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ocial Polarization and Social Security Law in Japan

        Yoshimi Kikuchi(키쿠치 요시미)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6 사회보장법학 Vol.5 No.2

        일본에서 1990년대 이후 진행된 사회 양극화는 빈곤이나 사회적 격차와 같은 사회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응 요청은 일본의 사회보장법과 사회보장 정책에 대해서도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사회 양극화에 대한 일본의 사회보장법의 대응에 대해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일본의 사회 양극화의 중요 요인 중 하나로 고용 시스템의 변화 역시 주목되고 있으므로, 일본의 노동법과 고용 정책의 현상도 함께 소개함으로써 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의 양 영역을 함께 검토할 필요성이 나타난 배경과, 이론적인 관점에서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을 둘러싼 최근의 논의상황을 밝힌 후, 사회 양극화를 전제로 한 사회보장법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해 비정규 고용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일본에서는 고용과 사회보장 혹은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양자를 포괄하는 관점에서 논의가 전개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분리 · 독립의 길을 밟아 온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공통성과 상호관련성이 새롭게 재인식되고 있다. 이는 이론적으로는 사회적 포섭을 공통의 이념으로 하면서 노동권의 범위가 종래의 노동법에 있어서의 「근로자」, 「노동」의 범위를 넘어 확대되는 한편, 취로를 중심으로 한 사회활동과의 관련 속에서 사회보장법 및 생존권의 새로운 이해가 모색되고 있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In Japan, as social polarization has increased, poverty and social disparities have become issues for society since the 1990s. Japan’s social security law and social security policies have been aimed at countering such a situation. This paper seeks to introduce the response of Japan’s social security law to social polarization. It is thought that the primary driver of social polarization in Japan has been changes in employment practices. Therefore, by introducing Japan’s social security law with Japan’s current labor laws and employment policies, this study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the background behind the recently emergent view of the necessity to examine both social security and labor law. It will then clarify what the recent debates surrounding the social security and labor law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have been. Finally, it will focus on the issue of irregular employment for a social security law that takes social polarization into account. Adherents of an argument that has developed recently regarding Japan’s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which perceives employment and social security, or th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together within a comprehensive field of vision, through tracing their distinct historical developments, are once again becoming conscious of the connections and mutual relations between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While this shows, theoretically, the idea of its connections to social inclusion and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right to work has expanded beyond the notions of “worker” and “work” in the labor law, it is, on the other hand, also connected to how to understand the right to life and the social security law, which focuses on work but also relates to social activities with no pay.

      • KCI등재

        사회양극화와 사회보장법

        키쿠치 요시미(Yoshimi Kikuchi),최석환(번역자) 한국사회보장법학회 2016 사회보장법학 Vol.5 No.2

        일본에서 1990년대 이후 진행된 사회 양극화는 빈곤이나 사회적 격차와 같은 사회문제를 야기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 대한 대응 요청은 일본의 사회보장법과 사회보장정책에 대해서도 제기되었다. 본 논문은 사회 양극화에 대한 일본의 사회보장법의 대응에 대해 소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일본의 사회 양극화의 중요 요인 중 하나로 고용 시스템의 변화 역시 주목되고 있으므로, 일본의 노동법과 고용 정책의 현상도 함께 소개함으로써 문제를 포괄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의 양 영역을 함께 검토할 필요성이 나타난 배경과, 이론적인 관점에서 사회보장법과 노동법을 둘러싼 최근의 논의상황을 밝힌 후, 사회 양극화를 전제로 한 사회보장법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해 비정규 고용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일본에서는 고용과 사회보장 혹은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양자를 포괄하는 관점에서 논의가 전개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분리 · 독립의 길을 밟아 온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공통성과 상호관련성이 새롭게 재인식되고 있다. 이는 이론적으로는 사회적 포섭을 공통의 이념으로 하면서 노동권의 범위가 종래의 노동법에 있어서의 「근로자」, 「노동」의 범위를 넘어 확대되는 한편, 취로를 중심으로 한 사회활동과의 관련 속에서 사회보장법 및 생존권의 새로운 이해가 모색되고 있는 것과도 관련되어 있다. In Japan, as social polarization has increased, poverty and social disparities have become issues for society since the 1990s. Japan’s social security law and social security policies have been aimed at countering such a situation. This paper seeks to introduce the response of Japan’s social security law to social polarization. It is thought that the primary driver of social polarization in Japan has been changes in employment practices. Therefore, by introducing Japan’s social security law with Japan’s current labor laws and employment policies, this study seeks to offe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problem. This paper initially examines the background behind the recently emergent view of the necessity to examine both social security and labor law. It will then clarify what the recent debates surrounding the social security and labor laws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have been. Finally, it will focus on the issue of irregular employment for a social security law that takes social polarization into account. Adherents of an argument that has developed recently regarding Japan’s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which perceives employment and social security, or the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together within a comprehensive field of vision, through tracing their distinct historical developments, are once again becoming conscious of the connections and mutual relations between labor law and social security law. While this shows, theoretically, the idea of its connections to social inclusion and that the applicability of the right to work has expanded beyond the notions of “worker” and “work” in the labor law, it is, on the other hand, also connected to how to understand the right to life and the social security law, which focuses on work but also relates to social activities with no p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