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평양 지역 섬의 군사화와 탈식민, 그리고 커먼즈

        백영경 ( Paik Young-gyu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8

        과연 동아시아를 포함하여 태평양 지역의 섬이라는 조건은 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으며 또 미치고 있는가. 일반적으로 공동자원의 이용에 대한 연구가 지역의 범위를 넘어서 정치사를 다루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태평양 지역 섬의 역사와 문화라는 맥락에서 공동자원의 문제는 국민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곧바로 제국과 군사주의의 문제, 그리고 식민화와 탈식민의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태평양 지역 섬에서 공동자원의 사유화ㆍ상품화ㆍ군사화를 가져온 가장 큰 계기는 20세기 이후 이 지역에서 이루어진 제국주의의 확대와 식민화 과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과정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인클로저와 그것을 가능하게 한 논리를 추적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특히 태평양 도서 지역에서 정착형 식민주의와 기지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와, 군사주의의 문제를 도외시한 환경보호의 명분이 우리 시대의 또 다른 인클로저가 되고 있는 사례를 함께 검토할 것이다. 그런 후 이 지역이 현대의 민주주의와 시민권의 한계, 자본과 영토의 논리를 살펴보는 데 있어서 중요할 뿐 아니라, 현대 커먼즈 운동의 실천과 이론적 진전을 위해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How has the condition of an island in the Pacific, including East Asia, been and has affected the lives of people living in this area? In general, research on the commons does not typically deal with political history that goes beyond the boundaries of the region. In contrast,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islands in the Pacific Islands, the issues of militarism, colonization and decolonization cannot be avoided. The largest factor for the privatization, commodification and militarization of the commons in the islands of the Pacific has been the expansion and colonization process of imperialism in the region since the 20th century. Therefore, in this presentation, we will look at what factors in this historical process have made possible the extensive forced migration and forced land acceptance in the islands of the Pacific. In particular,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of settler colonialism and military bases on the Islands in the Pacific and explor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ignoring the issue of militarism as another case of enclosure in our time. This paper emphasizes that the history of this region is important not only to look at the logic of modern democracy and citizenship, the logic of capital and territory, but also for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progress of the modern commons movement.

      • KCI등재
      • KCI등재

        보조생식기술의 민주적 정치와 ‘겸허의 기술’

        백영경(Paik Young-Gyung)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5

        과학기술학은 기존 사회과학이 상대적으로 관심을 두지 않았던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의 문제에 천착하면서, 1990년대 이후에는 과학기술의 연구ㆍ개발ㆍ활용의 과정에서 시민의 참여를 이끌어 내었고, 과학기술의 민주적 통제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정치적 실험에도 참가해 왔다. 그러나 이제까지 시민참여의 형식과 방법에 논의의 초점이 모아지면서 과연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라는 것이 참여의 확대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가라는 질문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이 글은 쉴라 자사노프(Sheila Jasanoff)의 ‘겸허의 기술’ 개념을 통해 보조생식기술 영역에서 시민참여 논의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과학기술의 민주적 정치에 대한 논의의 확장에도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conditions and the substance of civic participation that will allow the advance of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practices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Building its discussion around Sheila Jasanoff’s concept of “the Technologies of Humility,” this paper examines the predicaments that the South Korean civic organizations had to face in their initiatives to introduce regulations in the assisted reproduction. In this context, this paper argues that assisted technology today cannot be solely understood as a technology for procreation and is an essential part in the current practices of biotechnology. Because the initial framing of the issue has a critical impact on the direction or even the outcomes of the intervention, the advance of democratic politics of science and technology would require civic participations that are sensitive to the issues of the normative in the technical, the global commoditization of reproduction,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concerning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학적 개념과 실천으로서의 "위기" : 위기 개념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의 모색

        백영경 ( Young Gyung Pai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4 韓國文化人類學 Vol.47 No.1

        인류학 연구에서 위기는 낯선 주제가 아니다. 최근 들어 대규모 후쿠시마 지진과 그에 이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태풍이나 지진, 지진 해일 등의 자연재해를 통해서 위기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기는 하였지만, 재난과 재해 외에도 금융위기나 경제위기, 전쟁과 폭력, 사회적 재생산의 위기나 개인 삶의 위기, 건강의 위기 등 인류학자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위기를 연구하고 다루어 왔다. 그러나 많은 위기에 대한 연구에서 이러한 인류학적인 통찰이 잘 발휘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이는 위기라는 것 자체가 일어나고 경험되는 어떤 현상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위기는 사회과학적 개념이기도 하며 지식의 실천이라는 사실을 간과하기 때문이다. 또한 과학기술의 문제나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인류학이 다루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고 보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현재 사회과학 연구들이 위기를 어떤 식으로 다루고 있는지를 검토하는데 에서 시작하여 위기라는 개념은 어떻게 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 등장하게 되며, 위기에 대해서는 어떠한 종류의 지식이 생산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결론적으로 인류학은 현재 위기 논의에 깔린 전제들, 위기에 관한 자연과학적·사회과학적 지식과 실천을 만들어 내고 있는 학문적 제도와 관행에 대해 지금보다 훨씬 더 명시적으로 연구하고 문제 삼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다. Crisis has been a topic often explored in the study of anthropology. Even before the recent "crises”in the form of natural disasters and nuclear accidents started to stir up public interests in the topic, anthropologists have been investigating the crises in the society and in people`s lives, such as financial crises, economic crises, war and violence, reproductive crises, personal crises and health crises. Yet, one can observe that the anthropological research on “ the Crisis” often lacks the usual anthropological insights. This paper presents the argument that the reasons for the lack of anthropological insights are firstly, that crisis has been regarded as a thing that is “ out there” and not as a social scientifically constructed concept; secondly, that many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voided the subject of science-technology and technological interven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se are not proper social scientific research objects. In this frame, this paper provides an exploration of the ways that "crisis” has emerged as a social scientific concept and how the know ledges of crises are constructed and produced. In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at anthropologists need to more explicitly question and challenge the underlying assumptions in the current discussions about “ the Crisis”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practices producing the knowledges and practices implicated in the crises.

      • KCI등재

        질병의 사회적 구성과 의학 지식의 변화 요인에 대한 연구

        백영경(Young-Gyung PAIK)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질병 인식의 역사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사회적 경험 및 실천으로서 질병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자연과학적인 질병관과 병에 대한 문화적이고 인문학적인 접근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융합적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질병이 객관적인 사실로서 존재하고 거기에 대한 대응으로서 치료 방식이 개발되는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에 대해 문제제기 하면서, 반대로 질병에 대해 개입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생겨나는 과정, 다시 말해 치료의 가능성 자체가 의학적 지식과 대중에게 인식되는 질병 모두의 차원에서 질병의 이해에 대해 큰 변화를 가져왔음을 보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삼은 질병의 사례는 고혈압인데, 의학적인 질병으로서의 고혈압은 사실상 혈압을 측정하는 방법이 정립되는 것과 그 시작을 같이 하지만 그 측정 방식에서는 한 세기가 넘는 시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는 점에서 질병의 사회적 구성을 살펴보는데 흥미로운 사례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의학적인 질병으로서의 고혈압과 현재 대중들이 이해하는 고혈압에 대한 인식, 양쪽 모두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있으며, 그 변화는 고혈압에 대한 다양한 개입 방식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것과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a convergence study of disease, illness and culture, beyond the dichotomy of a natural science approach to diseases and a cultural and humanistic approach to diseases. By examining the ways in which historical changes in disease perception have taken place, this paper emphasizes the disease as social experiences and practices. To this end, this paper questions the widespread ideas that disease exists as an objective fact and that treatment is developed as a response to it, and argues that, on the contrary, new means of intervening in disease has significantly changed not just the popular perception of disease but also medical knowledges as such. For this purpose, this paper will study the case of hypertension. Hypertension as a medical illness can provide an interesting example of a socially constructed disease, since there has been no major change in the way the disease is being measured and defined over the course of a centur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hypertension as a disease practiced in medical profession and hypertension as an illness experienced by the people both have substantially changed over time and that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emergence and disappearance of various interventions for hypertension.

      • KCI등재

        커먼즈와 복지

        백영경(Young-Gyung Pai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7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1 No.1

        저출산·고령화는 환경 위기와 함께 한국사회의 지속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이다. 현재 한국사회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드러내는 것은 단순한 돌봄의 위기를 넘어 사회재생산의 위기이며, 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 사회가 자연을 이용하는 방식이나 젠더질서, 삶을 대하는 태도에 이르기까지 근본적인 전환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전환의 과제는 국가나 시장, 혹은 개별 가족에게만 맡길 수는 없는 것으로서 공동체적 대응을 모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실제로 현재 사회재생산이 위기에 처한 것은 자연자원, 토지, 공적 공간과 공공 서비스 등 역사적으로 커먼즈(commons)로 간주되고 공동 사용되어 왔던 여러 자원들이 사유화되고 상품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특히 의료, 교육, 돌봄노동이 급속하게 전지구적인 차원에서 상품화되어 온 신자유주의 시대는 한편으로 사회재생산의 위기를 심화시켰고, 그렇기 때문에 다른 한편에서는 커먼즈의 복원과 생성을 향한 투쟁이 격화되어 왔다. 따라서 돌봄복지와 젠더정의를 위한 투쟁의 흐름과 삶에 필요한 자원의 공동체적관리를 환경 및 생태적 관점에서 주장해 온 흐름을 매개하는 데 있어서 커먼즈, 특히 최근 제안되고 있는 복지 커먼즈(welfare commons)라는 개념이 중요한 접합점이 될 수 있다. Problems of low fertility and aging have been regarded as one of prime indicators of South Korea’s future sustainability. This paper argues that the present situation of low fertility and aging in South Korea is more than a simple crisis of care and, rather, a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crisis, it is essential to make a fundamental transition, which is a truly challenging task. If this transition cannot be solely left to the state, market, or to individu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find a collective and communal response as well. In fact, what has put the social reproduction of our time at risk is the fact that many resources, which had been historically considered commons, such as natural resources, land, public spaces and public services, have been consistently privatized and commodified. Especially in the era of neo-liberalism, medical service, education, and care work have been rapidly commodified at the global dimension, thereby deepening the crisis of social reproduction. As a result, the struggle for restoring and creating the commons has intensifi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e concept of welfare commons can be an important conceptual node of bringing a struggle for care, welfare and gender justice, and another struggle for environmental justice together.

      • KCI등재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백영경(Young-Gyung PAIK)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이 논문은 2010~20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여성주의 NGO와의 장기 현지조사 및 낙태 경험을 가진 여성 23명과의 심층 인터뷰, 그리고 의사, 과학자, 정책 담장자와의 면접 자료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변화하는 의료윤리와 저출산 위기 및 생명공학의 발전의 교차점에 위치한 현대 한국에서 이렇게 새로이 부상하는 생명 정치가 어떤 식으로 전문성의 정치에 의해 틀이 지워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낙태에 대한 공적 논쟁과 담론은 모두 단정적인 도덕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고 법적 논쟁에 의해 틀 지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생명윤리적 규제는 여성의 재생산권과 자율성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많은 여성주의자들은 정책 세계의 언어보다는 여성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각국의, 혹은 초국적인 인구 정책이 여성의 재생산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라는 점에 대해서도 학자들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일단 여성의 경험에 대한 논의가 공적인 영역으로 들어오는 순간, 통계와 객관성처럼 건강 혹은 정책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언어 및 인식적 틀을 사용하도록 요구받게 된다. 이러한 전문 지식의 문화는 여성주의 운동이 “의학적으로 규정된” 사회 문제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새로운 과제를 던져준다고 하겠다. Based on the long term fieldwork in a feminist NGO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3 women with abortion experiences from 2010 to 2011, as well as interviews with doctors, scientists and policy-makers,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upon the ways this changing ontological politics of life, at the crossroads of changing biomedical ethics, national depopulation crisis and bio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framed by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The public debate and the discourse on abortion often tend to be colored by judgmental moralism and/or framed by the legal debate. Confronting the bioethical regulation on abortion, which can seemingly limit the female reproductive rights and autonomy, many feminists have emphasized to prioritize the experiences of women over the languages of policy world. In the same thread, the ways national and transnational population policy has shaped the reproductive experiences of women have been relatively well attended by scholars. Yet, once the talks on women"s experiences enter into the public sphere, they are asked to adopt the same vocabulary and epistemic frame of statistics and objectivity that the experts, whether health or policy, employ. This culture of expert knowledge has posed a new challenge to the ways that feminist movement can engage with “medically-framed” social issues.

      • KCI등재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어디에서 오는가: 여성 건강에 사회적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영경(PAIK, Young-G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3

        본 논문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비규범적인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 행위가 어떻게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낙인에 대한 비판은 종종 비규범적인 몸이 사회적 낙인을 만들어내고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규범적인 차원에 그치곤 하며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서 낙인이라는 개념이 가지는 적실성에 대한 논의를 건너 뛴채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인식은 종종 우리가 낙인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낙인이란 고정된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적 역동 속에서 만들어지고 작용하는 것으로서, 일상에 대한 구체적인 천착 없이 선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를 위해 2014년4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 여 동안 25명의 중증 질환, 주로 암을 앓은 경험을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민우회와 함께 진행한 인터뷰 조사를 자료로 삼았다. 본 논문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선 이들 여성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가족이나 일터, 병원에서 겪은 경험을 사회적 고통의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에 주목하고, 동시에 그러한 낙인은 어디에서 어떻게 오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social stigmatization of the non-normative body occur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ritiques of stigma often target the normative level and focus on the way society creates and strengthens social stigma; yet, they tend to perceive stigma in a commonsensical way and not as a social science concept. Thus, this approach often leads to the idea that we already know what stigma actually is and how it is experienced. However, stigmatization is not an automatic process, and stigma is being created and functioning in the dynamics of a specific social configuration. In this sense, stigma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understood a priori without a concrete inquiry into everyday life. For this research, the author, with Korean WomenLink, a feminist NGO, interviewed 25 women who had experiences of severe illnesses, mainly cancer, from April to August 2014 for about 4 months. This paper explores their experience in family and at workplaces or hospital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ir normal lives. By focusing on the specific process of social stigmatization, this paper aims to locate the way social stigma as social suffering emerges, expands and disappears.

      • KCI등재

        대만 원주민의 토지반환운동과 공동체-공동자원 관계의 변동

        정영신(Young Sin Jeong),백영경(Young-Gyung Paik) 한국환경사회학회 2015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19 No.2

        본 논문은 대만의 사례를 통하여 정치경제, 정체성과 문화, 환경과 생태 등의 여러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는 공동체-공동자원 관계의 역사적 변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대만 원주민들이 맺고 있던 인간과 자연의 관계, 공동체-공동자원의 관계를 해체시켰던 요인과 재구성을 촉진한 요인들에 대한 역사적 분석은 자원관리제도의 진화라는 시각에서는 다룰 수 없는 것이며, 공동자원에 대한 정치 · 생태론적 접근의 필요성을 확인시켜준다. 그 결과 대만과 국제 원주민운동의 경험은 원주민들이 설정하는 공동체-공동자원 관계가 근대적인 소유체제 및 생산 · 생활양식과 공존 가능하지만 조화롭게 통합되지 않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러한 부조화는 원주민운동에 굴레가 되는 측면이 있지만, 동시에 이러한 갈등과정에서 근대국가의 소유체제나 생산 · 생활양식 역시 변형을 겪을 가능성을 안고 있다. 실제로 대만의 원주민족기본법은 원주민의 세계관과 문화, 생산 · 생활양식이 근대적인 법률체제 안에서 (매우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일정한 변형을 가져오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스스로를 일정한 정체성을 지닌 원주민으로 규정하며, 주변의 자연과의 통합적인 삶을 지향하고, 공동자원에 대한 권리와 자기결정을 요구하는 모든 인간 집단에게 유효한 참조점이 될 수 있다. 이것이 우리가 국지적이며 지엽적인 것으로 보이는 원주민운동에 대해 창의적인 사회과학적 개입과 관심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다.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aiwanese indigenous land rights movemen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historical changes of community-commons, which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ntricate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among political economy, identity & culture, and environment & ecology. Based on the historical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either dismantled the Taiwanese indigenous people’s integrated relationship with nature or have revived the commons as a necessary basis of the community, the authors argue, the politico- ecological approaches toward the commons is needed and the institutional approaches toward the common resources alone is not enough. The case of the Taiwanese indigenous land rights movement, along with many more cases of the international indigenous movements, suggests that the indigenous idea of community-commons relationship can be coexistent with the modern property regime and the contemporary style of production-consumption, but it is not always the case. This incongruity often works as a restraint on the indigenous movements, ye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contestation, it can lead to the reconfiguration of the modern state system and institutions as such. Indeed, the case of the Taiwanese Indigenous Peoples Basic Law shows that the indigenous people’s ideas of nature and culture and their life-style have transformed the modern premises of property and rights, if limited. In this sense, the Taiwanese case can be a useful reference to the groups identifying themselves with the indigenous people’s cause, aiming the integrate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requesting the rights to the commons and self-determination. Therefore, more creative social scientific intervention is urgently required to promote researches in the issue of the indigenous rights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