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aising ‘Ambi-cultural’ Children: Korean Immigrant Parents’ Ambitious Project for Bilingual Education

        박휴용 이중언어학회 2009 이중언어학 Vol.39 No.-

        이중문화 길들이기: 재미교포부모들의 이중어교육에 대한 열망과 언어정체성. 이중언어학 39, 113-145. 본고는 재미교포 아동들의 언어정체성의 형성에 부모들의 이중어교육에 관한 열망과 기대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 이론적 배경으로 본고는 언어와 정체성과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중언어 및 문화의 환경 하에서 교포아동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혼성된 정체성의 양상이 언어 및 문화간 세력불균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미국내 한글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교포2세 아동들과 그 어머니들에 대한 참여관찰 및 면접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들 중에서 재미교포 어머니들의 자녀들에 대한 이중어교육 목표와 계획이 그 자녀들의 이중어정체성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분석 및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첫째, 교포2세 아동들의 이중어정체성은 그들 부모들이 가진 민족적 정체성의 성향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부모들의 이중어학습에 대한 교육적 열망이 자녀들의 이중어학습 과정에 과도하게 투사되어 아동들이 한국어와 영어, 한국문화와 미국문화에 동시에 적응해야 하는 부담감속에서 혼융되고 파편화된 언어정체성을 갖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중어학습이 아동들의 언어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과 호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비교 -발전 과정 및 현황을 중심으로-

        김유연,이규빈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Both countries had an identity, historically as a homogeneous nation in the past, but have now acknowledged the constant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ever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that occurred in Australia during the 1970s and in Korea during the 2000s have respectively started to implement and review their multicultural policies. In the case of Australia, which holds a longer history of multicultural policies than Korea, may be able to provide potenti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This study has analyzed the policy documents in both Korea and Australia and supplemented them by both an e-mail and telephone interviews with the key people concerned. We have discovered that Korea has been implementing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as a part of its multicultural policy since 2006. However, while it is still in a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paradigm’ targeting primarily on immigrant students, Australia’s policy is moving beyond transitional and conservative bilingual education elements to additional bilingual education for all students, and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 also includes Auslan(Australian Sign Language). Based on this analysis, the potential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Korea are derived as follows: 1. The policy should move away from the paradigm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to help immigrant students adapt to Korean society and to move in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to achieve an authentic and cohesive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do this, however, we will need to propose a method to reorganize the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o select the languages of the community from the viewpoint of a bilingual education. 2. When choosing a language for a bilingu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inority in our society. 3. In order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bilingual education policy, bilingu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 policies should be revised as well. 본 연구는 한국과 호주의 학교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다문화 시대의 바람직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과 호주는 인구 구성과 정부구조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만, 일원론적 국민 구성을 표방하다가 각각 1970년대와 2000년대에 다문화사회로 접어들어 다문화 정책을 시행하기 시작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한국보다 오래된 다문화 정책 시행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호주의 사례는 한국의 이중언어 교육정책 발전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다. 연구 범위는 초중등학교에서 시행되는 다문화학생의 모어 교육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한국과 호주의 정책문서들과 관련 선행연구를 조사하는 문헌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정책 담당자와의 이메일 혹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보충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은 2006년부터 다문화 정책의 일환으로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시행해 왔으며, 2010~2012년 시기에 이중언어강사 양성 및 다문화거점학교 지정 등의 정책이 시작됐고, 2013~2017년에는 기존 정책을 유지하며 이중언어교육보다는 한국어교육과정(KSL)에 치중하는 모습이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호주는 1978년부터 지속적으로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다. 이주 학생을 위한 언어교육 프로그램인 LOTE(Language Other Than English)는 1981년부터 정규 수업시간에 포함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두 나라의 이중언어 교육정책을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정책은 아직 다문화학생만을 대상으로 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에 머물러있는 반면, 호주의 정책은 이행적․보존적 이중언어교육을 넘어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첨가적 이중언어교육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수화언어도 대상 언어에 포함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상황에 대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다문화학생이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도와주기 위한 이행적 이중언어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더불어 사는 다문화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이중언어 교육정책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제2외국어교육을 이중언어교육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언어를 단위학교가 선택하도록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둘째, 이중언어교육 시행 언어를 선택할 때 좀 더 소수자의 시각에서 배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상과 같이 이중언어 교육정책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문화언어강사와 특수교육교사 양성정책도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中国少數民族雙语教育之浅析

        정진강,박정애 이중언어학회 2011 이중언어학 Vol.45 No.-

        본고는 중국소수민족에 대한 이중언어교육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이중언어교육의 바람직한 모델을 총론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본고에 제기된 각론적인 문제들은 후속 연구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보완될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중국은 56개의 민족이 80여종의 언어를 사용하는 다민족․다언어 국가의 전형이다. 일부의 소수민족은 음성언어만을 가지고 있는 반면, 일부의 소수민족은 다종의 언어․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같은 중국소수민족언어의 다양성은 이중언어교육의 복잡성과 직결된다. 본고가 추구하는 문제의식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어교육과 민족어문교육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것인가이다. 사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현재 중국내외에서 다양한 형태의 논의가 전개되고 있는 중이다. 필자들은 국제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중언어의 효율적인 교육차원에서 중국소수민족들이 직면하고 있는 이중언어교육의 유형과 모델에 대하여 분석한 후, 그 문제점의 해결방식은 이중언어교육 모델의 혁신에 있음을 거듭 강조하였다. 물론 이중언어교육의 문제는 민족, 문화, 언어의 차이로 인해 동일한 접근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다양한 가치 속에 내재된 보편적인 이론의 구축이야말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임에 틀림없다. 본고는 이에 부응할 수 있는 일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전환의 형식과 기능

        성귀복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0 No.-

        성귀복. 2006. 02. 28.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언어전환의 형식과 기능. 이중언어학 30, 245-273. 1950년대 이후 언어 전환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구어적 레파토리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져왔다. 이 연구는 최근 새로운 문어 의사소통 장르로 자리잡아온 이메일 담화에서 성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의 언어전환 현상을 분석하였다. 영어를 주 언어로 쓰는 상황에서 그들이 이메일로 의사소통 할 때 모국어인 한국어로 전환하는 다양한 형식과 기능적인 측면을 연구하였다. 데이터는 25명의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이 주고 받은 70개의 이메일 편지들로 총 87개의 언어전환 케이스가 발견되었다. 구조적인 면에서 명사가 전체의 74.6%였고 격조사, 감탄사, 문장 단위, 동사, 명사구 등이 차례로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전환 사용 중인 한국어 단어 내에서 다시 영어의 소유격 혹은 복수형 형태소로 전환하는 현상도 발견되었다. 그들의 언어전환 표시 전략에는 대문자화, 빈칸, 대쉬, 이들의 병합 등이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 이 이중언어화자들은 그들의 이메일 속에서 공손함 표시, 영어에 해당 표현의 부재에 대한 대안, 친숙함 표현, 문화적 정체성 표시, 언어적 경제성 성취 등의 기능을 위해 두 언어를 전환 사용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언어행동이 무작위적이거나 언어능력의 부족에서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두 다른 언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중언어화자들의 이해를 반영하는 의도적이고 적극적인 의사소통 행위라는 것을 보여준다.(고려대학교)

      • KCI등재

        이중언어 구사자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다문화 인식이 이중언어 유지와 계승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미향,서희정,남정섭 이중언어학회 2020 이중언어학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bilingualism of immigrants in Korea influence their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is study is going to check whether bilingual speakers are willing to maintain their language proficiency or pass them to their children, and it will also pay attention to what the causes would be if one gives up speaking or transferring bilingual usage in Korean society. The study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First, the perception of bilingual and culture is different by countries of origin; Second, target learners’ perceptions of bilingual and culture depend on period they lived in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affirms that the perspectives of Korean society about diverse cultures and mutilingualism have a negative impact on linguistic proficiency of multicultural individuals residing in Korea. Multilingual speakers’ taking a passive attitude on their multilingual ability means a grave disadvantage at not only an individual level but also societal and even national level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we should create a social atmosphere to acknowledge multilingual abilities of minority member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 거주하는 이민자가 이중언어 구사자로서의 삶을 유지하고 전승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변인을 알아보는 데 있다. 아울러 이중언어 구사자로서 본인의 이중언어 능력을 유지하거나 자녀에게 전수할 의지가 있는지를 직접 듣고, 이중언어 유지와 전승을 지지하지 못하는 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점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출신 국가별, 거주 기간별로 이중언어 및 다문화 인식이 다르다. 그리고 이민자의 다언어 구사 능력이 한국 사회 적응에 도움이 된다고 진술한 것을 통해, 이들이 이중언어 구사력을 유지하고 전승하는 것이 한국 사회에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유추하였다. 그러나 다문화 및 다언어에 대한 한국 사회의 관점과 인식이 한국에 거주하는 다문화 구성원의 언어 능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을 보았다. 다언어 구사자들이 자신의 언어 사용 능력에 대해 소극적 자세를 취하는 것은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와 국가의 손실이다. 그러므로 소수 구성원의 다언어 능력을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긴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

        이중언어교육의 최근 동향과 재외동포의 한국어교육 문제

        박영순 이중언어학회 2005 이중언어학 Vol.28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urrent trends and research results of Bilingualism and to consider of the necessity of bilingual education for the overseas Korean children, It is the fact that there is almost no country which doesn't do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bilingual education is activated at least to some extent in every country. Especially the matter of bilingual education is academically actively studied in many countries and more than five hundred books about bilingualism and bilingual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in the Multilingual Matters publishing Company. Current bilingual education tend to be changed to enrichment type since 1990's. That is, the philosophy of 'Multilingualism for all', different from traditional bilingualism which is mainly for minority in a society, seems to be realized. Multilingualism for all means not minority children but main stream children are also given multilingual education to help them to be benefitted from more than two languages. This type of education mainly executed by twa-way bilingual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argues that overseas Korean children should learn and maintain multilingual ability including Korean Language in order to be more capable and more convenient in their lives by using two or more languages. Because many studies show that bilingual children's achievement and competence appear to be higher than monolingual students in most subjects in school. The Enrichment type of bilingual education, a kind of additive bilingual education strongly suggest that overseas Koreans should be competent not only in their living language but also in Korean Language for their better lives

      • KCI등재

        A Study of Syntactic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김경령 이중언어학회 2006 이중언어학 Vol.30 No.-

        김경령, 2006. 2. 28. A Study of Syntactic Processing in Korean Language Learners. 이중언어학 30, 61-76. 본 연구는 제2외국어로써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언어 실험을 근간으로 수행되었다. 언어 실험 참여자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모국어 화자와 제2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언어 능숙도는 한국어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반응 시간(Reaction Time)과의 관계를 측정하여 학습자의 단계별 언어 능숙도, 모국어 화자의 언어 능숙도 비교, 학습자의 문법 항목별 언어 능숙도, 성별, 학력 차이와 언어 능숙도 등으로 세분화하여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은 문법 항목에 따라 각기 다른 반응 시간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반응 시간과 정확도는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학습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적으로 언어 능숙도도 전반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반응 시간 측정 테스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의 언어 능숙도에 대한 인식을 언어 실험 연구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능숙도를 측정하고 이를 보다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 삼을 수 있게 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숙명여자대학교)

      • KCI등재

        이중언어학과 한국이중언어학회의 발전 과정

        박영순 이중언어학회 2022 이중언어학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bilingualism in theory or viewpoint in general and examine the activity of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In this paper bilingual education is suggested as a better educational support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in Korea. That is, bilingual education is very good educational model for them not only in terms of transitional bilingual education level, but also maintenance and additive or enrichment type of bilingual education. The third type of bilingual education, additive bilingual education is valid not only for the minority students, but also beneficial to the majority Korean students. At present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increasing up to 7.8% yearly, despite total number of students are decreasing in Korean schools. Various kinds of multicultural students are coming in Korean Society and Korean government has obligations to support and lead them to settle down smoothly and well going to higher level of schools and finally to achieve their dreams or goals. Since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has established 40 years ago, Sep. 26, 1981, the Society has been developed tremendously not only in number of members but also in quality of research. The “Bilingual Research” has been published four times a year (No 86 at present) and has been nominated as a ‘Good journal’ by the Korean Academic Foundation and became one of the best academic journals in humanities. Yet a few points of revisions or improvements are discussed in this paper.

      • KCI등재

        Pragmatic Transference in Refusals

        김경령 이중언어학회 2004 이중언어학 Vol.26 No.-

        김경령. 2004. 10. 30 모국어 전이 현상. 이중언어학 26. 23-44. 언어 습득 과정 중 다양하게 일어나는 언어 변이 현상은 사회언어학적인 입장, 언어학적인 입장, 음성학적인 입장 등 다양한 관점과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어 지고 있다. 새로운 언어를 배워 제2외국어로 대화를 한다는 것은 새로운 사회학적인 언어 규범을 배워 그에 맞게 의사소통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제2외국어를 통한 대화과정에서 모국어 전이 현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관한 현상을 연구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사회언어학적인 측면에서 연구되는 모국어 전이 현상은 불어, 영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 데이터를 가지고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었으나 한국어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된 논문은 매우 극소수이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화자, 한국어와 영어를 이중 언어로 사용하는 화자를 대상으로 Bee et al (1990) 연구에서 사용된 언어 응답 테스트지(Discourse Completion Test) 를 이용, 결과를 분석/조사하여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어나는 응답의 차이점과 공통점에 관하여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 언어학적인 언어 현상을 이해하고자 시도된 논문이다. “거절”을 표현하는 의사 소통관계에 있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는 지위의 관계성에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화자보다 매우 민감한 성향을 보였고, 구체적인 이유의 제시보다는 추상적인 이유로 “거절”에 대한 의사 표현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 방법 모색 -“언어자각(Language Awarenes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박영옥,이진경 이중언어학회 2018 이중언어학 Vol.73 No.-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다문화 유아가 다중언어 환경과 다문화 환경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면서 학교 언어인 한국어를 잘 습득할 수 있는 교육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도 다문화 유치원을 운영하고 누리과정과 연계한 다문화 유아를 위한 언어프로그램도 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 다문화 가정의 부모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유치원 교육에 다문화 배경의 부모가 참여하는 것은 교육의 주요 매개자인 교사뿐만 아니라 학부모가 다문화 유아의 언어 이해에 함께 협업함으로서 사회 언어적 다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언어자각”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 발달에는 모든 언어가 유용하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다중 언어 환경과 다문화적 접근 방법을 통하여 다문화 유아를 위한 언어교육을 하는 것이다. 또한 유치원 교육에 학부모가 참여함으로서 유아, 교사 그리고 학부모 3자간에 연대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문화 가정 유아가 유치원에 적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다문화 유아는 어머니의 언어를 유치원에서 또래들과 함께 배움으로서 보다 긍정적인 자아정체성을 수립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이 프로그램은 다문화 유아뿐만 아니라 또래의 일반 유아들 역시 다양한 언어에 노출됨으로서 자신과 다른 언어, 민족, 문화적 배경이 다른 이들에 대하여 좀 더 열린 시각을 갖게 하여 언어와 문화의 다양성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다. 동시에 각 나라 언어의 음소의 구분과 음절의 차이와 유사성을 구분할 수 있는 비교적 시각을 갖게 되어 한국어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a way to support multicultural children to learn Korean language, which is a school language, while multicultural children adopt multilingual environment and multicultural environment naturally. Recently,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tor of Korea has also developed a language program for multicultural children, which has been implemented at a multicultural kindergarten and links with the Nuri curriculum, The integrated curriculum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Childcare Center education in Korea.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programs for parent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involvement of par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kindergarten education can help sociolinguistic diversity by not only teachers who are the main mediator of education, but also parents as they work togeth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multicultural children. In this context, the “Language Awareness” program is based on the fact that all languages ​​are useful for language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It is a language teaching methodology for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multilingual environment and multicultural approach. In addition, participation of parents in kindergarten education can form a sense of solidarity among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and can help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kindergarten in Korea. This approach is also helpful for multicultural children to establish a more positive identity by learning their mother tongue with their peers in kindergarten setting. This program contributes to both multicultural children and other children in the kindergarten. Non-multicultural children are also exposed to various languages, allowing them to have a more open-view of their own and other languages, ethnic and cultural backgrounds, thus helping them gain access to other languages and cultural d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it develops the ability to learn Korean with a comparative perspective that can distinguish phonemic distinctions and syllabl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each langu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