary to set a learning objective and direction appropriate for the era of convergence and to convert the existing objective and direction into the new one. To help the university’s writing learners develop their academic capability required by the new social-cultural environment and to revive basic disciplines, it is desperate to intensify writing education. In addition, its course ‘Creative Thinking and Writing’ should highlight the necessity of integrated writing based on the use of various media. Also,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learner-centered self-directed learning, come up with effective methods of promoting creativity, and develop and improve constantly education systems that integrate elements such as various methods of debates, expression of reason and sensi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송미화(Song, Mi Hwa),안윤정(An, Yoon Jung)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Y와 O 전문대학 재학생 1,358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 그릿과 진로미래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스트레스는 그릿과 진로미래 모두 부적 상관을 보였고, 그릿과 진로미래는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그릿과 진로미래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그릿이 높을수록 진로미래가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는 진로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의 진로미래를 높이기 위해서는 진로스트레스를 낮추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진로미래의 관계에서 그릿은 부분적으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진로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예측변인이며, 그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다. 전문대학생의 긍정적 진로미래를 높이기 위해 진로스트레스 관리와 더불어 그릿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상담과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diated effects of gri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of college students. To this end, we conducted a two-week survey of 1,358 students at Y and O colleges in Gyeonggi-do. The results show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college students’career stress and grit, as well as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and grit. Mostly, career stress has a negative correlations with grit and career futures. Additionally, grit and career futures have a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 higher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 perception of grit and career futures. Furthermore, although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has an obvious opposite relationship with career futures, to some extent, the career stress of college students impacts on career futures. Also,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tress and career futures of college students, gri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In order to positively affect career futures for college students, career counselling and education to improve career stress management and grit is suggested.

      • KCI등재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송윤숙,이경화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2 Global Creative Leader Vol.2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창의성 수업 경험 유무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있어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검증함으로써 대학교육에서 창의성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창의성 수업 경험에 따라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능력 간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창의성수업경험에 따른 대학생의 창의성, 인지적 학습 역량(지식 및 사고, 창의, 문제해결)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둘째, 대학생의 개인배경(성, 학년, 전공)에 따라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셋째, 대학생의 창의성 및 인지적 학습역량의 하위변인 간에 관계는 어떠한 지 등을 연구 문제로 설정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키기에 창의성 수업이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적 학습역량과 창의성 간에는 유기적인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창의성 수업 경험을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에 입학할 때부터 단계적으로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한다면 학생들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창의성 교육이 현실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학교육에서의 여러 가지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다양한 창의성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