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의 한(恨)의 관점으로 읽는 리스바 이야기

        한수정 ( Han,Sujung ),방기민 ( Bang,Ki-Min )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4 신학과 사회 Vol.38 No.1

        Han (恨), a representative emotion of Koreans, permeates throughout Korean history, culture, and art, and has greatly influenced Koreans’ theological understanding. This paper examines how Rizpah overcomes her Han (恨) of losing her two sons and how the community of Rizpah responds to and helps her throughout the story of Rizpah (2 Samuel 21:1-14), which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Han (恨) in the Bible. Understanding the four aspects of Han (恨),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actions (행, 行) that help change Han (恨) from pain (원, 怨) and lament (탄, 嘆) toward feelings (정, 情) and desires of hope (원, 願). The case study of Rizpah may help the reader discove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in the Bible who did not end negatively in the face of unending Han (恨) but sublimate Han (恨) into a positive side. The story of Rizpah reaffirms the importance of remembering, teaching, and solidarity together and points out the importance of building a community with hope and how to resolve our Han (恨) that remains today. After examining the story of Rizpah, this paper compares it with the case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a Korean experience significant to Korean Bible interpreters. It is to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ncient Israel’s and modern Korea’s experiences. Readers may ultimately learn essential lessons from the communities of ancient Israel and 20th-century Korea on how to break away from the wrong history of the past and move toward a better future.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마인트셋과 그릿이 현장실습 스트레스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0 觀光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원인을 파악하여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심리적 기제인 마인드셋,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 국내 8개 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정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성장 마인드셋은 그릿의 하위 요인인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 중 노력의 지속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 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모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마인드셋의 하위 요인(고정, 성장) 중 고정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고, 성장 마인드셋은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 요인만 제외하고 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의 3개요인 중 과제특성만 진로결정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xamine the impact of mindset and GRIT on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fixed mindset on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ere not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growth mindset and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Third, fixed mindse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Growth mindse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ternship stress (role overload, role conflict & ambiguity), except job characteristics. Finally, it was found that job characteristics among internship str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negatively for tourism students.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가 현장실습 만족도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19 觀光硏究 Vol.34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nship stress on the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for tourism students. A total of 284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internship stress(role conflict & ambiguity, Job characteristics) and internship satisfaction except role overloa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internship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mak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how to deal with internship stress for tourism studen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ship program. Second, through this systematic study on the internship stress, basic data could be provided to the academia and the companies to increase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in the major field.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 요인을 규명하고 어떤 스트레스 요인이 실습만족과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국내 4개 공항(D국제공항, I국제공항, J국제공항, 그리고 U공항 ), 국내 8개 호텔(제주HB호텔, 제주HY호텔, I호텔, 제주L호텔, 제주M호텔, PI호텔, 제주S호텔, 제주W호텔), 그 외 리조트, 여행사, 컨벤션센타, 크루즈, 카페 등에서 현장 실습 및 인턴을 한 4년제 대학과 2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4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현장실습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의 3개요인 중 역할과다(기각)을 제외한 역할갈등과 모호성(-), 과제특성요인(-)이 실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H1). 둘째, 현장실습 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나타났다(H2).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현장실습 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실습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전공분야의 진로결정의도를 증가시키도록 학계와 업체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수정(Han, Sujung),박상희(Park, Sanghee)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통제소재가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진로변경의사에 관계된 심리적 기제로 진로통제소재와 그릿과의 영향관계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의 표본은 4‧2년제 관광전공 대학생 284명이며, 총 284부의 설문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진로통제소재의 4개 하위요인(운, 영향력 있는 타인, 무기력, 내적통제소재)중 내적통제소재의 요인만이 그릿의 2개 하위 요인(노력의 지속성,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적 통제소재가 높을수록 장기적인 목적을 성취하려는 노력의 지속성과 흥미의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로통제소재 하위요인 중 운은 그릿의 하위요인 중 흥미의 일관성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릿의 하위 요인 중 노력의 지속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지만 흥미의 일관성은 진로변경의사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점은 흥미의 일관성과 노력의 지속성을 구분하여 각각의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진로통제소재, 그릿과 진로변경의사의 영향 관계를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내적인 진로통제소재와 그릿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개발하는 기초자료가 되어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관광업계로의 진로결정에 긍정적인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areer Locus of Control on GRIT and Career Intension to Change for Tourism Students. For this purpose,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collect 284 final data. A total of 284 copies contributed to the final analysis data using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was test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internal locus of control of career locus of control(luck, powerful others, helplessness,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GRIT(perseverance of effort, consistency of interest). This implys that the higher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higher GRIT to achieve long-term goals. There were nega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uck’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Second, perseverance of effort of GRIT was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intension to change. However, consistency of interest of GRI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upon career intension to change. This suggests that it is more reasonable to explore each effect by distinguishing consistency of interest from perseverance of eff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is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internality of career locus of control and GRIT for a positiv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ourism students to minimize career stress that leads to sound career decis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Proliferation of chicken primordial germ cells in culture and its application to avian biotechnology

        Jin Won Choi(최진원),SuJung Kim,Young Min Kim,Hee Won Seo,Hyung Chul Lee,Jae Yong Han 한국가금학회 2010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7 No.-

        원시생식세포는 생식세포의 전구체로서 한 생명체의 정자 또는 난자로 분화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닭에서 원시생식세포는 처음에 stage X 배아의 투명 구역(areapellucida)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다. 그 후 stage 4 (18-19 시간 배양)의 생식반월로 이동하여 stage 10에서 12사이에 혈관으로 이동하여 혈류를 타고 순환하고 마침내 원시생식세포는 순환계를 타고 원시생식선에 안착한다. 원시 생식세포는 이동하는 동안 계속적으로 분열하며 이동 후에는 난원세포 또는 정원세포로 분화한다. 조류 원시생식세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는 원시생식의 체외 배양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조류 생명공학에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개발이 가능해졌다. 원시생식세포를 이용한 생식선 전이법은 배아줄기세포가 개발되지 않은 조류에서는 형질전환조류 생산을 위한 가장 전도 유망한 기술 중 하나이다. 따라서 조류 원시생식세포 배양기술의 확립은 고유의 성질을 유지한 원시생식세포를 대량으로 증폭하고 이를 통하여 이미 다른 종에서 잘 확립된 유전자 조작 기술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후에 생식선 전이법과 결합하여 현재의 형질전환 조류 생산 기술을 혁신적으로 발전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Primordial germ cell(PGC) is the germ cell precursor that gives rise to the gamete of organisms. In chickens, PGCs are initially localized to the central zone of the area pellucida in stage X embryos. They migrate to the germinal crescent at stage 4(18? 19 h after incubation) and, between stages 10 and 12, move into blood vessels and begin circulating in the bloodstream. Finally, PGCs migrate to the genital ridge via the circulatory system. During migration, PGCs proliferate and after migration they differentiate in oogonia or spermatogonia. Continuing research that characterizes avian PGCs enables in vitro culturing of PGCs, which has promoted new methods in avian biology and biotechnology. PGC-mediated germline transmission is one of the promising systems for transgenesis because germline competent embryonic stem cell is not available in avian species.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a PGC culture system provides great advantages such as the ability to specifically enrich biologically active PGC populations and the capability to apply conventional genetic modification methods, which may potentially innovates the current avian transgenesis system combined with PGC-mediated germline transmission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