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91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분석

        송임진 仁川敎育大學 學生生活硏究所 1992 學生生活硏究 Vol.6 No.-

        1991학년도 본 대학 신입생 432명을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점들을 학생지도의 측면에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적사항 ① 신입생들의 출생년도는 72년생이 47.4%, 73년생이 19.5%,71년생이 16.7%순으로 71∼73년사이에 출생한 신입생이 전체의 93.4%를 차지하고 있다. ② 출신고등학교 소재지는 서울이 39.5%, 인천이 29%, 경기가 14.6%로 나타났다. ③ 출신고등학교 계열은 인문고가 98.6%로 이중 문과계열은 61.8%, 이과계열은 36.8%로 나타났다. 특히 이과생들은 수학교육과 84.8%, 과학교육과 89.9%로 심화 과정 선택에 출신고등학교 계열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④ 재수는 1년이상 경험이 있는 학생은 26.9% 나타났다. ⑤ 신입생중 37.3%는 종교가 없으며, 종교가 있는 학생중 기독교가 44.4%, 천주교가 10.9%, 불교가 6.7%이다. ⑥ 신입생의 주성장지는 84.5%가 도시지역에서 성장하였다. 2. 가정 환경 ① 신입생들의 부모가 모두 살아계신 학생은 86.1%이며, 11.1%의 학생은 어머니만 생존하시고, 1.6%의 학생은 아버지만 생준하신다. ② 아버지의 학력은 66.7%가 고졸이상인 것으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경우는 고등학교 이상이 36.8%, 중학교 졸업이 35.2%로 나타났다. ③ 보호자의 직업은 상업 23.5%, 회사원 20.2%, 공무원 10.8%, 교원 7.8%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④ 신입생들의 주거형태는 자택 80.1%로 나타났다. ⑤ 가정의 경제형편이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이 19.7%로 나타났다. ⑥ 학비조달은 88.8%가 부모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⑦ 월평균 용돈은 5만원이상 7만원 이하가 28.6%, 3만원 이상 5만원미만이 24.5%, 9만원이상이 15.7%, 1만원이상 3만원미만이 15.0%순으로 나타났다. ⑧ 가정분위기는 61.4%가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고 하였고, 불화를 느끼는 학생은 3.5%로 나타났다. ⑨ 가정의 당면문제는 32.9%가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고, 경제적 곤란 20.1%, 가족의 건강 14.8%, 자녀가 부모의 기대미달 10.0%, 부모와 자녀간의 불화 7.9%, 부모간의 불화 3.7%로 나타났다. ⑩ 부모와 개인문제 의논정도는 하는 학생이 71.8%, 하지 않는 학생이 8.1%로 나타났다. ⑪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다는 학생이 12.2%에 불과해 부모의 교육 관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학생활 ① 통학지역은 대부분의 학생이 (84.0%) 인천 ·서울지역에서 통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통학시간은 1시간 이상이 61.1%, 1시간 미만이 29.3%, 2시간이상이 9.5%로 나타났다. ③ 신입생들이 생각하는 대학의 주된 기능은 원만한 인격도야가 43.5%, 전공학문연구 21.1%, 전문직업인의 양성 17.1%, 좋은 인간관계 형성이 14.6%로 나타났다. ④ 본 대학을 선택하게 된 동기는 적성과 흥미에 맞추어 53.0%, 부모의 권유 21.1%, 장래의 발전가능에 따라가 9.5%순이다. ⑤ 신입생들이 본 대학에 입학한 현재의 긍지는 불만이 2.1%로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 ⑥ 심화과정 선택동기는 취미와 적성에 맞추어가 53.0%, 대학학과소개 17.4%, 졸업후 실용성 5.6%, 선배의 권유 4.6%, 부모 및 친지의 권유 1.6%로 나타났다. ⑦ 심화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불만인 학생이 4.2%로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 ⑧ 평소 수업에 임하는 자세는 별로 열중하지 않거나 관심없이 형식적인 출석하는 학생이 11.1%로 신입생들의 수업에 임하는 자세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⑨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관심분야는 학문탐구 34.5%, 교양독서 19.2%, 사회경험 16.9%, 친구 및 이성교제 12.5%, 써클활동 8.6%, 취미활동 2.5%, 사회봉사 2.1%, 정치적 현실참여는 전혀 나타나고 있지 않다. ⑩ 참여하고 싶은 써클분야는 특기개발을 위한 써클이 32.9%, 교양 및 상식을 넓히기 위한 써클이 22.2%, 사교 및 인간관계의 확대를 위한 써클 16.0%, 사회 봉사를 위한 써클이 8.8%, 학술분야와 관련된 써클 7.4%, 정치 사회등 현실문제에 관여하는 써클이 6.5%순으로 나타났다. ⑪ 대학생의 정치적 현실참여는 세미나, 토의등 학술적 방법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가 67.1%로 가장 많고, 행동으로 참여하여야 한다는 학생이 10.0%, 학업에 지장 및 학생본분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5.6%로 나타났다. ⑫ 신입생들이 교수에게 가장 바라고 싶은 것은 개인적 관심 30.6%, 훌륭한 인생관을 길러주었으면이 24.1%, 대화할 기회 17.1%, 연구하는 교수 12.7%, 해박한 지식 전달 9.7% 학과의 활동참여가 2.3%순서로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⑬ 현재 본 대학에 바라는 것은 학생복지 및 교육시설확충이 81.2%로 시설확충을 가장 바라고 있다. 4. 가치관 및 개인생활 ① 신입생의 가치관을 알아보는 것으로 화목한 가정이 44.2%, 의리있는 친구가 24.5%, 건강 14.6%, 참된 애인 9.3%로 신입생들의 가치관이 건전하다고 볼 수 있다. ② 교직에 대한 견해는 보람있는 직업 70.8%, 해볼만한 직업이 26.4%로 대부분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③ 신입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대인관계는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이 6.8%로 대부분 원만하다고 할 수 있다. ④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의논상대로는 친구와 선배 37.3%, 어머니 23.6%, 아버지 6.7%, 형제 자매 13.9%, 혼자서 해결한다는 학생이 18.1%로 나타났다. ⑤ 이성교제는 하고 있는 학생이 20.6%, 바라는 이성교제는 대부분 학생이 부담이 없는 건전하고 건실한 교제를 원하고 있다. 5. 학생 생활 연구소 ① 신입생들은 학생생활연구소의 기능을 대학생활에 필요한 정보자료를 얻기 위해 찾아가는 곳 51.2%, 고민있는 학생이 찾아가는 곳 20.8%, 각종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는 곳이 15.5%, 부직을 알아보는 곳 6.9%, 신상문제 5.6%순으로 나타났다. ② 부직이 필요한 주된 이유는 용돈 마련 51.9%, 재학중 학비조달 21.5%로 경제적 이유가 73.4%이고 사회적 경험 21.1%, 여가활용 및 호기심 4.2%로 나타났다. ③ 상담교수와 상담하고 싶은 문제는 학습 방법 및 학업전반에 관한 문제 26.2%, 인간관계 및 이성문제 22.25, 취업 및 진로문제 18.3%, 성격문제가 10.2%, 써클활동 문제 7.9%, 사상이념등 현실참여문제가 4.4%, 가정문제 2.3%, 경제가 0.5%로 나타났다. ④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교양특강 25.1%, 성격극복 18.8%, 취미생활 18.5%, 소집단대화 12.1%, 정신건강 6.3%, 해외연수 및 여행 4.9%순으로 나타났다.

      • 1992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결과분석

        연구부 仁川敎育大學 學生生活硏究所 1993 學生生活硏究 Vol.7 No.-

        1992학년도 본 대학 샌입생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점들을 학생지도의 측면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적사항 ① 신입생들의 출생년도는 73년생이 61.7%, 74년생이 16.7%, 72년생이 16.1%, 20세이상은 26명으로 72~74년사이에 출생한 신입생이 전체의 93.5%를 차지하고 있다. ② 출신고등학고 소재지는 서울이 33.4%, 인천이 31.9%, 경기가 20.2%로 전년도와 비교하여 인천·경기지역이 8.5% 증가하였다. ③ 출신고등학교 계열은 인문꼬가 99.6%로 이중 문과계열은 71.2%, 이과계열은 28.4%로 전년도와 비교하여 이과가 8.6% 감소하였다. 특히 이과학생들은 수학교육과 80.0%, 과학교육과 67.0%로 심화과정 선택에 출신고등학교 계열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④ 재수는 1년이상 경험이 있는 학생은 22.5%로 나타났다. ⑤ 신입생중 45.35가 종교가 없으며, 종교가 있는 학생중 기독교가 36.7%, 천주교가 11.9%, 불교가 5.7%이다 ⑥ 신입생들의 주성장지는 83.3%가 도시지역에서 성장하였다. 2. 가정환경 ① 신입생들의 주거형태는 자택이 78.8%로 나타났다. ② 통학소요시간은 1시간미만이 36.0%, 2시간이상은 13.1%이다. ③ 신입생들의 학비부담은 대부분 부모이나 본인이 노력하여 부담할 학생은 15.9%이다. ④ 가정분의기는 대개가 화목하게 지내고 있다고 하였고, 불화를 느끼는 학생은 2.3%로 나타났다. ⑤ 가정의 경제형편은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이 15.2%로 나타났다. ⑥ 신입생들의 부모의 생존관계는 10.2%의 학생은 어머니만 생존하시고 1.5%의 학생은 아버지만 생존하신다. ⑦ 아버지의 학력은 70.3%가 고졸이상으로 이중 전문대학이상은 26.5%이다. 어머니의 경우는 고등학교 이상이 42.9%, 중학교 졸업이 31.0%로 나타났다. ⑧ 보호자의 직업은 상업 25.55, 회사원 21.7%, 농업이 11.3%, 공무원 8.9%, 교원8.1%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⑨ 교육에 대한 부모의 관심이 낮다는 학생이 0.6%에 불과해 부머의 교육 관심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⑩ 가정의 당면문제는 40.3%가 문제가 없다고 응답했고, 경제적 곤란 16.3%, 가족의 건강16.1%, 자녀가 부모의 기대미달 11.2%, 부모와 자녀간의 불화 5.3%, 부모간의 불화 2.3%로 나타났다. ⑪ 부모의 개인문제를 의논하지 않는 학생이 6.6%로 나타났다. 3. 대학생활 ⓛ 신입생들이 생각하는 대학의 주된 기능은 원만한 인격도야가 45.1%, 전공학문연구17.2%, 전문직업인의 양성 11.0%, 좋은 인간관계 형성이 23.5%로 나타났다. ② 신입생들의 대학생활에서의 관심분야는 학문탐구 33.7%, 교양독서 21.6%, 사회경험 20.3%, 친구 및 이성교제 10.0%, 써클활동 5.9%, 취미활동 3.6%, 사회봉사 2.5%, 정치적 현실참여는 단 1명만 답하였다. ③ 본 대학을 지망하게 된 동기는 적성과 흥미에 맞추어 47.9%, 부모의 권유 19.5%, 취직의 가능성 9.3%, 장래의 발전가능에 따라가 8.1%, 고교담임의 권유 6.4%, 학력 및 내신에 맞춰 5.9%, 기타 3.0% 순이다. ④ 신입생들이 본 대학에 입학한 현재의 긍지는 불만이 2.1%로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⑤ 심화과정 선택동기는 취미와 적성에 맞추어가 51.4%, 대학에서 배치 18.7%, 대학학과소개 8.5%, 졸업후 실용성 7.9%, 선배의 권유 3.6%, 부모 및 친지의 권유 3.8%로 나타났다. ⑥ 심화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불만인 학생이 2.7%로 대부분 만족하고 있다. ⑦ 평소 수업에 임하는 자세는 별로 열중하지 않거나 관심없이 형식적인 출석하는 학생이 8.1%로 신입생들의 수업에 임하는 자세는 양호하다고 할 수 있다. ⑧ 참여하고 싶은 써클분야는 특기개발을 위한 써클이 34.1%, 교양 및 상식을 넓히기 위한 써클이 18.4%, 사교 및 인간관계의 확대를 위한 써클 17.4%, 사회봉사를 위한 써클 9.1%, 학술분야와 관련된 써클 6.6%, 종교 3.1%, 정치 사회등 현실문제에 관여하는 써클 0.8%순으로 나타났다. ⑨ 학교생활외 여가시간 활용은 대인교제 32.4%, 써클활동 14.2%, 교양독서 11.7%, 학과공부 9.7%, 취미생활이 8.1%, 아르바이트가 4.0%, 일없이 보내는 학생이 178.6%로 나타났다. ⑩ 대학생의 정치적 현실참여는 세미나, 토의등 학술적 방법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가 62.3%로 가장 많고, 행동으로 참여하여야 한다는 학생이 10.0%, 학업에 지장 및 학생본분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학생이 5.9%로 나타났다. ⑪ 현재 본 대학에 바라는 것은 학생복지 및 교육시설확충이 75.9%로 시설확충을 가장 많이 바라고 있으며, 대외적 이미지향상 15.0%, 면학분위기 조성 5.7%, 사회적인 공헌 1.3%로 나타났다. ⑫ 신입생들이 교수에게 가장 바라고 싶은 것은 개인적 관심 43.0%, 대화할 기회 21.8%, 훌륭한 인생관을 길러주었으면이 17.4%, 연구하는 교수 8.1%, 해박한 지식이 7.0%, 학과의 활동참여가 1.5%순서로 기대하고 있다. 4. 가치관 및 개인생활 ① 신입생의 가치관을 알아보는 것으로 화목한 가정이 38.9%, 의리있는 친구가 24.2%, 건강 21.9%, 참된 애인 5.1%로 신입생들의 가치관이 건전하다고 볼 수 있다. ② 교직에 대한 견해는 매우 보람있는 직업 67.7%, 해볼만한 직업이 29.7%로 대부분 긍정적인 견해를 보이고 있다. ③ 자신의 문제에 대한 의논상대로는 친구와 선배 33.9%, 어머니 21.3%, 형제 자매 17.6%, 아버지 5.3%, 혼자서 해결한다는 학생이 18.6%로 나타났다. ④ 신입생들이 스스로 생각하는 대인관계는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이 7.6%로 대부분 원만하다고 할 수 있다. ⑤ 이성교제는 하고있는 학생이 16.1%, 바라는 이성교제는 96.0% 학생이 부담이 없는 건전하고 진실한 교제를 원하고 있다. ⑥ 부직이 필요한 주된 이유는 용돈 마련 51.5%, 재학중 학비조달 17.6%로 경제적 이유가 69.1%이고 사회적 경험 25.8%, 여가활용 및 호기심 4.2%로 나타났다. 5. 학생생활연구소에 관하여 ① 신입생들은 학생생활연구소의 기능을 대학생활에 필요한 정보자료를 얻기 위해 찾아가는 곳 64.8%, 고민있는 학생이 찾아가는 곳 18.8%, 각종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는 것이 7.7%, 부직을 알아보는 곳 3.6%, 신상문제 5.1%순으로 나타났다. ② 상담교수와 상담하고 싶은 문제는 학습방법 및 학업 전반에 대한 문제 32.8%, 취업 및 진로문제 20.6%, 인간관계 및 이성문제 15.0%, 성격문제가 10.6%, 사상이념등 현실참여문제가 7.0%, 경제가 3.6%, 써클활동 문제 1.9%, 가정문제 0.6%로 나타났다. ③ 참여하고 싶은 프로그램은 해외연수 및 여행 27.4%, 성격극복 20.2%, 취미생활 12.5%, 소집단대화 11.3%, 교양특강 10.2%, 정신건강 6.4%순으로 나타났다.

      •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地域社會發展에 관한 硏究 : 仁川地域社會를 中心으로 Focussing on the Inchoen Community

        崔種運,沈璡求,宋種憲 仁川敎育大學校 1991 論文集 Vol.25 No.2

        본 연구는 大學敎育擴張을 통한 仁川地域社會의 發展을 도모하려는 연구이다. 硏究의 必要性은 두가지 측면에서 찾을수 있었는데 하나는 社會的·現實的 측면이고 다른 하나는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이다. 먼저 사회적·현실적 측면으로 보면 오늘날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政治·經濟·社會·文化의 각 부문에 있어서 여러가지 문제와 仁川地域社會가 안고 있는 課題解決이다. 정치적으로 民主主義 제도의 정착 경제적으로 成長과 配分의 균형유지 사회적으로 階層간의 갈등과 道德性 회복, 문화적으로 傳統文化와 外來文化의 융합 등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천지역사회는 수도권 周邊都市로서 國際港口都市로서, 輸出産業都市로서의 三重的 性格을 갖고 있어 수도권 예속성, 외래문화 영향, 산업사회의 역기능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고 있어 道德觀의 混亂과 社會的 一體感 결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그리하여 仁川地域社會의 주체적 生活文化 향상과 주민의 共同體意識 고양은 당면과제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지역과제는 地方自治時代를 맞이하여 그 지역의 力量으로 해결하지 않으면 안되는 입장에 놓이게 되었다. 다음으로 大學의 構造와 機能的 측면에서 보면 오늘날 대학은 일부 선발된 엘리트(elite)집단만을 대상으로 한 고전적 학문의 전당으로서 秀越性을 추구하는 기능에만 머물러 있을수 없고 대학이 그 地域社會를 위하여 奉仕해야 한다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이것 또한 오늘날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입장에서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실천적 방안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구체적 目的은 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을 통한 課題를 추출하고 이 課題解決을 위한 大學敎育擴張 方案을 모색하고 실천하는데 있었다. 이에 따라 硏究의 內容을 ①대학교육확장에 대한 理論的 探索 ②지역사회발전을 위한 대학의 構造와 機能에 대한 模型 定立 ③인천지역사회의 實態分析 및 課題 抽出 ④인천지역사회 과제해결을 위한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으로 했다. 硏究方法은 文獻硏究, 調査硏究, 實踐硏究方法을 적용했으며, 문헌 연구는 대학교육확장에 관한 발전과정, 외부의 사례비교 분석을 통하여 모형적립에 이론적 기초를 확보했으며, 조사연구는 인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한 地域社會 課題意識調査를 통하여 지역사회 課題를 抽出했고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 및 지역주민의 社會敎育 意志 및 要求調査를 통하여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方向 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얻었다. 또한 실천 연구는 개발된 프로그램을 인천시 남동구 만수동 주공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해당지역내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적용하는데 이용되었다. 硏究節次는 준비단계, 실행단계, 평가단계로 나누어 1990년 10월부터 1991년 9월말까지 1년간 추진하였으며 준비단계는 文獻硏究, 基礎調査, 理念普及, 與件造成 등을, 실행단계에는 프로그램 開發 및 適用, 평가단계는 結果評價, 報告書作成등을 하였다. 연구결과 얻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학의 構造와 役割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오늘날 대학은 定規學生들을 위한 전통적인 敎授·硏究機能 뿐만 아니라 대학밖의 成人을 위한 교육기능을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주요국의 大學社會敎育 動向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국의 대학사회교육은 多樣性을 유지하면서 定規學生 敎育 構造와 成人敎育 構造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지역내의 여러 캠퍼스간에 조직망을 형성하여 조정역할을 하며,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課程을 융통성 있게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로 이상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大學敎育體制 模型을 구안해 본 결과, 우리나라 대학의 경우 部分的 擴張에서 完全擴張으로 大學外에서의 프로그램 운영에서 大學內의 프로그램 운영체제로 점진적 발전이 바람직하고, 대학교육 運營體制는 定規課程과 成人課程을 竝立시키면서 成人課程에는 硏修課程과 一般課程을 두는 것이 이상적이라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硏修課程에는 資格課程과 非資格課程, 일반과정에는 敎養·理論課程과 生活實技課程을 두되 全日制, 定時制, 學點制·非學點制 등을 병행하여 채택하고 入學은 과정에 따라 試驗과 無試驗 전형을 택하고 講座는 短期·長期講座를 아울러 두며 敎授方法은 集團敎授, 個別敎授, 多感覺學習·多活動學習 指導法을 사용하도록 해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로 인천지역사회 實態調査 結果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流通, 交通, 敎育, 醫療, 文化, 餘暇生活 등에 문제가 많고 특히 公海 및 住居環境의 改善과 道德觀의 定立이 우선 과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課題意識調査 結果 ①公海·安全, ②敎育 ③勞動·收入 ④消費環境 ⑤人間交流·連帶 ⑥文化·生活環境 ⑦社會保障 ⑧相談·參加 ⑨餘暇活動 순으로 중요하다는 반응이 나타났다. 다섯째로 이상과 같은 課題解決을 통하여 인천지역사회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하여 인천지역 대학교수의 社會敎育 意識調査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의 교수 요원이 사회교육에 참여한 經驗이 있었고 大學敎育擴張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었다. 실시 가능한 프로그램은 일반 교양교육, 자녀교육으로 반응했다. 그리고 인천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한 社會敎育意志 및 要求調査를 실시한 결과 주민들의 生活時間帶에 맞는 요일, 시간을 택하여 인근 學校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면 적극적으로 참여할수 있다는 반응이고 요구하는 프로그램은 敎養敎育, 趣味生活, 健康生活,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프로그램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여섯째로 대학교육 확장의 방침을 1차년도에는 대학밖에서 주민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萬壽洞 住公아파트 단지 주민을 대상으로 인근 초·중학교와 협력하여 운영한 프로그램은 敎養講座 15개 프로그램, 趣味生活 14개 프로그램, 健康生活 4개 프로그램 共同體意識 形成 및 奉仕活動 2개 프로그램 이었으며 총 35프로그램에 參加人員數 2,367 명에 달했다. 프로그램 내용은 仁川地域社會 實態調査에서 나타난 問題點과 課題解決에 촛점을 두었으며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사회교육 이념보급, 조직 및 시설, 재정, 홍보, 유관기관 협력체제 조성 등 여건 조성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일곱째로 프로그램 운영결과 얻어진 효과는 大學敎育機能 擴大와 社會敎育의 必要性과 可能性을 확인하게 되었고 인천지역사회 住民들로 하여금 公海, 交通, 子女敎育, 經濟活動 등에 교양을 높여주고 다양한 취미활동, 건강활동을 통하여 餘暇生活을 보다 잘 하도록 했으며 주민의 生活文化 向上에 이바지했다. 또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주민들은 만남을 통하여 共同體意識을 形成하게 되었고 바자회 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奉仕精神의 의미를 체험적으로 이해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연구의 期間과 經費의 制限性에도 불구하고 仁川地域社會 發展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1.Necessity This study was to solve the actual as well as the social problem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to carry out the university role of teaching, research, and to expand service in it's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2. Purpose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mmunity problems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in the Inchoen Community and search out ways of how to put into practice thd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and to solve the problems. 3. Content The conten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oretical review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 2. Model formation of structure and function of university for development of community. 3.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s an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Inchoen community. 4.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problem solving in the Inchoen community. 4. Method and Procedure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field study. It's procedure was divided into prepara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stage and conducted from Oct, 1990 to Sep. 1991(1 year) 5. Finding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oday, the university must extend it's function of educating full-time students as well as adult education program. 2. Most countries university have a variety of programs and intrgrate management of full-time students and adult educational programs. 3. Formation of systemetical model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e Ichoen Community will be extend from partial to an entire extension program. 4. Analyzing the actual condtions in the Incheon Community, many problems were found. They were as follow; traffic, education, medical care, culture, recreation, and in particular, pollution, the need for improviding the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formation of a value system are most important of all the problems. 5. In the finding of the need assessment of adult education, if schools manage the program for residents, they will participate in culture, education, hobby, health, and formation of community sprit programs. 6. After performence of education for residents we have confirmed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university extension programs and therfore residents enriched their culture, enjoyed their leizure time, and helped the formation of their community sprit.

      • 主要國의 獨學學位體制 分析

        崔熙善 仁川敎育大學校 1990 論文集 Vol.24 No.1

        중국의 自學考試制度는 독학의 하나의 독특한 형태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 고시제도는 年齡과 學歷에 제한을 두지 않고 開放되어 있다는 점 이외에도 몇가지 특징이 있다. 첫째는 국가에서 원칙만 제시하고 개인과 지역의 실정에 따라 광범한 융통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로는, 自學自濕을 돕는 다양한 사회적 기관이 있다는 점이다. 黨, 學校, 團體, 機關의 보조는 물론이고 다양한 보도센터, 보도반, 자학문담센터 등이 자학자습을 돕고 있다. 셋째로는, 自學考試출신자의 대우가 정규대학의 졸업자와 동등하다는 점이다. 정부차원에서 이 점을 실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産業化 과정에서 나타난 사회적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설립된 것이 바로 美國의 全國家庭學習協議會에서 제공하는 가정학습프로그램이다. 지금까지도 계속 이어져 내려오는 이 프로그램은 대학수준의 獨學課程의 전형적인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즉 通信敎肉 方式을 최대한 활용하여 학습자의 여건에 부응한 학습활동을 가정에서 스스로 함으로써 학습자가 원하는 소정의 기준을 획득하게끔 하는 것이다. 영국의 開放大學은 그 시설과 대학조직에 있어서는 물론 교육과정 및 자료개발, 교수학습체제, 학생지원체제 등의 측면에서 세계 여러나라의 獨學을 돕는 平生交育 또는 繼續敎育 관계 대학의 한 모형이 되고 있다. 개방대학은 다른 영국의 대학들 보다 더 독자적인 地位가 부여되고 있으며 정부는 충분한 敗政支授 이외에 아무런 간섭을 하지 않는다. 즉 개방대학은 진정한 의미에서 平生敎育大學으로서 正規大學을 다니지 않은 모든 국민들에게 학위과정이나 비학위과정을 자신들의 필요에 대응하여 개설하고 지도하고 있는 대학이다. 중국의 成人高等敎育體制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는, 중국의 理念的 志向과 사회적 현실을 바탕으로 성인교육체제는 국가의 經濟計劃과 敎肉計劃에 밀접하게 연계·통합을 이루며 실시되고 있다. 둘째는, 중국의 성인교육체제는 비교적 독립된 자체의 經營·營理構造를 갖추고 있으며, 인사, 자금, 물리적 공급면에서도 자체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셋째로, 성인고등교육 프로그램은 비교적 形式的 制度化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입학방식의 다양화를 통해 敎育需要를 충족시키고 있다. 한편, 미국의 大學繼續敎育脅議會 산하의 계속교육프로그램은 대학의 기능이 점차 지역 사회에서 대한 봉사에 강조점이 주어지는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전통적인 대학문호의 폐쇄성에서 벗어나 지역사회의 多樣한 특성의 學習者의 요구에 따른 大學의 開放은 平生敎育次元에서도 기대되었던 점이다. 상당기간의 준비기간을 거쳐서 설립된 일본의 放送大學은 제한된 일본의 대학교육을 개방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학 학사학위과정 뿐만 아니라 비학위과정을 개설함으로써 많은 일반 시민들과 고등하교 졸업을 하지 못한 사람들에게 대학수준의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독학과정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이다. 캐나다의 아타바스카 대학은 대학문호 개방입력에 대한 대응으로서 설립된 대학들중의 하나이다. 1975년 達隔大學의 성격으로 개방하기 전에도 새로운 사회적, 경제적 요구에 대응하여 교육과정이나 학습지도체제의 과감한 刷新을 시도해 왔다. 開校이래 아타바스카 대학은 캠퍼스 중심의 대학에서 벗어나 원격교육프로그램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많은 대학수준의 교육을 학습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 敎育大學에서의 效率的인 敎育實習 方案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1986 論文集 Vol.20 No.1

        敎育 準備過程 중에서 敎育實習은 가장 重要한 位置에 놓여 있다. 지금까지 敎育大學에서 배워 온 온갖 敎育理論과 方法을 自己의 實踐을 통하여 體驗的으로 習得하고, 敎師로서 갖추어야 할 敎育技術 및 敎育事務 實務를 習得함과 同時에, 敎師로서의 人格的 資質을 修鍊하는 過程이 곧 敎育實習인 것이다. 本 大學의 경우, 一任하여 '參觀實習'을 1學期에 2,3,4學年에게 각각 1 週間式 實施했고, 4學年에게는 '授業實習'을 1學基에 4周間, '實務實習'을 2學期에 1周間 實施했다. 本 硏究者가 생각하기에 本 大學의 敎育實習 狀態가 效率的인 敎育實習이라는 觀點에서 볼때,敎育實習의 時期, 內容, 方法面에서 相當한 問題가 있다고 判斷되었다. 그리하여, 本 大學의 敎受와 敎師敎育을 받았고 오랜 敎職生活 經驗을 가진 現職敎師로서 本 大學의 初等敎員硏修院에 와서 校監資格 取得講習을 받고 있는 校監班 受講生및 本 大學의 夜間.季節學級 受講生, 그리고 敎育實習을 完全히 끝낸 本 大學의 4學年 學生의 敎育實習에 대한 意見을 調査하여, 이를 參考로 하여 1985學年度 入學生부터의 敎育大學에서의 效率的인 敎育實習 方案을 模索해 낼 必要가 있다고 느껴 本 硏究를 하였다. 本 硏究의 目的은 첫째로, 敎育實習에 대한 本 大學의 敎授, 敎監班 受講生, 夜間. 季節學級 受講生 및 4學年 學生들의 意見을 調査하여 把握하고, 둘째, 敎育大學에서의 效率的인 敎育實習 方案을 模索. 提示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本 硏究의 方法은 먼저 敎育大學 '敎育實習'에 대한意見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參觀實習의 時期.內容.指導者.參觀實習을 敎大 敎授가 指導할 경우의 週當時間과 學點, 授業實習과 實務實習의 時期.分離與否, 實習校 所在와 期間, 評價方法, 實習 中 敎大敎授가 實習校에 敎生指導次 나가는 頻度및 常勤與否, 敎育實習을 끝낸 學生들의 敎育實際에 관한 疑問들을 풀어 주는 方式, 敎大에서의 敎育實習에 관한 硏究適任敎授라는 11個 間頂에 걸친 調査紙를 만들어, 上記한 바와 같은 對象들에게 調査하여 百分率을 算出하였다(附錄 1,2 參照). 調査結果와 論義는 本文 Ⅱ.硏究結果,A,와 같고, 敎育大學에서의 效率的인 敎育實習 方案을 摸索해 낸 結果는 다음의 結論과 같았다.

      • KCI등재

        韓國 高等敎育機關의 敎科 學習成果評價方法 改善方案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6 교육논총 Vol.7 No.-

        韓國 高等敎育機關이 採擇해 온 敎科學習成果 評價方法은 任意評價이거나 相對評價이다. 任意評價는 評價基準이 缺如되어 있기 때문에 敎科學習成果의 評價方法으로서는 合當치 못한 評價方法이고, 相對評價는 여러 個人의 相對的인 比較를 基準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敎科目標의 成就度를 알 수 없는 評價方法이다. 이와 같이 敎育目標를 評價基準으로 하지 않은 評價方法을 採擇해 왔기 때문에 敎授들 中에는 敎科指導에 誠意가 不足한 者도 있게 되고, 學生들은 將來야 어찌 되었건 于先은 平安히 노는 것이 좋아, 口實만 있으면 休講을 하자고 强要하고 敎科進度가 나가는 것을 싫어 한다. 이와 같은 要因들로 因하여 絶對多數의 敎授들이 自己가 擔當한 敎科의 全過程을 學生들에게 ?修시키지 못하고 있다. 敎科學習成果를 妥當하게 評價하기 爲해서나 敎科指導上의 問題들을 解決하기 爲해서도 敎科學習成果의 評價方法은 絶代評價로 고칠 것이 要請된다. 그러나 아직 대학이나 專門學校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具體的인 方法과 方策이 硏究되어 있지 않다. 그리하여 硏究者는 本 硏究의 必要를 느꼈다. 本 硏究는 大學이나 專門學校의 敎授들이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道具를 製作해 낼 수 있게 案內하고 大學이나 專門學校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로 施行해 나갈 수 있는 方案을 摸索提示할 것을 目的으로 하였고, 이 目的들을 達成하기 爲하여 敎科學習 成果의 絶代評價를 爲한 道具의 製作節次를 찾아내고,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筆答考査의 問項場面 性質을 究明해 내며, 敎育大學「視聽覺敎育」科目의 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道具를 製作하고, 高等敎育機關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한 方策을 摸索해 내는 것을 硏究內容으로 하였다. 本 硏究의 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敎科學習成果의 絶代評價를 爲 道具의 製作節次는 ① 敎科指導目標의 確認, ② 敎科指導目標의 細分化, ③ 敎科指導目標의 二元分類表 作成, ④ 問項型式 決定, ⑤ 問項作成이었고, 敎授學習成果를 爲한 筆答考査의 問項場面 性質은 適切性, ??度, ?新度, 構造化의 征途, 動機誘發의 能力, 內面化의 程度 등이 問題가 됨을 確認하였으며, 敎育大學「視聽覺敎育」科目의 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하여 製作된 道具는 附錄 1과 같았고, 高等敎育機關에서 敎科學習成果를 絶代評價하기 爲하여 摸索된 方策은 同一敎科 擔當敎授들로 하여금 共同硏究를 하여 問項을 作成하게 하되 1個 敎科當 3個 類型(A型, B型, C型)의 考査問題를 만들어 全敎科의 問題를 한 곳에 保管해 두었다가 學長이나 校長은 考査를 實施할 때마다 그 3個 類型의 問題中에서 任意로 한 類型의 問題를 選擇하여 古事를 實施하고, 考査監督과 採點은 入試管理를 하는 것과 方式을 擇한다는 것이었다. 本 硏究 結果를 採擇하는 일은 大學이나 專門學校의 敎科學習成果 評價方法을 改善하는 일이고, 敎科學習指導上에 나타나고 있는 여러 가지의 問題를 一?시켜 敎科指導目標를 達成되게 하는 일이며, 學生들에게는 目的意義를 가지고 能動的으로 學習하는 習慣을 가지게 하여 卒業後에도 繼續 自己敎育을 해 나갈 수 있는 人間이 되게 하는 일이라 믿어진다.

      • 초등 실과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연구 : 진단과 처방

        최유현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이 연구는 초등 실과교육 대학원 교육과정의 현상적 진단과 학문적 배경에 기초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의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따라서 연구 방법은 초등실과교육학의 학문적 범주를 구조화하기 위하여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현재의 교육대학교 초등 실과교육 전공 교육대학원 및 한국교원대학교 초등 실과교육 전공 대학원의 12개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실과교육 전공 교육과정의 분석 결과는, 초등실과 교육학 영역에서는 실과교육 개론 및 문제(24.2%) 범주와 실과 교육 연구(22.7%) 범주가 다른 범주보다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실과내용 교육학과 이론학 분야를 통틀어서 가정과학, 기술학, 생명과학, 정보과학, 환경교육, 진로교육 순으로 분포를 보이고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초등 실과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 원칙을 중심으로 제안하는 교육과정은 모델은 교육학 강조 모델, 내용학 강조 모델, 교육학 및 내용학 조화모델로 제시하여 대학별로 특성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model of on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o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in the 12 graduate school of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domains of the curriculum model of÷ graduate school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general pedagog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content pedagogy of practical arts education, theory for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And the domain of content of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proposed as home economics, technology education, general agricultur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career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Second, the three models of the curriculum model of graduate school in the elementary practical arts education were proposed as the pedagogy focused model, the content focused model, and the balance model of pedagogy and con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