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과학교과교육 : 학교 밖 과학체험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흥미유발과 과학교육 활성화
전종술 ( J. S. Jeon ),한상욱 ( S. W. Han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5 No.-
최근, 우리나라의 과학교육은 교육정책적으로나 학생들의 관심사로부터 멀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고 다. 멀어질 것으로 보는 과학교사들이 적지 않다. 이에 전북대학교 과학교육과, 전라북도교육청의 과학직업교육과, 한국창의과학재단의 조언과 협조로 초,중,고 과학교사들이 뜻을 같이하여 학교 밖 과학교육 활성화 사업을 2008년부터 2010년까지 3년 동안 가능한 동일한 학생을 대상으로 첨단과학에 관련된 연구소나 대학교 그리고 다양한 과학축전과 축제 그리고 캠프를 실시하였다. 본 활동을 통해 학생들에게 과학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창의성 신장을 꾀하였으며 더 나아가 도서벽지 학생들과 특수교육대상자 학생과 함께하는 과학체험활동을 통해 모든 학생의 인성교육에도 주안점을 두었다. 본 활동의 3년 동안, 학생과 교사들의 의견과 설문지를 통한 관찰평가를 통해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호기심을 어떻게 이끌어 낼 것인가라는 고민과 함께 앞으로 과학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를 고민하면서 본 활동을 수행·연구하여 요약·정리하였다.
科學의 社會的 側面에 關한 硏究 : Joseph Ben-David를 中心으로
吳眞坤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9 No.-
이상과 같은 Ben-David의 저서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과학에 대한 사회적 측면의 연구와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는 과학사회학의 방법을 첫째, 과학과 사회제도의 관계로 보는 제도론적 접근 둘째, 과학자 상호의 사회관계를 문제로 하는 관계론적 접근으로 분류한 다음, 또 한편으로는 그 사회적 조건의 영향이 과학자의 행동, 연구 활동에만 미치는가, 아니면 과학의 내용, 특히 그 기초개념이나 과학의 논리구조에까지 이르고 있는가라는 점에서 구별하고 있다. 제도론적인 접근은 국가에 따라서 서로 다른 과학자의 역할 연구조직의 구조, 경제·정치체제, 종교, 이데올로기 등 여러 측면 등의 변수가 문제가 되고 있다. 한편 관계론적 접근은 연구소 내의 책임분담, 협력, 문헌의 인용패턴 등 과학자의 상호관계를 문제로 삼고 있다. 특히 관계혼적인 접근에서 두드러지게 많이 연구되고 있는 영역은 과학자 집단의 관계론적 연구, 과학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망과 사회 관계의 분야이다. 결국 두 가지 방법과 두 개의 대상영역의 선택의 줄기를 조합시켜 보면 4개의 연구영역이 설정된다. 즉 관계론적 접근에서 ① 과학활동 ② 과학의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영역, 제도론적 접근에서 ③ 과학활동 ④ 과학의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Ben-David는 ①의 가능성을 들고 있지만 ②와 ④ 의 가능성은 제한하고 있다. 그리고 ③의 접근을 자신의 입장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그의 입장은 결국 관계론적 접근의 특수한 타입으로 볼 수 잇다. 말할 것 없이 이 접근은 1960년대와 70년대 초기의 머튼과 그 학파의 이론에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래에 있어서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의 상호관계는 더욱 긴밀하게 되고 서로 깊게 중격을 줄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과학·기술이 한 국가의 경제발전과 국가안전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고 생각한다면, 또 다른 측면에서도 과학의 사회적 측면을 분석하는 작업 역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소련의 과학사회학 연구자인 G.M.Dobrov의 논문에 의하면, 소련의 과학사회학은 과학정책의 연구로 시종일관하고 있다. 과학정책은 과학을 발전시킨다는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원칙과 메카니즘 및 실천 활동으로 성립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 사회학은 과학과 사회의 상호관계와 과학연구의 과정에 잇어서의 과학자의 사회관계를 연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따라서 과학사회학에 의해서 얻어지는 성과는 과학의 전략, 과학의 정책, 과학의 관릴ㄹ발전시키는데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과학교과교육 : 과학 관련 진로교육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인식
박미희 ( Mi Hee Park ),조규성 ( Kyu Seong Cho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perception of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on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119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ience-related career and economy’ domain was showed up career education contents in high school textbook Second. teachers was realized the necessity of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but the extent to which it is carried out fell short of their recognition. They were preper information retrieval through the internet than any other source when gathering materials for th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teachers tent to recommend students field of engineering when they advise students which major they should choose.
In-Service Training of Science Teachers in Korea
Lee, Byung-Hoon,Yang, Dong-Ik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2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7 No.-
한국에서의 과학교사 재교육은 주로 사범대학 부설 중동교원연수원과 교육대학의 초등교원연수원에서 시행된다. 연수기간은 대개 여름방학중으로 일반연수에는 60시간, 자격연수에는 240시간을 각각 약 10일 및 30일간에 걸쳐 실시한다. 수업은 대게 대학교수가 담당하나 외부로 부터 자원인사를 동원, 활용하기도 한다. 교수 내용은 국민윤리와 이데오르기 교육을 포함하는 일반영역과 교육방법과 기능을 다투는 교직 영역, 그리고 과학적 지식과 개념을 재교육하는 전공영역으로 이뤄지는데 전공영역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한다. 여기에 부가해서 교육대학원 역시 본래의 기능은 3년의 학위과정이긴 하나 자격연수의 성격을 띄워 졸업과 동시 교사자격증을 수여 또는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재교육에는 교육내용, 연수 계획의 조직과 편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으므로 지역적인 필요와 현대 과학철학 및 교육사조에 입각한 혁신과 확장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과학교과교육 : 과학과 교육과정의 교과서에서 사용된 그래프의 유형과 활용분석 - 7학년을 중심으로-
강지현 ( Ji Hyun Kang ),오상욱 ( Sang Wook Ok ) 전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39 No.1
Scientific graph is a very strong tool in analyzing and communicating scientific knowledge, and is another way of expressing and interpreting data. Having the ability of structuring and understanding graph becomes a crucial factor to be a globally talented professional since graph is not only used in science but also in many parts of our lives, However, students usual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composing and interpreting data. To resolve this problem, researches from different aspects, including learners` learning processes, teaching material, instructor`s capability, interactions with other academic fields, are needed. In this study focused on graph as teaching material, we have selected 17 kinds of middle school science text books, which were recently published by the 2007 update of the government certified education guidelines, and analyzed the level of interpretation activities, typ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interpretation on graphs. The dominant type of graph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I textbooks was the linear type, which were constituted 94% of the total graphs. Among the science sections covered, Matter and Energy sections were the ones that the most graphs were used with 43.5% and 36.7%, respectively. In patterns of graph activity, Composition activities were 22.4 % and interpretation activities took up 77.6%. When the graphs were categorized by the level of composition ac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structions of the scales of the axis, the instruction of axis and variables, and no instruction were, respectively, composed of 41.6, 39.6, 12.3, and 6.5%. And when the graph were categorized by the different levels of interpretation activity, the interpretation of one single graph turned out 89.1 %, and the interpretation of more than two graphs were only 10.9%. Investigation of composition and interpretation activities from different textbooks showed that the composition activities were inconsistent among the textbooks and the level of interpretation activities was mostly interpreting one single graph only.
科學의 社會的 機能에 關한 硏究 : John Ziman을 中心으로 with Reference to John Ziman
吳眞坤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3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8 No.-
이상 J.Ziman의 저서《知識의 힘》을 중심으로 科學과 社會의 相互作用 즉 社會에 있어서 科學의 機能을 분석해 보았다. J.Ziman의 사상은 F. Bacon과 ▲ J. D. Bernal의 사상과 일맥상통하고 있다. 물론 J. D. Bernal과 J.Ziman의 관점이 일치하고 있지는 않지만, J. D. Bernal처럼 J.Ziman의 사상이 담김 저사가 이공의 학계의 학생은 물론 비과학계의 학생 특히 사회과학계의 학생 또는 정치ㆍ행정ㆍ경제분야에 종사하고 잇는 사람들에게 깊이 탐독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저서는 대학의 학부수준의 교과서로 매우 적당하는 평가도 있는데, 이것은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고 교육하는 지표를 제공해 주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科學과 社會의 關係는 너무 광범하고 복잡하여 그 전문적이고 본격적인 연구의 역사가 매우 짧기 때문에 이 분야를 연구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다. 우선, J.Ziman은 물리학을 전공한 사람이므로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물리과학 분야에만 치중했다는 이런 점이 바로 이 분야의 연구의 어려움을 입증해주고 있다. 과학적 성과가 사회에 끼치고 있는 구체적인 예는 화학이나 생물학 특히 분자생물학과 생태학에서 현저히 찾아볼 수 있는데도 J.Ziman이 이 분야를 전혀 손대지 않은 것은 자신의 전공분야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사회학자인 R. K, Merton도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선구자적인 입장에서 연구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의 저서의 목차에 나타난 논제는 J.Ziman이 다룬 논제와 전혀 그 방향이 다르다. 그 이유는 관점의 차이라고도 볼 수 있지만, 그 보다도 저자 자신들의 전공분야가 전혀 다른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이 분야의 연구는 科學技術政策硏究로 거의 일관하고 있다. 그러므로 과학과 사회의 관계를 다룬 저서는 한 편집자로 하여금 이 분야의 저명한 연구논문이 편집되는얀식으로 출판되는 경향이 최근에 짙어가고 있다. 물론 편집자의 관점에 따라서 그 내용이 다르지만 크게 차이가 있지는 않다. 따라서 이 분야의 본격적인 연구는 독립된 연구기관에서 전공이 다른 모든 분야 즉 넓은 의미에서의 과학자가 공동으로 연구하는 방법이 최선의 방안이며 이를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 과학의 사회적 기능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인 연구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科學社會學(Sociology of Scicnce), 科學學(Scicnce of Scicnce), 科學의 社會的 硏究(Social Stucies of Scicnce), 科學技術社會의 硏究(Study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SSTS)등의 명칭으로 이 분야의 문제가 연구되고 있다.
권재술 全北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1984 과학과 과학교육 논문지 Vol.9 No.-
Klopfer는 "Handbook on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Bloom, 1971)에서 과학교육과정, 교과서, 학습활동 등을 분석할 수 있는 '이원분류표'를 제시하였다. 이 이원분류표는 Bloom이 "Te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Ⅰ: Cognitive Domain" (Bloom, 1956)에서 제시한 교육목표 분류를 바탕으로 과학교과의 특성에 맞게 교육목표와 교과내용을 상세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이원분류표의 가로축은 기대되는 학생의 행동을 나열하고, 세로축은 생물, 화학, 물리, 지구과학 및 과학일반의 내용을 상세화하여 제시하였다. 필자는 본 논의에서 Klopfer가 제시한 평가 방법을 요약하여 소개하고 이를 실제 적용할 때에 기대되는 효과와 문제점을 검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