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내향성 발톱 교정에 관한 사례 고찰 연구

        배민규(Min-Gyu Bae),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23 뷰티산업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내향성 발톱 교정에 관한 사례 고찰 연구’로서 보다 효과적인 내향성 발톱 교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에 있다. 고찰하여 분석한 결과 배민규, 윤천성(2022)은 내향성 발톱 예방 및 개선⋅교정을 목적으로 활용한 레진 젤(크랄레젤)을 활용한 내향성 발톱 교정 방법이 제품 활용 편리성, 문제점 등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방법에 따른 문제점 등과 비교했을 때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기존 다른 연구자들의 아크릴 스캅춰, Brace System, 실크, 와이어 등 제품들에 비해 교정 효과가 비교적 낮아 김경환(2022) 연구자가 내향성 발톱 교정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활용했던 견인기를 함께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내향성 발톱 예방 및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배민규, 윤천성(2022) 연구자가 제안한 크랄레젤 리커버 1회 적용을 제안하고, 내향성 발톱 개선 및 교정을 목적으로 김경환(2022) 연구자가 활용한 견인기를 활용하여 발톱을 펴준 후, 배민규, 윤천성(2022) 연구자가 제안한 크랄레젤 리커버를 목적에 맞게 2~5회 적용하여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 자료가 내향성 발톱 질환으로부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a case study on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In the results of considering and analyzing it,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using the Resin Gel(Kralle Gel) which was used by researchers Min-Gyu Bae & Chun-Sung Youn(2022)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mproving, and correcting the ingrowing nail, seemed to be more useful than other methods used by other researchers in the aspect of convenience of product use and problem. However, compared to the products like Acrylic Sculpture, Brace System, Silk, and Wire used by other researchers, the effect on correction was relatively lower, so it is propos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Retractor that was used by Kyeong-Hwan Kim(2022)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n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Kralle Gel Recover one time suggested by Min-Gyu Bae & Chun-Sung Youn(2002)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 recurrence prevention of ingrowing nail, unbending the nail by using the Retractor used by a researcher Kyeong-Hwan Kim(2022) for the purpose of improving/correcting the ingrowing nail, and then applying Kralle Gel Recover 2-5 times suitable for the purpose, suggested by researchers Min-Gyu Bae & Chun-Sung Youn(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data for enjoying a healthy life from ingrowing nail disease.

      •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과 차크라의 관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하은주(Eun-Ju Ha),윤천성(Chun-Sung Youn) 한국뷰티산업학회 2022 뷰티산업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활용한 차크라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이론적 근거로 차크라와의 관계성을 고찰하고 추후 뷰티산업에 활용하고자 한다. 문헌으로는 윤천성(2017)의 국내에서 발간한 한국형아유르베다 교재를 토대로 하였고, 학위논문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에서 ‘한국형아유르베다’ ‘아유르베다’ ‘차크라’와 관련된 연구를 참조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통하여 차크라를 접목할 방법을 알아내고 뷰티산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한국형아유르베다 7유형 중 카파바타형은 정서적으로 안정화 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닌 1번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으며, 카파피타형은 걱정에서 벗어나 집단의 번영을 이루고자 하는 욕구를 지닌 제2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타바타형은 자신의 명예와 명성을 드러내는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타인과의 친밀함을 지닌 제3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으며, 피타카파형은 인간 본성과 감각조절에 관련성이 있으며 수용과 균형을 이루고 사랑을 주관하고 있는 제4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타피타형은 정화와 순수, 창조성과 자아 표현과 관련되며, 자신의 영감과 압박에 대한 정서를 지닌 제5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으며, 바타카파형은 통찰력과 직관력, 이상 실현, 초인적인 힘, 영성과 예지력을 지닌 제6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바타피타카파형은 완전한 조화와 통합을 통한 인간 완성을 의미하는 제7 차크라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한국형아유르베다 심리유형을 차크라 체제에 접목하여 뷰티산업의 확장성에 큰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on chakra using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and aims to use chakra in the beauty industry a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The literatures cited are based on the Korean Ayurveda textbook published in Korea by Chun-sung Youn(2017) and the degree thesis was considered by referring to the research related to Korean Ayurveda, Ayurveda, and Chakra in the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RI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apply chakra into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and how to use it as basic data in the beauty industry. As 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Kapha-Vata character in the seven types of Korean Ayurveda is related to the No. 1 Chakra, which has a desire to be emotionally stabilized. The Kapha-Pitta character is related to the second Chakra, which has a desire to escape from anxiety and to achieve group prosperity. Pitta-Vata character has a desire to reveal his honor and reputation and is related to the third chakra, which has intimacy with others. The Pitta-Kapha character is related to human nature and sensory regulation, and to the 4th Chakra, which balances acceptance and is in charge of love. Vata-Pitta character is related to purification, purity, creativity, and self-expression, and is related to the 5th Chakra with emotions about one's own inspiration and pressure. The Vata- Kapha character is related to the sixth Chakra, which has insight, and intuition, ideal realization, superhuman power, spirituality and foresight. The Vata-Pitta-Kapha character is related to the 7th Chakra, which means human accomplishment through the complete harmony and integration.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the Korean Ayurveda psychological type can be applied to the chakra system to create a great opportunity for the expansion of the beauty industry.

      • KCI등재

        치조골 상실에 따른 상악 치아군 저항중심의 변화에 관한 유한요소해석

        성상진,김인태,국윤아,전윤식,김성훈,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5

        효과적인 교정치료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치열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상악 치열군(4전치, 6전치, 14치아)에서 치조골 손실에 따른 저항중심의 위치변화를 조사해보고자 하였다.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주인대 및 0 mm, 2 mm, 4 mm 손실된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4전치, 6전치, 14치아)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호선 및 splint wire로 고정하여 치아군 모델을 제작한 후 상악 중절치의 절단연 중점에서 연장된 splint wire에 4전치와 6전치군에는 200 g, 14치아군에는 400 g의 후방 견인력과 압하력을 적용하여 저항중심의 수직적, 수평적 위치를 분석하였다. 4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의 수직 위치는 치조골 0 mm, 2 mm, 4 mm 손실에 따라 중절치의 절단연에서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 mm, 수평 위치는 후방 12 mm, 12 mm, 12.5 mm, 6전치군에서는 치근방향 13.5 mm, 14.5 mm, 15.5 mm, 후방 14 mm, 14 mm, 14.5 mm, 14치아군에서는 치근방향 11 mm, 13 mm, 14.5 mm, 후방 26.5 mm, 27 mm, 25.5 mm에 위치하였다. 모든 치아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치근첨 방향으로 이동하였으나, 치조정과의 거리는 가까워졌고, 4전치군과 6전치군에서 저항중심은 치조골 손실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14치아군에서는 치조골 2 mm 손실 시에는 후방으로 이동하였으나, 4 mm 손실 시에는 전방으로 이동하였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teeth in relation to alveolar bone loss. Methods: A finite element model, which included the upper dentition and periodontal liga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one loss (0 mm, 2 mm, 4 mm).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splint wires. Retraction and intrusion forces of 200 g for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and 400 g for the full dentition group were applied. Results: The centers of resistance were at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2 mm, 12 mm, 12.5 mm posterior in the 4 incisor group; 13.5 mm, 14.5 mm, 15 mm apical and 14 mm, 14 mm, 14.5 mm posterior in the 6 anterior teeth group; and 11 mm, 13 mm, 14.5 mm apical and 26.5 mm, 27 mm, 25.5 mm posterio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respectively according to 0 mm, 2 mm, 4 mm bone loss. Conclusions: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posteriorly as alveolar bone loss increased in 4 and 6 anterior teeth groups. However, in the full dentition group, the center of resistance shifted apically and anteriorly in the 4 mm bone loss model.

      • SCOPUSSCIEKCI등재
      • KCI등재

        상악 구치부 회전양상의 평가

        이성근,정득룡,장연주,전윤식,정상혁 대한치과교정학회 발행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6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의 중첩만으로는 교합평면상의 치아이동을 알 수 없으며, occlusogram 역시 촬영 및 중첩의 오류를 피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3차원 영상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중첩된 영상을 통해 상악 소구치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 구치부 회전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성인여성 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치료 전 석고모형 및 치료 완료후 석고모형의 3차원 영상을 촬영한 후, 상악 경구개면을 기준으로 두 영상을 중첩한 다음, 치료 전후의 상악 구치부의 회전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구치부의 회전 양상은 매우 다양하였다. 그 주요 원인은 치료 전 상악 구치의 다양한 회전 상태와 치열궁 및 치아의 형태학적인 특성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따라서 발치공간 폐쇄 시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 양상을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치료 전후에 일어나는 구치의 회전을 초기 배열 전후의 구치 회전, 발치공간 폐쇄 전후의 구치 회전, 그리고 마무리 단계 전후의 구치 회전으로 세분하여 평가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Cephalometric superimposition is unable to evaluate tooth movement along the occlusal plane and the errors of photographing and superimposition of the occlusogram is also inevitabl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rotational movements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following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f maxillary first premolars, using 3D dental images. In 19 adult females, analysis of rotational movements of the maxillary posterior teeth was performed between the initial and final 3D dental images superimposed on the maxillary hard palate. The results showed a diversity of rotational movements of posterior teeth. The causes of various rotational movements may be different rotation of molars in each case at the beginning of treatment. individual characters of the dental arch and tooth morpholog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ccurate evaluation of retational movements of posterior teeth following space closure after extraction of premolars using 3D dental images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ubdivision of tooth movement during the initial aligning, space closure and finishing stages.

      • SCOPUSSCIEKCI등재

        Precision-TPA를 이용한 구치부 회전시 근심 및 원심삽입법에 따른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양성재,정성권,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회전된 구치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precision-TPA(transpalatal arch)를 삽입방법들-근심삽입법, 원심삽입법, 확장력을 부여한 근심삽입법 (이하 근심확장법) -에 따라 동적인 치아이동의 양상과 치열궁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본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회전된 치아와 고정치간의 이동양상을 계측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치간 폭경은 근심삽입법에 의해 감소하였고, 원심삽입법과 근심확장법에 의해서는 증가하였다. 2. 원심삽입법에 의해서 치열궁 장경이 가장 증가하였고, 근심확장법, 근심삽입법순으로 증가하였다. 3. 근심삽입법의 회전중심은 근심소와(mesial pit)와 중심소와(central pit)사이에위치하였고, 원심삽입법에서는 원심소와(distal pit)와 원심설측교두 (distolingual cusp)사이에, 근심확장법은 원심소와(distal pit)에 위치하였다. Dr. Youn-Sic Chun and coworkers invented the new machine for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s and we named it Calorific machine. The author and colleagues used this machine to compare with tooth moving mechanism by 3 types of the insertion method of precision-TPA for derotating the posterior teeth. We measured the distance of tooth movement and found out the rotational center on the occlusal X-ray film and the tooth movement on the occlusogram and then processed paired t-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intermolar width, the mesial insertion method showed the loss of distance, and the other methods (-distal insertion method, mesial expansion method-) showed the increase of distance. 2. In the arch length, the distal insertion method was exhibited as most recommandable way for increasing the arch length. 3. The rotation center of the mesial insertion method for derotating the molar, was located between mesial pit and central pit of the lower 2nd molar. And, in the distal insertion method, it was located between distal pit and distolingual cusp. and in the mesial expansion method was located at distal pit.

      • 탱자(Poncirus tripoliata RAF)잎으로부터 Mitochondrial DNA의 분리

        박종필,전홍성,김연순,이숙영,김성준 조선대학교 부설 유전생물공학연구소 1992 유전생물공학연구지 Vol.2 No.-

        Differaitial centrifugation, sucrose(30%, 60%) and percoll(13.5%, 21% and 45%)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were used to effectively isolate mitochondria and mitochondrial DNA (mt DNA) from the leaves of the genus Poncirus (Pondrus trifoliata RAF.) The results showed that percoll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 provided a convinient and effectiv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lean mitochondria. The purity of prepared mt DNA was increased by the removal of the nuclear DNA by DNase treatment to the crude mitochondrial suspension mt DNA on the agarose gel was shown extra fluorescent background in case of isolation by differential centrifugation and more cleared band included slightly smeared patterns for sucrose density gradient, and highly paint band from percoll density gradient was appeared to the best results of the above three methods. In addition to chromosomal mt DNAs, two short mt plasmid-like elements were detected in the genus Poncirus. These elements consistently co-purified with the chromosomal mt DNAs and is widely distributed among natrual Poncirus trifoliata RAF. populations. But these elements required proteinase K treatment for mobility in agarose gels.

      • KCI등재

        En-masse 견인에 의한 발치공간 폐쇄 후 상악치열의 이동양상 : 제1소구치 및 제2소구치 발치 비교 A comparison between first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

        김희정,전윤식,,정상혁 대한치과교정학회 200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5 No.5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 발치 후 발치공간 폐쇄 시 치아이동의 양상 즉, 치아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구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상악 우측 인공 치조골부에 제1소구치 또는 제2소구치를 제외한 중절치부터 제2대구치까지 실험용 치아들을 식립하고 bull loop이 형성된 반쪽 호선에 15도의 gable bend를 부여한 후 전치부를 후방견인하여 발치공간을 폐쇄시켰다. 실험 전후에 교합면 방사선사진과 시상명 방사선사진을 촬영하고 인공치조골부 하단에 식립된 기준표지점에 중첩하여 이동방향 및 이동량을 계측하였다. 그 결과 제2소구치 발치군의 전치부 후방이동량이 제1소구치 발치군에 비해 더 적었으며 구치부의 고정원 소실 및 고정원의 근심설측회전량은 제2소구치 발치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valuate and compare maxillary arch dimensional and positional changes between first and second premolar extraction groups. The Calorific Machine was used to illustrate tooth movement in three dimensions. The experimental teeth except the first or second premolars were embedded in artificial alveolar bone. The extraction space was closed using arch wires with bull loops into which 15 degree gable bends were placed. Before and after space closure. radiographs were taken in the sagittal and occlusal directions using occlusal films. The results showed greater mean maxillary incisor retraction and less anchorage loss in the maxillary first premolar extraction group than in the maxillary second premolar extraction group. Mesiopalatal rotation of anchor teeth was greater after extraction of a maxillary second premolar than a maxillary first premolar (p<.001).

      • KCI등재

        간접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상악 구치부 원심이동 장치 종류에 따른 치아 이동 양상 평가

        김수진,전윤식,정상혁,박선형 대한치과교정학회 200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pendulum 장치,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pendulum장치(펜듈럼), 오픈코일 스프링 및 미니임플란트를 동반한 오픈코일 스프링 이용 시 각각의 치아이동 양상을 3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었다. 상악 좌측 치조골 및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모형상에서 대구치를 3 mm 원심이동시켰다. 실험은 5회씩반복 실시하였다. 모델을 전산화 단층 촬영한 후 V-Works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을 제작하였다. Rapidform상에서 3차원적으로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계측하였고, 각각의 장치에 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교정용 미니임플란트를 간접 골성 고정원으로 이용하여 오픈코일 스프링으로 구치부를 원심으로 이동시켰을 때가 치체이동에 가장 가까운 이동양상을 보였고, 고정원 소실도 적게 나타났다 (p < 0.05). 오픈코일 스프링, 펜듈럼 장치 모두 미니임플란트를 부가적으로 이용했을 때 고정원 소실량이 적었다 (p < 0.05). 미니임플란트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두 장치의 고정원 소실량이 비슷하였다. 미니임플란트의 이용 여부와 관계없이 펜듈럼 장치로 상악 구치 원심 이동 시 오픈코일 스프링에 비해 제1대구치가 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으로 이동되었고 (p < 0.05), 제2대구치는 비조절성 경사이동 양상을 보였으며, 치관의 협측경사이동이 일어났다 (p < 0.05). 이와 같은 결과를 근거로 간접 골성 고정원을 이용한 오픈코일 스프링이 상악 구치의 원심 치체이동에 가장 효과적인 장치였으며, 펜듈럼 장치를 이용한 구치부 원심이동 시에는 추가적인 조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hree dimensional changes of tooth movement using four different types of maxillary molar distalization appliances; pendulum appliance (PD), mini-implant supported pendulum appliance (MPD), stainless steel open coil spring (SP) and mini-implant supported stainless steel open coil spring (MSP). Methods: These experiments were performed using the Calorific machine which can simulate dynamic tooth movement. Computed tomography (CT) images of the experimental model were taken before and after tooth movement in 1 mm thicknesses and reconstructed into a three dimensional model using V-works 4.0. These reconstructed images were superimposed using Rapidform 2004 and the direction and amount of tooth movement were measured. Results: The mean reciprocal anchor loss ratio at the first premolar was 17 - 19% for the PD and SP groups. The appliances using mini-implants (MPD or MSP) resulted in less anchorage loss (7 - 8%). On application of a pendulum appliance or MPD, distalization was obtained by tipping rather than by bodily movement. Furthermore, the maxillary second molar tipped distally and bucally. But on application of MSP, distalization was achieved almost by bodily movement. Conclusions: Regarding tooth movement patterns during molar distalization, stainless steel open coil spring with indirect skeletal anchorage was relatively superior to other methods.

      • KCI등재

        상악 치아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정광모,성상진,이기준,전윤식,모성서 대한치과교정학회 200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9 No.2

        최근 골내 고정 형태의 temporary anchorage device (TAD)를 많이 이용하게 되면서 다양한 위치로부터 그리고 강한 교정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치아군의 이동양상을 예측하고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다양한 치아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상악 4전치, 6전치 그리고 상악 전치열에서 3차원적 저항중심의 위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 호선, 설측 splint wire로 고정하여 개별 치아이동을 최소화하고 적용된 힘이 치아에 고루 분산되도록 하였다. 상악 중절치 절단연의 중점에서 연장된 와이어 빔에 수직, 수평으로 100 g 또는 200 g의 힘을 가하여 치아의 변위를 해석하고, 각 치아군에 속한 치아들이 최대한 평행이동 되는 힘의 적용부위를 저항중심으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상악 4전치군의 저항중심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3.5 mm, 후방 12.0 mm, 상악 6전치군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3.5 mm, 후방 14.0 mm에 위치하였으며 상악 전치열군의 저항중심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1.0 mm, 후방 26.5 mm에 위치하였다. 본 유한요소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교정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3-dimensional posi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4 maxillary anterior teeth, 6 maxillary anterior teeth, and the full maxillary dentition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s: Finite element models included the whole upper dentition, periodontal ligament, and alveolar bone. The crowns of the teeth in each group were fixed with buccal and lingual arch wires and lingual splint wires to minimize individual tooth movement and to evenly disperse the forces to the teeth. A force of 100 g or 200 g was applied to the wire beam extended from the incisal edge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and displacement of teeth was evaluated. The center of resistance was defined as the point where the applied force induced parallel movement. Results: The results of study showed that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4 maxillary anterior teeth group, the 6 maxillary anterior teeth group, and the full maxillary dentition group were at 13.5 mm apical and 12.0 mm posterior, 13.5 mm apical and 14.0 mm posterior, and 11.0 mm apical and 26.5 mm posterior to the incisal edge of the upper central incisor, respectively.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the results from this finite element models will improve the efficiency of orthodontic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