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특성에 따른 지역 정체성과 지역 만족도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2

        본 연구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지역 정체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지역민의 특성에 따른 지역 정체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언론매체의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평가를 지역 만족도를 통해 탐색하였다. 분석과, 지역 정체성 개념은 지역사회나 지역민, 지역행정 등에 관심을 갖는 지역 관여도, 지역에 대한 애정을 나타내는 지역 애착도, 지역적 특성과 지역의 문화유산에 대한 자부심을 나타내는 지역 자긍심 등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지역민의 특성에 따라 지역 정체성에 대한 인식이 차별적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매체 이용행태도 지역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지역 정체성에 따른 지역 만족도도 지역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나, 지역 평가에 지역적 특성이 반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 정체성에 대한 심층적 탐색을 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민과 지역사회 간의 상호 관계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매체 및 홍보적 차원의 실증적 방안들을 함께 모색해 보았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mensions of community identity according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and community residents. It is also analyzed the patterns of local media usage and community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 community identity.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community identity consists of community involvement which relates to community, community residents, and community administration, the community attachment which implies the community affection, and the community pride of the community history and cultural heritage. It also shows that the perception of community identity was differentia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residents and the patterns of local media usage. The study results imply that the community evaluation reflects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as the community satisfaction was differentiated by the community identity between the communities. This study provides the insight of the community identity with the empirical analysis and the practical suggestions about the local media and community public rel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community residents and the community.

      • KCI등재

        SNS 이용 동기에 따른 개인적 특성 및 오프라인 모임과 삶의 만족도 효과

        이영원 ( Youngwo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SNS 이용 동기를 중심으로 SNS 이용 행태를 비교, 분석하고, 관계 지향 및 정보 지향적 SNS 이용 동기에 따른 개인적 특성과 오프라인 활동을 비교하고, 이들 요인에 따른 삶의 만족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관계 지향적 SNS 이용자들은 페이스북을 많이 이용하는 반면, 정보 지향적 이용자들은 트위터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상이한 이용 행태를 보였다. 관계 지향적 SNS 이용자들은 SNS에 자신의 일상 사진이나 셀카 등 자신의 사진 올리기를 적극적으로 하는 등 다양한 자신의 모습을 노출함으로써 사회적 관계 유지 및 확장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으로서 사회적 비교 성향은 관계 지향적 SNS 이용자들에게 높게 나타났는데, 사회적 비교 성향이 높을수록 SNS에 일상 사진이나 셀카 등 자신의 사진 올리기를 활발하게 하여 자신의 능력을 과시하거나 자신에 대한 평가를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으로서 자기 감시성과 사회적 비교, 오프라인 모임 참여도에 따른 삶의 만족도 효과는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자기 감시성이 높고, 사회적 비교 성향이 높으며, 오프라인 모임에 참여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SNS use patterns in terms of the effects of the sefl-monitoring, social comparison, and offline activities on th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NS use motiv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relationship oriented SNS users more use the Facebook, whereas information oriented SNS users more use the twitter. It also shows that the relationship oriented SNS users more actively express themselves with their pictures of themselves or their daily life to maintain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ocial network. The higher the relationship oriented, the higher social comparison, which means that the social comparison enhances the expression of themselves through their photos of themselves or daily life to show their ability and self-display. The self-monitoring, social comparison, and offline activities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 KCI등재후보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 사회 참여 활동과 지역 매체 및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4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18 No.1

        본 연구는 지역성을 기반으로 하는 지역 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역사회 관여도와 정서적 유대감을 통해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지역 매체를 포함한 대중 매체와 대인 커뮤니케이션, SNS 이용 행태는 어떻게 나타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관여도가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이나 사교성의 친목활동 모두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유대감에 따른 지역 사회 활동은 사교성의 친목 활동에만 긍정적 영향력을 나타내 지역사회 관여도와는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남성 보다는 여성의 지역사회 내에서 사교성 친목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대외 지역 활동과 친목 활동 모두 많은 것으로 나타나 중, 장년층의 지역 사회 활동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학력에 따른 지역 사회활동은 사회, 교육 분야 등 대외적 지역 활동에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 고학력자일수록 개인적 사교 모임 보다는 사회적 목적을 가지는 지역 사회 활동에 대한 참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공동체 의식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지역사회에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사회 활동 면에서는 대외적 지역활동이나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지역 매체 이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활동이 다양할수록 지역 매체 이용률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정서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많았으며, 지역 사회 활동 중에는 사교적 친목 활동이 많을수록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매체 이용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식에 따른 차별적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SNS 활용도는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로운 것은 지역 활동 중 사교성의 친목 활동이 활발할수록 지역 매체를 포함한 SNS 이용, 대인 커뮤니케이션 이용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대외적 지역 활동 보다는 친목 모임이 많을수록 다양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on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th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emotional connection to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as positive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higher age,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which means that the aged group has the diverse and active local community activities.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education, the more 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effects of a sens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media use shows that the more local community involvement, the more local media use. It also shows that the more formal and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local media use, which means that th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encourage the local media use. In contrast, the higher the emotional connection,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the more informal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e mor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interaction on the use of S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지역공동체 의식이 지역사회 참여와 커뮤니케이션 채널 이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이영원(Lee, Youngw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16 정치정보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지역민의 인지적 차원의 지역공동체 의식이 행위적 차원의 지역사회 참여활동과 정보 활용을 위한 매체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대중 매체를 포함한 대인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행태를 분석하여 지역공동체 의식에 따른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공동체 의식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 활동 효과는 차별적이긴 하지만 지역 관여도와 지역 친밀도, 정서적 유대감이 대체로 긍정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민과의 감정적 상호작용이 지역사회 활동을 고양시키는데 주효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에 있어선, 지역 관여도에 따라 차별적 매체 이용 행태를 보였으며, 특히 TV와 인터넷의 지역 뉴스 이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공동체 의식에 따른 대인 커뮤니케이션은 정서적 유대감과 지역 관여도가 높을수록 활발한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와의 감정적 교류와 관심이 대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사회 참여 활동에 따라서도 차별적 매체 이용 행태를 보였으며, 지역사회 참여에도 대인 커뮤니케이션이 유효한 정보 채널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sense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hannel use.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cal involvement, the local intimacy, and the emotional connection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which means that th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local resident and the local community enhances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With regard to media use, the higher the local involvement, the more use of the local TV news and the Internet news.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the local involvement hav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hich applies that the emotional connection and the interest in the local community can activate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t also shows that the differential pattern of media use according to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t can be found that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s also the useful communication channel in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 KCI등재

        지역 신문 구독과 보도 내용이 사회 자본 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이영원 ( Youngwon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지역 신문 구독 여부에 따른 매체 이용과 지역 뉴스별 관심도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신문을 포함한 대중매체 이용과 지역 신문의 뉴스별 관심도가 사회 자본 구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 신문을 구독하는 집단은 비 구독 집단에 비해 보수적인 매체 이용행태를 보여주었으며, 지역 신문을 구독하는 집단이 비 구독 집단에 비해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에 따른 사회 자본 효과는 매체 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지역 신문의 보도 내용에 따른 사회 자본 효과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지역 현안에 대한 뉴스 이용이 많을수록 참여하는 사회 활동 집단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정치에 대한 관심은 대인 신뢰와 사회 제도 신뢰에 상반된 영향력을 보였다. 지역 사회 분야의 보도는 대인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 사회에 대한 뉴스가 지역사회와의 연대의식을 높여 이웃이나 동료 등 대인 신뢰를 높이는 사회 자본의 확대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analyses the media use patterns and the interests of the local news according to the local newspaper subscription. It also empirically analyses the effects of the media use and the local newspaper contents use on the constructs of social capital.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local newspaper subscription group shows the conservative media use patterns and has more interests on the local community compared to non-subscription group. The effects of the media use on the social capital show the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media. It shows that the more interest of the local issue, the more the number of the social activity group. The interest of the local politic news has the opposite effects on the interpersonal trust and institutional trust. The local news on the local community has the positive effect on the interpersonal trust, which applies the local news on the local community can expand the social capital through enhancing the interpersonal trust.

      • KCI등재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연구의 경향 분석

        이영원(Lee Youngwo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연구에 대한 경향 분석을 위해, 인터넷 등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 시작한 1990년도부터 최근인 2004년까지 해외 저널에 실린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대한 연구들의 주제어, 저자, 발행 저널 및 년도 등을 분석해봄으로써 온라인 매체 관련 연구들의 성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연구 저자들은 소수의 특정 학자들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과반 수 이상의 연구들이 공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거의 과반수의 논문들이 주로 매스미디어와 텔레커뮤니케이션 관련 저널이나 과학과 테크놀로지 관련 저널들에 실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에 있어, 컴퓨터나 인터넷, 웹 등 일반적 온라인 주제에 대한 연구가 많은 반면, 온라인 매체의 이용 및 효과에 따른 사회적 이슈나 효과 등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매체 관련 분야의 주요 저널들도 함께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on online communication media from 1990 to 2004 through meta analysis of the studies published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authors of the studies examined were not centralized to the specific main authors, and more than half of the studies had the co-authors. It also showed that almost half of the studies were centralized to the journals about Mass Media and Telecommunication, and Science and Technology, whereas the topics of the studies were diverse. But, in relation to the study topics, it indicated that the social issues and effects of online communication media resulted from online media use were not discussed in depth.

      • KCI등재

        집단 효능감과 지역 관여도 및 매체 이용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이영원 ( Youngwon Lee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7 언론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지역민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지역사회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집단 효능감으로 상정하고, 이러한 집단 효능감과 지역사회와의 관계성 및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지역 관여도와 매체 이용을 중심으로 이들 요인에 따른 지역민의 내재적 지역 이미지를 인지적, 정서적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 연령층의 집단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 연령, 고 학력계층의 지역 관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 관여도가 높을수록 지역의 집단 효능감에 대한 평가도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효능감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다른 매체에 비해 TV 지역 뉴스 이용 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관여도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TV 뉴스와 신문 뿐 아니라 인터넷을 통한 정보 이용도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효능감과 지역 관여도, 매체 이용에 따른 지역 이미지 효과 분석 결과, 지역 관여도, 신문과 TV 지역 뉴스 이용이 많을수록 지역사회에 대한 인지적 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집단 효능감이 높고, SNS 이용이 많을수록 정서적 지역이미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이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민과 지역사회의 유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의 전략과 이를 위한 매체 활용 방안을 함께 모색해보았다. Based on the local community,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d the effect of the collective efficacy, the local involvement, and the media use on the local image of the local residents which is composed of the two dimensions of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imens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local community, and the higher the age and education, the higher the local involvement.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local involvement, the higher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local community. It shows that the collective efficacy h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use of the local TV news, and the local involvement show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TV news, the newspaper, and the Internet use. The effects of the collective efficacy, the local involvement, and the media use on the internal local image of the local residents show that the higher the local involvement and the more newspaper and the local TV news, the higher cognitive local image.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collective efficacy and the more use of SNS, the higher the emotional local image.

      • KCI등재

        미디어렙 도입에 따른 효과와 지역방송의 수익 개선 방안

        이영원(Youngwon Lee)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8 사회과학연구 Vol.47 No.2

        지난 해 말, 헌법재판소가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의 지상파 방송광고 독점이 헌법에 위배된다는 결정을 내림으로써 (민영) 미디어 렙 도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미디어 렙 제도가 도입될 경우, 방송광고의 판매 및 운영제도의 변화로 방송사의 재원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주요 지상파 방송에 비해 방송 시장의 규모나 대상 면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방송은 재원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고에서는 (민영) 미디어 렙 도입에 따른 지역방송의 파급 효과와 이에 따른 지역방송의 수익성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민영 미디어 렙이 도입될 경우, 지역 방송사는 광고 감소로 인한 방송 수익이 급감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에 따라 제작 여건 악화로 인한 프로그램의 질 저하 및 편향적 편성 등이 우려된다. 지역방송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제도적으로 방송발전기금을 통한 지원과 중앙 방송에서 지역프로그램의 편성 쿼터제 도입, 전파료의 현실화, 지역방송 광고 규제에 대한 완화 등의 대책이 필요하며, 방송사 내부적으로는 지역 특성을 살린 콘텐츠 개발과 다양한 수익사업의 개발 등의 과제가 절실하다. Discussion about the private Media Rep is the melting pot after a decision of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at an exclusive sale of KOBACO for broadcasting advertising is disobedience of the constitutional law in last year. By adopting the private Media Rep, the broadcasting centers" source of revenue is affected by change of their advertising sales system.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the local broadcasting systems, which is inferior to major broadcasting systems in terms of the market scope and size, will have a difficult time in seizing the revenue. The effect of adoption of private Media Rep on the local broadcasting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ofitability of the local systems are presented in the article. It is expected that the profitability of local broadcasting will rapidly diminish due to the decrease of broadcasting advertising. As a result, it may lead to creation of deteriorated and biased programming. For the improvement on profitability of local broadcasting,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ocal broadcasting systems by the public fund, to adopt a quota system in programming for the local program, to increase the air waves fee, and to deregulate the local broadcasting advertising. Internally, there is also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program which contains the locality and the diverse business plans for the profitability.

      • 러시아 고체 램제트 추진기관 개발

        이영원(Youngwon Lee),권민찬(Minchan Kwon) 한국추진공학회 2019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9 No.5

        러시아(구소련)에서의 공기흡입 램제트 추진기관 및 이를 적용한 개발역사를 기술하였다. 고체연료램제트 및 덕티드 로켓은 추진기관의 속도 및 사거리 증가를 위해 개발되었다. 러시아에서는 1930년대 고체연료를 적용한 램제트 추진기관 개발이 시작되어, 1960년대에는 덕티드 로켓 무기체계인 Kub(SA-6)를 개발하여 세계최초로 실전 배치하였다. A history of high-speed airbreathing propulsion ramjet engines and their respective vehicle and weapon system developed in Russia(SSSR) is presented. These include solid fuel ramjet and ducted rocket intended primarily for missile application for high-speed and increase range. In Russia, the development of a ramjet propulsion system with solid fuel in the 1930s began. In the 1960s, Kub (SA-6), the world"s first deployed, ducted rocket weapon system, was developed.

      • KCI등재후보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 지역 관여도에 따른 매체 이용과 지역사회 참여 효과에 대한 연구

        이영원(Youngwon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7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지역사회라는 사회 시스템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지역사회 참여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개인적 특성으로서 자기 효능감과 사회 집단으로서 지역사회의 집단 효능감 및 매체 이용과 지역사회 관여도를 중심으로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다양한 매체를 정보 채널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집단 효능감에 따른 매체 이용 효과는 자기 효능감과는 상이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지역사회 참여 효과에 있어,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이 높을수록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관여도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 효과는 지역에 대한 애정이나 관심이 많을수록 지역 현안 등 지역 문제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에 따른 지역사회 참여 효과는 인터넷 이용이 지역 이슈 논의 등에 유효하게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NS 등 소셜 미디어는 다른 지역사회 활동 보다는 지역자원봉사 활동에만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 관련 이슈나 지역정치 활동 등 보다 적극적인 지역사회 참여 활동에서 SNS 활용은 아직 초기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른 매체 보다 신문 이용자들의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mpirically explores the effects of the self-efficacy, collective efficacy, and the local involvement on the media use and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the interaction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local community in the social system.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self-efficacy h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dia use except the SNS, which means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the higher media use. In contrast, the collective efficacy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dia use. Concerning th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both of the self-efficacy and collective efficacy have th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diverse local community participation. It also shows that the newspaper users participate the more diverse local community activities than the other media users.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more Internet users participate in the more diverse local issue discussion, whereas the SNS users only participate in the local volunteer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