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Effect of Developmental Lead Exposure on the Expression of Hippocampal NMDA Receptor Subunit mRNA

        Kim, Tae-Wan,Chung, In-Sung,Bae, Jae-Hoon,Shin, Dong-Hoon,Lee, Mi-Young,Kim, Joon-Sik 大韓産業醫學會 2005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7 No.4

        목적: in vivo 및 vitro에서 해마 신경세포의 발생단계별 NMDA 수용체 아단위 mRNA 발현에 대한 연 폭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흰쥐 해마 신경세포의 발생단계별 NMDA 수용체 NR2A, NR2B 아단위 mRNA 발현에 대한 연의 영향은 정상군과 연 폭로군의 출생 후 7일, 14일, 22일 흰쥐의 해마에서 in situ hybridization으로 mRNA 발현 정도를 densitometer로 측정하여 비교하였고, 연과 NMDA 의 세포독성은 해마 신경세포 일차배양 후 도립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인 관찰과 LDH 활성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연 과 NMDA 에 의한 세포독성에 대한 in vitro 실험에서 형태학적 소견과 LDH 활성도에서 해마 미성숙 신경세포와 성숙 신경세포사이의 차이가 있었으므로, 연과 NMDA 독성효과는 해마 신경세포의 발달 단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정상군의 해마에서의 NR2A mRNA 발현은 출생 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R2B mRNA 발현은 출생 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NR2B mRNA 발현은 연령의 증가에 따른 변화가 없었다. 연 폭로에 희한 NR2A mRNA 발현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5), NR2B mRNA 발현은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만성적 연 폭로는 NR2A를 포함하는 NMDA 수용체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론: 연은 해마신경세포의 발생단계에서 NMDA 수용체 아단위 특히 NR2A mRNA 발현의 변화를 야기하여 시냅스 신호 전달에 영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Hippocampus

      • KCI등재

        유명산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분류에 관한 연구

        김흥식,김인수,홍금희,김남영,박광서,김정유,박완근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9 No.-

        2002년 3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구조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이 98과 331속 570종 1아종 81변종 4품종 2교잡종으로 총 658종류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10과 14속 13종 2변종 1교잡종 총 16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과 10속 11종 총 11종류, 귀화식물은 12과 22속 28종 총 28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소나무-산거울군락, 잣나무-주름조개풀군락, 물푸레나무-신갈나무군락, 층층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싸리-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6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Yumyeong from March, 2002 to October, 2003. As a result of that, the vascular plants were 98 families, 331 genera, 570 species. 1 subspecies, 81 varieties, 4 formae, 2 hybrid, 658 taxa in all. Korean endemic plants were 10 families, 14 genera, 13 species, 2 variaties, 1 hybrid. 16 taxa in all ;, rare and endangered plants were 9 families, 10 genera. 11 species, 11 taxa in all ; naturalized plants were 12 families, 22 genera, 28 species, 28 taxa in all. The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6 communities :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Carex humilis var. nana - Pinus densiflora Community B. Oplismenus undulatifolius - Pinus koraiensis Community C. Fraxini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D. Cornus controvers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E. Quercus variab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F. Lespedeza bicolor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KCI등재

        고대산 북서사면(경기도 연천군) 지역의 식물상 및 산림군락 분류에 관한 연구

        김남영,김흥식,김영설,김정유,박완근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4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20 No.-

        2003년 3월부터 10월까지 고대산을 대상으로 식물상과 산림군락을 조사하였다. 관속식물은 94과 299속 481종 1아종 66변종 4품종 1교잡종으로 총 553종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특산식물은 8과 11속 13종 총 13종류,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12과 15속 15속 15종 총 15종류, 귀화식물은 9과 15속 17종 총 17종류로 나타났다. 산림군락은 신갈나무-철쭉군목, 신갈나무-생강나무군단, 갈참나무-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 당단풍-신갈나무군락으로 전체 1군목, 1군단, 3군락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and community classification of forest vegetation in Mt. Godae from March to October, 2003. As a result of that, the vascular plants were 94 families, 299 genera, 481 species, 1 subspecies, 66 varieties, 4 formae, 1 hybrid, 553 taxa in all; korean endemic plants were 8 families, 11 genera, 13 species, 13 taxa in all; rare or endangered plants were 12 families, 15 genera, 15 species, 15 taxa in all; naturalized plants were 9 families, 15 genera, 17 species, 17 taxa in all. forest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1 order, 1 alliance, 3 communities; Rhododendro - Quercetalia mongolicae (Kim 1990) Lindero - Quercion mongolicae (Kim 1990) A. Fraxinus rhynchophylla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B. Quercus variabilis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C. Acer pseudo-sieboldianum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 KCI등재후보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의 항균효과

        김진우,이동건,전혜선,김승준,김석찬,안중현,김치홍,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신완식,송정섭,박성학 대한감염학회 2005 감염과 화학요법 Vol.37 No.6

        목적 : 기관지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인 lidocaine과 내시경시 지혈목적으로 사용되는 thrombin과 epinephrine이 각종 균주에 미치는 항균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균주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2004년 3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임상검체 에서 동정된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각각 42, 42, 42, 43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감수성 검사는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NCCLS, 2002)의 기준에 따랐다. 결과 : Lidocaine은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에서 MIC_(50), MIC_(90) 모두 20,000 ㎍/mL 이었다. K. pneumoniae는 각각 10,000 ㎍/mL이었다. Thrombin은 S. aureus와 P. aeruginosa에서 MIC50 500 lU/mL 과 MIC_(90) 500 IU/mL 이상이었고, K.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이 모두 500 lU/mL이상이었으나 S. pneumoniae에서는 MIC_(50)과 MIC_(90)은 125 IU/mL이었다. Epinephrine은 K. pneumoniae, S. pneumoniae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고, S. aureus와 P. aeruginosa에 대한 MIC_(50), MIC_(90)가 모두 500 ㎍/mL이었다. 결론 : 기관지 내시경 검사에서 흔히 쓰이는 lidocaine, thrombin, epinephrine 등의 약제들이 호흡기 질환의 흔한 병원균인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균주들에 대해 항균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세균배양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 Background : We performed this stody to find out about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which is commonly used local anesthetic, and thrombin and epinephrine used for hemostasis during bronchoscopic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 The microorganisms that were cultured from specimens obtained during bronchoscopy were Staphylococcus aureus (n=42), Streptococcus pneumoniae (n=42), Klebsiella pneumoniae (n=42), and Pseudomonas aeruginosa (n=43) collected from St. Mary's Hospital, from March to Sep 2004 were used for susceptibity testing. Susceptibility to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Result : MIC_(50) and MIC_(90) of lidocaine for S. aureus, S. pneumoniae, P. aeruginosa were all 20,000 ㎍/mL and that for K. pneumoniae were 10,000 ㎍/mL. MIC_(50) and MIC_(90) of thrombin for both S. aureus and P. aeruginosa was 500 IU/mL and above 500 IU/mL, respectively; that for K. pneumoniae were all above 500 IU/mL and for S. pneumoniae they were 125 IU/mL, MIC_(50) and MIC_(90) of epinephrine for K. pneumoniae and S. pneumoniae were above 500 ㎍/mL; that for S. aureus and P. aeruginosa were 500 ㎍/mL. Conclusion : We observed possible antimicrobial effect of lidocaine, thrombin, and epinephrine in vitro against pathogens such as S. aureus, S. pneumoniae, K. pneumoniae, P. aeruginosa, which are common respiratory microorganisms. The use of these agants could affect the result of bacterial culture.

      • KCI등재후보

        급성 백혈병 환자에서 수두양 피부병변을 보인 파종성 Fusarium 감염 1예와 국내 파종성 Fusarium 감염증에 대한 고찰

        오수진,정희선,김준성,김태석,조병식,최수미,김명신,이연수,이석,신완식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5

        최근 면역저하환자의 증가와 함에 국내에서도 점차 침습성, 파종성 Fusarium 감염증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Fusarium 감염은 아스페르길루스 감염과 유사한 임상양상을 보이지만 특징적인 피부병변을 동반하고 혈액배양에서 균이 분리되는 경우가 더 많다. 저자들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진단받고 치료중인 30세 남자 환자에서 중증의 호중구 감소 상태에서 비특이적인 피부병변을 동반한 파종성 Fusarium 혈류감염을 경험하였기에 국내 증례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의 초기 피부병변은 구진에서 시작하여 주로 소포성 병변과 일부 통증을 동반한 결절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났고, Tzank 도말검사 양성으로 비정형 수두로 오인되었다. 이후 피부병변은 농포로 변하였고, 혈액배양 및 피부 조직검사에서 파종성 Fusarium 감염으로 진단받았다. 환자는 liposomal amphotericin B, voriconazole 병합요법과 G-CSF 투여, 과립구 수혈을 받았으나, 호중구 감소증에서 회복하지 못하고 급성 호흡곤란증후군과 다장기 기능부전으로 사망하였다. 본 증례는 파종성 Fusarium 감염의 경우에도 수두양 병변으로 비특이적인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감별진단을 위해 적극적으로 혈액배양과 피부조직검사를 시행해야 함을 보여준다.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disseminated fusarial blood stream infection with varicelloid skin eruptions, who had suffered from persistent neutropenic fever after salvage chemotherapy for relapsed acute lymphocytic leukemia (ALL). Neutropenia continued in spite of G-CSF and granulocyte transfusion, and he failed to respond to conventional amphotericin B initially, and then liposomal amphotericin B and voriconazole combination therapy. Disseminated fusariosis can be diagnosed by blood cultures in 50% of patients and present skin lesions in more than 80% of patients. So, typical skin lesions are important clue to diagnose of the disseminated fusariosis. However, many skin lesions in immunocompromised hosts are due to various infectious and non-infectious causes. So, this case shows that it is important to obtain biopsy specimens of skin lesions for histopathologic examination, culture and staining. Here, we present our case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s reported in our country, so far.

      • 원형분극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의 소형화 연구

        김완호,황인진,정봉식 東亞大學校附設 情報技術硏究所 2004 情報技術硏究所論文誌 Vol.12 No.1

        In this paper the compact microstrip array antenna with CP(circularly polarized) radiation fo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is designed. the compact operation of microstrip antenna is obtained by inserting suitable slits in the radiating patch, and CP radiation by giving the unequal length of two pairs of slits, which splits the resonant mode of interest into two orthogonal near degerate modes. Feed network of array antenna is made by using a two-layer structure and via connection probe. By numerical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patch size of compact CP microstrip antenna is reduced about 40% than conventional one.

      • KCI등재

        Enterococcus faecalis 추출물이 임파구의 IL-2, IL-4, TGF-β1분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식,이우철,손원준,이상탁,김철호,임성삼 大韓齒科保存學會 2005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0 No.1

        In order to examine the immunoresponse of host cells to Enterococcus faecalis, this in vitro study monitored the production of Interleukin-2 (IL-2), Interleukin-4 (IL-4)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TGF-β1) in human lymphocytes. Lymphocytes were activated with PHA in the presence or abscence of sonicated extracts of E. Faecalis (SEF) and further incubated for 72 hours. The level of each cytokine was measured by ELISA. Data were analyzed with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P < 0.05). PHA-activated group did exhibit higher level of IL-2 and IL-4 than untreated control group. The levels of expression of both cytokin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ollowing the treatment of high (25㎍/㎖) and medium concentration (12.5㎍/㎖) of SEF (P > 0.05) than those of PHA activated group. But low concentration (5㎍/㎖) of SEF showed th similar level of IL-2 and IL-4 production as those of PHA activated group. TGF-β1 was unaffected by SEF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E. faecalis may suppress IL-2 and IL-4 production by lymphocytes and this could be one of possible factors why E. faecalis are found frequently in the teeth with failed endodontic treatment. 근관치료의 실패원인 중 중요한 세균으로 알려진 Enterococcus faecalis는 최근에 중요성이 더해지며 많은 연구들이 진행중이다. 여러가지 기전들이 보고되고 있으나 면역반응에 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Enterococcus faecalis의 초음파 분쇄 추출물을 성인의 말초혈액으로부터 얻은 임파구에 적용시켜서 여기서 분비되는 interleukin-2, interleukin-4, transforming growth fater-β1의 농도를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로 측정하여 비교,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E. faecalis를 적절한 조건에서 배양한 뒤 초음파 분쇄를 하여 추출물을 얻어냈다. 임파구는 건강한 성인의 말초혈액에서 추출하여 분리하였다. 임파구를 적절한 농도의 mitogen (Phytohemagglutinin: PHA)으로 자극시킨 뒤에 다양한 농도의 E. faecalis 초음파 추출물을 적용시키고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ELISA를 이용하여 IL-2, IL-4,TGF-β1 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Kruskal-Wallis test, Man-Whitney rank sum test (p < 0.05)를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실험결과 PHA로 처리한 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수치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고농도와 중농도의 sonic extract of E. faecalis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IL-2 IL-4의 농도가 유의성 있게 낮았다 (p < 0.05). PHA로 처리한 군중에서 저농도의 SEF로 처리한 군은 그렇지 않은 군과 비교하여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GF-β1의 농도는 모든 군에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 > 0.05). 따라서, E. faecalis의 추출물은 임파구의 IL-2, IL-4의 분비능력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다.

      • 건축공사시방서에서의 KS규격의 국제인증방안에 관한 연구

        김경식,이재섭,김용수,이규진,조용훈,최완철,전재열,이현수,구재동,이기환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make out construction specifications for International Construction. Using off-shore products incur cost increase and longer delivery term of construction. and inconvenient on International Construction. Expand the range of additional local products conforming to performance. Life Cycle Cost. maintainability. operability. user's acceptability, etc.. And this study is suggest the standard formats and the techniques for construction specification.

      • 전신마취하의 동맥혈 및 정맥혈의 PCO₂, pH 및 O₂Saturation의 비교관찰

        김완식,박동호 漢陽大學校 1979 論文集 Vol.13 No.-

        The arterial carbon dioxide partial pressure (PCO2) & pH are basic indices of the adequacy of ventilation in anesthetized patient. Obstacles to the use of these indices intraoperatively are the inconvenience and risks associated with obtaining arterial blood, especially in the iufant. Venous blood samples may be obtained conveniently repeatedly and without additional hazard. If venous rather than arterial blood could be used for indirect estimation of pH and PaCO2, it would encourage the use of such measurements. The venous blood drawn from back of hand or distal third of forearm is derived principally from cutaneous blood flow, which is usually increased by general anesthesis or local heating. This study compares the values for PCO2, pH and O2 saturation of blood samples drawn from a radial or femoral artery and a vein on the back of hand during general anesthesia, preanesthesia and in recovery room postane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