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바울과 누가복음

        ( Stanley E. Porter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1 성경과신학 Vol.58 No.-

        현재 바울과 누가복음의 관계에 대한 질문에 있어 주요한 두 가지 사상적 흐름이 있다. 그 중 하나는 누가의 저작들과 바울의 저작들 사이에 분명한 유사성이 있다고 하는 주장과 이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러한 상황은 우리로 하여금 누가복음과 바울 서신들의 관계를 조사하고 설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몇몇 특징들을 살펴볼 것을 요구한다. 본 연구는 누가와 바울의 상호 대화를 위한 기초를 놓고,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누가복음의 저작권 문제를 논의한다. 그 후에 양자간의 가능한 관계를 설정하려는 시도로써 이상에서와 다른 곳에서 제기된 몇몇 주요 주제들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한 불일치들은 특히 저작권의 문제에서 시작하여 저작 연대, 신학적 관점들을 통해 드러나게 된다. 비록 누가와 바울이 다양한 방법과 횟수로 여러 구약 성경을 사용한다 할지라도 그들은 한 전형적인 인용구를 통해 어떤 기록된 본문의 주제나 사상을 세우는 공통된 해석학적 습관을 가지고 있다. 기독론의 영역에 있어서 누가와 바울의 개념이 정확히 일치한다고 말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묘한 차이를 덧붙인 누가복음 읽기에 근거를 둔 증거는 충분히 고려할 가치를 가진다. 그러나 성만찬 연설과 같은 한정된 증거가 보다 자세히 연구되고 구원과 부활에 대한 누가의 통합적 관점이 논의가 될 때 누가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의 구원론적 중요성에 대한 보다 복합적인 관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점에서 누가와 바울이 공통 자료를 사용했을 가능성과 바울이 누가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이 나타난다. 이러한 주제들은 누가복음과 바울 사이의 있음직한 신학적 연관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준다. 그 결과들은 우리가 누가와 바울의 독특한 목소리들 견지하는 반면 초대 교회의 주요 주제들에 대한 몇몇 신학적 합의점들을 인지하면서도 각자의 개별적 관점을 평가할 수 있도록 허락해 준다. 많은 점에 있어서, 이것이 누가와 바울과 같은 이들의 선교 동행자들로부터 혹자가 기대할 수 있는 일종의 전체적 윤곽이다. There are currently two major streams of thought regarding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of Paul to the Gospel of Luke. One is that there is a clear affinity between the writings of Luke and those of Paul, and the opposite. Such a situation requires that we examine a number of different dimensions of Luke`s Gospel and Paul`s letters in order to examine and perhaps even to establish their relationship. This research examines these topics from a number of different angles. It begins with discussion of the issue of authorship of Luke`s Gospel, as a means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ir mutual interaction and analysis. Then it discusses a number of the major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above and elsewhere to try to establish the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uch issues are raised regarding the authorship, time of writing and theological perspectives. Although Luke and Paul use various Old Testament Scriptures in various ways and with varying frequencies, they have the common interpretive practice of establishing the major theme or idea of a written text by means of an exemplary quotation. In Christology one cannot say that Luke is responding to Paul in this instance, the evidence based upon more nuanced reading of Luke`s Gospel is worth considering. However, when the limited evidence of the eucharistic words are examined in more detail and when Luke`s conglomerate view of salvation and the resurrection are brought into the discussion, Luke is seen to have a more complex view of the salvific significance of Jesus` death and resurrection. The eucharistic words found in Luke and Paul probably originated with a common source, but it is possible that Paul had a direct influence upon Luke at this point. These issues offer some insights into the possible theological relationship, as demonstrated through their writings, of Luke`s Gospel and Paul. The results allow us to appreciate the individual view of each, recognizing a number of points of theological convergence around major issues in the early Church while maintaining their distinctive voices. In many ways, this is the kind of profile one might expect from missionary companions of the likes of Luke and Pau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