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 지형명칭에 의한 경관분류에 관한 연구

        강영조 동아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02 硏究報告 Vol.26 No.1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 to classify to comprend landscape using landnames, spatial terms, because the existing method of landscape classification is not able to comprend the vernacular landscape, First of all, this study can be showed the points of the existing method of landscape classification and the necessities to comprend landscape using landnames, spatial terms. And it orderly showed the method to classify and to comprend landscape using landnames, spatial ter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llection of named landscape 2. confirmation of real landform of the named landscape 3. Identification of landform of the named landscape 4. Subscription of landform of the named landscape In addition to this process of the method to classify of landscape,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 SCISCIESCOPUS

        Highly efficient epitaxial Ge solar cells grown on GaAs (001) substrates by MOCVD using isobutylgermane

        Kim, Youngjo,Kim, Kangho,Kim, Chang Zoo,Jung, Sang Hyun,Kang, Ho Kwan,Park, Won-Kyu,Lee, Jaejin North-Holland 2017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Vol. No.

        <P><B>Abstract</B></P> <P>Single-junction Ge solar cells have been epitaxially grown on GaAs (001) substrates by a low pressure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using isobutylgermane. Various growth conditions have been studied to reduce the high doping level of over 1×10<SUP>19</SUP> cm<SUP>−3</SUP> of the p-type Ge epitaxial layer, which is detrimental to the minority carrier collection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growth rate and employing a discontinuous doping technique, the p-type doping level of the epitaxial Ge layer has been lowered to 2×10<SUP>18</SUP> cm<SUP>−3</SUP>, and the hole mobility increased from 44 to 162cm<SUP>2</SUP>/Vs. A high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6.72% can be achieved under AM1.5G illumination by the epitaxial Ge solar cell with the lowered doping level in the p-type Ge base region. The spectral response of the epitaxial Ge solar cell with a 5µm thick base layer is good enough to use for InGaP/GaAs/Ge triple-junction solar cells.</P> <P><B>Highlights</B></P> <P> <UL> <LI> Single-junction Ge solar cells are epitaxially grown on GaAs (001) substrates. </LI> <LI> Epitaxial Ge p-n junction is realized by MOCVD growth using isobutylgermane. </LI> <LI> Discontinuous doping technique is introduced to minimize the p-type Ge doping level. </LI> <LI> High efficiencies over 6.5% can be achieved by the epitaxial Ge solar cells. </LI> <LI> Ge epitaxy using MOCVD can be employed for III-V multi-junction solar cells. </LI> </UL> </P>

      • SCISCIESCOPUSKCI등재

        Epitaxial Ge Solar Cells Directly Grown on Si (001) by MOCVD Using Isobutylgermane

        Kim, Youngjo,Kim, Kangho,Lee, Jaejin,Kim, Chang Zoo,Kang, Ho Kwan,Park, Won-Kyu Korean Physical Society 2018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72 No.5

        <P>Epitaxial Ge layers have been grown on Si (001) substrates by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using an isobutylgermane (IBuGe) metalorganic source. Low and high temperature two-step growth and post annealing techniques are employed to overcome the lattice mismatch problem between Ge and Si. It is demonstrated that high quality Ge epitaxial layers can be grown on Si (001) by using IBuGe with surface RMS roughness of 2 nm and an estimated threading dislocation density of 4.9 x 10(7) cm (-2). Furthermore, single-junction Ge solar cells have been directly grown on Si substrates with an in situ MOCVD growth. The epitaxial Ge p-n junction structures are investigat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chemical C-V measurements. As a result, a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1.69% was achieved for the Ge solar cell directly grown on Si substrate under AM1.5G condition.</P>

      • KCI우수등재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입지적 특성과 성립 시기에 관한 연구

        강영조,Kang, YoungJo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5

        이 연구는 지금까지 논의하지 않았던 근대 부산에서 벚꽃 명소의 실상을 밝히기 위하여 당시 부산에서 발간된 일간지 <부산일보(釜山日報)>와 <조선시보(朝鮮時報)>에 게재된 벚꽃 구경과 벚꽃 놀이의 기사를 발굴하여 그 장소를 토지 이용의 유형별로 분류하고,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하는 시기의 동정과 장소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에 관련한 신문기사는 봄의 도래를 알리는 계절화로서 벚꽃이 피어 있는 장소를 알리는 내용에서 점차 벚꽃이 군생하고 있는 장소에 모여드는 사람들의 유흥 행위를 소개하는 것으로 변화되어 간다. 단순히 벚꽃이 화려하게 피어 있는 장소는 신문지상에서 노출되는 빈도는 점점 적어지고, 벚꽃이 만개한 행락지에서 유흥 내용의 소개로 변화해 갔다. 이것은 근대 부산에서 벚꽃의 명소는 벚꽃 구경의 명소에서 벚꽃놀이의 명소로 성숙해갔다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근대 부산의 벚꽃의 명소는 개인주택정원, 온천 여관의 정원, 사찰, 수원지, 배수지, 학교 등 공공용지, 동래온천장, 미도리마치 유곽 등 상점가로 나눌 수 있었다. 장소는 정주 환경의 가장자리, 다시 말해서 도시와 자연의 접점공간에 형성되었다. 둘째, 근대 부산의 벚꽃 명소는 1920년 무렵부터 벚꽃 구경에서 벚꽃 놀이로 변환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성립한 것은 1920년 무렵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벚꽃 구경의 명소가 개인 주택 정원, 배수지 등 공공의 접근의 어려운 곳도 거론되었지만, 벚꽃놀이의 명소는 누구나가 접근할 수 있는 공공의 장소가 주로 거론되었다. 벚꽃의 명소가 봄철 행락지가 되었다. In modern era Busan, newspaper articles about cherry blossom attractions from FuzanNippo and ChosenJiho have changed from places of landmark cherry trees to recreational activities under the cherry blossom. This means that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the cherry blossom attractions helped transform modern Busan.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al image of the cherry blossom attractions where they were and when it was established in modern Busan. In order to discuss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and the timing of identification as it changed from cherry-blossom viewing spots to picnic spots under the cherry blossom, current articles published in the FuzanNippo and ChosenJiho were collected.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herry blossom attractions are located in private gardens, gardens at hot spring inns, public lands such as schools, temples, reservoirs and malls such as Dongnae hot spring and the Midoricho red-light district. The location feature was that they were found at the edges of settlement environments, at the interface of city and natural spaces in modern Busan. Secondly, newspaper articles about cherry blossom attractions gradually changed from cherry blossom viewing spots to picnic spots under the cherry blossom, which became the peak of the cherry blossom attractions in modern Busan. The main focus of cherry blossom attractions changed from cherry-blossom viewing to picnicking under cherry blossoms around 1920. This means that the establishment of cherry blossom attractions can be seen around 1920. Articles of cherry-blossom viewing picked up sites not easy to access such as private gardens and reservoirs, articles about picnic spots under cherry blossoms noted public places that everyone could access. Cherry blossom attractions sites became spring resorts in modern Busan.

      • 45kW급 전자 제어형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포장성능시험 (Ⅱ)

        강나래 ( Narae Kang ),김영화 ( Younghwa Kim ),이예슬 ( Yeseul Kim ),유승화 ( Seounghwa Yu ),남영조 ( Youngjo Nam ),권승귀 ( Seunggwi Kwon ),하유신 ( Yushin Ha ),박형규 ( Hyunggyu Park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2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마늘재배 기계화율은 평균 59.2%로 마늘재배 전과정 중 파종·정식과 수확작업의 기계화율은 각각 16.1%, 수확 39.2%로 미흡한 실정이다. 수확작업의 경우 수확 15∼20일 전 줄기절단작업을 진행하고, 트랙터 부착형 땅속 작물 수확기로 마늘을 굴취한다. 굴취한 마늘은 노지에서 건조과정 거친 후 수집작업을 하고 있으며, 수집작업은 대부분 인력에 의존하고 있어 많은 노동력이 소모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승용 자주식 마늘수집기 시작기를 이용하여 주행속도 및 이송속도에 따른 포장성능시험을 수행하였다. 포장성능시험에서 사용한 마늘수집기 시작기는 크롤러 타입으로 주행부와 수집부, 이송부, 선별부, 수납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집부를 통해 수확된 마늘의 뿌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이송부에서 분리하고, 아직 남아 있는 이물질은 선별부에서 보조작업자가 선별하여 수납될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다. 포장성능시험은 남도마늘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성주군 소재 농가포장에서 진행하였으며, 주행속도 3수준(0.2, 0.3, 0.4 m/s)과 이송속도 3수준(60, 70, 80 rpm)을 요인으로 수행하였다. 요인별 시험구간을 3 m로 설정하고, 3반복 진행하였으며, 성능분석은 마늘수집기 시작기로 수집되지 않고, 포장에 남아 있는 마늘을 조사한 손실률, 수집된 마늘의 찍힘, 쪼개짐, 멍 등을 조사한 손상률, 수집부에 담긴 마늘과 이물질 비율을 조사한 이물질 혼입률을 분석하였다. 손상률은 요인별 수집부에 담긴 마늘에서 임의로 30개를 선정하여 껍질을 제거하여 멍을 조사하였다. 성능시험 결과 주행속도 0.2m/s, 이송속도 70 rpm에서 손실률 1.54%로 가장 양호하였다.

      • Corrosion-erosion behavior of MgAl<sub>2</sub>O<sub>4</sub> spinel refractory in contact with high MnO slag

        Jeon, Junmo,Kang, Youngjo,Park, Joo Hyun,Chung, Yongsug Elsevier 2017 Ceramics international Vol.43 No.17

        <P><B>Abstract</B></P> <P>The corrosion and erosion behavior of spinel refractory of different compressive strength has been investigated for refractories in contact with a high MnO slag for producing manganese ferroalloys. The finger rotating test (FRT) was adopted to evaluate the degradation behavior at 1550°C under a rotating condition of 150rpm. The sample with higher compressive strength (Sample C1) showed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Sample C2. In Sample C1, the refractory progressively corroded from the surface to the inner region by chemical corrosion, while mechanical erosion of the refractory suddenly occurred in Sample C2 as a result of the penetration of the slag within the refractory and the rotating energy.</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