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初. 中. 高校 道德敎育內容의 連繫成 硏究

        李永春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6 교육논총 Vol.7 No.-

        現行 初, 中, 高敎의 敎育課程制定 節次을 알아 보고 各級別 道德敎育 內容을 分析 比較하므로써 앞으로의 敎育課程 制定作業에 示唆點을 찾고 一線敎師들에게 各級 學校에서 道德敎育 內容에 관한 連繫性을 ?? 認識하게 하여 連繫性이 不足한 內容의 것은 補完하여 보다 效果的인 道德敎育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資料를 提供하기 위한 硏究로서 먼저 敎育課程 構成을 위한 基礎硏究?를 參考하여 敎育課程 構成의 根本 바탕이 무엇인가를 염두에 두고 各級學校 敎育課程?과 敎育課程解說을 통하여 道德敎育 內容을 分析하고 그것을 學校別로 整理하여 包含된 道德要所를 찾아내었다. 찾아진 道德要所(指導內容)를 中心으로 學校級別로 比較 分析하였고 다음으로는 知的領域과 精意的 領域별로 比較 分析하고 또한 生活領域別로 比較 分析하였다. 그 결과로 밝혀진 것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初等學校와 中學校는 比較的 連繫性이 强하나 初等과 高等學校, 中學校와 高等學校는 連繫性이 弱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61個 要所중 初, 中, 高敎에 모두 提示된 것은 19個이고 初等學校와 中學校에만 包含된 것은 21個이며 中學校와 高等學校에만 包含된 要所는 1個뿐이다. 그리고 初等學校와 高等學校에만 包含된 要所는 하나도 없었다. 그런데 高等學校에만 提示된 要所가 13個나 되었다. 이렇게 보면 初等學校와 中學校에 關係되는 要所는 40個이고 初等과 高等에 關係되는 要所는 19個이고 中學校와 高等學校에 關係되는 要所는 20個이다. 둘째, 知的領域과 精意的 領域으로 區別 分析하면, 初等學校와 中學校는 精意的 領域에 많이 提示되어 있고 高等學校는 비슷하게(知的, 精意的 關係) 提示되었다. 그러나 全體的으로 보면 精意的 領域에 1.5培 程度 强하게 提示되어 있었다. 셋째, 知的 領域에서는 全體 (初, 中, 高敎)가 모두 關聯된 것은 5個 要所이고 初等學校 中學校에만 關係되는 것이 9個 인데 비해 高等學校에만 包含된 것이 10個였다. 즉 知的領域에서는 初等學校와 中學校에 比해 高等學校에서 더 强調되고 있다. 넷째, 精意的 領域에서는 全體的으로 關係되는 要所가 14個 이며 初等學校와 中學校에만 包含된 要所가 12個이고 初等學校와 高等學校에만 包含된 要所는 없으며 中學과 高等學校에만 包含된 것은 1個 뿐이었다. 즉 初等學校와 中學校에서는 精意的 領域이 强調 되어있으나 高等學校에서는 下級校에 비해 强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생활領域別에서는 高等學校는 禮節生活에 包含된 要所가 하나도 없었고 初等學校와 中學校에서는 個人生活에 가장 要所수가 많으나 高等學校에는 國家生活領域에 가장 要所數가 많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유능한 초등 교원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 신입생 선발 방안 연구 : 2002학년도 입시 개혁을 위한 대안

        허숙,고대혁,최유현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0 교육논총 Vol.17 No.-

        ABSTRACT The proposes of the study were to analyze the student selection SYSTEM of national and international universities, to present the student selection system for implementing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2. The study was carried out mainly by reviewillg literatures and analyzing data obtained from professors of Inchon National Uliversity of Education.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conditions of student selection system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2 reflected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conditions of University of Education for elementary scool teachers, 2) the contribution for normalization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3) the educational demands in community, 4) te variety and autonomy of University of Education. second, The basic directions of student selection system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2002 presented as follows; 1) implementing the two steps system for student selection, 2) the enlargement of no-examination student selection recommended by social and education person, 2) introducting the in-depth interview in oral examination for student srlection.

      • KCI등재

        韓國 初等敎師 養成에 關한 硏究 : 其二. 敎大敎育의 問題點과 그 解決方案

        沈璡求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4 교육논총 Vol.5 No.-

        本 硏究는 硏究者가 「韓國 初等敎師 養成에 關한 硏究」란 大 主劑下에서 하고 있는 一連의 硏究中 그 두 번째의 硏究에 該當된다. 그 첫 번째의 硏究는 敎大敎育의 出發 準據가 될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을 究明 提示하는 硏究였고, 本 硏究는 現在의 敎大敎育을 改善하기 爲한 方案을 硏究 提示할 目的으로, 먼저 敎大敎育에 關聯된 法規와 先行硏究에서 밝혀진 敎大敎育의 問題點을 文獻硏究를 通해서 찾았고, 그 다음에는 前番의 첫 번째 硏究에서 究明된 「韓國 初等敎師의 役割과 資質」을 主된 準據로, 調査領域은 ① 敎大卒業으로부터 赴任가지의 問題 ② 敎育課程的 側面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③ 學級經營者的 側面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④ 學校와 地域社會의 連介者的 側面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⑤ 職場人的 側面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⑥ 時代가 要請하는 敎師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⑦ 國家社會가 要請하는 敎師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⑧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⑨ 韓國 初等學校에서 要求되는 敎師의 役割遂行上의 問題 ⑩ 其他 問題의 10個 領域으로 하고, 그러한 領域에서 45個 問項을 選擇하여 만든 質問紙(附錄Ⅰ 參照)를 使用하여, 1974年 2月에 仁川敎育大學을 卒業하여 現在 國民學校 敎師로 發令을 받아 勤務하고 있는 敎育經歷 7個月 未滿인 89人을 對象으로, 敎大敎育의 成果를 直接的으로 診斷하는 方便을 通하여 敎大敎育의 問題點을 찾았다. 이렇게 하여 찾아진 敎大敎育의 問題點을, 法規와 先行硏究에서 밝혀진 問題와 敎大卒業 新任敎師를 通해서 밝혀진 問題別로 그 解決方案을 摸索 提示하였다. 그 結果를 集約하면 다음의 結論과 같다.

      • KCI등재

        現職敎育 改善을 위한 硏究(Ⅰ) : 初等敎員 硏修院 敎育 Program 을 中心으로

        沈載炯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2 교육논총 Vol.3 No.-

        急激한 社會變遷과 科學文名의 發達로 知識量은 날로 팽창하는 現時點에서 敎師의 役割도 날이 갈수록 增大하고 있다. 이에 敎師는 不斷히 自己硏修活動에 全力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現職硏修 特히 校內 現職硏修는 많은 問題點을 안고 있어 그 運營이 有名無實하다. 그러므로 制度化된 硏修院 敎育을 强化(時代的 要請에 對한 敎師의 資質을 涵養하기 위하여) 하여 보다 效率的으로 運營하기 위해서 敎育課程을 再構成하고 運營方案을 摸索하려는 것이 本 硏究가 意圖하는 바다. 硏究方法은 1970~1971年의 二年間에 걸쳐 仁川敎育大學 附設 初等敎員硏修院에서 受講한 500名(교사, 교감, 교장 course)을 對象으로 校內現職硏修의 問題點을 抽出하여 硏修院敎育의 重要性을 强調하였고 이에 따라 硏修院 敎育의 敎育課程을 構成하기 위해서 여러 文獻을 通하여 (先行硏究의 結果) 現 時態가 要請하는 敎師의 資質을 定立하고 이에 따른 敎育 program을 再構成하여 Team Teaching의 理論을 適用하는 敎育課程 運營의 方案을 摸索하였다. 여러 學者들의 硏修結果를 綜合하면 敎師의 資質은 一般的 資質과 專門的 資質로 大別할 수 있다. 一般的 資質은 敎師로서의 資質뿐 아니라 모든 職業人에 共通的으로 要請되는 人間的인 資質을 말하고 있으며 專門的 資質은 敎師만이 지닐 수 있는 資質, 즉 ① 敎職에 對한 敎師의 矜持와 信念을 갖추고 ② 끊임없는 自我成長을 위한 意慾과 意識을 높이는 일이요 ③ 敎授-學習活動의 專門的 技術과 素養을 쌓으며 ④ 兒童指導에 對한 科學的 方法과 態度의 修練等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資質을 갖추게 하기 위한 敎師를 위한 敎育 program은 첫째 : 敎職觀의 確立을 위하여 現代敎育에 對한 理解를 促求하고 둘째 : 兒童指導의 科學的인 方法과 態度를 確立해야 하겠으며 셋째 : 敎授理論의 開發課 敎育方法의 現代化를 위하여 敎育構造 改善을 위한 接近을 土臺로 各科敎育을 通하여 國家 및 民族觀의 確立, 創意的 開發을 위한 探究情神의 涵養과 民族文化의 暢達을 위한 內容으로 連結시켰으며 敎師觀의 確立을 위한 綜合的 接近으로 國家가 意圖하는 敎養過程으로 敎員의 姿勢確立과 國民精神의 啓發을 위한 內容으로 編成하였다.

      • KCI등재

        Understanding Discourses on Teacher Education Reform : The Cases of Korea And Canada

        Hur, Sook,Erickson, Gaalen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99 교육논총 Vol.16 No.-

        본 연구는 1997년 9월부터 1998년 7월까지 Canada의 British Columbia 대학에 있는 교사교육연구소 (Centre for the Study of Teacher Education)에서 두 공동연구자의 성례적인 교사교육 세미나를 통하여 수행되었다. 한국과 캐나다 양국의 교사교육 현황과 개혁의 방향을 탐색하고, 교사교육의 연구와 논의 과정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담론(discourses)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교사교육에 관한 양국간의 이해적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한국의 교사교육이 갖고 있는 특징은 초등교사와 중등교사의 분리 양성체제와 학교 교육과정의 중앙집권적 개발체제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확립 문제가 논의되었으며, 캐나다 교사교육에서는 교사양성 체제가 종합대학의 학사과정이나 학사 후 과정으로 전환된 이후 대학과 학교 현장간의 거리와 협조체제가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교사교육의 현실 속에 담겨있는 변화와 개혁을 위한 담론 속에서 "교사 유능성"과 "성찰적 실천"이라고 하는 두 가지 주제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검토되었다. 교사 유능성(teacher competence)의 문제는 두 나라 공히 교직을 전문직으로 이해하고 정립시키고자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리와 갈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교직이 아직 진정한 전문직으로서 자리잡지 못하고 있음을 말해주는 것이다. 교사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최근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새롭게 논의되고 있는 "성찰적 실천 행위 (reflective practice)"에 대한 학자들의 담론 내용을 세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고 분석하였다. 성찰적 교수활동의 논리는 교사교육의 실천을 분석하는 한가지 틀을 제공해 주고 있으며, 새로운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많은 시사를 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과 캐나다 양국의 교사교육의 현황과 문제, 그리고 개혁의 방향과 논리를 단순히 제도적인 차원에서 뿐만 아니라 내용적 담론의 차원에서 비교하고 상호 이해를 높일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8차 교육과정을 대비한 초등 컴퓨터 교육에 관한 연구

        한선관,전수진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05 교육논총 Vol.25 No.1

        본 연구에서는 미래 정보 사회에의 핵심인 정보교육에 적합한 컴퓨터 교육의 방향을 초등교육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선행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사회에서의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을 살펴보고, 현재 7차 교육과정에서의 컴퓨터 교육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또한, ACM과 IEEE의 컴퓨터 과학 분야의 교육과정 연구를 바탕으로 새로운 초등 컴퓨터 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의 방향을 수학적, 과학적, 사회적, 철학적, 통합적 관점으로 고찰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컴퓨터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8차 교육과정의 개편에 있어서 컴퓨터 교육의 발전에 도움을 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argued about the appropriate course of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that is a core of the information education. We showed it into a mathematical, scientific, social, philosophic and unified point of view. This is based on a curriculum study of the computer science field in ACM and IEEE. We reconstructed the goal and contents of the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as well.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an aid for preparing 8th curriculum.

      • KCI등재

        敎員의 經濟的 地位 : 仁川市 國民學校 敎師를 中心으로

        金容弼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9 교육논총 Vol.10 No.-

        硏究의 必要性 "君師父一體"와 "스승의 그림자는 밟지 않는다"는 말은 스승을 尊敬하고 欽募하는 表現이다 敎員의 權威가 君師父一體라는 歷史的인 傳統으로 다져진 말이다. 敎員의 權威는 敎育을 하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사이에 한치의 어긋남이 없었다. 敎育은 사람과 사람사이에 이루어지며 精神과 精神의 接觸에서 이루어진다. 先生과 學生사이에 信賴를 基礎로 삼지 않고서는 敎育은 成立되지 않는다는 것도 自明하며 이 自明한 常識이 파악되어 敎育이 危胎로와진데 문제가 있다. 高度의 經濟成長속에서 企業體가 높은 報酬를 支給하고 있는데 對하여 敎員의 報酬의 給與가 크게 상승하지 못하고, 一般職 公務員과 軍 公務員 報酬의 上昇率이 이에 미치지 못하여 敎員의 지위는 低下되어가고있다. 效果的으로 敎職의 任務遂行을 하기 어려울 程度로 저하되어가고 있다. 敎員의 地位를 하락 시키는 要因은 敎育內部에 있기보다는 敎育外部의 要因과 깊은 關係가 있다. 敎員의 地位의 低下는 敎員의 離職率을 높이고 志望者 數를 줄이고 있다. 一人當 平均 國民所得이 1279弗線을 넘어서서 千年묵은 가난을 克服했으나 少數富 多數貧現狀과 생활난 等은 쉽게 가셔지지 않고 있다. 輸出高는 100弗線을 突破해서 就業機會는 늘었으나 住宅難은 甚하고 生活環境은 劣惡해가고 있다. 敎育이 危胎로와진 狀況下에 놓여있는 國民學校 敎員의 經濟的 地位에 관한 意識構造를 올바로 해서 政部가 志向하고 있는 敎員의 報酬, 福祉, 厚生等 經濟的인 待遇改善에 指針이 되게하여 敎員의 經濟的 地位向上은 勿論 저하되어가고 있는 社會的 地位를 恢復하고 잃어져 가는 權位를 되찾아서 先生과 學生사이에 申賴를 바탕으로 敎育이 이루어지게 하여 國家와 社會가 發全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硏究方法 調査對象으로 仁川市 國民學校 敎師를 選定하였다. 仁川市內 國民學校 敎師 1987名中 無作爲로 1000名을 選定하여 實施하였던 바 回收된 質問紙는 918校로서 回收率 91.8%였다. 이 中 性別表示等이 없는 6校는 제외하고 912校만을 資料로 하였다. 調査는 問題紙法에 의하여 1979年 6月末에 實施하였다. 資料는 性別, 經歷別, 問項別로 應答狀黃을 百分率로 處理하였다. 經濟的 地位 李朝社會에서는 官吏의 龜鑑이 淸白吏이었듯이 스승의 象徵도 淸貧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젊은 이의 가치관이 物質的인 面에서의 成功을 높이 評價한는 경향으로 敎師는 淸貧만으로 어린이를 指導해 가기가 어렵게 됐다. 敎師는 學生에게 影響力을 줄 程度로 充分한 報酬를 받아야 한다. 産業社會發展에 따른 就業機會의 擴大로 敎職은 一般職 公務員의 報酬의 引上보다 敎育公務員의 報酬의 引上의 幅이 相對的으로 低下되어가고 있어서 敎員의 士氣는 떨어져가고 있다. 敎員의 人氣度를 높여 有能한 敎員을 確保하고 이드리 安定된 生活속에서 敎壇에만 專念하도록 保障해주는 것이 時急한 과제이다. 日本에서는 1975年 大企業의 50%이었던 敎員俸給을 80%선으로 끌어올렸더니 敎職에의 逆流現象이 두드러지고 經濟的 待遇改善이 社會的 處遇改善을 同伴했다는 것이다. 國民學校 敎員의 1950年代의 經濟的 地位는 向上되지 않았다고 하는 應答이 가장 많아서 34.5%로 나타났고 아닌것 같다 는 應答도 25.2%나 나타났다. 女敎員이 男敎員보다 더 否定的으로 나타났으며 經歷이 많을수록 더 否정3的으로 나타났다. 기대했던 預想과는 定反對의 결과로 나타났다. 1960年代의 經濟的 地位는 向上되지 않았다는 應答이 36.1%로 나타났고 아닌것 같다는 應答이 26.6%로 나타났다. <表-1>과 같이 女敎員이 男敎員보다 더 否定的이 었으며 經歷이 많을 수록 더 否定的이었다. 亦是 기대했던 豫想과는 反對였다. 1960年代以後 韓國社會가 急速한 産業化속에서 敎員의 經濟的 地位가 向上되어 가고 있지 않다는 徵候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1970年代 初半에 比해서 經濟的 地位가 좋아져 가고 있는가 고 設問을 했다. 아니다, 아닌것 같다는 응답이 過半數로 否定的인 態度를 堅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表-1>, <表-2>와는 달리 女性이 男性에 比해서 肯定的인 反應을 나타냈다. 經濟의 持續的인 高度成長에 힘 입어서 敎員의 經濟生活이 多少 나아져가고 있는 것을 느끼고 있다는 것으로 解析이 된다. 先生님의 現在의 報酬의 適定與否에 對하여는 適定하다는 應答은 一名도 없고 赤字生活이다 라고 하는 應答이 60.1%로 經歷의 多少에 別差가 없었다. 男性이 女性에 비해서 더 赤字生活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敎員의 報酬가 生活을 維持하기위한 適定線에 있지 않다는 것으로 解析이 된다. 赤字生活을 하는 敎員中 赤字補振生活은 赤字의 果積이 42.6%이며 20年以上의 有經歷者中에도 39.6%는 赤字의 果積狀態를 持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0-9年의 男子가 가장 높아서 50.4%를 나타냈다. 赤字要因의 補振方法으로 其他 32.7%, 副業 7.1%, 課外授業 0.4%의 順으로 나타났다. 女敎員은 一名도 課外授業을 하지 않는것으로 나타났다. 敎員의 經濟生活이 매우 어려운 處地에 놓여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敎育이 國家의 運命을 左右하고 있음에도 不拘하고 敎育을 擔當하고 있는 일선敎師의 相當數(47.6%)가 赤字生活을 免치 못하고 있는데 대하여 社會의 關心은 몹시 冷淡한 것 같다. 이와 같은 狀況下에서 敎師는 使命感을 가지고 敎職에 充實할 수는 없을 것이다. 敎員의 報酬 引上時 어느線까지 希望하는가?의 設問에 대하여 企業體의 水準까지 가 가장 많아서 70.6%를 나타냈다. 0-9年의 有經歷者가 各各 72.2%, 72.9%를 나타냈고 20년 이상의 有經歷者도 59.7%로 나타냈다. 다음이 企業體의 80%까지 의 水準으로 16.2%이였으며 生計에 赤字要因이 없게 까지가 8%로 나타났다. 朴大統領이 79年 9月13日 經濟企劃院長官에게 准尉와 下士를 包含한 長期勤續 軍人, 敎員 및 法官에 대한 處遇改善이 豫算에 反映되도록 하라고 당부하였다. 政府는 결단을 내려서 日本이 大企業의 50%水準이었던 敎員의 奉給을 60%선으로 끌어올려 敎員의 經濟的 地位向上과 아울러 社會的 地位向上을 圖謀했던 바 前例를 參酌해서 敎員의 哀情을 表示할 것으로 解析이 된다. 敎員의 報酬引上時 希望狀況?은 本奉의 引上을 强力히 希望해서 60.6%를 나타냈다. 0-9년의 有經歷者는 70.1%로 나타났다. 어떤 名目이든 引上이 20.5%, 手當의 引上을 16.8%로 나타났다. 校監과 校長資格證을 炊得하면 基本號奉도 引上하여 달라는 것으로 解析이 된다. 男敎師가 女敎師보다 强烈하게 要望했다. 住居 住居는 人間이 生活을 하는데 基本이 되는 것이며 必須不可缺한 要素인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一家口는 一住宅을 가져야 한다. 住居難이 甚하고 住宅값이 비싸서 敎員은 住宅을 구하기가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다. 國民學校 敎員들의 住居狀況을 보면 自己집을 가지고 있는 敎員이 51.5%로 겨우 過半數가 되며 20년 이상의 有經歷者가 가장 좋은 便이나 男 72.2%, 女67.6%로 71.1%였다. 0-9년의 有經歷者는 겨우 36.8%에 이르렀다. 자기집이 없는 大部分의 敎員들은 傳貰(32.2%) 아니면 삭월세(12.1%)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住居生活이 어려운 敎員에게 低利로 生活定着資金이나 長期低利融資를 하여 주어서 早速한 時日內에 住宅을 마련해서 生活의 安定을 圖謨하여 오로지 敎職에 專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住居生活이 安定치 못한 敎員들의 復環勤務制에 의한 人事移動은 더욱 苦痛을 준다. 復環勤務制의 希望은 多數(48.7%)의 敎員이 官舍의 提供을 希望하고 있고 經歷이 많을 수록 더 希望하고 있다. 다음이 出退勤時의 交通費의 支給(27.1%), 轉出로 인한 別居手當을 合理的으로 支給(16.4), 移柱費의 支給(7.6%)順으로 나타났다. 現在의 復環勤務制는 文化施設을 갖춘 官舍를 提供하는 것과 家族과 別居함으로 써 생기는 別居手當을 合理的으로 支給하는 것을 前提로 實施하여야 할 것이다. 아니면 生活根據地에서 勤務學校出退勤이 可能하도록 諸般措置가 講究되어야 한다. 住居生活이 어려운 敎員들의 生活程度는 비록 自身들의 主關的인 判斷이기는 하나 上은 없고 中上 3.3%, 中下 53.3%, 下 42.6%로 나타났다. 經歷이 많은 敎員이 若干 生活水準이 높은 것으로 女敎員이 男敎員보다 若干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福祉 厚生 사람은 한번밖에 高貴한 삶을 營爲할 수가 없다. 그 生은 各種 汚染, 災害, 住宅難, 交通難, 敎育施設의 未備等 環境이 惡化되어가고 있는 가운데서 營爲하고 있다. 住居施設의 未備, 敎育環境의 劣惡은 곧 敎員의 福祉에 重要한 營響을 미친다. 敎育施設이 未備하고 敎育環境이 劣惡한 가운데에서 敎員이 熱과 誠을 다하여 敎育에 臨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敎育環境을 充分히 갖추어서 敎員이 自己能力을 最大限으로 發揮하여 敎育에 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學校內에 있는 福祉, 厚生施設은 퍽 잘 갖추어졌다는 敎員은 經歷 20年 以上의 女敎員 3.2% 0-9年의 經歷女敎員 0.9%이였다. 잘 돼있다는 1.5%, 그런데로 괜찮다는 8.9%이었으며 88.7%가 未備하다고 應答하였다. 男敎員이 女敎員에 比해서 數가 未備하다고 應答하였다. 學校의 福祉, 厚生施設이 잘 돼 있지 않았으니 敎育當局은 學校의福祉, 厚生施設을 잘 갖추어 주도록 努力을 傾注하여 줄 것을 表示한 것으로 解析이 된다. 福祉, 厚生施設에 對한 要望事項으로는 休憩室, 娛樂室, 脫衣室, 看護室等이 主였다. 其外에도 沐浴室, 音樂鑑賞室, 宿直專任職員의 採用, 福祉會館의 建立, 敎員住宅의 建立, 消費組合의 設置, 通勤버스의 運營, 休暇中 敎員의 特別觀光, 託兒所의 設置, 理美容室의 置營, 庭球場, 卓球場의 마련, 敎員專用圖書館 等等 福祉施設을 要望하고 있다. 分娩女敎師들의 處遇에 對하여는 可姙期間은 休職케 하고 敎育이 끝나면 復職케 하자는 意見이 가장 많아서 39.5%이었으며 0-9年, 10-19年의 有經歷者가 20년 이상의 有經歷者보다 많게 나타났다. 다음 이 1年間의 休職制度로 31.0%, 60일의 休暇制度가 23.0%의 順이며 現在 仁川市에서 施行하고 있는 30日의 休暇制度는 겨우 4.4%로 나타났다. 國民所得이 1279弗에 達한 現時點에서 30日間의 休暇制度는 中止하고 法이 許容하는 最大期間인 60日의 休暇制度를 分娩女敎師들에게 베풀어 줄 것을 最大限 希望한 것으로 解析이 된다. 敎員의 中高等學敎 在學生 子女에 對한 學費免除制度에 對하여 大端히 좋은 着想이라는 意見이 가장 많아서 79.6%를 나타냈고 其中 20년 이상의 有經歷者가 가장 높아서 男女 各各 86.7%, 87.1%로 86.9%를 나타냈다. 0-9年, 10-19年의 有經歷者가 各各 74.3%, 74.0%를 나타냈다. 좋은 着想이라는 意見도 17.6%나 된다. 이 點으로 미루어 볼 때 敎員들이 全幅的으로 支持하고 歡迎하는 것을 表示한 것이라고 解析이 된다.

      • KCI등재

        音樂敎育 實態 分析(Ⅱ) : 京畿道內 初等學校 校長을 中心으로

        朴俊敎 仁川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1976 교육논총 Vol.7 No.-

        本 硏究는 이미 發表된 筆者의 京畿道內 初等敎師를 中心으로한 "音樂敎育 實踐에 關한 實態 調査 硏究 (I)"의 一連의 後續事業으로 두 번째 硏究에 該當된다. 그 첫 번째의 硏究에서는 敎育의 成敗는 敎師의 質의 良否에 따라 左右되는 人間的인 要因에 있음을 槪觀하였고, 特히 初等音樂敎育에 있어 敎師가 지닌 音樂的인 資質과 敎養 및 專門的인 知識과 機能이 모든 淫樂活動에 根本的인 큰 影響을 미치게 하는 重要性에 立脚하여 現職에 臨하고 있는 敎師들의 音樂的인 資質과 指導能力이 現場의 音樂敎育 指導面에 어떻게 反映되어 敎育 目標達成에 어느 程度 接近하고 있는가의 實態를 調査 究明하였었는데 本 硏究에서는 같은 問題를 가지고 다른 側面인 學校行政을 맡고 있는 學校長의 立場에서 보는 敎師들의 音樂的인 資質과 指導能力의 實態를 다음의 內容을 가지고 質問紙法에 依하여 調査하였다. 1. 敎育課程(主로 音樂科)에 對한 理解와 反映度 2. 歌唱領域에 對한 資質 및 指導能力 3. 器樂領域에 對한 資質 및 指導能力 4. 創作領域에 對한 資質 및 指導能力 5. 鑑賞能力에 對한 資質 및 指導能力 6. 學習指導에 關한 其他問題 7. 敎大出身 新出敎師에 對한 意見 以上의 7個 領域으로 區分하고 다시 이를 24個 問項으로 抽出하는데 本大學音樂科 敎授들과 協議 共同作成된 調査問項(부록 참조)을 敎職科 敎授에 依하여 體制上의 未備點을 補完, 問題의 信賴性과 妥當性의 檢討 過程을 거쳐 完決을 본 質問紙를 京畿道 一圓 18個 市. 郡 敎育廳 管下 657校에 配布 그中 491名을 學校長으로 對象으로 調査, 資料를 蒐集하여 音樂敎育 實踐에 關한 實態를 究明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