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tercultural Competence

        Wai Meng Chan,Seo Won Chi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외국어교육은 학습자의 상이문화간 능력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학습자들이 대상 언어 국가에서 외국어 교육과정 연장선으로 교실밖 활동으로 구성된 것이 몰입교육이다. 몰입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대상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상이문화간 능력을 개발하는데 크게 기여한다고 할 수 있다. 즉 몰입 교육은 학 습자들에게 대상 국가의 사회문화 관습을 체험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하는 기회를 제시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학습자들은 대상국가의 사회관습을 단지 관찰하는 관찰자의 역할만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사회구성인들과 소통하면서 사회의 일원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 단기 몰입교육이 외국어로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상이문화간 능 력 개발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 연구 는 양적, 질적 데이터를 가지고 조사했다. 자료는 학습자들이 몰입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기 전과 후로 실시한 설문 조사, 몰입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습자들이 쓴 일지, 학습자와의 인터뷰, 연구자자의 몰입 교육 수업 참관 일지 및 몰입교육 프로그램의 활동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연구 자료는 Byram (1997)의 상이문화간 숙달도 모델, Lave and Wenger (1991)의 상황학습이론(SLT)와 합법적인 주변인으로 공동체 참여 개념 (LPP)을 기반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을 통해 단기 몰입교육이 학습자들의 문화인식과 상이문화간 능력을 배양할수 있도록 하는 지식, 태도, 기술개발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런 능력 개발은 학습자들이 대상 사회속에서도 주변인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기존 구성원들과 소 통을 하고 공동체에 일원으로 참여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동기와 의지에 따라 결과는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역시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 1-37. Foreign language education can play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one’s intercultural competence.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a common out-of-class component and extension of the foreign language curriculum, can make a telling contribution in this respect, as it takes learners to the target language country for a first-hand experience of its culture. It affords learners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discover aspects of the country’s sociocultural practices. In fact, learners will be put in the position not only to observe these practices, but also to partake in them and to interact with members of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This article focuses on a study of the impact of short-term in-country language immersion on the intercultural development of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post-immersion questionnaires, journals, interviews, lesson and activity observations, and document inspection. The data were analysed based mainly on Byram’s (1997) model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Lave and Wenger’s (1991) Situated Learning Theory and notion of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The study arrived at the finding that short-term in-country immersion can benefit learners in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for the cultivation of critical cultural awareness and intercultural competence. Such development is often precipitated by learners’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in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but is dependent on their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take up such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 KCI등재
      • KCI등재

        Understanding innovations in Malaysia’s construction industry: a study of four large national firms

        Yean Fang Chang,Rajah Rasiah,Wai Meng Chan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ASIAN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3

        Little published work exists on innovation in construction, which is not helped by the diverse setof activities that characterise the industry. The early attempt to category sources of innovation inthe industry depicted it as a supplier driven industry using large data sets from secondary sources. Given the lack of profound firm-level research in the industry, this paper uses four case studies ofnational firms in Malaysia to examine innovation in the industry. The evidence shows that majorinnovations in these firms evolve as a crystallization of project demand that drives firms to seekexternal sources of knowledge that is adapted to meet the construction demand of clients. Indoing so two firms demonstrated radical innovations as its diffusion has transformedconstruction in Malaysia. The remaining two firms are engaged in incremental engineeringactivities. Also, innovations in two firms were led by their own managements, while theremaining two were supplier-led. In addition, while innovations in all four firms arecharacterised by re-conceptualisation of foreign sources of knowledge, innovation in one firminvolved architectural designing and another modularisation. A blend of institutionsconstituted by government policy, in-house command, trust and collaborative practices,markets, and industry standards have shaped these innovations.

      • 해외 대학 한국어 수업에서의 프로젝트 수업사례 연구

        지서원(Seowon CHI),권문화(Wenhua Quan),찬와이밍(Wai Meng Chan) 경희대학교 학술단체협의회 2022 高凰論集 Vol.70 No.-

        본 논문은 싱가포르대학교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1학기동안 진행한 프로젝트 기반 수업의 사례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젝트 수업은 학습자가 수업에서 배운 주제들을 교실 수업과 연계하여 교실밖에서도 배운 지식을 적용하고 새로운 지식을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은 학습자들이 직접 정한 주제에 대한 내용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료를 취합하고 자료를 조사한 후 주제와 관련된 직업의 종사자 또는 전문가들과 인터뷰를 하는 것이다. 이 수업은 최종적으로 13주차 동안 준비한 내용 및 인터뷰 내용을 발표한 후 동료 평가와 교수자의 최종 평가로 구성되었다. 프로젝트 수업 후, 교사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1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는 학습자들이 프로젝트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 문화를 더 깊게 알게 되었고 학습자들의 고유문화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한국어를 공부하고 있어서 13주간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학습자들은 프로젝트 수업의 주제를 선정하는 부분에서 어려움을 느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주제선정 시 교사가 좀 더 많은 자료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지침을 적극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프로젝트 수업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고는 싱가포르대학교 한국어 프로젝트 수업의 실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제2언어 환경에서 고급 학습자를 위한 프로젝트 수업의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