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간질환아에서 항경련제 투여가 혈청 및 적혈구 엽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김영유, 황경태(Young-Yoo Kim, 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To assess the effect of antiepileptic drugs(AEDs) on blood folate, we evaluated the serum and red cell folate levels by means of competitive radioassay as well as the peripheral blood findings in epileptic children treated with various AEDs. This study included a control group of 24 children(13 males, 11 females : 6-16 years of age) and 56epileptic patients(32 males, 24 females : 6-20 years of age) who were divided into four AED-treated groups : phenobarbital(PB) monotherapy (n=9), carbamazepine(CBZ) monotherapy(n=22), valproic acid(VPA) monotherapy(N=11) and CBZ polytherapy(N=14).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d cell fol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but serum folate level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red cell folate level reduced by up to 2SD below the mean of control group was 11 of 56 patients in AED-treated group : 3 of 9 in PB monotherapy(33.3%), 6 of 22 in CBZ monotherapy(27.3%), 1 of 11 in VPA monotherapy(9.1%) and 1 of 14 CBZ polytherapy(7.1%) 3. From the peripheral blood studies, only the value of mean corpuscular volume(MCV)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atient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number of patients whose MCV value increased by up to 2 SD above the mean of control group was 13 of 56 patients in AED-treated group : 4 of 9 in PB monotherapy(44.4%), 3 of 22 in CBZ monotherapy(13.6%), 1 of 11 in VPA monotherapy(9.1%), and 5 of 14 in CBZ polytherapy(35.7%). 5.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and the increased values of MCV were observed in PB monotherapy, CBZ monotherapym and CBZpolytherapy, but not in VPA monotherapy group. 6. There was neither correlation between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and the increased values of MCV nor between the duration of AEDs therapy and the reduced levels of red cell folate or the increased values of MCV. It is suggested that the reduction of red cell folate levels should be considered in epileptic patients treated with PB or CBZ, although the clinical symptoms of folate deficiency were not Found in patients of this study, and that the measurement of red cell folate may be a useful parameter to detect the disturbance of folic acid metabolism in its early stage.

      • KCI등재후보

        열성 경련이 있던 환아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

        최병준(Byung Joon Choi) 황경태(Kyung 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2004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2 No.1

        목적 : 열성 경련은 소아 경련에서 가장 흔한형으로 생후 9개월 전과 5세 이상에서는 드물다. 열성 경련은 간질로 발전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고 특별한 치료 없이도 저절로 호전된다. 그러나, 열성 경련에서 관심을 가져야 할 분야 중 하나는 간질의 발생률이다. 특히 신경학적 이상, 발달 이상, 간질의 가족력, 복합 열성 경련 등은 간질로 이행 할 수 있는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의사와 부모의 또 다른 지대한 관심 사항은, 열성 경련 후에 올 수 있는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열성 경련 후 유발 원인 없는 발작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위험도와 예측 인자를 조사하였다. 방법 : 초 회의 열성 경련이 있어 내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병력상 혹은 응급실 내원 당시 체온이 상승하여 열이 있을 때 전신적인 경련이 생긴 경우로 연령은 6개월에신 3세 사이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과거 병력 비열성 경련, 간질, 뇌의 염증, 신생아 경련, 대사성 질환 등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1993년부터 2002년까지 10년 동안 강남 성모 병원에서 추적이 가능했던 3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완전 추적은 이루어졌지만 처음 내원시의 기록이 차트 혹은 인터뷰로 확인되지 않은 41명은 제외하여 총 333명만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결과 : 신경학적 이상 유무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신경학적 이상이 긴는 경우 310명 중 15명(4.8%), 신경학적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23명 중 10명(43.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단순 열성 경련과 복합 열성 경련에 따른 비교를 살펴보면, 단순형은 213명 중 13명(6.1%), 복합형은 120명 중 12명(10.0%)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복합 열성 경련 위험 인자를 비교하여 보면, 위험 인자 1개인 99명 중 9명(9.1%), 2개 이상인 21명 중 4명(19.1%)에서 발생하였다. 직계 가족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256명 중 17명(6.6%), 열성 경련 병력이 있는 77명 중 8명(10.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열성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열성 경련 병력이 없는 170명 중 14명(8.2%), 열성 경련 병력을 가진 163명 중 11명(6.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직계 가족에서 간질 병력을 살펴보면, 간질 병력이 없는 299명 중 22명(7.4%), 간질 병력이 있는 34명 중 3명(8,8%)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친척 중에서 경련 병력을 살펴보면, 경련 병력이 없는 257명 중 18명(7.0%), 경련 병력을 가진 76명 중 7명(9.2%)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열성 경련의 숫자를 살펴보면, 1회 210명 중 9명(4.3%), 2회 64명 중 6명(9.4%), 3회 35명 중 4명(11.4%), 4회 이상 24명 중 6명(25%)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있었다. 발열 기간을 비교하여 보면, 1시간 미만 69명 중 7명(10.1%), 1시간 이상 24시간 미만 200명 중 16명(8%), 24시간 이상 54명 중 2명(3.1%)에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체온을 비교하여 보면, 38.5℃ 미만 57명 중 6명(10.6%), 38.5℃ 이상 276명 중 1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인 발생하였다. 발생 연령을 비교하여 보면,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 77명 중 5명(6.5%), 12개월 이상 24개월 미만 170명 중 14명(8.2%), 24개월 이상 36개월 미만 73명 중 4명(5.5%), 36개월 이상 13명 중 2명(15.4%)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성별을 살펴보면, 남자 202명 중 16명(7.9%), 여자 131명 중 9명(6.9%)이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발생하였다. 결론 : 복합 열성 경련은 특히 신경학적 이상이 있는 경우 의미 있게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이 증가 하였는데, 한 가지보다는 2개 이상의 복합 열성 경련이 연관이 있는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좀더 다양한 각도에서 연구를 시도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유발 원인 없는 발작을 한 환아의 반수 이상에서 2번 이상의 원인 없는 발작을 나타냈는데, 발달 이상이나 혹은 신경학적 이상이 같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며 따라서 이러한 인자는 간질의 고 위험 재발 인자라고 생각된다. 신경학적으로 정상인 경우 여러 위험 인자가 의미 있게 관련을 보이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Purpose : The greatest concern for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is not only the possibility of epilepsy, but also unprovoked seizure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Study factors include three identified factors of unclear significance-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and the number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nd two new factors that are important predictors - the height of temperature and the duration of fever prior to the initial febrile seizure. Methods : Children(n=333) between 6 months and 5 years of age with first febrile seizures were reviewed to determine the risk and predictors of unprovoked seizures for 10 years. Children with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meningitis or encephalitis), past history of febrile seizures or epilepsies were excluded. Results : 10(43.5%) of 23 children with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had epilepsies. 12(10%) of 120 children with complex febrile seizures had epilepsies. 17(6.6%) of 256 children without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and 8(10.4%) of 77 children with family history of febrile seizures in 1° relative had epilepsies. Conclusion : In our results, there exists a strong association between unprovoked seizures and complex features in neurodevelopmentally abnormal children compared with normal children.

      • KCI등재후보

        4-Pentenoic Acid로 유발시킨 라이증후군 흰쥐의 뇌에서 GFAP면역반응성 성상교세포의 변화

        양현억, 황경태(Hyun-Eog Yang, Kyung-Tai Whang) 대한소아신경학회 1996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3 No.2

        4-pentenoic acid(4-Pa)로 유발시킨 실험적 라이증후군 흰쥐에서 교세포원섬유성 산성단백질(GFAP)항체를 이용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면역세포화학법으로 대뇌와 소뇌의 피질 및 수질에 분포하는 GFAP양성 성상교세포를 감별 염색하여 그 면역반응성과 이들이 차지하는 면적 비율을 계측하여 성상교세포에서의 GFAP활성도를 확인하고, 아울러 이들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4-PA를 투여한 동물에서 투여후 40-80분 사이에 모두 경련발작을 일으켰으며, 4-PA투여후 30분에 혈당값은 정상대조군 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SGOT값과 혈중 암모니아값은 정상대조군 것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PA를 투여한 동물의 대뇌에서 대상속에 분포하는 GFAP양성 성상교세포의 GFAP면역반응성과 면적비율은 정상군 것에 비하여 다같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GFAP항체를 이용한 면역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볼 때 성상교세포의 세포질에 있는 중간세사가 선택적으로 염색되었으며, 이들 중간세사는 4-PA투군의 대뇌 및 소뇌 성상교세포에서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상의 관찰결과로 미루어 볼 때 4-PA에 의한 실험적 라이증후군에서 조기에 대뇌 및 소뇌에 분포하는 성상교세포의 GFAP발현과 중간세사가 현저히 증가하며, 이와 같은 현상은 라이증후군에서 대상적 반응성 성상교세포중의 한 양상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4-pentenoic acid(4-PA) has been known to be a useful neurotoxin to produce most of the essential features of Reye's syndrome in rats, but little has been studied about the effects of this reagent on the changes of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GFAP) immunoreactivity of astrocytes in the central nervous system. We designed this study in order to clarify the alterations of the GFAP-immunoreactivity, area percent and ultrastructure of GFAP-positive astrocytes in the brain of the rat with experimental Reye's syndrome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using anti-GFAP antiserum. Method: Reye's syndrome was induc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every 4 hr with 50mg/kg body weigh of 4-PA for 10 doses, followed by a single dose of 200mg/kg. Animal were sacrificed in 30 minutes after th final injection, and tissue blocks were taken from the cerebrum and cerebellum. Paraffin sections were immunostained with the indirect immunoperoxidase method for light microscopy, and the area percent of GFAP-positive astrocytes was calculated using the image analysis system(Vidas 2.0, Kontron, Germany) in the immunostained sections. For electron microscopy, pre-embedding immunocytochemical method was applied Result: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ll rats were observed clinical features similar to those of the Reye's syndrome, including convulsion, hyperammonemia, hypoglycemia and elevated SGOT. The GFAP immunoreactivity and the area percent of GFAP-positive astrocyte in 4-PA-treated anima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rebral cingulum and cerebellar cortex and medulla, as compared with those of normal control. The increment was highly signigicant in cerebellum than in cerebrum. However, the intensity was observed to be slight in frontal cortex. The intermediate filaments in the cytoplasm of astrocytes were selectively immunostained by the electron microscopic immunocytochemistry and these GFAP-immunoreactive intermediate filaments were markedly increased in both cerebral and cerebellar astrocytes of the 4-PA treated animals.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elucidate that the increment of GFAP expression and intermediate filaments in the astrocytes of cerebrum and cerebellum are striking feature in the early stage of Reye's syndrome induced by 4-PA, and suggest that the compensatory reactive astrocytosis is consequently involved in the encephalopat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