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된 결정적사건기법(ECIT)을 적용한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 및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 요인 탐색

        안성식(Sungsik Ahn),윤형준(Hyung Joon Yoo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8 진로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교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강화된 결정적사건기법(Enhanc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ECIT)’을 사용하여 요인을 도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문계 전공자의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관련된 도움 요인(Helping Factor), 인문계 전공자로서 타전공자에 비해 성공적인 취업이나 경력개발에 어려움이 되었던 저해 요인(Hindering Factor), 그리고 만약 실행했다면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희망사항 요인(Wish-list Factor)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연구참가자는 눈덩이표집방법을 통하여 총 17명을 섭외하여 사전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연구 참가 기준에 부합하는 참가자 12명을 선정하여 ECIT를 사용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12명의 인터뷰 축어록을 바탕으로 도움 요인, 저해 요인, 희망사항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성공적인 취업과 경력개발에 도움이 되었던 요인은 총 13개, 타전공자에 비해 인문계 전공자로서 취업과 경력개발을 저해했던 요인 4개, 실행했다면 취업과 경력개발에 더 도움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희망사항 요인 9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문계 전공자를 위한 효과적인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대한 제언과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that affected or might have affected the successful employ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liberal arts graduates in South Korea.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we used the Enhanced Critical Incident Technique (ECIT). More specifically, we identified factors that helped them to secure employment and develop their careers, factors that hindered their job seeking and career development compared to graduates from other disciplines, and wish-list factors that might have been effective if they were present. Through snowball sampling, we recruited 17 participants and selected 12 participants who met a set of inclusion criteria examining screening survey results. By analyzing interview transcripts, we identified 13 helping factors, 4 hindering factors, and 9 wish-list items.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for liberal arts graduates based on the findings.

      • KCI우수등재

        What Matters in Determining Korean ODA Allocation

        Hyuk-Sang Sohn(손혁상),Sungsik Ahn(안성식),Jiyoung Hong(홍지영) 한국정치학회 2011 한국정치학회보 Vol.45 No.6

        본 논문은 지난 20년 간 한국국제협력단과 수출입은행의 ODA배분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중점협력국 지정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8개의 변수를 경제적, 정치-전략적, 문화적, 인도적 측면 등의 4가지 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한국ODA의 배분은 어느 특정 요인 한 가지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네 가지 측면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중점협력국 지정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이 결과로, 무상원조는 유상원조에 비해 인도주의적 측면이 원조 배분과 중점협력국 지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또한 유상과 무상원조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ODA 정책이 단일한 전략적 목표나 정책적 일관성 없이 이행되어 간접적으로 밝히고 있다. This paper studies the determining factors of Korean ODA allocated by KOICA and EDCF during the last two decades. Empirical research is conducted with eight variables from economic, politico-strategic, cultural/interactive, and humanitarian categories in order to show what factors have influenced Korea’s aid allocation and selection of primary partner countries of grants and loans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llocation of grants has not been influenced by a single dominant factor but by all four categories, while the loan aspect has been influenced in large part by economic motivation. This research also uncovers the underlying factors for being selected as primary partner countries of both KOICA and EDCF. It finds that there is no single outstanding factor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primary partner countries for the grant again and it is noteworthy that there is no variable from the humanitarian category which has an impact on determining primary partners for the grant.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primary partners for the loan, all humanitarian factors do not contribute to selecting the partners in a positive way. The countries with a higher Human Development Index (HDI), lower Political Rights Index (PRI), and higher GNI per capita are more likely to be selected as primary partners. Among other categories, only cultural and interactive ones, number of visitors has a strong correlation. As a result, we are unable to validate the two hypotheses built in this paper that humanitarian factors have been more likely to play a prominent role in both allocating and selecting primary partner countries for grant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미경(Mi Kyoung Lee),성현모(Hyunmo Seong),김은주(Eunjoo Kim),지수인(Sooin Jee),안성식(Sungsik Ahn)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일 자유의지와 일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대학생 330명(남학생 185명, 여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다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은 일 자유의지 중 의지요인과 일희망 모두를 통해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시 말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을수록 의지요인은 낮았으며, 낮은 의지요인은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낮아진 의지요인은 일희망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쳐 최종적으로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 자유의지 중 제약요인은 일희망을 통해 삶의 만족에 간접적인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높을수록 일 자유의지의 제약요인을 더욱 크게 인식하며, 이는 일희망에 부정적으로 작용함으로써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보였 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한 미래로 삶의 만족이 떨어지는 대학생에게 일 자유의지와 일희망이 중심이 되는 진로개발 개입전략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role of work volition and work hope in the link between intolerance to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330 (185 males, 117 females) college students in Seoul. The multiple mediator model was test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volition variable in work volition and work hope were mediating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intolerance to uncertainty and life satisfaction. Higher level of intolerance to uncertainty was related to lower level of volition, which led to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lower level of volition showed negative influences on work hope and ultimately negativley affected life satisfaction. Second, work hope played as a mediator in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constraints of work volition and life satisfaction. That is, higher level of intolerance to uncertainty was linked to greater perception of constraints regarding work, which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through low work hope. Such results suggest the need of career development strategy that focuses on work volition and work hope to help the college students suffering from low life satisfaction due to the uncertain futur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