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 사용 실태 및 Klebsiella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의 상관 관계

        정숙인,박경화,권기태,고관수,오원섭,정두련,백경란,염준섭,장현하,김신우,손준성,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4

        Background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scribing pattern of β-lactam antibio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antimicrobial us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ata on annual patient-days and annual consumption (defined daily dose (DDD) per 100 patient-days) of β-lactam antibiotics from 2003 to 2005 in 5 tertiary hospita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in K. pneumoniae, broth microdilution test and double disk synergy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LSI performance standa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ntibiotic consumption and resistance. Results : The prescri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in 5 tertiary hospitals markedly varied. In two hospitals, increase in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was more than 30% during recent 3 years. The higher consumption of β-lactam antibiotic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higher rate of antibiotic-resistant K. pneumoniae in 5 tertiary care hospitals. Conclusion : Continuous surveillance of antibiotic use is needed to encourage appropriate prescribing of antibiotics and to reduce antibiotic resistance. 목적 : 항생제의 오남용으로 인한 내성균의 발현 및 급속한 확산이 전세계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다. 특히 병원은 항생제 내성의 중심점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국내 5개 3차 병원의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을 조사하고, 각 병원별 항생제 사용량과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률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국내 5개 3차 병원에서 2003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병원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연도별 재원연인원수와 각 β-lactam계 항생제의 총사용량을 수집하여 DDD (defined daily dose) per 100 patient-days로 환산하여 비교하였다. 2005년 6월부터 8월까지 각 병원의 임상검체에서 동정된 K. pneumoniae를 수집하여 액체배지미량희석법으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고 ESBL(extended-spectrum β-lactamase) 생성 여부는 double disk synergy test를 시행하였다. 항생제 사용량과 내성의 상관관계는 Spearman 상관관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5개 병원 중 3개 병원에서는 연도별 β-lactam계 항생제 사용량이 비슷하게 유지되었으나, 2개 병원에서는 2003년에 비해 2005년에 항생제 사용량이 30% 이상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 중 제제별 비율은 각 병원마다 차이가 있었으나, 3세대 cephaosporin의 사용이 가장 많았고 2세대 ceaphlosporin, β-lactam/β-lactamase inhibitor, 1세대 cephalosporin 순이었다. 경구용 β-1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r=0.900, P<0.037)과 2세대 cephalosporin의 사용량(r=0.900, P<0.037)은 각각 K. pneumoniae의 ESBL 생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Ceftazidime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ceftazidime 내성률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반면 imipenem의 사용량은 piperacillin/tazobactam 내성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900, P<0.037). 결론 : 최근 3개년간 항생제 사용량은 병원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부 병원에서는 증가하였다. β-lactam계 항생제의 사용량은 K. pneumoniae의 항생제 내성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항생제 사용을 줄임으로써 항생제 내성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병원별로 항생제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할 것이다.

      •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분석

        박영태,현정숙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7 동아교육논총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자의 특성을 알아보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지도유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그리고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아동의 학업성취도 및 지능과의 관계를 밝혀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지도유형 그리고 학업성취도와 일반지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초등학교 6학년 아동은 높은 자기주도 학습준비를 가지고 있다. 2)부사와 교사의 따뜻한 태도가 아동의 자기주도학습준비도에 영향을 준다. 3)아동의 지능에 의해 학업성취도가 자기주도 학습준비도에 더 관계가 있다.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oes not depend upon quantity of study, but upon the style of instruction, and so education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must be conducted during elementary school education. Second, parents and teachers must guide the children generously and impartially, encouraging them rather than ignoring or scolding them with understanding and love rather than with punishment. Third, there is a very meaningful positiv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eadiness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is means that their voluntary attitudes towards planning to study and solving problems have an important affect on their learning.

      • KCI등재후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

        김연숙,최영실,오원섭,권기태,이혁,이선희,손준성,김신우,장현하,정숙인,고관수,박미연,백경란,송재훈 대한감염학회 2006 감염과 화학요법 Vol.38 No.6

        배경 : 2002년 내국인에서의 첫 사람 브루셀라증의 증례 보고 이후 국내에서 사람 브루셀라증이 빠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국내에서 발생하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적 특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부터 2006년 7월까지 7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WHO의 진단기준에 의하여 확진된 브루셀라증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분석 하였다. 배양된 균은 삼성서울병원에 의뢰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종을 확인하였고, 표준시험관응집검사는 국립보건원에 의뢰하여 시행하였다. 결과 : 34예의 환자들이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되었고, 31명이 남자였다. 혈액에서 B. abortus가 증명된 경우가 8예, 표준시험관 응집검사상 의미 있는 항체가 상승을 보인경우가 26예이었다. 환자들은 대부분 축산업관련 종사자였고, 추후 브루셀라증으로 확진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감염된 것으로 여겨진다. 국내 사람 브루셀라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발열이었고, 위장관계 합병증이 가장 흔히 동반되었다. 치료로는 doxycycline/rifampicin이 24예의 환자에서 doxycycline/aminoglycoside (streptomycin 혹은 gentamicin)이 10예의 환자에서 6주 이상의 기간 동안 투여되었다. 치료에 반응을 보이지 않는 환자는 없었고, 재발이 1예 있었다. 결론 : 국내에서 발생하는 사람 브루셀라증의 원인균으로 현재까지 분리 동정된 것은 B. abortus이며, 소 브루셀라증의 증가로 인해 인체감염사례가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위험 직업군 종사자들에서 감염된 소와의 직접 접촉을 통해 주로 발생하고 있는 브루셀라증의 임상종상은 국외에서 발생하는 경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반응은 비교적 좋은 편이긴 하나, 추후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사람 브루셀라증의 조절을 위해서는 소 브루셀라증의 조절이 필수적이며, 브루셀라증의 조절에 성공한 선진국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Since the first Korean case of human brucellosis was reported in 2002, the incidence of human brucellosi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We performed this study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brucellosis occurring in South Korea. Materials and Methods : Demographic features, clinical manifestations, and therapeutic outcomes of cases confirmed as brucellosis according to WHO diagnostic criteria were evaluated. Species of Brucella isolates were identified with 16S rRNA gene sequencing method. Serologic diagnosis was performed with standard tube agglutination test (STA). Results : A total of 34 cases were enrolled from 2003 to 2006 in six hospitals. Eight cases were confirmed with the isolation of Brucella from blood and 26 cases were confirmed with titer of antibodies ≥1:160 by STA. Male (31) was predominant and most of the patients were cattle farmers. The most common transmission route was direct contact with infected or their cattle byproducts. Fever was the most prominent symptom and fatigue followed. Gastrointestinal and musculoskeletal systems were commonly complicated. Patients were treated with doxycycline and rifampin or aminoglycosides for more than 6 weeks. All patients responded well to the therapeutic regimens, but one patient relapsed 10 months after treatment. Conclusion : Brucellosis occurring in Korea has been caused by B. abortus, whose preferred natural host animals are cattle. Korean patients were infected through direct contact with bovine brucellosis. Clinical manifestations of brucellosis were similar to those occurring worldwide. Therapeutic outcomes were good among patients with brucellosis in Korea. In order to prevent human brucellosis, measures to eradicate bovine brucellosis should precede.

      • 東醫寶鑑에 收錄된 本草의 分類 : 湯液編 草部를 중심으로

        서강태,성정숙,문성기 慶星大學校 1998 論文集 Vol.19 No.2

        The plants in the part of herbs(草部) of Decoction Part(湯液編) in Donguibogam(東醫寶鑑) are classified and systematized as follows by botanical taxonomy. 1) In herbs which consists of 267 articles, 197 kinds of original plants are identified. 2) 197 kinds of original plants recorded in herbs are classified into 5 divisions, 8 classes, 5 subclasses, 42 orders, 75 families, 165 genera, 172 species with 1 subspecies, 23 varieties and 1 form. 3) According to our comparing each divisions, Angiospermae is the largest division because it has 155 genera 187 kinds(94.92%), Pteridophyta has 7 kinds(3.55%), Fungi has 1 kind(0.51%) of Lasiosphaera fenzlii REICH. (탈피마발), Lichenes has 1 kind of Parmelia saxatilis ACH. (석화), and Gymospermae has 1 kind of Ephedra sp..

      •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한 해조류 추출물의 국부처치와 운동 병행을 통한 지방분해 효과의 임상적 검정

        서태수,이인숙,변재철,김규호,박승한,김유영,김상국,김현정,김상기,신동철,성미영,박종석,김종기,박언휘 한국스포츠리서치 2003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4 No.3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test the body fat breakdown during topical seaweed extract treatment and in combination with the aerobic exercise. Of 20 female obesity subjects, ten treated a cream types of seaweed extract(control group) and ten treated a placebo cream(placebo group). Topical treatment of each sample was designed for 4 weeks, and treated with 2 times a day about 10ml on the abdomen and the thigh, respectively. All subjects were participated aerobic dance half hour a day and four times a week. After 4 weeks of topical treatment and exercise, they were measured body fat, skinfold thickness, body circumference. Then venous blood samples were taken and analyzed blood cells, serum enzymes, and serum lipids. There were reduction of body weight, % of body fat, antebrachium, brachium, chest, waist, thigh circumference and abdomen thickness between pre and post treatment in both group. Especially, body weight and % of body fat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ubjects treating the seaweed extract than those treating the placebo. There were significant decrement in total cholesterol and LDL whereas increment in HDL and TBIL in the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lacebo group. In conclusion, there were 7.6% of body fat reduction during 4 weeks of aerobic exercise and 21% of body fat reducement in combination of topical seaweed treatment and exercise,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opical treatment of seaweed extract should be very effective for fat breakdown. Especially, the body fat breakdown maximized in the combination with the topical seaweed extracts treatment and the aerobic exercise.

      • KCI등재

        사무직 근로자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피로

        차경태,김일희,고상백,현숙정,박준호,박종구,차봉석,장세진 大韓産業醫學會 2008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20 No.3

        목적: 이 연구는 전국 규모의 조사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중 사무직 근로자들을 대상으로,사회인구학적 특성,직업 특성,건강행태,직무 스트레스와 피로수준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방법:‘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표준화 전국 조사연구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를 위해 2002년 5월 1일부터 2003년 5윌 30일 까지 수행되었으며,전국의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 30,146명(남자: 84%,여자: 16%) 중 사무직 근로자 4,457명(남자: 68.9%,여자 31.1%)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사업장을 방문하여 보건 및 안전관리자 등에게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설문조사에 대한 협조를 구하고 응답자 직접 기입법을 이용 하였으며,사회인구학적 특성,직업적 특성,건강관련 요인,KOSS-SF를 이용한 7개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그리고 MFS를 이용하여 피로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일반적 특성,작업관련 특성,건강행태관련 특성 및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 근로자들의 피로와 강한 관련성이 있음이 입증되었으며,특히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 요인 중에서도 피로와 관련성을 보이는 요인이 남녀별로 다소 상이 하게 관련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남자의 경우는 직무 스트레스의 하부 영역 중 직무 요구도,직무 불안정성,보상부적절 등이 영향력이 높은 주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었던 반면,여자는 직무 요구도,보상부적절,직장문화가 주요한 직무 스트레스 요인이었다. 결론: 직장인 피로가 갖는 보건학적 의학적 경제학적 중요성을 감안할 때,조직의 생산성 향상과 근로자 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 및 건강증진을 위해선 직무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A growing body of research has documented that occupational stress is closely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fatigu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occupational stress to self-perceived fatigue among Korean white collar employees. Methods: Data were obtained from the National Study for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Occupational Stress (NSDSOS Project, 2002-2004). Among them, a total of 4,502 white collar employees were recrui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employed to evaluate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s, job-related factors, health-related behaviors, occupational stress, and self-perceived fatigu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perceived fatigue were assess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Short form (KOSS-SF) and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Scale (MFS), respectively. Results: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occupational stress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fatigue, and some domains of occupational stress had different effects on fatigue by gender (job demand, job insecurity, and lack of reward for men, job demand, lack of reward, and discomfort in occupational climate for women), which indicates that occupational stress may perform a slightly different role in increasing the risk of fatigue by gend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ccupational stress is a determinant predictor of self-perceived fatigue. Thus,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occupational stress, and the promotion of white collar worker's health and quality of life is strongly recommended. Som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onsider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후보

        전자의무기록의 충실성 검토를 통한 미비기록 개선 활동

        조윤정,김경숙,이향숙,이진영,김태민,김민순 한국의료QA학회 2008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4 No.1

        문제: 전자의무기록(EMR) 시행 후 의무기록 정리율의 저하와 질적인 측면에서의 충실성과 정확성에 대한 문제점이제기되었다. 목적: 전자의무기록의 정리율과 충실성 검토를 통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개선점 찾아 의무기록 정리율을 향상시키고 충실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의료기관: 서울시에 소재한대학병원 의무기록과 질 향상 활동: 전자의무기록의 문제점을 개선히키 위하여 사용자 편의를 위한 EMR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진단·수술 관련 작업, 업무개선, 교육, 홍보 등의 활동을실시하였다. 개선효과: 의무기록 정리율, 전자인증미비, 경과기록 기재일수, 퇴원요약주진단적합률, 기록지별 필수항목기 재율, 충실성에서 향상이 이루어졌다.

      • SCOPUSKCI등재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을 이용한 분류학적 연구

        이정숙,정민철,김우식,이근철,김홍중,박찬선,이헌주,주윤정,이근종,안종석,박완,박용하,민태익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 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 1996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2

        표준균주를 포함한 230여개의 김치유래 젖산균에 대한 균체지방산(FAMEs)을 분석하였다. FAMEs profiles는 Euclidian Distance 17.5에 의해 7개의 Major Cluster와 1개의 Single Cluster로 나뉘어졌다. 이중 A, B, C 및 Cluster는 Leuconostoc속으로 분석되어졌고, F는 Lactobacillus속으로 분석되어졌다. 그리고 E와 G cluster는 두개의 Genus가 혼재되어 나타났으며 보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 김치유래 젖산균의 균체지방산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한 데이타베이스에 95가지 탄소원을 이용하는 수치분류학적 접근방법 및 Pyrolysis Mass Spectrometry 등의 화학적 분석 방법과 분자친화적 연구를 통한 종합적 분류정보 체계가 갖추어지면 젖산균의 신속, 정확한 동정 및 연구에 활발히 이용되어질 것이다. Two hundreds and thirty lactic acid bacteria, mostly isolated from Kimchi, including type strains were sued for analysis of cellular fatty acids. The 230 test strains were recoverd in 7 major and 1 single clusters defined a Euclidian distance of 17.5. These aggregate taxa were equivalent to the genus Leuconostoc (aggregate group A, B, C and D), and the genera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aggregate group G). It is concluded as evident that FAMEs (Fatty Acid Methyl Esters) profile of cell can be used as a criterion in class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l from kimchi. Additional comparative taxonomic studies need to be carried out on well chosen representative strains to determine the most appropriate methods of value.

      • 기도이물에 관한 임상적 고찰

        한찬수,김태정,김일호,김유재,김천숙,안기량 순천향의학연구소 1996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2 No.2

        Aspiration of a foreign body in the airway is common cause of sudden obstructive breathing, crouping cough, hoarseness, and wheezing. Especially that caused serious problem in case of the young children. A past history of foreign body aspiration is itself an indication for bronchoscopic examination of the airway, because some children with aspirated foreign bodies are without symptoms and chest X-ray films may not show abnormalities. So the anesthesiologist should take a notice of removing foreign body in the anesthetic procedure. The author have experienced 36 cases removal of foreign bodies in the airway under general anesthesia from July, 1982 to January, 1996 in Chunan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Soonchunhyang Univers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36 cases, 25 cases(69.7%) were under the age of 5.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was 1.8 : 1. 2) In duration of lodgement, there was most frequent within one day in 15 cases(41.7%) and the longest duration was 20 days. 3) The most common symptom, sign and auscultation finding were cough 19 cases(52.8%). chest retractions 7 cases(19.4%) and decreased breathing sound 20 cases(55.6%) 4) Abnormalities in the chest X-ray were found in 15 cases(41.7%) among 36 cases. 5) Vegetable foreign bodies, expecially peanut were the most common airway foreign body(28.7%), followed by plastic foreign body(14.4%) and mucous plug(11.3%). 6) The foreign body involved the right bronchus 16 cases(45.7), left bronchus 10 cases(28.6%), trachea 5 cases(14.3%), and larynx 4 cases(11.4%). 7) Foreign body induced complications occurred in 9 cases(25.0%); pneumonia 8 cases and pneumomediastinum 1 case, and all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 was pneumonia(25.0%). 8) 34 foreign objects(94.4%) were removed by endoscopy but tracheostomy was required in two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