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AHCI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분단국가들의 내전

        스티븐 휴 리(Steven Hugh Lee),나지원(번역자)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5 아시아리뷰 Vol.5 No.1

        제2차 세계대전 직후부터 시작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세계의 네 지역, 즉 팔레스타인, 인도, 베트남, 한국 등의 분단의 역사는 복합적·다원적 차원에서 조망해야 한다. 탈식민지화라는 지구 정치의 맥락은 분단에 연루된 국제적 행위자들의 양상과 분단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할 수 있게 하며, 통합과 분리라는 국내 정치 엘리트 간의 상반된 정치 구상이 충돌하는 과정은 각 사례들이 분기하게 된 시점과 원인, 국내 공동체 간 분쟁의 격렬성 및 그 결과의 차이를 포착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분단을 냉전, 탈식민주의, 전후 체제의 결과이자 상호 강화하는 관계로 이해할 때, 분단이 네 지역에서 왜 그토록 오래 지속되었으며 역설적으로 각 지역의 불안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분단이 신생 국가들 내부에서 갈등을 조장하고 분쟁을 격화하는 부정적 역할을 했다는 종래의 분석틀은 정체성 형성과 (특정 공동체 내부의) 결속 강화의 효과를 간과했다. 이것이 분단 장기화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더라도 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이러한 양면성은 분단과 그에 수반된 무력 충돌 및 내전에서 일어난 일련의 폭력 사태와 참극이 실제로는 잠재적 가해자와 잠재적 피해자 간의 모호함에서 유발된 공포와 불확실성 때문에 증폭되었다는 점에서도 간접적으로 드러난다. 한국전쟁 역시 이러한 새로운 분석틀을 통해 바라보면, 단순히 냉전의 출발점으로서가 아니라 세계사의 연쇄작용에서 그 자체로 하나의 고리인 동시에, 전후 고리를 연결해주는 필수불가결한 구성요소로 파악할 수 있다. 이는 단순히 특정 사건의 세계사적 맥락을 이해하는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분단으로 촉발된 전쟁, 그리고 그 이후 벌어진 일련의 사태를 통해 재생산된 비극과 갈등의 근본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정확히 짚어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The history of the partitioned territories that began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World War II, and which mostly continues to this date, can be situated in world history only when it is viewed from the international and local levels; on the one hand, the patterns of international actors involved in the partition process and the interaction among the partitions are to be understood solely by grasping the issue in the context of world politics, namely decolonization; on the other hand, tracing the process of clashes between opposing political agendas among domestic political elites manifested in the form of incorporation and separation is the means to capture the varying consequences and the intensity of the communal conflict among the cases. Moreover, seeing the partitions as one of the mutual amplifiers as well as a result of the Cold War, decolonization and the post-war system is a good way to explain why the partitions lingered for such an extended period of time in the four territories and how, though ironically, they contributed to maintaining an insecure equilibrium in each of the regions. In other words, the effect of identity formation and its consolidation (of a particular community within the territory) clearly existed, which has been largely disregarded by the conventional framework highlighting the divisive and aggrieving role of the partition within the newly created states. Also significant is the fact that they may be one, if not the only, contributing factor to the protraction of the partitioned state. This double-sidedness presents itself, albeit indirectly, in a series of violence and atrocities committed during the partition process as well as the consequent armed conflict and civil war, which were intensified by the fear and uncertainty aroused by an ambiguity between potential assailants and potential victims. With this new analytical framework,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War surfaces not only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ld War, but also as a component in the chain reaction of world history, an indispensable link connecting other links coming before and after itself. Above all, this linking is a necessary task not only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the global context of a particular event, but also with a view to pinpointing the root cause of the tragedy and conflict reproduced once through partition violence and again through a series of ensuing incidents.

      • Adipose Natural Killer Cells Regulate Adipose Tissue Macrophages to Promote Insulin Resistance in Obesity

        Lee, B.C.,Kim, M.S.,Pae, M.,Yamamoto, Y.,Eberle, D.,Shimada, T.,Kamei, N.,Park, H.S.,Sasorith, S.,Woo, J.,You, J.,Mosher, W.,Brady, Hugh J.M.,Shoelson, Steven E.,Lee, J. Cell Press 2016 Cell metabolism Vol.23 No.4

        <P>Obesity-induced inflammation mediated by immune cells in adipose tissue appears to participate in the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We show that natural killer (NK) cells in adipose tissue play an important role. High-fat diet (HFD) increases NK cell numbers and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notably TNF alpha, in epididymal, but not subcutaneous, fat depots. When NK cells were depleted either with neutralizing antibodies or genetic ablation in E4bp4(+/-) mice, obesity-induced insulin resistance improved in parallel with decreases in both adipose tissue macrophage (ATM) numbers, and ATM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Conversely, expansion of NK cells following IL-15 administration or reconstitution of NK cells into E4bp4(-/-) mice increased both ATM numbers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and exacerbated HFD-induced insulin resistan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ipose NK cells control ATMs as an upstream regulator potentially by producing pro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TNF alpha,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obesity-induced insulin resistanc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